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난소의 성기삭 종양을 닮은 자궁종양 1예

        권선영,조치흠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난소의 성기삭 종양을 닮은 자궁종양은 조직학적으로 난소 성기삭-버팀질 종양과 유사한 드문 자궁체부에서 발생하는 간엽성 종양이다. 1976년 Clement와 Scully에 의해 최초로 난소의 성기삭 종양을 닮은 자궁종양으로 명명되었고 성기삭 분화를 보이는 종양의 정도에 따라 크게 제1군 및 제2군 난소의 성기삭 종양을 닮은 자궁종양으로 분류되었다. 제1군 종양은 저등급의 자궁내막버팀질육종에 일부분이 성기삭 구조를 보이는 경우이고, 제2군 종양은 종양의 대부분 혹은 전부가 성기삭 구조를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저자들은 최근 52세 여자의 자궁 기저부에서 발생한 제2군의 난소의 성기삭 종양을 닮은 자궁종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Uterine tumor resembling ovarian sex cord tumors (UTROSCTs) are uncommon neoplasms that histologically resemble ovarian sex cord tumor. Over 50 cases have been reported up to recently. Clement and Scully reported 14 cases of UTROSCT, which they devided into two groups by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Group I tumors are endometrial stromal sarcomas with partially sex-cord like elements (less than 40% of total tumor volume). On the other hand, group II tumors are mostly or entirely composed of sex-cord like elements. We have experienced a very rare case of type II UTROSCT at the uterine fundus in a 52-year-old woman and report it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SCOPUSKCI등재

        Effect of Tumor Hypoxia on Efficacy of Tirapazamine Combined with Fractionated Irradiation in Mouse Tumor

        김일한,Kim, Il-Ha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적 : 종양내 저산소상태는 저산소세포치사제에 의하여 극복이 가능하다.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키는 tirapazamine 의 효과가 마우스 종양에서 분할방사선조사와 병용된 상태에서 종양내 산소상태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의 종양을 수립하기 위하여 정상 및 4주전에 방사선 조사를 받았던 마우스의 등과 하지에 RIF-1 종양을 이식하였다. 종양이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 종양에 대하여 생리식염수(0.02 mlg), tirapazamine (0.08 mMkg), 방사선조사(2.5 Gy), tirapazamine 과 방사선조사의 병용 등을 사용하여 4일간 8회의 과분할 치료를 시행하였다. 등의 종양 체적이 4 배로 증가하거나 하지의 종양 단면이 2배로 증가할 때 까지 종양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종양성장의 지연을 기준으로 각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과 : 등 및 하지의 정상 및 저산소종양의 평균증식양상으로 부터 tirapazamine이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켰음을 알 수 있다. tirapazamine에 의한 방사선증강효과는 호기의 종양체적 또는 종양단면적을 기준으로 한 증식지연실험 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9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4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초기종양체적의 4배 증식 또는 종양단면적의 2배 증식까지의 기간을 기준으로 설정한 증식지연실험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48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0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결론 :분할 방사선조사에 tirapazamine을 병용할 경우 방사선조사효과는 증강되며, 저산소상태에 있는 마우스 종양에서의 증강효과가 대조 종양에서의 증강효과와 동일하거나 더욱 양호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었으나 $7.4\%$만이 심한 증상을 보였고, 만성 합병증은 $7.9\%$에서 관찰되었으며, 장폐색, 비뇨기계증상의 악화, 방사선 방광염등의 순이었다.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지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이었고(p<0.01) 포장에 대해서는 주택형태에 따라 농가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에 거주하는 주부보다 더 나쁘게 평가하는 경향이었다. (p<0.05) (9) 조사대상주부들은 시판제품의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위생성(37.0%), 가격(23.8%), 포장(15.6%), 맛(11.1%), 저장성(10.1%) 및 색(2.4%) 등의 순으로 지적하였고 주부의 거주지에 따라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위생성을,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가격을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보는 경향이었다. (p<0.05)3.2%는 채소에는 cholesterol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채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치료에 유효한 채소는 당근 등 42가지, 질병을 유발시키는 채소는 고사리 등 10종을 지적하였으며 이들은 과학적 증명이 가능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전해지고 있는 내용이다. 이상과 같이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의 채소 소비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가공된 채소반찬과 김치의 구입은 현재까지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김치보다 채소반찬의 구입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계층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폭 넓은 채소소비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할 경우 적정 첨가 수준으로 Purpose : Tumor hypoxia can be overcome with hypoxic cytotoxin. In mouse tumor, tirapazamine's efficacy of the potentiating radiation effect was tested by the tumor oxygenation status combined with hype facti on ated rad iotherapy .:The control and hypoxic mouse tumors we established by inoculation of RIF-1 tumor cells into the normal or previously irradiated back and thigh of C3H mice. When the tumors reached a proper size, both the control and hypoxic tumors were given hypefractionated treatments (8fractions/4 days) with saline (0.02 ml/g), tirapazamin (0.08 mM/0.02 ml/kg), irradiation (2.5 Gy), irradiation combined with tirapazamine given 30 minutes prior to each irradiation. The response was evaluated by the growth delay assay by measuring tumor size from day 0 (12 hrs prior to the first fractionation) to the day when the volume had 4-fold increase or cross sectional area had 2-fold increase. Results : Overall growth pattern showed that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in back and thigh tumors grew in the normal and preirradiated tumor bed. With growth delay assay using reference point of initial tumor volume or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9 times for the control and 2.4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With reference of 4-fold increase of the initial volume or 2-fold increas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48 times for the control and 2.02 times for the hyp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Conclusions : Present result indicated that radiation response of hypoxic tumors was potentiated by tirapazamine in the back or thigh tumors grew in the control or preirradiated tumor bed, and potentiation of the hypoxic tumors was eD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tumors in the back or thigh.

