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Exploration of Somatization among Korean Older Immigrants in the U.S.

        안준희(Joonhee Ahn)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이민자의 신체화증후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선행연구들은 신체화증후군이 노년기 이민자들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우울증 증상의 유형으로 제시하였을 뿐, 이민자의 우울증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인 연구 모형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체화증후군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기 위해, 관련 변수들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미국 뉴욕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한국 이민지 23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거주형태, 보유 질병의 수, 우울증이 신체화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질병 횟수와 주관적 건강 상태는 신체화증후군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년기 한인 이민자들의 신체화증후군이 우울증을 표현하는 문화 특성적 행동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신체화증후군뿐만 아니라 우울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문화적으로 민감한 정신보건 서비스를 개발 및 실행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신체화증후군의 원인을 규명하는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nowledge about somatization (somatic manifestation of psychological distress symptoms) among immigrant populations is limited. While several studies have recognized somatization as a culturally distinctive expression of depression amongst older Korean immigrant population, somatization has not been incorporated into the comprehensive empirical model for depression of this population. In order to improve our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principal contributing factors of somatization as well as inter-relationships among them. Data were collected from a cross-sectional community survey of 234 older Korean immigrants (age≧55) i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 The statistical methodology employed a robust hierarchical regression procedure that iteratively downweights outli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iving arrangement, greater numbers of physical illnesse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of somatization. Furthermore, physical illness had a significant joint effect with perception of health on somatization, which confirms that positive perception of health exert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llness and somatization. The knowledge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ward extending our knowledge on somatization and implementing more culturally sensitive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is population.

      • KCI등재

        활차상 주근의 유무에 따른 주관증후군의 비교

        윤민근,유명재,김종민,팽정욱,김영우,우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difference between cubital tunnel syndrome with anconeus epitrochlearis (AE) and idiopathic cubital tunnel syndrome without known other caus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the 326 patients who were subjected to surgery because of cubital tunnel syndrome from 2008 to 2014. After exclusion of patients with other known causes of cubital tunnel syndrome, a total of 107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and without AE. The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ge, sex, presence of intrinsic muscle atrophy, interval from symptom development to surgery, pinch power,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and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Results: Thirty four (10.4%) patients, being subjected to surgery had the AE. Among 107 patients who had no other known causes, 26 patients had AE. 19 out of 26 patients with AE was mal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AE was significantly younger. The interval from symptom development to surgery in AE patients was significantly shorter. Motor NCV of ulnar nerve at above elbow joint in comparison with that at below elbow joint in AE patient was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14.3 m/sec vs. 8.3 m/sec). Conclusion: The AE in cubital tunnel syndrome is no more rare structure. In younger male patients with rapidly progressive worsening cubital tunnel symptoms, and if there is significant decrease of ulnar motor nerve velocity at above elbow in comparison with at below elbow, the AE should be considered as cause of ulnar neuropathy. 목적: 활차상 주근에 의한 주관터널증후군 환자와 특발성 주관터널증후군 환자에서 임상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주관터널증후군으로 수술 받은 326명 중 주관터널증후군의 다른 원인을 가진 환자들을 제외한 총107명의 환자를 활차상 주근이 있는 군과 활차상 주근이 없는 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나이, 성별, 내재근 위축여부, 증상 발현부터 수술을 받기까지 기간,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와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에 대해 두 군 간의 임상적 차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34명(10.4%)에서 활차상 주근이 관찰되었고, 다른 원인이 있었던 환자를 제외한 107명 중 활차상 주근을 가진 환자는 26명이었다. 활차상 주근을 가진 환자 군에서 19명(73%)이 남자로 의미 있게 남자에서 많이 발병되었으며, 평균나이는 44세로 의미 있게 젊었다. 증상 발현 후 수술까지 걸린 시간도 의미 있게 짧았으며, 근전도 검사상 활차상 주근을 가진 환자군에서 주관절 근위부에서 척골신경의 운동신경 전도 속도가 원위부 전도 속도 보다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14.3 m/sec vs. 8.3 m/sec). 결론: 주관터널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활차상 주근은 드문 구조물이 아니며, 진행이 빠른 증상을 가진 젊은 남성에서 근전도 검사상 주관절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수술 전 운동신경 전도 속도의 차이가 큰 점이 활차상 주근에 의한 주관터널증후군과 특발성 주관증후군의 중요한 구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복합표본분석을 활용한 한국성인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비만과 주관적 건강인식

