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혼여성의 결혼생활 중요도인식과 결혼생활만족

        유공순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0 No.2

        우리나라 기혼여성이 결혼생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복지욕구와 그 복지욕구가 실제의 결혼생활을 통해 충족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청주를 비롯한 청주와 대전에 거주하는 기혼여성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3.3세였고 전업주부가 52.0%로 직장여성보다 약간 많았으며 조사 대상자의 남편이 전업주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2.1%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기혼여성이 결혼생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결혼생활중요도는 경제력, 남편과의 대화, 자녀문제(양육 및 관계), 시댁식구와의 관계, 자신의 여가 및 문화생활, 남편과의 성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혼여성의 복지욕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결혼만족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경제력, 남편과의 대화, 자신만의 문화 및 여가생활 부분에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결혼생활의 불만족 이유로는 경제적 이유와 시댁식구와의 불화, 남편의 무관심 등을 들고 있으며, 이 중 이혼을 고려해 본 적이 있다는 사람이 60.8%였다. 대부분의 기혼여성이 결혼생활에 문제를 갖고 있었으나 가족문제나 결혼문제로 상담을 받은 경험은 거의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elfare need of married women and examine how much their welfare needs fulfilled through their marriages. Four hundreds thirty one married women from Cheongju and Deaju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43.3, 52.0% of them were housewives, and 2.1% of husbands were housekeeper. The result indicated that Korean married women importantly consider the conversation with husbands, the problem of children(parenting and relationship), the financial power, the relationship with the esteemed family of their husbands, their leisure and cultural lives, and the sexual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in their marriages as their welfare needs. The marita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ir welfare needs.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financial power, the conversation with husbands, and their own leisure and cultural lives. The reasons of dissatisfaction with their marriages were the economical matter, the trouble with the esteemed family of their husbands, and the indifference of husbands. 39.2%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considered the divorce. Although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problems on their marriage lives, only 5.8% of them experienced the professional counseling and 23% of them answered that they don't need the professional counseling.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married women disregard the role of professional counseling centers. Therefore, the important role of professional counseling centers should be informed to the married women.

      • KCI등재

        최한기 측인론에 따른 인물평가 척도 구성을 위한 예비적 연구

        유가효(Yoo Ka Hyo),이영찬(Lee Young Ch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말기의 최한기의 인물 감평척도를 토대로 하여 오늘날 한국사회의 인물상 정립과 인성교육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인물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한기가 기술한 인물 평가범주들과 그 범주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항목들을 현대적인 의미의 진술문으로 변환하여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현대 고등교육을 받은 대학생들이 동양 정신에 기초하고 있는 인물평가척도에 어느 정도 동의하고 있는지 유교문화의 전통을 공유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조사하여 이 인물평가척도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양국의 대학생간에 다소 중요도 순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인물평가에서 중요시하는 범주가 덕성, 정신력, 행사이며 견문, 용모, 처지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특히 처지는 양국의 대학생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지가 환경적 조건으로서 개인의 성취에 현실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할지라도 바람직한 인물상의 평가요인으로는 동의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연구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은 인물 평가에 있어 타고난 고정된 요인이나 개인의 재능, 자질보다는 길러질 수 있는 도덕성과 도덕적 행위의 측면을 더욱 더 중요하게 생각함을 보여준다. 즉 ‘난사람’보다 ‘된사람’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인물평가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이 젊은 세대에게도 여전히 유효함을 말해준다. 이러한 중요도 인식이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큰 편차가 없었다는 사실은 이 척도가 적용가능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연구 대상이 특정 지역과 대학생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최종적인 척도의 구성, 제작을 위해서는 대학생 외에 일반 성인들, 그리고 지역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preparatory study to develop a person evaluation scale based on Choe Han-ki’s person evaluation theory [Chek-in theory] that is useful in Korean society. For this, we extracted firstly several items which compose the person evaluation categories from Chek-in theory of Choe Han-ki, and made an empirical research for the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rough questionnaire translated to the contemporary usage.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both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regarded virtue of mind, mental power, upright behavior as important categories, and considered knowledge, appearance, and social condition as relatively unimportant ones. Particularly, both of Korean and Chinese collage students look upon social condition as least important. We could also find that the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tressed more on learned morality and moral behavior than natural gift and personal talent. In other words, they prefer ‘a moral person’ to ‘distinguished pers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traditional categories of person evaluation are still available to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fact that no wide variation existed in importance aware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 suggested to the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is scale.

      • KCI등재

        과학기술 정보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인식이 이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김완종,Lee, Seon-Hee,Kim, Wan-Jo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서비스의 품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용자 만족도와 중요도 인식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서비스품질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고 641건의 설문조사 답변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서비스품질 항목들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인식에 대한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서비스품질 항목별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7개 중 5개 항목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각 항목에 관한 중요도 인식과 충성도와의 관계도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더니 7개 중에서 4개 항목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전반적 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단순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impac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perceived importance on the user loyalty was studied to find the way of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 quality. To analyze the impact among service quality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is are set and statistical analysis on 641 survey answers was conducted.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perceived importance regarding each service quality item was high.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every item of the servic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five out of seven independent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dependent vari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loyalty for each item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firmed that the four out of seven independent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dependent variable. The overall satisfaction is having an effect on loyalty verified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