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르그손에게서 주체와 종교

        주재형 ( Joo¸ Jae-hy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8

        베르그손의 _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_은 우리에게 주체화에 관한 매우 독특한 이론을 제시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이 자신의 실존을 장악하는 주체가 되는 것은 종교를 통해서이다. 지성적 동물인 인간은 인간의 존재가 무의미한 세계 표상을 통해 인간을 허무주의의 고뇌에 빠뜨린다. 주체화는 이러한 지성의 자기 해체적 위험에 대한 방어적 반작용에서 시작된다. 그런데 베르그손은 두 종류의 주체화, 즉 정태적 종교의 작화 본능에 따른 사회적 주체화와 역동적 종교의 신비주의적 직관에 따른 우주론적 주체화를 제시한다. 이 두 주체화 방식에 대한 검토로부터 우리는 주체와 종교의 관계에 관한 다음의 결론들에 이르게 된다. 1) 종교는 주체화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2) 하지만 두 가지 주체화 양태에 따라서 두 가지 종류의 종교가 있다. In Bergson’s two sources of morality and religion one can find a singular theory of subjectivation, linked to an equally singular theory of religion. Bergson starts from a nihilistic existentialism of mankind being the essentially intellectual animal. Human intelligence gives us the depressing representation of the world, which would destroy our will to live by making us realize the meaningless of our existence in this world. Subjectivation is the defense of the destructive effect of this representation of the world. But there are two kinds of subjectivation, social subjectivation through the virtual instinct of static religion, and cosmological subjectivation by the mystical intuition of dynamic religion. From the examination of these two modes of subjectivation, we have two conclus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religion: 1) Religion is a necessary element of human subjectivation. 2) But because there are two modes of subjectivation, we do not have a religion, but two kinds of religion according to these two modes of subjectivation.

      • KCI등재

        탈근대의 윤리적 주체화와 책임의 새로운 지평: 들뢰즈와 버틀러의 윤리적 주체화

        김은주 한국여성철학회 2018 한국여성철학 Vol.29 No.-

        들뢰즈의 주체화 전략은 타자-되기를 꾀하는 과정이며, 주체 기능을수행하는 행위자를 생산한다. 행위자는 본질적인 정체성을 갖지 않지만, 집단적인 행위들을 통해서 후험적으로(a posteriori) 구성되는 주체성을 지닌다. 이러한 들뢰즈의 주체화는 버틀러가『윤리적 폭력 비판: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Giving an Account of Oneself)에서 윤리적 주체를 주요하게 설명한 바와 교차한다. 버틀러는 주체화를 타자와 관계 맺는 말 걸기 구조에서 작동하며, 자기를설명하기를 통한 자기 제작 과정으로 규명한다. 이러한 주체화의 구조에서, 나는 나를 다 설명할 수 없으며, 말 걸기의 수신자인 타자를 요청한다. 이로부터 버틀러는 책임의 출처를 나의 한계 인식과 내 안에 있는 타자성으로 설명한다. 책임은 어떤 능동적인 주체의 의지에서 비롯된 행위가 아니라, 주체화의구조에서 비롯한 것이며, 내 안의 이질성을 승인하고 인간 조건의 취약함과수동성에서 야기된 상황을 떠맡는 행위이다. 취약성은 우리가 확고한 경계로철저히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서로에게 자비를 바라는 존재임을 일깨운다. 인간 중심주의에서 벗어난 탈근대의 주체화는 자기를 완벽하게 아는 것이아니며, 자신의 한계와 자신의 구성 조건의 맥락성을 인정하고 이해하면서그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러한 탈근대의 주체화는 윤리적 전회를 통과하면서, 타자성과 이질성을 주체화의 내적 구조로 받아들이고, 공동체와의 연결성을 승인하면서, 새로운 윤리적 규칙을 모색하는 윤리적 주체를 형성한다.

