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분석

        박의룡(Park Eui-Ryong),안영규(Ahn Young-Gyu)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2

        본 연구는 국영부문의 정부실패와 민간부문의 시장실패로 야기된 사회서비스 악화와 실업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성공한 사회적기업과 이에 대응되는 사회적기업을 선정한 후 탐색적 현장연구를 통해 분석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자료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설문문항의 신뢰도와 타당성은 크론바흐 α계수값과 요인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두 집단 간 차이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각각 살펴보았다. 한편, 실증분석 시 주요 성공요인은 국내외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경제적 차원(전략적 요인, 경영역량 요인), 사회적 차원(공익·지역사회발전 요인, 사회복지 요인), 공통 차원(창업가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세분하여 살펴보는 동시에 사회적기업가에게 주요 성공요인에 대해 자유롭게 말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주요 성공요인 파악에도 주력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분석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사회적, 공통 차원중 경제적 차원에서만 집단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리더십, 경영경험, 시장경쟁력 등의 경제적 차원 구성요인에서 성공한 사회적기업과 대응되는 사회적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구성요인 중 리더십에서 두 집단 간에 확연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작위로 실시한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빈도분석결과에 따르면 성공한 사회적기업가와 대응되는 사회적기업가 모두가 정부지원, 경영진, 사회인식변화 등을 주요 성공요인으로 꼽았으며, 이 중에서도 정부지원을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upsurge of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 driven by several changes occurring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A social enterprise provides solutions to social, employment and economic problems where traditional market or public approaches fail. Meanwhile, it is no exception in terms of wishing to be successful. In order to achieve success effectively, this organization needs to know about the key factors that drive successful social enterprise.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operating in Korea. An exploratory field study is carried out 33 successful social enterprises and 33 matching social enterprises.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pilot test, is included 3 dimensions (economic, social, common) and 6 factors(strategic, management competence, public service·community development, social welfa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critical success factors analysis between two groups, there is gener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conomic dimension. Specifically, we find qui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business experience, and market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a clear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of these variables occur. Random survey of key success factors, on the other hand, shows that government support, executives, changes in social awareness, and technology are selected as the main success factors. These findings give a first impression of possible success factors of social enterprise and their difference to business success factors.

      • KCI등재

        한국형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차이분석

        안영규,박의룡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1 국제경영리뷰 Vol.15 No.3

        본 연구는 국영부문의 정부실패와 민간부문의 시장실패로 야기된 사회서비스 악화와 실업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 중 성공한 사회적기업을 선정한 후 이를 대상으로 탐색적 현장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자료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설문문항의 신뢰도와 타당성은 크론바흐 계수값과 요인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두 집단 간 차이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각각 살펴보았다. 한편, 실증분석 시 주요 성공요인은 국내외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경제적 차원, 사회적 차원, 공통 차원으로 세분하여 살펴보는 동시에 사회적기업가에게 주요 성공요인에 대해 자유롭게 말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주요 성공요인 파악에도 주력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분석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사회적, 공통 차원 중 경제적 차원에서만 집단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차원 중에서도 리더십, 경영경험, 시장경쟁력 등의 구성요인에서 성공한 사회적기업과 일반 사회적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리더십에서 두 집단 간에 확연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작위로 실시한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빈도분석결과에 따르면, 성공한 사회적기업가와 일반 사회적기업가 모두 정부지원, 경영진, 사회인식변화 등을 주요 성공요인으로 꼽았으며, 이 중에서도 정부지원을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upsurge of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 driven by several changes occurring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A social enterprise provides solutions to social, employment and economic problems where traditional market or public approaches fail. Meanwhile, it is no exception in terms of wishing to be successful. In order to achieve success effectively, this organization needs to know about the key factors that drive successful social enterprise.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operating in Korea. An exploratory field study is carried out 33 successful social enterprises and 33 matching social enterprises.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pilot test, is included 3 dimensions(economic, social, common) and 6 factors(strategic, management competence, public service․community development, social welfa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critical success factors analysis between two groups, there is gener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conomic dimension. Specifically, we find qui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business experience, and market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a clear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of these variables occur. Random survey of key success factors, on the other hand, shows that government support, executives, changes in social awareness, and technology are selected as the main success factors. These findings give a first impression of possible success factors of social enterprise and their difference to business success factors.

