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웨딩소비자들의 웨딩문화의 변화가 한국 웨딩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곽혜은(Kwak, Hye-eun),조나(Zhaona),이재은(Lee, Jae-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한국웨딩산업의 중국시장진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TV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주인공들의 패션스타일을 모방하려는 중국웨딩 소비시장의 니즈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중국웨딩소비시장의 당면문제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한국웨딩산업의 중국웨딩소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소비자들의 유치 및 확대를 위한 비자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➀한국으로 방문한 비자 신청수요의 증가에 먼저 대응하기 위해 시스템의 구축을 요구한다. ➁비자 발급 시에 절차상의 편의성을 개선 및 도모하기 위하여 현행 비자제도운영체계의 제약요인을 완화한다. ➂비자발급 절차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개선하도록 한다. 둘째, 웨딩산업에 관한 기본적 물적·인적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중국웨딩소비자들의 웨딩관련 소비관념이 변화와 소비자의 다양해진 욕구를 충족을 위해 차별화된 웨딩촬영상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웨딩상품과 건강상품을 결합하여 결혼 전에 건강검진도 받고 웨딩촬영도 함께 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낮은 가격 경쟁으로는 한계가 있어 관광과 연계된 결혼 이후의 신혼여행 상품 등 차별화된 웨딩상품 및 웨딩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SNS마케팅을 활용하여 한국식 웨딩관광홍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 중국 내 주요 온라인 사이트 뿐 아니라 중국현지의 텅쉰(騰訊)의 웨이보(微博)를 통해 한국 웨딩관광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중국 유명연예인 혹은 한류스타들의 웨딩사진을 홍보동영상을 활성화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한국웨딩업체의 자체 브랜드를 가지고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중국웨딩소비자들의 니즈가 충분히 반영된 상품개발이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웨딩산업의 거대공용소비시장인 중국을 진출하려는 한국의 웨딩업체들은 끊임없는 소비자분석을 통해 중국의 웨딩시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women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women in society is gradually improving. Getting marrie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life, so woman"s requirements of marriage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 thus a newculture ofmarriage is forming. Therefore we recognize the necessity of entering into the Chinese market. In this paper we center on the China"s wedding industry, and analyze its present situation. Then, by mastering the problems and challenges, the paper aims to put forward the entry strategies for Korean wedding industry. First of all, the visa systemshould be improved to attract Chinese tourists continually. Second, we should build infrastructure and train relevant personnel to improve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Chinese tourists. Third, we can strive to develop some special wedding photography products in order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consumers. Fourth, by making full use of the network, we can active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n wedding photography. Fifth, to expend themarket demand, we should extend the scope ofmarriage frompreparation andwedding tomarried life. It is verymeaningful that we can get the entry strategy for Koreanwedding industry to enter the Chinesemarket by the analysis of thematerials fromboth Korea and China. However, there is a bit of disadvantage that nomore comprehensive analysis can be carried ou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aterials. In the future, we will take advantage of more comprehensive material to get the further empirical analysis of entering into the China market for Korean wedding industry.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본 연구는 한국웨딩산업의 중국시장진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TV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주인공들의 패션스타일을 모방하려는 중국웨딩 소비시장의 니즈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중국웨딩소비시장의 당면문제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한국웨딩산업의 중국웨딩소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소비자들의 유치 및 확대를 위한 비자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➀한국으로 방문한 비자 신청수요의 증가에 먼저 대응하기 위해 시스템의 구축을 요구한다. ➁비자 발급 시에 절차상의 편의성을 개선 및 도모하기 위하여 현행 비자제도운영체계의 제약요인을 완화한다. ➂비자발급 절차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개선하도록 한다. 둘째, 웨딩산업에 관한 기본적 물적·인적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중국웨딩소비자들의 웨딩관련 소비관념이 변화와 소비자의 다양해진 욕구를 충족을 위해 차별화된 웨딩촬영상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웨딩상품과 건강상품을 결합하여 결혼 전에 건강검진도 받고 웨딩촬영도 함께 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낮은 가격 경쟁으로는 한계가 있어 관광과 연계된 결혼 이후의 신혼여행 상품 등 차별화된 웨딩상품 및 웨딩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SNS마케팅을 활용하여 한국식 웨딩관광홍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 중국 내 주요 온라인 사이트 뿐 아니라 중국현지의 텅쉰(騰訊)의 웨이보(微博)를 통해 한국 웨딩관광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중국 유명연예인 혹은 한류스타들의 웨딩사진을 홍보동영상을 활성화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한국웨딩업체의 자체 브랜드를 가지고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중국웨딩소비자들의 니즈가 충분히 반영된 상품개발이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웨딩산업의 거대공용소비시장인 중국을 진출하려는 한국의 웨딩업체들은 끊임없는 소비자분석을 통해 중국의 웨딩시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women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women in society is gradually improving. Getting marrie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life, so woman"s requirements of marriage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 thus a newculture ofmarriage is forming. Therefore we recognize the necessity of entering into the Chinese market. In this paper we center on the China"s wedding industry, and analyze its present situation. Then, by mastering the problems and challenges, the paper aims to put forward the entry strategies for Korean wedding industry. First of all, the visa systemshould be improved to attract Chinese tourists continually. Second, we should build infrastructure and train relevant personnel to improve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Chinese tourists. Third, we can strive to develop some special wedding photography products in order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consumers. Fourth, by making full use of the network, we can active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n wedding photography. Fifth, to expend themarket demand, we should extend the scope ofmarriage frompreparation andwedding tomarried life. It is verymeaningful that we can get the entry strategy for Koreanwedding industry to enter the Chinesemarket by the analysis of thematerials fromboth Korea and China. However, there is a bit of disadvantage that nomore comprehensive analysis can be carried ou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aterials. In the future, we will take advantage of more comprehensive material to get the further empirical analysis of entering into the China market for Korean wedding industry.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 KCI등재