      • KCI등재

        주체화와 정신분석의 윤리

        김석 ( Kim Seo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주체화는 주체가 생성되는 과정이며, 존재를 붙잡으려는 노력이다. 보통청소년기에 정체성이 확립되는 과정이나 정신 병리적 주체를 정상화하는 치유를 주체화에서 강조한다. 하지만 필자는 주체화에서 욕망의 주체가 태어나고, 스스로의 존재를 정립하는 역동성에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 부성은유를 통해 신경증 주체가 태어나는데 이것이 주체화의 첫 번째 계기이다. 신경증 주체는 기표에 의해 소외되지만 대타자 속의 빈곳을 발견하면서 자신을 결여의 상관물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충동의 순환과 증상과의 동일시가 중요하다. 충동이 능동성-수동성처럼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는 순환의 과정에서 새로운 주체가 출현한다. 또 증상을 드러내고 의미를 부여할 때 주체가 개입할 수밖에 없으며 이 과정이 증상이자 주체화다. 증상은 존재의 발현이자, 향유의 대상으로 주체는 증상을 자기의 것으로 삼으면서 스스로를 구성한다. 정신분석의 윤리는 욕망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며, 존재에 대한 갈망인 욕망은 결국 불가능성을 향하게 되어 있다. 분석의 최종 목표도 따라서 치유가 아니라 주체화로 귀결되어야 한다. 주체화는 이처럼 욕망의 윤리가 의미하는 이론적, 실천적 의미를 드러내 줄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Subjectivization is the process by which a subject is created, and the efforts to capture his existence. It usually emphasiz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in adolescence and the healing that normalizes the psychopathological subject. However, I will focus on subjectivity in the ethical context in which the subject of desire is created and achieves its own existence. The neurotic subject is born through paternal metaphor, which is the first moment of subjectivization. This neurotic subject is alienated by the signifier, but finds an empty place in the Other, and constitutes himself as a correlation of lack. Next, the cycle of drive and identification with symptom is important. The drive makes a new subject possible in the course of switching to the opposite direction as active passivity. Additionally, when revealing symptoms and giving meaning, the subject has to intervene, and this process is symptom and subjectivization. Symptoms are manifestations of existence, objects of enjoyment, and the subject forms himself by taking symptoms as his own.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are to act in accordance with desire, and desire as a desire for existence is eventually directed toward impossibility. The final goal of the analysis should therefore result in subjectivization, not healing. Subjectivization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can reveal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the ethics of desire.

      • KCI등재

        주체화의 관점에서 본 복합동사의 의미확장 -「V+こむ」을 사례로-

        김광성 ( Kwang Sung Ki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1

        ‘이동’ 이나 ‘변화’는 우리들이 매일 경험하는 일들이다. 그 때문에 이동이나 변화와 관련된 표현이 많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 복합동사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이동과 관련된「~こむ」와「~だす」가 붙는 복합동사의 수가 많고 그 빈도도 매우 높다 (cf. 淺尾2007). 특히 후항동사「~こむ」가 붙는 복합동사는 다양한 용법을 보이는데, 종래의 연구에서는 복합동사「V+こむ」의 점진적인 의미확장 과정을 포괄적으로 분석해내지 못하였다. 그 근본적인 요인중의 하나는 복합동사의 어형성이나 용법을 (인지) 주체의 존재로부터 분리한 형태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복합동사「V+こむ」의 의미확장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는 인지언어학에서 제안된 ‘주체화’를 참고로하였다. 분석해 본 결과, Langacker (1999) 가 제시한 주체화의 요인만으로는 후 항동사「~こむ」의 주체화를 적절하게 분석해낼 수 없었다. 그 대신 본론에서 는 총체로서의 ‘상황레벨의 의미’와 ‘인지레벨의 의미’를 동시에 고려해서 분석함으로서 점진적인 주체화 과정을 분석해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언어표현의 의미확장에 인지주체의 주체적인 의미부여가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될 수도 있지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생각해보면, 주체화의 과정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인지레벨의 의미가 강해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분석 결과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주체화가 진행될 수로 단순히 상황레벨의 의미가 약해지는 것은 아니었다. 후항동사「~こむ」의 경우 활동의 근원이 스테이지 위의 탄도체 (trajector) 로서 초점화되지 않고 불명화한 것으로 되는 형태의 주체화가 순서상 가장 늦게 일어나고 있었다. ‘Motion’ and ‘Change’ is the experience we live with. That explains why we have lots of expressions related to those experience. In Japanese compound verbs, there are many compound verbs with ‘-dasu’ and ‘-komu’ which involves basic mo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requency of these verbs are very high (cf. Asao 2007). Compound verbs with ‘-komu’ shows various usages, but previous studies did not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usages properly.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y are not proper analysis is that they failed to take into account of the existence of the conceptualizer. This study analyzes the semantic extension of ‘V+komu’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fication (cf. Langacker 1999, 2006). Analysis shows that the parameters proposed by Langacker (1999) are not enough because those could not capture the gradual process of subjectification. So, this study argues that ‘truth-conditional meaning’ and ‘cognitive meaning’ as Awhole needs to be considered. In Away, it is very natural that Aconceptualizer plays Abig role in construa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is not arbitrary. As the subjectification of ‘V+komu’ proceeded, its cognitive meaning became salient. But interesting part about this process was that it was not that simple. The subjectificatin that the locus of activity is not focused on the stage and in its diffused form was the last one.