        임현정,김응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의 성별, 연령에 따른 비만과 성별과 연령, 대사증후군 유무에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VI-2)의 건강설문조사에 응답한 5,674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판정을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3.0의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에 높은 비율로 비만 유병률이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남성에서는 청장년(19~39세)이 77.2%의 비율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나타냈고,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에서는 중년(40~65세)이 73.9% 비율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나타냈다. 주관적 건강인식은 성별에서는 남성, 연령별로는 3개의 그룹 중 청장년이 가장 높았고, 대사증후군 유무로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이주관적 건강인지 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질환과주관적 건강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주관증후군 접근 중 마주치는 내측 전완부 피부 신경 분지의 해부학적 분포

        양대석,우상현,천호준,남현재,강동호,김영우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examine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branches of th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in Koreans encountered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 Methods: Ninety two patients with cubital tunnel syndrome were treated with a standard approach from December 2008 to July 2012. The position of the branches of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was evaluated based on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 the elbows fully extended. Results: At least on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 was found during the surgeries in all patients. The average number of crossing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per patient was 1.6. Thirty-eight percent of the cases showed that the medial cutaneous nerve branches cross proximal to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in 1 cm. Eighty-two percent showed that th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cross distal to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in 1.9 cm. Conclusion: When using standard approach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more than one medial forearm cutaneous nerve is found. Therefore, understanding the general position of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helps avoid iatrogenic damage to this nerve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 있어서 주관증후군 수술 중에 마주치게 되는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해부학적 분포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주관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전형적인 접근법을 통한 수술을 시행한 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분포는 주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상완골의 내측 상과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92명의 모든 환자에게서 최소 1개 이상의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가 발견되었으며, 평균 1.7개의 신경 분지가 발견되었다. 내측 상과 또는 그 근위부를 지나는 경우는 35예(38%)에서 발견되었으며, 내측 상과에서 평균 1 cm 근위부에존재하였다.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가 내측 상과의 원위부를 지나는 경우는 82예(89.1%)에서 발견되었으며, 내측 상과에서 평균 1.9 cm 원위부에 존재하였다. 결론: 주관증후군 환자에게 전형적인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할 때 모든 예에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내측 전완 피부 신경을 마주치게 되므로,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일반적인 위치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은 주관증후군 수술 중에 내측 전완 피부 신경의 의인성 손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골연골종에 의한 주관 증후군: 증례 보고

        유현규,강호민,강홍제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1

        Cubital tunnel syndrome is a compressive neuropathy caused by ulnar nerve compression on elbow joint. The causes of cubital tunnel syndrome are unknown but it can be caused by trauma, bone deformity and space occupying lesions like a mass. Osteochondroma is a common benign bone tumor, it usually develops at the metaphysis of the long bones. Symp-toms of nerve compression by osteochondroma are very rare and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cubital tunnel syndrome caused by osteochondroma. The authors experienced a 46-year-old male patient who have cubital tunnel syndrome by osteochondroma. Therefore, we report the case with literature review. 주관 증후군(Cubital tunnel syndrome)은 주관절에서 척골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이다. 주관 증후군은 대부분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으나 외상이나 골 변형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종양 등의 공간 점유 병소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골연골종(osteochondroma)은 흔한 양성 골종양으로 주로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골연골종에 의한 신경 압박증상은 매우 드물며 그 중 주관절에서 척골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주관 증후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주관 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46세 남자에서 발견된 골연골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등도 이상의 주관 증후군에서 조기 주관적 증상 호전과 수술적 결과와의 관계

        배정연(Jung Yun Bae),곽상호(Sang Ho Kwak),김석현(Seok Hyeon Kim),신원철(Won Chul Shin),이승준(Seung-Jun Lee),서근택(Kuen-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목적: 주관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결과는 술 후 6개월 이후 판단하게 되지만, 주관적인 증상 호전은 더 조기에 일어난다. 우리는 조기 증상 호전을 보인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임상적 특성과 수술적 결과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중등도 이상의 주관 증후군 증례 36예(35명) 중 19예는 수술 후 14일 이전의 주관적인 증상 호전을 보였고 17예는 그렇지 않았다. 두 군 사이의 임상적인 특성을 Mann-Whitney 검정 혹은 카이 검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수술 결과는 수술 전, 술 후 3개월, 12개월에 반복 측정,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Wilson and Krout 기준에 따라 12개월째의 호전 여부를 파악하였다. 결과: 파지력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술 후 12개월의 Wilson and Krout 기준(p=0.029)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점수와 파악력 및 임상적 특성은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중등도 이상의 주관 증후군을 수술한 후 조기 증상 호전을 보인 군에서는 수술 전 파지력이 의미있게 높았고, 수술 후 12개월까지의 결과도 더 좋았다. Purpose: Moderate to severe cubital tunnel syndrome usually requires surgical treatment. Most surgical outcomes are evaluate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however, subjective symptoms begin to show improvement much earlier. In this study, we explored whether patients who experience earl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have differen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than those without early improve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2 and February 2015, 36 surgical cases of moderate- to severe-stage cubital tunnel syndrome (modified McGowan grade IIA, IIB, or III) were included. Nineteen patients (15 males and 4 females with a mean age of 54.3±12.0 years) reported subjective symptom improvements within 14 days postoperatively. Seventeen patients (15 males and 2 females with a mean age of 53.4±11.9 years) did not report any early symptom improvements. Clinical characteristics-hand dominance, sex, smoking history, type of surgery, age, symptom duration, elbow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key pinch strength, 2 point discrimination, pain,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modified McGowan grade-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using a Mann-Whitney test or chi square test. Surgical outcomes were measured at postoperative 3 and 12 months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and Wilson and Krout criteri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key pinch strength (p<0.001) between the groups. At postoperative 12 months, Wilson and Krout criteria (p=0.029) were associated with earl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The subjects’ quick DASH scores and grip strengths improved over time,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After surgical treatments of moderate to severe cubital tunnel syndrome, patients who presented earl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had significantly higher preoperative key pinch strength and better surgical outcomes at postoperative 12 months.