      • KCI등재

        폐암환자의 종양추적 정위방사선치료를 위한 삼차원 및 사차원 방사선치료계획의 비교

        채규영(Gyu Young Chai),임영경(Young Kyung Lim),강기문(Ki Mun Kang),정배권(Bae Gwon Jeong),하인봉(In-Bong Ha),박경범(Kyung Bum Park),정진명(Jin-Myung Jung),김동욱(Dongwook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4

        목 적: 폐암환자의 종양추적 정위방사선치료에서 삼차원 및 사차원치료계획의 선량분포 차이를 비교하였고 선량계산 알고리즘에 따른 폐의 비균질성 보정 결과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7명의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호흡동조된 사차원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환자의 호흡에 대응하는 10개의 삼차원단층촬영 영상이며 이를 바탕으로 사차원치료계획이 수립되었다. 사차원 치료계획에서는 종양과 주변장기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X선의 방향과 선량분포를 최적화한다. 사차원치료계획에서 최적화된 빔을 호흡의 50% 위상에 해당하는 한 개의 삼차원단층촬영 영상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삼차원치료계획을 만들었다.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에서 선량계산을 위하여 각각 Ray-tracing과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수립된 4개의 치료계획에서 처방선량의 종양체적 포함률, 종양체적의 95%를 포함하는 선량인 D95, 종양의 최대선량, 그리고 척수의 최대선량을 비교하였고 종양의 위치에 대한 연관성도 함께 고찰하였다. 결 과: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한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에서 종양이 폐의 하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사차원치료계획에서 종양 포함률이 평균 4.4% 높았던 반면에 종양이 폐의 중엽이나 상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평균 4.6% 낮았다. 또한, D95도 종양이 폐의 하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사차원치료계획에서 평균 4.8% 높았던 반면에 종양이 폐의 중엽이나 상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평균 1.7% 낮았다. 척수의 최대선량에 대한 비교에서도 종양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치료계획의 차원과 무관하게 Ray-tracing과 몬테칼로 알고리즘 사이의 선량계산 차이는 평균 30% 정도로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때 처방선량이 포함하는 종양의 부피는 크게 줄어들었다. 결 론: 폐 종양의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 사이의 차이를 종양과 척수의 선량분포를 통해 비교하였다. 두 치료계획 사이에서 planning target volume (PTV) 포함률이나 D95와 같이 종양과 관련된 선량학적 인자들의 차이 또는 척수의 최대선량 차이는 종양의 이동크기와 형태변화의 정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계획의 차원과 무관하게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처방선량이 포함하는 PTV 포함률이나 D95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dose distributions between three-dimensional (3D) and four-dimensional (4D) radiation treatment plans calculated by Ray-tracing or the Monte Carlo algorithm, and to highlight the difference of dose calculation between two algorithms for lung heterogeneity correction in lung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Prospectively gated 4D CTs in seven patients were obtained with a Brilliance CT64-Channel scanner along with a respiratory bellows gating device. After 4D treatment planning with the Ray Tracing algorithm in Multiplan 3.5.1, a CyberKnife stereotactic radiotherapy planning system, 3D Ray Tracing, 3D and 4D Monte Carlo dose calculations were performed under the same beam conditions (same number, directions, monitor units of beams). The 3D plan was performed in a primary CT image setting corresponding to middle phase expiration (50%). Relative dose coverage, D95 of gross tumor volume and planning target volume, maximum doses of tumor, and the spinal cord were compared for each pla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umor loc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Monte Carlo calculations, mean tumor volume coverage of the 4D plans was 4.4% higher than the 3D plans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lower lobes of the lung, but were 4.6% lower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upper lobes of the lung. Similarly, the D95 of 4D plans was 4.8% higher than 3D plans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lower lobes of lung, but was 1.7% lower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upper lobes of lung. This tendency was also observed at the maximum dose of the spinal cord. Lastly, a 30% reduction in the PTV volume coverage was observed for the Monte Carlo calculation compared with the Ray-tracing calculation. Conclusion: 3D and 4D robotic radiotherapy treatment plans for lung cancers were compared according to a dosimetric viewpoint for a tumor and the spinal cord. The difference of tumor dose distributions between 3D and 4D treatment plans was only significant when large tumor movement and deformation was suspected. Therefore, 4D treatment planning is only necessary for large tumor motion and deformation. However, a Monte Carlo calculation is always necessary, independent of tumor motion in the lung.