      • KCI등재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수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0 No.2

        This study, as a case study of adolescent art therapy based on the subject theory of Jacques Lacan, aims to clarify its internal and external meaning. It uses case study in combination with reference research. The art therapy for adolescent, lasting for 18 months, 52 times of psychoanalytic art therapy, deals with a 14-year-old male student of middle student. A research finding shows that: 1) Art therapy for adolescent subjectivation h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as overcoming of Oedipus complex, the birth of subject, and a shift from alienation to separation. Therefore, the symptom of adolescents is not an object for treatment, but an opportunity for subjectivation. 2) Art therapy for adolescent subjectivation distances them from Other(their parents)'s desire, then interprets the external meaning of their social environment to make progress by themselves. This study hopes to be a chance for the subjective lives and follow-up study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사례연구로서, 미술치료의 내․외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와 문헌연구(텍스트 연구)를 병용한다.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미술치료는 1년 6개월 간 진행된 52회기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중재로서, 분석주체는 14세의 남자 중학생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는 불안과 욕망,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극복 과정과 주체의 탄생, 소외에서 분리로의 이행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 미술치료의 내적 의미를 밝힌다. 따라서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서 청소년의 증상은 치료해야 할 대상이 아닌 주체화를 위한 계기가 된다. 둘째,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대타자(부모)의 욕망으로부터 거리를 두어 분리하도록 하는 외적 의미를 밝힌다. 따라서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가정과 사회 환경을 요청하게 된다. 본 연구 작업이 청소년의 주체적 삶과 후속 연구를 위한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천주교 여신도의 주체화 방식과 생애 기술 방식에 대한 고찰

        김정경(Kim Jong k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본고에서는 여성 순교자의 전기와 열녀의 전기를 비교하여 조선후기 여성이 주체화되는 양상을 검토하고, 그것이 그녀들의 삶을 서술하는 방식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에 대해 고찰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바에 따르면 지금까지 조선후기 천주교 여신도들이 이전 시기 또는 동시대 여성들에 비해 "근대적 정신"을 갖고 "주체적인 삶"을 살았다고 평가받았던 것은 그들 삶의 일부에만 주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천주교 여신도들을 "개별화된 개인 주체", 즉 근대적 주체로 보기는 어렵다. 이들은 가문의 이름으로 존재하던 전근대적 주체화 방식에서는 벗어났지만, 자율적인 개인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성인이 됨으로써 주체성을 획득했기에, 전근대와도 근대와도 다른 주체화 방식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열녀들이 죽음으로써 가문과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주체의 지위를 획득했다면, 여성 순교자들은 순교를 통해 성인이 되어, 신에게 종속되고subjected, 주체화되었다subjected. 한편 본고에서는 주체화 방식의 이와 같은 변화가 그들의 삶을 서술하는 방식에도 차이를 가져왔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열녀전의 서술자가 열녀의 열행을 평가하고 있다면, 순교자전의 서술자는 서술대상이 순교하기까지의 과정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순교자전의 서술자는 순교자의 곁에서 그의 생각과 행동을 보고 기록하며 그의 삶이 성인의 삶과 동일하다는 사실을, 누군가에게 보고하거나 사적인 편지로 지인의 근황을 전하는 것처럼 기술한다는 것이다. 이때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열녀전의 서술자가 제 3자 특히 사대부 남성의 시선으로 열녀의 삶을 보고 평가하는데 반해, 순교전의 서술자는 순교자 자신이 아니면서도 순교자의 시선으로 순교자의 내면을 읽어낸다는 점이다. 독자들은 순교자전을 읽으며 자주 1인칭 서사를 읽고 있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순교자전은 한 인물의 생애를 3인칭으로 기술하던 시기와 1인칭으로 기술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어느 시점 사이에 존재하던 '전'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천주교 여성 순교자들과 그녀들의 삶을 기록한 순교자전이 조선후기 천주교가 중세와 근대의 매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주체화의 측면과 글쓰기 방식의 측면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aspect that subjectification of women compared to the biography of 'Yeolnyeo' and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and I investigated for any relationship that way to describe the lives of the women in those biographies. As a result we can not assume to these female martyrs have the "modern spirit" and "an independent life." In other words female martyrs can not be seen as modern subjects. They had been lived in the name of the family, lived in the name of the saint only. Not being an adult individual, being the Saint, they may be looked for other ways subjectification not modern but also pre-modern, In shorts, 'yeolnyeo' won her position by 'sunjeol', martyrs won her position by martyrdom. Changes in the manner in which the subject is a subject has changed the way that describe the subject.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yeolnyeo' evaluated the 'yeolnyeo', on the other hand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only described the acts and lives of female martyrs. Whereas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yeolnyeo' evaluated the 'yeolnyeo' through the eyes of the men,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described the martyrs through the eyes of the martyrs themselves, As a result this paper find out that the female martyrs and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are vanishing parameter in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 KCI등재