      • KCI등재

        물류IT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박남규,송계의,최형림,이창섭,Park Nam-Kyu,Song Gye-Eui,Choi Hyung-Rim,Lee Chang-Sup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6

        본 연구에서는 물류IT기업의 성공요인을 다각도로 조명하기 위해 환경 적요인, 정책적요인, 내부역량요인 등 3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물류IT기업의 성공요인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물류IT 기업의 성공요인을 발견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주관적인 성공요인은 아이디어와 능력으로 시장을 창출해서 경쟁자보다 앞선다는 요인, 조직내 관계와 정부지원 등의 조직에 대한 요인 그리고 시장파악과 지역산업화 등의 외부의 환경에 대한 요인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내부 역량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조직 및 인적자원관리체계의 요인, 고객관계와 자원 그리고 경영전략의 경영능력에 대한 요인, 그리고 개발능력, 특성화된 제품, 네트워킹, 지역산업화의 지역산업에 적합한 제품에 대한 요인이라는 3가지 요인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기업외적 성공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벤처기업 지원 육성정책, 클러스터 조성정책, 기술개발지원, 전문인력 양성지원과 같은 정책적인 측면의 요인과 세제 및 금융지원, 마케팅지원, 사무실지원(임대) 등과 같은 기업 운영 측면의 요인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Under this economic circumstance, the logistics firms located in port take better advantages than those in other areas. This study observed those firms with consciousness to which matters were affected a growth of the logistics IT firms. This study considered in terms of three factors which are an economic factor, a political factor and an internal-ability factor for the matters of logistics IT firms' succes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subjective factor showed positive: (1) expanding market through the ideas and abilities, (2) internal relations and government support (3) capability of market identification and focusing on regional industrializ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nal ability analysis, there were three positive matters such as (1) a factor of organization or human resource management, (2) relationship with consumer and resource and management ability for strategy, and (3) developing unique product, networking, suitable goods of regional industrialization. The external factor, through the factor analysis was trued out (1) a emerged political factor such as a support up venture, cluster composition, investing R&D and specialist training, (2) economic factor such as tax reduction, financial support, marketing collaboration renting office in a low price by regional government.

      • KCI등재후보

        논문 : 인터넷 오픈마켓 판매자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명무 ( Myung Moo Lee ),김윤호 ( Yun Ho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8 금융지식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오픈마켓 판매자(입점상인)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성공요인의 비교를 통해 국가별로 오픈마켓 판매자의 성공전략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마켓 판매자의 성공요인을 맨-머신 인터페이스 개념에 맞추어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맨(Man)측면에서 오픈마켓 개설자·오픈마켓 판매자·고객의 특성을 정의하였고, 머신(Machine)측면에서 사이트 특성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정의하였으며, 인터페이스(Interface) 측면에서 사이트, 고객, 오픈마켓 개설자, 오픈마켓 판매자의 상호작용 특성으로 변수를 정의하였다. 이렇게 정의한 성공요인 항목들을 토대로 17개의 성공요인과 74개의 구성항목을 가지고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한국과 일본의 오픈마켓 판매자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응답자들 간에 각 성공요인에 대한 평가가 상이한가를 분석한 결과 성공요인 중에서 커뮤니티 활성화, 고객의 구전효과, 제품후기를 한국의 기업의 응답자들이 일본기업 응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고, 오픈마켓의 판매자 지원, 문제대처 능력, 사생활보호, 시스템 보안을 일본 기업 응답자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1) identify Critical Success Factors(CSFs) for Internet Open Market, and (2) compare differences in evaluating CSFs and explaining impacts of CSFs on performa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ternet Open Market vendo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pretest, a list of 17 CSFs consisting of 79 items was compiled. In the second stag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anagers of Internet Open Market vendors in Korea and Japan. Survey results show that CSF`s have very significant explanation power for firm performance in both Korea and Japan. While low price, site awareness, customer service, viral effect and postscript are the most explanatory CSF`s in Korea, customer service, low price, after service, site awareness and variety show most explanatory power in Japan.

      • KCI등재

        IT업계의 기술상용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성태경,Sung, Taekyung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7 서비스연구 Vol.7 No.2

        본 논문은 IT업계에서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 기술 상용화 주요요인이 상용화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IT 기술 상용화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기술의 상용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술 상용화 장려책'을 꼽았고, 뒤이어 '경영층 지원,' '정부 지원,' '관계자간의 협력,' '경영에 대한 이해' 순으로 평가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11개 주요 요인은 종합적으로 기술 상용화의 성공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상용화 장려책,' '관련자간의 협력,' '수요자 요청 기술'은 유의수준 1%에서 '기술 상용화 경험'은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기술 상용화의 성공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성공한 상용화 프로젝트의 경우 주요 요인의 기술 상용화의 성공에 대한 설명력(46.80%)이 실패한 프로젝트의 설명력(38.50%)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CSF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IT industry,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act of CSFs on the suc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rehensive literature study identifies eleven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technology transfer an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centives for Commercialization,' 'Leadership Support,' 'Government Support,' 'Cooperation among Parties,' and 'Understanding of Busines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CSFs in total have ver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the suc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centives for Commercialization,' 'Cooperation among Parties, 'Demand-Pull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Experi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success of commercialization.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projects show higher explanatory power (46.80%) than failure projects (38.50%).