        중국 소셜커머스 기업의 생존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태문 ( Tai Wen Li ),표민찬 ( Min Chan Pyo ) 현대중국학회 2015 現代中國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의 소셜커머스 시장을 Dawar and Frost(1999)의 이론에 근거해 분석하고 외국기업에게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중국의 소셜커머스 시장은 소비자 기호에 맞는 제품을 공급해야 하는 머천다이징 특징이 강해 고객에 대한 정보관리를 비롯한 IT기술로 무장한 다국적기업의 강점만으로는 중국시장 공략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중국의 窩窩團과 拉手網는 Defender전략을 활용해 자국시장에서 세계적인 소셜커머스 기업인 그루폰이 투자한 高朋보다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聚劃算과 美團網 등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기업들은 중국 거대 IT기업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들은 Dawar and Frost(1999)의 이론에서 이미 Extender의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예를 들어 聚化算은 Alibaba가 운영하는 Taobao를 기반으로 홍콩과 대만으로 진출했으며, 美團網, 大衆點評團, 百度羅米網 등도 투자기업이나 모기업인 BAT(Baidu, Alibaba, Tencent)의 지원을 받아 주변국으로 진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이 접해 있는 한국은 중국 소셜커머스 기업의 성장에 대비하는 선제적인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의 Defender와 제휴해 제3국으로 진출하거나, Extender로 발전한 중국기업과 win-win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social commerce market in China, based on the theory of positioning for emerging market companies developed by Dawar and Frost(1999). The major success factor of social commerce market in China is the merchandising skill rather than the information technology. This is the reason that Groupon, the world largest social commerce company, has a hard time in China. According to Dawar and Frost(1999), the Chinese local companies such as 55tuan and Lashou are located in the cell of Defender, successfully defending their local market. Other Chinese firms such as Juhuasuan and Meituan already moved to the cell of Extender. For emxample, Juhuasuan expanded its business to Hogn Kong and Taiwan. Almost all major social commerce firms in China receive support financially and commercially from the Chinses giant IT companies such as Baidu, Alibaba, and Tencent. It is expected that these Chinese social commerce firms will use their success at home country as a springboard for expanding their business to foreign countries.