      • 하지 관절 부위에 발생한 전이성 종양 환자의 종양 대치물 및 골시멘트와 인공관절 삽입술

        양준영,이준규,황득수,신현대,곽상구,김경천,남대철,Yang, Jun-Young,Lee, June-Kyu,Hwang, Deuk-Soo,Shin, Hyun-Dae,Kwak, Sang-Koo,Kim, Kyung-Cheon,Nam, Dae-Che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전이성 종양이 사지에 발생한 경우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있으나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시행한 예를 중심으로 기능적 평가 및 환자의 치료 경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이성 종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종양대치물 삽입술을 시행 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49세부터 63세까지로 평균 56.3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3.4개월이었다. 원발 부위의 암으로는 폐암 2명, 유방암 3명, 신장암 2명, 대장암 1명 그리고 다발성 골수종이 1명이었다. 전이된 부위는 대퇴 근위부가 6명, 대퇴 원위부가 2명, 경골 근위부가 1명이었다. 종양의 절제는 생검 후 원발성 종양의 치료 원칙대로 가능한 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6례는 종양 대치물로, 나머지 3례는 골 시멘트와 인공관절을 이용하여 재건하였다. 결과: 사지 기능 평가는 Enneking 등의 하지 평가기준 6항목에 대하여 환자의 최종 추시 시에 평가하였다. 최고 점수는 26점이었고 최하는 10점으로 평균 19.5점이었으며 최종 추시 시까지 7명이 생존하였으며 대장암 환자 1례는 술후 68일째 사망하였고 유방암 환자 1례는 술후 15일째 사망하였다. 평가 기준 항목 중 수술 후 기능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통증의 경감 부분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전이성 종양이 관절 부위에 발생 시에는 원발성 종양과 동일한 원칙으로 치료 방법의 접근이 필요하며, 종양대치물의 삽입으로 환자의 사지 기능의 개선과 통증의 제거 등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의료 혜택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this report we are going to discuss about the functional evaluation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of metastatic tumor in the lower extremities treated with tumor prosthetic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port is based on nine patients diagnosed as a metastatic tumor and treated by tumor prosthetic arthroplasty, from June 1998 to December 2001.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49 to 63 with the average of 56.3.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3.4 months. Two patients had lung cancer, three had breast cancer, two had renal cancer, one colon cancer, and one had multiple myeloma. All these were primary cancers. The site of metastasis were six in proximal femur, two in distal femur, and one in proximal tibia. Tumor excision was performed after biopsy in following the principle of primary tumor management. Excision with wide surgical margin was tried as possible could. Six cases were treated with tumor prosthesis, and the other three cases were reconstructed with bone cement and arthroplasty. Results: The functional evaluation in the extremities at the last follow up was performed on Enneking evaluation score with 6 categories. The highest scored 26, and the lowest scored 10, with an average of 19.5. A case in which the patient died 15 days after the operation was excluded from the evaluation. Among the categories, emotional acceptance to postoperative function and pain relief were highly scored. At the final follow up, seven patients survived, and one colon cancer patient died 68 days after operation. Conclusion: Metastatic tumor occurring in joints of lower extremities could be treated in accordance to the treatment principle of primary tumor. By insertion of tumor prosthesis, we can get satisfactory results of function in the lower extremity and pain relief especially. So, this aspect of medical favor must be considered in treating patients.