        <끝없는 낭만>, <태양의 계곡>에 나타난 전후 여성 문제와 ‘주체화’ 양상

        조미숙(Mi Sook Jo) 동남어문학회 2022 동남어문논집 Vol.1 No.53

        이 글은 최정희의 <끝없는 낭만>과 손소희의 <태양의 계곡>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한국전쟁 여성 문제 진단과 그로부터 ‘벗어나기’로서 ‘주체화’(미셸 푸코) 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두 작품 모두 어린 소녀들을 주인공으로, 당대 제기되었던 전후 여성의 문제를 날카롭게 진단한다. 기자 출신으로서 작가들이 발견한 당대의 문제는 도강/잔류, 성인 남성의 부재와 애정의 결핍, 무지할 수밖에 없는 어린 여성 주인공 설정을 통하여 찾아진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작가들은 문제 이후 벗어나기로서 ‘주체화’라는 문제를 다루었다. 인물들은 주체화 과정에서 ‘예속적 주체화’/‘저항적 주체화’라는 대조적 양상을 보였다. 성인사회 편입 과정인 결혼과 임신·출산 문제에서도 주체화로써인물들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일상으로 복귀 가능/불가능을 판가름하는, 벗어나기 결정적 요소가 ‘주체화’에 놓인다는 작가들의 문제의식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henomenon of women's problem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aspect of subjectification as a problem of overcoming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s self-sovereign subject through the protagonists of Choi Jeong-hee's Endless Romance and Son So-hee's Valley of the Sun. In both works, young girls are the main characters, and they deal sharply with the issues of women at the time. In raising the issue of women due to war, the contingency of crossing/remaining, the absence of male figures, and the ignorance of the remaining women are depicted. I could see the existential changes that resulted - the damage of life itself and the female characters' 'becoming a princess/a sick girl'. The works commonly deal with ways to overcome problems after problems, and here th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subjectivization(Foucault) and socialization. In the process of subjectivization of the characters, we could see the subjugation of subjectivization and the subjectivization of resistance. Marriage and pregnancy/birth issues lie in the characters' incorporation into adult society,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s in this process as well. The possibility or impossibility of returning to daily life is determined by the aspects of subjectivization and socialization.