      • 타이완의 중국연구: 형성과 변천 그리고 추세

        하범식 ( Bum Sig Ha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2 중국지식네트워크 Vol.2 No.-

        이 글은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타이완의 중국연구의 변천을 고찰하고 중국연구기제의 구조와 특색을 중심으로 살핀 것이다. 1950년대 중반, 타이완의 중국연구는 적정 (敵情)분석 성격의 반공(反共)연구로 시작하여 1970~80년대 반공연구의 학술화 시기를 거쳐서 1990년대 이후 사회 주도 아래 지역학 위주의 학술연구로 발전하였다. 현재 대학 및 민간 연구기구에서 타이완의 중국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중국연구의 발전에 제일 기여한 기구는 타이완의 대학들이다. 타이완의 대학들은 연구기제 확충을 통하여 중국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중국연구기구는 교육기구와 연구기구로 이분화되어 교육 기구는 전문적인 중국연구자를 배출하고 또한 연구기구는 중국연구자에게 양질의 연구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타이완 중국연구의 특색으로는 대부분의 중국연구기구가 타이베이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 가운데 정즈(政治) 대학은 풍부한 연구 자원으로 동아연구소, 국가발전연구소, 국제관계연구중심, 중국대륙연구중심, 양안정경연구중심 등 복수의 중국연구기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China studies in Taiwan from the period of 1950s to the present. In 1950s, Taiwan’s China studies were motivated by providing the necessary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strategies for anti-communism. Due to the change of political landscape, from 1970 to 1980, the China studies h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more academic in nature, due to the change of political landscape. Since 1990, China studies have well developed into a field of academic research. Today Taiwan’s China studies are carried out mainly by universities and non-government institutions. Between them, to make major contributive organization for China studies are universities in Taiwan. Through expansion of research organization such as department of China studies and center for China studies, universities have contributed to develop China studies. This organization halves educational institution and research institute. Educational institution such as Department of China studies has been producing researchers of professional China studies, also research institute such as center for China studies has been providing high quality research environment to these researche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studies is most of organizations of China studies concentrated at Taipei.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has multiple organizations of China studies such as graduate institute of East Asia studies, graduate institute development studies,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center for China studies, center of Cross-Straits Political and Economic Affairs in rich research resource, and so, based on this, has been leading China studies in Taiwan.

      • KCI등재

        中國家族企業可持續發展戰略硏究

        ( Jae Shik Kang ),( Hyung J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1