      • KCI등재

        扶正抗癌湯의 抗腫瘍效果에 關한 實驗的 硏究

        文錫哉,文九,金柄住,田炳薰,元秦喜 대한동의병리학회 1997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1 No.2

        腫瘍으로 인한 死亡率은 多樣한 名種 治療에도 不拘하고 循環器疾患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著者는 韓醫學과 西醫學의 結合治療를 通해서 抗腫瘍藥物의 效果를 增進시키고 副作用을 줄이는 藥物의 開發을 爲하여 健脾 益氣 祛痰 補腎 杭癌效能을 갖고 잇는 扶正杭癌湯抽出液을 使用하여 Colony 形成抑制實驗, Sulforhoda-mine B(SRB) assay를 觀察하였고, 扶正抗癌湯抽出液과 抗癌化學療法劑인 Mitomycin C(MMC)를 Ehrlich carcinoma의 solid tumor와 ascites tumor에 各各 單獨 및 倂用 投與하여 抗腫瘍效果 및 Iysosomal enzymes의 活性에 대한 效果를 觀察하였다. 먼저 扶正抗癌湯抽出液을 Caki-1 cell, Hep 3B 및 A549에 투여한 후 增殖抑制作用을 colony 形成抑制實驗과 SRB assay를 통하여 觀察한 결과 濃度依存的으로 腫瘍細胞의 成長을 抑制하였다. Ascites form of Ehrlich carcinoma에 대한 抗腫瘍效果 實驗에서 扶正抗癌湯抽出液과 MMC를 병용투여한 결과, 扶正抗癌湯抽出液에 의하여 MMC의 抗腫瘍效果가 增加하였다. Solid form of Ehrlich carcinoma에 대한 抗腫瘍效果 實驗에서 扶正抗癌湯抽出液과 MMC를 병용 투여하였을 경우, MMC를 단독 투여하였을 경우보다 腫瘍의 크기가 현저하게 減少하는 결과를 보였다. Ehrlich ascites carcinoma cell에 扶正抗癌湯抽出液과 MMC를 병용 투여하였을 경우, MMC를 단독 투여하였을 경우보다 lysosomal enzymes의 活性이 强하게 나타났다. 本 實驗을 통하여 扶正抗癌湯抽出液은 MMC의 抗腫瘍效果를 증가시키는 效果를 보였다. 또한 扶正抗癌湯抽出液은 마우스에서 solid form of Ehrlich ascites carcinoma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效果를 나타냈으며, 생존기간 實驗에서는 扶正抗癌湯抽出液과 MMC를 병용투여시 ascites tumor에 MMC를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생존기간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扶正抗癌湯抽出液은 用量에 依存的으로 直接的인 抗腫瘍效果가 있으며, 抗癌療法劑인 MMC의 效果를 亢進시키는 것으로 보아 間接的인 抗腫瘍效果도 있을 것으로 思科되나 正確한 效果를 究明하기 위해서는 보다 正確한 抗腫瘍機轉에 대한 硏究와 藥物學的 硏究 및 臨床的 硏究가 追加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jeonghangamtang Extract(扶正抗癌湯抽出液) on antitumor effects after human cell lines(A549, Hep3B, Caki-1, Ehrlich) transplantation into the peritoneal cavity or right groin in mice induced by RPMI 1640 and DMEM etc, the extracts of its herbal medicines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10 or 12 days.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for measurement of antitumor effect of Mitomycin C(MMC) and lysosomal enzyme's activities using colony forming efficiency, SRB assay which were regarded as a valuable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antitumor effects of unknown compound on tumor cell lin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ie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of colony-forming efficiency and SRB assay of Caki-1 cells, Hep3B and A549 Cells after exposure to the extract of Bujeonghangamtang extract depressed the growth of tumor cells by concentration of Bujeonghangamtang. 2. Antitumor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Bujeonghangamtang extract and MMC on ascites form of Ehrlich carcinoma in mice is slightly improved. Especially the mean of survival times in the group of 200㎎/㎏ and MMC 0.1㎎/㎏ is improved over 30.9%. 3. When Bujeonghangamtang extract and MMC are administered together, the weight of tumor is more decreased than MMC alone. 4. The lysosomal enzyme's activities of the Bujeonghangamtang extract and MMC are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MMC alon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it could be suggested that Bujeonghangamtang extract has indirect antitumor effect by the increase of MMC uptake.