      • KCI등재

        공급망 계획시스템 도입의 주요 성공요인

        하재원 ( Jae Won Ha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08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글로벌 제조기업에서 활발히 도입하고 있는 GSCP 시스템(Global Supply Chain Planning System)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두 개의 글로벌 전자기업에서 도입하였던 GSCP 시스템 구축사례를 SCM 프로세스 혁신 측면과 정보시스템 구축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4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 4가지 성공 요인은 프로젝트 준비 및 계획단계, 프로젝트 수행단계 및 프로젝트 안정화 단계 등 프로젝트 진행 흐름에 따라 도출되었다. 첫 번째 요인은 프로젝트 추진 단계로 GSCP 시스템 구축을 위한 준비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며 SCM Vision 수립 및 상세 구축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전체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판단된다. 두 번째 요인은 프로세스 혁신 관점에서의 조직구조와 변화관리이며, 세 번째 요인은 정보시스템 구축 관점에서의 IT 인프라와 표준화이다. 마지막 네 번째 요인은 GSCP구축 후 프로젝트 안정화를 위한 성과측정 및 평가/보상이다. 각 요인별로 프로젝트 추진 시에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두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way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GSCP(Global Supply Chain Planning) system in global extended enterprise. We identify the CSFs(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GSCP system from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in two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Four CSFs are as follows: supply chain strategy and road-map for implementati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management, IT(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standardiz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assessment.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help firms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GSCP system and developing the supply chain strategy.

      • KCI등재

        휴대인터넷(WiBro) 서비스의 주요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윤종수(Jong-Soo Yo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1

        2006년부터 무선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휴대인터넷(WiBro) 상용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휴대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수 및 서비스 이용율은 다소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향후 WiBro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국내의 무선인터넷 사용자들이 어떠한 요인들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도가 응답자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탐색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사용자의 특성과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연구명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무선인터넷 사용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사용자 유형, W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 등의 연구변수를 정의함으로써, 국내의 무선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직업과 거주지를 중심으로 분류한 집단들간에 일부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며, 응답자의 직업과 일부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간의 관련성에 있어서 사용자 유형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WiBro 관련 연구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연구명제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the level of service usage are moderately low though WiBro service, as a new mobile Internet service, has been provided to mobile Internet users since June 2006.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study was to identify, in exploratory point of view, which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considered by mobile Internet users as the most important one to facilitate WiBro service,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varie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udy also was to suggest a few of research proposi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Internet users, based on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purposes, the study defined research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mobile Internet users, types of user,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based on the review of mobile Internet service related studies. And then, the study performed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using survey questionnaires on mobile Internet users.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among the mobile Internet users grouped by job and residential region, and tha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of mobile Internet users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is moderated by the types of user. Finally, the study proposed some research proposi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at could be used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윤종수 ( Jong Soo Yoon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0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1

        새로운 무선인터넷 기술로서 휴대인터넷(WiBro)이 개발됨에 따라, 2006년 6월부터 세계 최초의 상용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WiBro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 수 및 서비스 이용수준은 애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무선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설문지를 의뢰함으로써, 향후 WiBro서비스의 활성화 측면에서 어떠한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도가 응답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성, 직업, 거주지)과 무선인터넷 이용 특성(이용수준, 이용장소, 선호요금체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탐색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응답자들의 다양한 특성과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연구명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직업, 거주지, 선호요금체계를 중심으로 분류한 집단들간에 일부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WiBro 관련 연구들에서 다양한 연구가설을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연구명제를 제시하였다. WiBro(Wireless Broadband) service, as a new mobile internet service, has been provided to mobile internet users since June 2006. But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the level of service usage aren`t rising steadily.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study was to identify, in exploratory point of view, which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one to facilitate WiBro service by mobile internet users,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varie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occupation, residential regions)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internet use(level of mobile internet use, place of mobile internet use, preferred rate system). The study was also to suggest a few of research proposi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internet users, based on statistical analyses. The study found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Bro service among the mobile internet users grouped by job, residential region, and preferred rate system. The study also proposed three research propositions,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that could be used in future studies on WiBro service.