        중국은 농업문명으로부터 공업문명으로 향하고 있으며, 동시에 공업문명으로부터 후공업문 명으로의 전환 이라는 두 개의 현대화의 교착점에 위치해 있다. 중국 가족기업도 이러한 전환기를 맞이하여 많은 도전과 기회를 맞아 생존과 발전의 기로에 서 있다. 중국에서는 가족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중국 가족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확대가 곧 중국의 경제발전과 그 궤를 같이하여 왔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가족기업이 갖고 있는 핵심적 특징은 가족소유와 가족경영이다. 즉, 기업에 대한 소유권과 경영권을 동시에 쥐고 있는 것이다. 현재 중국대륙의 사영기업 중 소수의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가족이 직접 경영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가족기업은 이미 중국경제 영역에서 하나의 무시할 수 없는 큰 역량과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국가 세수의 증대뿐만 아니라 국민 직업창출 측면에서도 크게 기여하여 왔다. 지난 10년 동안 중국에서 새로운 직업의 90%는 가족기업 부문에서 제공하였다. 더불어 일부 가족기업들은 중국 기업들의 현대화 면에서도 크게 기여하여 현대 선진기업의 직전단계 수준에 도달함으로써 많은 기업들이 지향해야 할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국의 가족기업들이 당면한 과제 중 중요한 하나는 바로 새로운 시대적 추세에 맞추어 어떤 주체가 가족기업들에게 적확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또 어떤 방식으로 이를 이끌고 갈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중국의 WTO 체제 가입 이후 달라진 국제 경제 환경에 자기의 기업을 어느 정도 적응 발전시킨 가족기업 창업자들의 고민은 남다를 수밖에 없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제1세대 창업자들로부터 부를 대물림 받을 제2세대들의 경영 후계문제와도 직결된다. 따라서 현재 가족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승계 등의 문제는 비단 당사자들뿐 아니라 중국의 국가적인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최근 중국가족기업의 경영현실은 심각한 여러 가지 문제에 봉착하고 있음을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 중에서 향후 가족기업의 지속성장 가능성 여부 문제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기업 연구가들의 주요한 연구이슈이자 관심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가족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몇 가지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중국인들 시각으로 심도 있게 분석해 보면서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족기업 관리시스템의 발전, 화해적 기업문화의 수립, 인적자원들의 수준 제고, 재무제도 등에 대하여 과연 지속발전을 이루기 위해 어떤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한가, 또한 향후 건강한 가족기업 발전의 방향은 무엇인가 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수많은 가족기업들이 당면하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들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전과정 중 필연적으로 생성된 모호한 재산권 문제이다. 둘째, 중국 내 국영기업 및 국제적인 선진기업에 비하여 기업관리방식의 낙후성이다. 셋째, 가족기업 특유의 비전문인력 활용으로 인한 인력구조의 비효율성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이 중국의 가족기업은 지속적 발전이라는 당연한 명제를 추구하고 있지만 실상은 가족기업들의 폐쇄적 운영방식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기업 구성원들의 현대적 사회의식 재정립이다. 둘째, 가족기업 중견간부들의 전반적인 인적소질의 제고이다. 셋째, 화해적 기업문화의 수립이다. 넷째, 외부자본과의 긴밀한 협력이다. 다섯째, 효율적 기업관리 시스템의 재구축이다. 여섯째, 효율적이고 선진적인 재무회계 제도의 도입 등이다. 이러한 몇 가지 대책은 궁극적으로 중국에서의 가족기업을 발전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상기한 사항들은 본 연구의 결론이기도 하다. China is on the crossing point of two modernizations simultaneously, that are on its way to industrial civilization from agricultural civilization, and also the conversion to post-industrial civilization from industrial civilization. Encountering this turning period, therefore, Chinese family business gets lots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nd taking its way to survive or to develop. In China, family business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Chinese national economy. Because continuous development and expand of family business takes the same way with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Generally, the core characteristics of family owned business are privacy and family management. It means that it has both ownership and management system. In China, except for the few large companies, most of them are owned privately. The portion of private owned family run business is too high to be neglected. This not only improved the total income figure for the China, but it also played a major role in terms of providing more job offers. For the last past 10 years, 90% of new jobs were from family owned firms. Their contribution to the society influenced the nation greatly, became the role model for other firms to benchmark. As for the upcoming challenge for family owned firms, they have to focus on gaining more insight in terms of how they are going to prepare for the future. Current founders of companies should consider more about the new global economic environments since China became a new member of World Trade Organization. It also relates to the matter when founders succeed their business to second generations. Overall, the progress of family owned firms and their succession became China and its people`s great interest. However, many experts point out that current management of family business faces some serious problems. Among them, the possibiliti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mily business are the main issue of research and interest of not only concerned people, but also the researcher about enterprise. China is on the crossing point of two modernizations simultaneously, that are on its way to industrial civilization from agricultural civilization, and also the conversion to post-industrial civilization from industrial civilization. Encountering this turning period, therefore, Chinese family business gets lots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nd taking its way to survive or to develop. In China, family business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Chinese national economy. Because continuous development and expand of family business takes the same way with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Generally, the core characteristics of family owned business are privacy and family management. It means that it has both ownership and management system. In China, except for the few large companies, most of them are owned privately. The portion of private owned family run business is too high to be neglected. This not only improved the total income figure for the China, but it also played a major role in terms of providing more job offers. For the last past 10 years, 90% of new jobs were from family owned firms. Their contribution to the society influenced the nation greatly, became the role model for other firms to benchmark. As for the upcoming challenge for family owned firms, they have to focus on gaining more insight in terms of how they are going to prepare for the future. Current founders of companies should consider more about the new global economic environments since China became a new member of World Trade Organization. It also relates to the matter when founders succeed their business to second generations. Overall, the progress of family owned firms and their succession became China and its people`s great interest. However, many experts point out that current management of family business faces some serious problems. Among them, the possibiliti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mily business are the main issue of research and interest of not only concerned people, but also the researcher about enterprise.