      • KCI등재

        한국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은영(Eun Young Hong)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정상체중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건강관련 변수 및 여성건강관련 변수가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추후 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사증후군 예방교육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년, 2017년, 2018년)에 참여한 중년여성 중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정상군(18.5~22.9)에 해당하는 1,35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7.0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분석 시 분산추정층, 집락, 통합가중치를 산출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 중 대사증후군은 5.3%였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한 결과 나이, 초경나이, 폐경여부는 유의하지 않았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음’에 비해 ‘보통’인 군은 대사증후군 위험이 2.503(95% CI, 1.080~5.799, p=.032)배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나쁨’인 군은 대사증후군 위험이 3.310(95% CI, 1.329~8.245, p=.010)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규칙적 신체활동 실천군에 비해 미 실천군은 대사증후군 위험이 2.098(95% CI, 1.190~3.698, p=.011)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상체중인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나, 주관적 건강상태는 추후 중년여성의 건강관리 시 질병의 고위험군이나 중재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쁨’인 군은 건강증진 중재 적용의 우선 적용대상자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the impact of health-related variables and women's health-related variables on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women of normal weight. The objective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metabolic syndrome among this popul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included 1,357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2017, 2018) and were categorized as normal weight (BMI 18.5-22.9).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7.0, and for all analyses, variance estimation strata, clusters, and integrated weights were calculated to perform complex sample analysis. Among the subject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5.3%.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menopausal status, and menopausal age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However, compared to those who reported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s “good,” individuals reporting “reasonable” health had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dditionally, individuals who did not engage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had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those who did. The factor that most influences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women of normal weight is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can serve as an indicator for identifying high-risk groups for diseases or prioritizing interventions in the health management of middle-aged women in the future.

      • 압박성 신경병증

        김병성,Kim, Byung-Sung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2

        신경 압박의 원인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것도 있고, 신체 내부 병리가 발생하여 신경 주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주관절 이하부에서 압박성 신경병증으로 정중 신경, 척골 신경, 요골신경병증이 있다. 정중 신경은 굴곡 지대부위에서 수근관 증후군이 대표적이며, 모든 신경 포착 증후군 가운데 가장 흔하다. 그 외 주관절 부위에서 스트러더스 인대, 상완 이두근 건막, 회내근, 천수지 굴근 기시부 그리고 비정상 근육들에 의한 회내근 증후군과 전 골간 신경 증후군이 있다. 척골 신경은 스트러더스 궁, 내측 상과 후방의 주관, 척수근 굴근 두 기시부 사이의 건막 등에서 눌리는 주관 증후군과, 수근부에서 결절종, 유구골 갈고리 골절 그리고 혈관성으로 오는 척골 관 증후군이 있다. 요골 신경의 심부 분지가 회외근속을 지나면서 만들어지는 부위에서 눌리는 경우 요골 관 증후군이라고 한다. 치료는 초기에는 소염제나 야간부목, 스테로이드 주사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에 호전되지 않을 경우 전기적 검사나 영상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수술적 감압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Nerve compression is caused by external force or internal pathology, which symptom develops along nerve distribution. There are median, ulnar and radial nerve compression neuropathies below elbow. Carpal tunnel syndrome at the flexor retinaculum is most common among all the entrapment neuropathies. Other causes of median nerve neuropathy include Struther's ligament, biceps aponeurosis, pronator teres, FDS aponeurosis and aberrant muscles, which induce pronator syndrome or an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Ulnar nerve can be compressed at the elbow by arcade of Struther, medial epicondylar groove, FCU two heads, which develops cubital tunnel syndrome, at the wrist by ganglion, fracture of hamate hook and vascular problem, which develops Guyon's canal syndrome. Radial tunnel syndrome is caused by supinator muscle, which compresses its deep branch. Treatment is conservative at initial stage like NSAID, night splint or steroid injection. If symptom persists, operative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after electrodiagnostic or imaging studies.