      • 대형급식조직에서 최적급식인원을 위한 적절한 수요예측모델을도입하는데 있어서 주요성공요인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eong Beom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4 유통정보학회지 Vol.17 No.5

        본 연구는 대형급식을 하는 조직에서 최적급식인원을 위한 적절한 수요예측모델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주요성공요인들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예측에 대한 연구문헌은 연구 및 개발(R&D) 환경상황에서 예측도구들 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는 수요예측 담당자들에게수요예측모델 사용의 실제적 사례에서 함축적인 흥미와 조직 전체적인 견지에서 종종 매우 중요한사업결과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산업현장 수요자들에 부터의 설문지 결과를 통해, 대형급식을 하는 사업장에서최적의 수요예측도구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주요성공요인들을 찾아내는데 있다. 가설검증을 통하여,본 연구의 실증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주요성공요인(요구사항에 맞는 시스템선정, 숙련된 SI 프로젝트팀, 교육훈련 및 기슬이전)은 사용자 만족 과 수요예측모델 수용에 영향을 준다. 둘째, 조직적 주요성공요인(최고경영층 지원, 전략적 결정, 변화관리팀)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준다. 셋째, 환경적인 주요성공요인(실행수준, 시스템 인프라: 하드웨어, 통신네트워크, 소프트웨어)은 수요예측모델 수용에 영향을 준다. 넷째, 사용자 만족(만족수준, 이익, 가치)은 수요예측모델 수용(응답시간, 사용도, 적절성)에 영향을 준다. 다섯째, 사용자 만족과 수요예측모델 수용은 ROI(새로운 음식메뉴 개발시간 단축, 메뉴변경 시간감축, 이익증가, 자료조사 시간감축, 자료입력 시간감축, 자료 정확도, 음식물쓰레기 감소, 오류 감소)에 영향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o the case study of the optimized forecasting model for feedingnumber of persons in large feeding facilities. Much of the forecasting literature concentrates onforecasting tools in R&D environment. This study envisions the forecasters with intensive interestin real cases of demand forecasting model use, and often with highly significant business resultsfrom the perspective view points. The focal point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out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ation ofoptimum forecasting tools at large feeding business company using demand forecasting model withsurvey results from business users. Through conducting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isempirical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echnical Critical Success Factors(Selection of System addressing requirements, Experienced SI project team, Education training & Technology Transfer)ha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and 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 Second, OrganizationalCritical Success Factors(Top management Sponsorship, Strategic Decision, Change Managementteam) ha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Third, Environmental Critical Success Factors(Level ofdeployment, System Infra: H/W, Network, S/W) have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ForecastingModel. Forth, User Satisfaction(Level of Satisfaction, Benefit, Value) have influence on the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Response time, Usability, Suitability). Fifth, User Satisfactionand 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 have influence on the ROI(Reduction of time for new menudevelopment, Reduction of time for menu change, Profit Increase, Reduction of time for data search,Reduction of time for data input, Data Accuracy, Reduction of Scrap, Error Reduction).

      • KCI등재

        클라우드 기반의 AIS시스템 성과평가를 위한 통합적 접근방법론에 관한 실증적 연구-한미 양국 비교연구

        김동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7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cloud-base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which is the top priority in the field of corporate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theorie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company's cloud environment and related prior research, and the major performance factors of the company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organizational factors, business operation factors, and technical system factors. Considering that the cloud-base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is in the early stages of its introduction, the research analysis method ranks major success factor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using the Delphi targeting the expert panel, through the AHP method, the major performance variables were finally explored through the mutual importance analysis of each major fact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rganizational factors were analyzed as corporate sustainability, business operational factors were the business solutions, and system scalability factors were analyzed.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dditional useful information on the initial introduction strategy and operation for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cloud-base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본 연구는 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분야에서 가장 우선하는 클라우드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의 성공적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클라우드 현황과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을 종합하였으며, 기업의 주요 성과 요인을 조직적 요인과, 비즈니스 업무 영역, 그리고 기술적 시스템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은 클라우드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이 도입 초기인 점을 고려하여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method)분석 기법을 통해 주요 성공 요인을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정하고, 계층적분석(AHP)방법을 통해 각 주요 요인별 상호 중요도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주요 성과변수를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적 요인으로는 기업의 지속성과, 기업 운영적 요인은 비니니스 업무 솔루션, 그리고 시스템 확성성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많은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의 도입과 운영에 대한 초기 도입 전략과 운영에 추가적인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