      • KCI등재

        중국 군사혁신(RMA)에 따른 중국공군 현대화와 한국공군에 주는 함의

        조관행 ( Kwan Haeng Cho ),홍성표 ( Sung Pyo Hong ) 현대중국학회 2011 現代中國硏究 Vol.12 No.2

        걸프전 이후 중국공군은 군사혁신에 따라 군사전략 개념 및 공군교리를 발전시키고 이전의 육·해군 지원 전략개념을 벗어나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독립전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 글은 중국공군의 현대화를 항공전력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국은 걸프전의 경험을 통해, 산업시대가 정보시대로 변화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군사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낮은 기술수준으로 서구와 같은 수준의 정보적 능력을 보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인식하며 중국특색의 군사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은 기계화와 정보화의 혼합적인 발전을 동시에 가속화하고 있다. 걸프전 이후, 중국은 공군교리를 전통적인 방어개념에서 공세적인 개념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공군력의 운영이 국토방공에서 공수겸비로 전환 되고 있다. 중국공군은 이라크전 이후 정보화 조건하 국부전쟁 승리 개념을 충족 하기 위한 공군력의 증강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며, 공군의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인 항공기 현대화를 위해 전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중국이 추구하는 군사혁신과 항공전력 현대화의 교훈을 통해, 한국공군이 한국특색의 군사혁신과 전력 현대화를 완성하여 한반도 전역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of People`s Liberation Army Air-Force(PLAAF) modernization, specifically its aircraft development, focusing on how it transformed itself into an independent force from the supporting force of the PLA and PLA Navy, through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and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military strategies and Air-Force doctrines after the Gulf War. Through its observation of Gulf War, China realizes that the industrial age was replaced by the information age and actively pursues the RMA. However, with its less advanced technology, China finds it impossible to establish information warfighting capabilities comparable to those of the Western Countries and is currently pursuing RMA with Chinese characteristic. At present, China is accelerating the composite development of mechan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at the same time. Since the Gulf War, China has been developing its AirForce doctrines from a traditional defensive concept to offensive one and the employment of its air power is being converted from the homeland defense to the combination of offensive and defensive uses. PLAAF puts a priority on the improvement of air power to meet the concept of winning local wars under condition of informationization after Iraqi War and is making great efforts for the modernization of airpower. In conclusion, the lesson of PLAAF`s RMA and airpower moderniz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ROKAF to make its own style of military renovation and to modernize its capabilities, so that it can play a dominant role in the Korea theater as an independent force.

      • KCI등재

        중국 보안서비스의 발달과 과제

        조성구,김동제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7 No.4

        중국의 보안서비스업의 역사는 과거 봉건사회에서 상인을 보호하거나 귀중품을 운송하는 일종의 산업화 된 “표국(镖局)”, “표행(镖行)”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중국정부는 사회주의 현대화로 바뀌면서 민생치안에 대한 욕구는 날로 증가하였고, 1984년 12월 중국 최초의 기업적 성격의 보안서비스업체가 심천셔코우공업구(深圳蛇口工业区)에 설립된 이후 보안서비스업은 전국 각지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 되었다. 중국 보안서비스는 일반적인 서비스영역에서 점점 다양한 형태의 보안서비스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서비스 형태상 경찰력의 보조적 성격이 강하였다. 또 중국의 보안시장은 아직 외국 보안서비스기업에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있으며, 정부 책임 부서의 보안서비스업체에 대한 관리는 정부와 기업이 독립되지 않고 정부가 보안서비스업체에 대해 관리감독을 하는 방식으로 변화 중이다. 그리고 보안서비스업체는 현재 재산권이 모호한 집단소유제나 국가 소유제의 재산권제도에서 점차 민영화의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중국 보안서비스시장이 더욱 발전하기위해서는 통제능력을 강화하여 보안서비스업의 시장화를 이루어야하고 점진적으로 현재의 보안조직을 정리정돈하고 보안인력을 공안기관의 관리감독범위로 귀속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또 보안인력의 직업정신을 강화하여 보안서비스업의 부정적인 인식도 개선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안고등직업교육을 발전시켜 보안서비스업의 성장의 추진력을 키워야하는 것과 보안직업자격 인증제도를 시행하여 보안인원의 자격조건을 확정하고 보안서비스업의 서비스능력을 향상시켜야하는 것도 중국 보안서비스 시장의 안정적 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 This study has been approached by exploratory methods and proposes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Chinese security service as well as current assignments. There were security agencies, which are referred as an industrialized way of securing people or valuables in feudal society of the past. As Chinese government has been changed to modernized communism and the demand for social security has arisen, the security service firm started to widen its market range with large cities as center through the first establishment of the first security service firm in China. Chinese security service has its strong character of subsidiary for public police force extending the field from usual service to diversified service types. Also, Chinese security service is still not perfectly opened for foreign services and is changing to under management of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 which independency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rvice cannot be found. The recent ownership of security service firms is showing their evolution by changing from group-ownership, which can be ambiguous and government-ownership to private-ownership. The achievement of marketizing Chinese security service and gradual arrangement of current security groups and reverting security service manpower to government shall be done through reinforcement of the control power of Chinese security service market. The improvement of negative awareness towards current security service is also required through reinforcement of occupational spirit. Developing the higher security service education for enlarging the momentum of security service development and initiating the certification policy for qualified security service and the assignment of improving security service ability have been introduced in this study.