      • KCI등재

        주관 증후군

        심경보(Gyeong-Bo Sim),김창완(Chang-Wan Kim),선지호(Ji-Ho Sun),김진삼(Jin-Sam Kim),전재명(Jae Myeung Chun),전인호(In-Ho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주관 증후군은 주관절 내상과 주위에서 척골 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compressive neuropathy)으로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다음으로 상지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척골 신경의 압박으로 인하여 초기에는 제4 수지의 척측 절반과 제5 수지의 감각저하 혹은 이상감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만 병이 진행될 경우 비가역적 내재근의 근력저하 및 근위축, 제4, 5 수지의 갈퀴손 변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법으로는 고전적인 척골 신경 감압술과 전방 이전술이 표준적 치료이나 최근 이전술 없이 감압술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보고하기에 수술 치료의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에 저자는 주관 증후군의 원인과 임상 양상, 최근 수술적 치료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Cubital tunnel syndrome is compressive neuropathy, entrapment of the ulnar nerve around the medial epicondyle of the elbow joint, and the second most common neuropathy after carpal tunnel syndrome. Patients complain of hypoesthesia or paresthesia in the ulnar half of the ring and small fingers early in the disease. Advanced disease is complicated by irreversible muscle weakness or atrophy and claw hand deformity of the ring and small fingers. Although traditional decompression and anterior transposition of the ulnar nerve is known as standard treatment, according to recent reports only simple decompression has a good outcome. So, variety of surgical treatment options are available. In this paper, we purpose to describe the causes, clinical features and recent surgical treatments of cubital tunnel syndrome.

      • KCI등재

        주관 증후군에서 척골 신경 경근 전방 이동술의 임상 결과

        차수민(Soo-Min Cha),김경천(Kyung-Cheon Kim),강동훈(Dong-Hun Kang),신현대(Hyun-Dae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2

        목적: 주관 증후군 진단 후 질환 중증도에 따른 척골 신경 경근 전방 이동술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주관 증후군 진단 후 변형된 Mackinnon 술식으로 척골 신경의 경근 전방 이동술을 시행한 9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중증도는 McGowan등급으로 파악하였고 등급 I (1군) 35예, 등급 II (2군) 37예, 등급 III (3군) 22예였다. 결과: 술 후 통증은 세 군 모두에서 술 후 의미 있게 호전 되었고, 1군과 2군에서 3군에 비해 회복 정도가 유의하였다. 감각 기능은 세 군 모두에서 술 후 의미 있는 회복을 보였고, 1군은 3군에 비해 유의하게 회복 정도가 우수하였다. 운동 기능의 회복 정도 역시, 세 군 모두에서 술 후 의미 있는 회복을 보였고, 3군과의 비교에서 의미 있는 회복 정도 관찰할 수 있었다 (p<0.05). 술 후 Akahori 분류를 이용한 평가에서 1군의 80%, 2군의 73%, 3군의 59%에서“양호”또는 “우수”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변형된 Mackinnon 술식으로 치료한 주관 증후군에 대한 후향적 연구에서 술 전에 비해 술 후 통증, 감각 및 운동 기능이 호전 되었으나 호전 정도는 중증도가 심할수록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cubital tunnel syndrome after ulnar nerve transmuscular anterior transposi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8, the 94 cases that underwent ulnar nerve anterior transposition using modified Mackinnon method after diagnosed as cubital tunnel syndrome were enrolled for this study. The severity of each cases was classified using McGowan classification before surgery, and were divided into grade I of 35 cases (group 1), grade II of 37 cases (group 2), and grade III of 22 cases (group 3). Results: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degree of pain improvement, and which wa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up 1 and 2 compared to group 3.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degree of sensory function improvement. The degre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2, and 2 and 3, however, group 1 showed higher degree of improvement compared to group 3.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degree of motor function improvement, and whic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2, and compared to group 3, group 1 and 2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disease severity (p<0.05). In evaluation using Akahori classification after surgery, 28 cases in group 1 (80%), 27 cases in group 2 (73%), and 13 cases in group 3 (59%) showed results of “good” or “excellent”. In the whole group, the age and Akahori classification after surger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0.05, r=-0.512). Conclusion: In the retrospective analysis regarding the cubital tunnel syndrome using modified Mackinnon method, postoperative pain, sensory, and motor function was improved compared to which before surgery, however, the degree of improvement decreased as the disease was more severe. Especially, as the age is older, the degree of improvement more de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