      • KCI등재

        동계 마우스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 예측인자로서의 생물학적 표지자

        장세경(Sei Kyung Chang),성진실(Jinsil Seong),김성희(Sung Hee Kim),신현수(Hyun Soo Shi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2

        목 적: 방사선 감수성이 다양한 동계(syngeneic) 마우스 종양들을 대상으로 50% 종양억제선량과 종양성장지연 등 방사선 감수성을 대변하는 지표와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포토시스와 관련된 여러 유전물질의 기본(constitutive) 발현수준을 측정한 후 이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계 마우스 종양으로는 난소암 OCa-I, 유방암 MCa-K, 편평상피세포암 SCC-VII, 섬유육종 FSa-II, 간암 HCa-I을 사용하였고 이들은 PCR-SSCP 검사상 p53이 모두 자연형인 종양들이었고 주령 8∼10 주인 C3H/HeJ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50% 종양억제선량과 종양성장지연 및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를 측정하여 이들과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로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또한 아포토시스와 관련된 유전물질 p53, p21WAF1/CIP1, BAX, Bcl-2, Bcl-xL, Bcl-xs, p34 등의 기본 발현양상 및 발현수준을 Western blot과 농도계측기로 측정한 후 이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아포토시스의 정도와 종양성장지연과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R=0.922, p=0.026). 50% 종양억제선량과의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변연수준이었으나(p=0.070)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R=-0.848). p21WAF1/CIP1과 p34의 기본 발현수준과 50% 종양억제선량(R=0.893, p=0.041와 R=0.904, p=0.035) 및 종양성장지연(R=-0.922, p=0.026와 R=-0.890, p=0.043)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즉, p21WAF1/CIP1과 p34의 기본 발현수준이 낮은 경우에 방사선 감수성이 높고, 기본 발현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낮은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아포토시스의 정도로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하여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로 p21WAF1/CIP1와 p34의 기본 발현수준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investigated whether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umor control dose 50 (TCD50) or tumor growth delay (TGD) and radiation induced apoptosis (RIA) in syngeneic murine tumors. Also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markers that can predict radiosensitivity in murine tumor system through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CD50, TGD, RIA and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the genetic products regulating RIA. Materials and Methods: Syngeneic murine tumors such as ovarian adenocarcinoma, mammary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fibrosarcoma, hepatocarcinoma were used in this study. C3H/HeJ mice were bred and maintained in our specific pathogen free mouse colony and were 8∼12 weeks old when used for the experiments. The tumors, growing in the right hind legs of mice, were analyzed for TCD50, TGD, and RIA at 8 mm in diameter. The tumors were also analyzed for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53, p21WAF1/CIP1, BAX, Bcl-2, Bcl-xL, Bcl-xs, and p34.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hether the level of RIA were correlated with TCD50 or TGD, and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genetic products regulating RIA were correlated with TCD50, TGD, RIA. Results: The level of RIA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922, p=0.026) with TGD, and showed a trend to correlation (R=-0.848), margin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CD50 (p=0.070). It indicates that tumors that respond to radiation with high percentage of apoptosis were more radiosensitive.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21WAF1/CIP1 and p34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ither with TCD50 (R=0.893, p=0.041 and R=0.904, p=0.035) or with TGD (R=-0.922, p=0.026 and R=-0.890, p=0.043). The tumors with high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21WAF1/CIP1 or p34 were less radiosensitive than those with low expression. Conclusion: Radiosensitivity may be predicted with the level of RIA in murine tumors.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21WAF1/CIP1 or p34 can be used as biological markers which predict the radiosensitivity.

      • 후족부에 발생한 원발성 골종양

        신덕섭,이성준,Shin, Duk-Seop,Lee, Sung-J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1