      • KCI등재

        중국공산당의 “중화민족”에 대한 인식 연구: 중국공산당과 코민테른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승현 한국동북아학회 2018 한국동북아논총 Vol.23 No.1

        Since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plethora of slogans in China called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Research in this field is also abundant. In particular, the history, unity of the “Chinese n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ve already been shared by most related studies as facts. That is to say, the so-called “Chinese nation" is a historical reality and unification from the ancient times,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maintained the interests of the “Chinese nation" ever since its establishment. This study examines documents produc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prior to the founding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on the “Chinese nation". This course will show how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perception of the “Chinese nation" has chang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esented. Firs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emerged in the form of the Chinese branch of the Comintern. Therefore, the perception of the “Chinese na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as not based on the independent thinking of the Communist Party itself, b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st Party and the Comintern. Second, For China, “Ethnic self-determination" means the separation of ethnic minorities, It conflicted with the logic of the “Chinese people" that demanded unity. Therefor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the period of emphasizing “Ethnic self-determination" could not accept the “Chinese nation". Third,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Chinese nation" characterized by historicality, unity, and diversity were formed throug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 independence from the Comintern, or “Sinicization of Marxism". 최근 중국에 “중화민족 위대부흥(中華民族 偉大復興)”이라는 구호가 넘쳐나고 있다. 이와 관련한 학계의 연구 또한 풍성하다. 특히 “중화민족”의 역사성, 통일성 그리고 이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공헌은 이미 대부분의 관련연구가 기정사실로서 공유하고 있다. 즉, 이른바 “중화민족”이란 고대로부터 이어온 하나의 역사적 실체이자 통일체이고, 또한 중국공산당은 창당 이래 줄곧 “중화민족”의 이익을 견지해 왔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중국공산당이 “중화민족”에 관해 생산했던 문건의 재검토를 통해 중국공산당의 “중화민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그 결과로서 다음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공산당은 코민테른의 중국지부라는 형식으로 출현했다. 이에 중국공산당의 “중화민족”에 대한 인식과 관련 정책은 중국공산당 스스로의 독립적 사고나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중국공산당과 코민테른의 관계로부터 지배를 받았다. 둘째, 중국에게 있어 “민족자결”은 중국 내 각 소수민족의 분리를 지향하는 것으로, 이는 통일성을 요구하는 “중화민족”의 논리와 필연적으로 충돌하였다. 이에 “민족자결”을 강조하던 시기의 중국공산당은 “중화민족”을 부정할 수밖에 없었다. 셋째, 역사성, 통일성,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당대 중국의 “중화민족”에 관한 이론적 토대는 중국공산당이 코민테른으로부터 독립되면서, 즉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를 통해 형성되었다.