      • KCI등재

        여성 혐오(misogyny) 이후의 여성주의(feminism)의 주체화 전략: 혐오의 모방과 혼종적(hybrid) 주체성

        김은주 한국여성철학회 2016 한국여성철학 Vol.26 No.-

        본 글의 목적은 ‘여성 혐오’를 혐오로 맞서는 미러링의 의미를 살피고, 소위 ‘여성 혐오’ 이후 페미니즘의 주체화 전략을 설명 한다. 미러링은 혐오를 모방하여, ‘여성 혐오’를 혐오하기이다. 여성들이 혐오 발언에 대응하지 않는 이유는 실상 젠더 비대칭의 구조 때문이다. 혐오 발화는 여성을 침묵하게 한다. 하지만 미러링은 여성 혐오를 하는 대상을 혐오함으로써, 젠더의 비대칭적 구조에 문제를 제기한다. 미러링은 타자의 자리를, 여성에게 타자화를 수행하는 자에게 이동시킨다. 본 글은 이러한 혐오의 모방을 통해 근대적 주체와 다른 새로운 혼종적 주체화가 일어나며, SNS에 기반한 디지털 매체 장치에서 기인한 작용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탈식민지 이론가 호미 바바(H. Bhabha)는 모방이 양가성(ambivalence)을 지님을 설명한다. 모방은 동일한 정체성에서 미끄러지고 초과하고 차이를 생산한다. 모방은 지배자의 요구를 따르면서, 이와 동시에 그 요구를 우습게 만드는 ‘엉터리 흉내(mockery)’이다. 따라서, 모방은 전복의 전술로 이용된다. 주체화는 ‘부분적 모방’인 ‘흉내내기(mimicry)’를 통해서 일어난다. 이는 ‘혼종화’를 야기하며, 혼종적(hybrid) 주체성을 생산한다. 혼종적 주체화는 3인칭적 주체를 효과로서 발생시킨다. 이러한 주체화는 매체(media)를 통과하여 일어난다. 매체(media) 장치는 혼종적 주체화를 실행하는데, 이는 익명이자 다수인 집합적 행위자가 사이버 공간에서 더불어 발화하게 만들고 바이러스처럼 발화를 퍼트린다. 혐오를 모방하며 미러링 하는 발화 집합체들은 인터넷 하위문화의 게시판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혼종적 주체화를 실행한 효과들인 것이다.

      • KCI등재후보

        반(反)성장 서사 인물과 주체화 기획의 문제

        양미영(Yang, Mi-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50

        지금까지 ‘반(反)성장’이라는 개념은 성장소설의 논의 안에서 함께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반성장 서사를 성장소설의 한 면이 아닌 개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관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반성장 소설에서 청소년 인물의 주체화 문제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정신분석학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있으며, 이를 위해 김영하의 장편소설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등장인물을 분석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반성장소설로, 자신들만의 세계에 고립되어 있으며 외부 사회로부터 받는 고통에 괴로워하다 ‘정상적인’ 주체로 성장하지 못하고 결국 죽음에 이르고 마는 소년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두 주인공 제이와 동규는 수동적 성장보다는 능동적 퇴행과 탈선을 선택하여 나름의 주체화를 꾀하는 반성장 인물인데,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제이는 상징계 진입을 거부하고 실재계로 미끄러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자아는 자의적으로 ‘어른 되기’를 거부하는데, 다시 말해 제이는 통상·사회적인 성장을 거부하고 상징계가 아닌 곳에서 스스로 상징(권력)이 되고자하는 나르시시스트적 주체화를 시도하는 인물이다. 한편 동규는 반성장 서사 인물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자의적으로 성장을 거부한다기보다는, 주체화를 기획하여 상상계적 미성숙 상태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좌절하여 결국 성장의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상상계에 남게 되어버리는 양상이다. 제이와 동규의 경우로 미루어 볼 때, 반성장 인물의 주체화 양상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스스로 상징계를 부정하고 거부하는 ‘비껴나간’ 주체가 되어 실재계로 향하는 영웅적 인물형이고, 두번째 유형은 주체화의 기획을 통하여 상징계로의 진입을 꾀하지만 실패하여 상상계에 고착하는 비극적 인물형이다. 제이와 동규는 둘 다 상징계에 속하지 못하여 ‘어른’이 되지 못했다는 공통점과, 각각 실재계와 상상계로 그 행보를 달리했다는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Antigrowth novel has to be admitted individually, although the concept of ‘Antigrowth’ in literature has been dealt with discourse of Initiation novel. This essay, therefore, suggests forms of juvenile characters’ subjectivation in ‘Antigrowth’ narrative, analysing Kim Young-ha’ “Hear Your Voice” with basic concepts of psychoanalysis. The main characters (J and Tong-gyu) in “Hear Your Voice”are isolated in their own world and suffered from the other world that is ‘society’ They cannot become ‘normal’grownups but end up dead. The unconscious of J and Tong-gyu is analysed like below. J is an orphan and has eager desire to communicate with others. However, his experiences of abandonment make him narcissist and evil. In addition, he is built as a subject who desires to be imaginary phallus. J earns the support of teenage runaways and enjoys mimicking the system of Symbolic. The corrupted desire for power does not lead him to the symbolic way of grownups, but he slides into Real driven by Thanatos came from narcissism. On the contrary to J, Tong-gyu wants to be an orphan fleeing from complicated family affairs. He regards J as his alter ego and follows him unconditionally. Tong-gyu seems to be fixated on J’ desire. In fact, Tong-gyu has a desire to be ‘desire of J’ However, after all, Tong-gyu, is disappointed to J who is arrogant and full of vanity. As Tong-gyu comes to realise that J is lack and devoid, finally, he wants to be a self as subject planning to kill J. Nevertheless, he rather feels guilty of murder, fails to mourn, and internalises J deeply in the end. Tong-gyu kills himself at last and becomes stranded in Imaginary. As we can see, there are two types of juvenile characters and subjectivation in antigrowth narrative. The first type is the heroic character like J who denies and refuses Symbolic, desires to be a perverse subject and proceeds toward Real. The second type is the tragic character that plans subjectivation him/herself but fails and is caught in Imaginary like Tong-gyu. They have in common that both cannot belong to Symbolic and become ‘adults’ as well as they have differences that they are heading for separate ways - Real and Imaginary.