      • KCI등재

        중국문화산업 시장참여자 연구: 3C(Company, Customer, Competitor)를 중심으로

        정우식 ( Woo Sik Jeong ) 현대중국학회 2009 現代中國硏究 Vol.11 No.1

        모든 국가들은 발전전략을 수립할 때 무엇보다 중요하게 고려해야 될 요소 중의 하나가 지속가능발전인데, 이러한 측면에서 문화산업은 매우 유효적절한 분야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문화산업의 수요자인 중국대중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분석방법인 3C(Company, Customer, Competitor)를 통한 정부, 기업, 소비자 등 시장참여자별 세부적인 분석으로 공급자위주 시장에서 수요자위주 시장으로 급변하는 중국문화산업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향후 시장진입 후의 Risk Hedging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중국문화산업은 발전과정 및 중국 산업구조의 고도화 정도, 소비자들인 중국대중들의 소비성향, 중국정부의 의지 등을 고려한다면 중국의 문화산업 내수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이 확실하다. 다만, 시장규모의 증대가 시장 참여자간 다양하게 인과 되어 영향을 미칠 것이고 이에 따라 향후 나아가야 할 전략적인 방향도 차이가 날 것이다. 중국문화산업시장에 참여할 정부 및 기업에게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정부는 중국문화산업의 조사연구에 보다 박차를 가해야 한다. 문화산업 관련기업들은 시장진입의 성공제고를 위한 피드백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성공모델의 벤치마킹을 통한 기업에 optimized된 모델구축이 이뤄져야 한다. 이와 함께 시장진입에 필요한 조사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이를 통해 중국 시장 진입시 진출지역 및 진출분야의 고려가 이뤄져야 한다. 이에 단기적으로 대중문화 등 문화상품의 저변을 보다 확대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기존 한국적 문화코드로 대변되는 `한류`의 재조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장기목표의 달성은 궁극적으로 우리의 지속가능성장모델(Sustainable Growth Model) 중 하나로 확립될 것이다. Most of all nation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y plan, One of most important factor is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point, Culture industry is very useful and effective. This study`s majors analysis methods, for maximizing Chinese culture industry consumer`s (just as Chinese people) values, is 3C (Company, Customer and Competitor) method.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on this detailed analysis method more objective understanding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offer useful data about risk hedging after entry into market in the future. Considering Chinese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history, China industry structure, Chinese people`s propensity to consume and China government intentions, It is certainly that the domestic demand market scale of Chinese culture industry is constantly increasing. However, the market scale increases influence various factors between market participants, hence strategic direction have differences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government and companies joining in Chinese culture industry that government has important in research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that for improving entry market, companies related in culture essentially need feed-back system, and in regards to existing success models establish optimized model by benchmarking analysis tool. Furthermore, Companies should make up of research system for entry market. On these various solutions when companies enter into market, they should consider entry areas and entry fields. In the short term we should expand and magnify culture commodity base and in the long term should re-illuminate "The Korean Wave-Hanllyu" representative of existing code of Korean culture. Ultimately, In achieving long term goal, We can establish one of our Sustainable Growth Model.

      • KCI등재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지역 및 한국의 안보

        박창희(PARK Changhee)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5 신아세아 Vol.22 No.2

        중국이 군사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은 국가주권과 안보, 영토보전과 관련한 핵심이익을 수호하기 위해서, 국내적으로 분리주의 세력 척결 및 극단주의에 의한 테러리즘 대응을 위해서, 그리고 미래 정보화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강군 건설을 위해 군사력을 현대화하고 있다. 중국의 군사력 현대화는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국과의 전략적 경쟁을 구성한다는 측면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당장 중국의 전력증강이 지역 및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이미 중국은 군사적 자신감을 배경으로 동중국해 및 남중국해 해양영유권 분쟁에 대해 단호한 조치들을 취하고 있으며, 2014년 한 해 보여준 베트남 EEZ내 석유시추나 남사군도 일대에서의 인공섬 건설은 매우 도발적인 행동으로서 주변국들의 우려를 고조시키고 있다. 한반도에 대해서도 중국은 유사시 군사개입 능력을 강화함은 물론, 평시 THAAD 배치 문제와 같이 한미동맹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으며, 향후 주한미군 문제나 한미일 안보협력 움직임에 대해서도 모종의 압력을 넣을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은 당장 중국의 군사력을 냉정히 평가해보고 중국군의 한반도 작전능력을 분석하여 대비하는 한편, 외교적으로는 한중관계와 한미관계를 조화롭게 발전시키기 위한 원칙을 수립하고 한반도 문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할 것이다. China is a rising military power. It has modernized its military to protect core interests of national sovereignty, secur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to counter the threats of separatism, extremism, and terrorism, and to build forces that can win in informationized warfare. Even though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will be a long process insofar as it is locked in a strategic rivalry with the United States in East Asia, the PLA’s enhanced capabilities have raised concern about stability among regional states. Confident of its military power, China became more assertive in maritime territorial disputes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 China Sea, provoking incidents in Vietnam’s EEZ and constructing artificial islands within the Spratly Islands. With much improved military capabilities, China can not only intervene militarily in case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or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but can also pressu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ot to introduce the THAAD missile defense system or to not get actively involved in US-South Korea-Japan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outh Korea should assess the PLA’s military power and analyze its operational capabilities on/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prepare for military conflict. In addition, South Korea should refine its diplomatic principles to develop relations with China and the US at the same time, and enhance its diplomacy to introduce Korean issues into international society.

      • KCI등재

        중국의 TPP에 대한 입장의 변화와 참여 가능성

        임반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6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이 글은 “중국이 TPP 협상에 참여할 것인지,” “참여한다면 언제 쯤 참여할 것인지”와 같은 두 의문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 글은 이 의문들을 추적해 가되 경제적 이해관계의 입장에 선다. 중국이 부상하면서 미국과 중국은 여러 측면에서 갈등 양상을 연출해 왔으며, 특히 정치․안보적 이슈에서는 더 자주 갈등 양상이 연출되었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와 미국의 상대적인 위상 약화, 그리고 그로 인한 미중간의 신경전이 목격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TPP를 본다면 미중 간 대립 및 갈등구조로 이해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와 광역을 막론하고 중국의 TPP를 포함한 지역무역 협정에 대한 시각과 실천은 다분히 경제적 이해관계의 성격이 강하며, 이러한 이해 방식이 중국의 TPP 가입여부, 가입 시기를 예상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중국이 TPP 협상에 참여하지 않을 이유가 별로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중국정부가 새로운 무역투자 이슈에 대해 전향적인 태도를 취할 신호를 내비친 이상, 중국은 TPP 협상 참여와 EU와의 FTA를 거의 유사한 시기에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TPP 협상이 마무리 된다 해도 미국 의회 비준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출범한다고 해도 중요한 수단들을 마련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TPP가 정식으로 출범하려면 아직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국이 상황을 고려하고 분위기를 조성할 시간은 있다. 또한 철저히 실리 위주의 대외정책을 구사하는 중국으로서 21세기 새로운 무역투자 규칙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배제됨에 따른 큰 비용을 감수할 이유가 없다. This paper traces two main questions:Whether China would participate in the TPP negotiations or not? When China would participate in the TPP negotiations?While keeping track of the two questions, this paper focuses on economic interests factors rather than the politico-security aspects among related countries. International policies and behaviors of a country reflect both political-security goals and economic interests in nature.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however, the international politico-economic policies and behaviors of main countries have been influenced by economic interests much more.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Chinese economy, the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have been pluralized in many respects, ever more frequently in the sphere of political and security issues esp. in East Asia. In addition, expanding influences of China's economy, and relative weakening influences the economy of the US in the region let the US irritate. The US preferred to realize the national interests through multilateral international trade system like GATT, WTO originally. Ast the WTO DR negotiations recorded a snail's pace for noncooperations of the developing countries, so the US changed the direction to integrate the economy of American continent in lieu of multilateralism. But the US pushed NAFTA to come into existence as soon as she had faced the objections of the main South American countries this time. China's international policies stress on pursuit economic interests and stable surroundings likewise. Adhering to political- and security perspective, we could not understand international policies and behaviors of US and China reasonably, and would consider TPP as the competition point of them. Therefore, this paper upholds the viewpoint such as:China's participation in TPP is considerably influenced by economic interests, and the perspective helps us to resolve our questions more reasonably. Several reliable reports say:China’s non-participation in TPP induces some damages to Chinese economy, but the damage is negligible. China's participation in the TPP gets significant benefits to China, and almost all of the member countries also benefit. Since 2013, the Chinese government already expressed the intention to take into affirmative account for the new trade and investment issues, and showed some actions. I suppose we have to attend the attitude change of the Chinese government for the high-standard FTA. Through this paper we confirmed the facts that there are few reasons of China’s non-participation in TPP negotiations. China's participation in TPP, and EUC-FTA negotiations are to be driven almost at the same time. And the time would be the time when the US-China Bilateral Investment Agreement negotiations are to be finished and USC-FTA negotiations are to be initiated. Chinese government will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WTO DR, KCJ-FTA, KC-FTA, CJ-FTA, RCEP negotiations to offset the negative impact of TPP, TTIP, Asian Economic Community and Eurasian Economic Integration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