      • KCI등재후보

        푸코의 사유에서 주체화(subjectivation) 의 의미* : 들뢰즈의 푸코 해석을 중심으로

        안은희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0 No.-

        This essa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subjectivation,” which is introduced in Foucaults later philosophical discourses, through Deleuzes interpretation of Foucaults philosophy. While Foucault criticized the modern concept of a subject in his earlier thoughts, some critics have pointed out a possible inconsistency between this criticism and his later emphasis on subjectivation. However, Deleuze argues that Foucaults concept of subjectivation is not a disconnect in his philosophical development, but rather serves as the essential foundation for connecting the central issues of Foucaults thoughts, which have developed from knowledge and power to the subject. According to Deleuze, Foucaults later work places the concept of subjectivation at the forefront of his philosophical thought, moving beyond a focus on knowledge and power. Deleuze associates Foucaults concept of the subject with his idea of “pli,” in which the subject is a double of both “dehors” and “dedans,” with “dedans” being constituted by the folding of matter from “dehors.” This metaphysical approach distinguishes Foucaults concept of the subject from the modem understanding of it. Additionally, Deleuze argues that, from Foucaults perspective of an “aesthetics of existence,n the concept of subjectivation is a practice that creates a mode of existence and transforms our lives into a long-term work of art. In other words, Deleuzes analysis illuminates why Foucault later stated that Mthe historical conditions and progress of constituting a subject” were the focal point of his research throughout his career. 본고는 푸코 후기 중요 개념인 주체화(subjectivation)의 의미를 들뢰즈의 푸코 해석에 입각해서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주체화 개념은 푸코의 후기 사유에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지식과 권력 문제를 탐구하던 중기 사유까지만해도 푸코는 주체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했기에, 혹자는 푸코의 전 •중기 사유와 후기 사유 간의 연결 문제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들뢰즈는 말년의 푸코가 평생 연구 주제를 “주체 형성의 역사적 조건과 과정에 대한 탐구”라 한 바대로,주체화의 문제가 푸코 사유의 단절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지식,권력,주체로 이어지는 푸코 사유의 주요 문제들을 연결하고 재구축하는 핵심적 토대임을 밝히고 있다. 들뢰즈는 푸코가 권력 연구의 위기에 봉착해 지식과 권력을 넘어서는 새로운 축으로서 주체화를 요청한다고 본다. 들뢰즈는 푸코의 주체를 자신의 주름(pli) 개념과 연관지어,외부(dehors)라는 질료를 접어 내부(dedans)를 구성하는 외부와 내부의 이중체로 파악하는데,이러한 들뢰즈의 접근은 푸코의 주체와 근대적 주체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드러내준다. 나아가 ‘존재의 미학(6sthetique de l’existence)’적 관점을 취해 푸코의 주체화를 이해하는 방식을 통해,주체화는 새로운 존재 방식을 창조하며 ‘삶’이라는 장기 지속(longue dur슨인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생성하는 실천 과정이라는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