        목적: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다른 부위에서의 골종양과 비교하여 발생 빈도가 낮고 진단이 늦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 및 보고는 적은 실정으로 후족부의 원발성 골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그 임상적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11년까지 본원에서 진단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 환자 44명의 45예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에 대한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 치료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44명의 환자 중 남자가 26예, 여자가 18예였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5.1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3.1개월이었다. 양성 골종양이 44예, 악성 골종양은 1예였으며, 종골에 발생한 골종양이 36예, 거골의 골종양 9예였다. 전체적으로 양성 골종양 중에는 단순골낭종이 20예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골내지방종이 12예, 연골모세포종 4예 순이었고, 악성 골종양은 유잉 육종이 1예였다. 발생부위 별로 종골에서는 단순골낭종이 18예, 골내지방종이 12예 순이었고, 거골에서는 연골모세포종 3예, 단순골낭종 2예, 골내결절종 2예 등의 순이었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은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족관절 혹은 후족부의 염좌 또는 타박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았다.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는 2예였다. 수술 방법으로는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술, 관혈적 정복과 금속고정술 및 골이식술, 종양 절제술, 슬관절 하 절단술 등을 시행하였다. 결론: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빈도가 드물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양성 종양이었으나 악성종양을 배제할 수 없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are uncommon compared with other locations, and there have been few large-group stud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Materials and Methods: Forty five cases in 44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from 1989 to 2011 were reviewed.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 year.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mages. Results: Twenty six cases were male and 18 cases were female. Mean follow-up period was 33.1 months and mean age was 25.1 years. Forty four cases were benign and 1 case was malignant. Thirty six cases occurred in calcaneus and 9 cases were in talus. The most common benign bone tumor was simple bone cyst (20 cases), followed by intraosseous lipoma (12 cases), and chondroblastoma (4 cases). In calcaneus, there were 18 cases of simple bone cyst, and 12 cases of intrasosseous lipoma. In talus, there were 3 cases of chondroblastoma, 2 cases of simple bone cyst, and 2 cases of intraossesous ganglion. Many patients with hindfoot bone tumors presented with pain, but some were found accidentally. Patients received surgical procedures, such as curettage and bone graf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umor resection, and below knee amputation. Conclusion: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are rare and can be misdiagnosed as ankle sprain or contusion. Although most are benign, malignant tumors cannot be ruled out, so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is important.

      • KCI등재

        초음파유도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유두종양 환자에서의 유방암의 예측요소

        이성훈(Sung Hoon Lee),우상욱(Sang Uk Woo),이혜정(Hye Jung Lee),김우영(Woo Young Kim),이재복(Jae Bok Lee)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2

        목적 : 유방의 유두상 병변은 양성 종양의 10%미만이며, 모든 악성종양의 0.5~0.2%를 차지한다.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방의 유두종양으로 진단된 경우 외과적 절제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논란이 있다. 이에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유두종양으로 진단되고 절제생검을 시행한 환자에서 유방암의 예측인자를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9년 6월부터 2012년 6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외과에서 초음파유도하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유두종양과 비정형 유두종으로 진단되고 절제생검을 시행한 9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중심부바늘생검과 수술 후 조직병리 소견에서 종양의 특성 및 크기를 분석하였다. 결과 : 97에 모두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5.1(16~68)세였다. 최종 조직검사결과 유두종양과 악성종양 환자의 평균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두종양이였던 71예 중 절제생검의 최종조직검사 결과는 64(90.1%)예는 유두종양, 7(9.9%)예, 4(22.2%)예 및 7(38.9%)예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증상에서는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두종양인 경우에는 촉지성 종괴에서 유의하게 악성 종양이 많았다(P=0.03). 초음파 측정 종양의 크기가 1.5cm이상일 때 유의하게 악성 종양이 많았다(P=0.005). 중심부 바늘생검에서 유두종인 경우는 최종조직검사 결과 양성과 악성종양에서 초음파 측정 종양의 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제 후 최종조직 검사에서는 유의한 크기의 차이가 있었다(P=0.19, 0.002). 중심부바늘생검에서 비정형 유두종양인 경우에서는 초음파 측정 종양의 크기와 최종조직 크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3, 0.019).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두종양인 경우 BIRAD 분류에 의한 분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보였으나 (P=0.023), 비정형 유두종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초음파 측정 종양크기가 1.5cm 을 초과한 경우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P=0.45, OR=2.4 95% CI 0.16-0.95). 결론 :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비정형 유두종양의 절제생검의 필요성을 본 연구에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조직병리 결과가 유두종양이라도 1.5cm이상이거나 촉지성 병변이거나, 영상의학적 소견과 중심부바늘생검의 결과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외과적 절제생검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breast papillary neoplasm was constituted approximately less than 10% of benign breast tumor and 0.5-20% of breast malignancy. The role of excisional biopsy for papillary neoplasm was diagnosed by core biopsy has been debated ye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breast cancer after the pathologic result of core biopsy revealed papillary neoplasm.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pathologic data of 97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excisional biopsy after the pathologic result of core biopsy revealed papillary neoplasm between June 2009 and June 2012 at the Guro Hospital of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Results :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excisional biopsy results for malignancy between papillary neoplasm and atypical papillary neoplasm diagnosed by core biopsy (P=0.001). Maligna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be palpable mass,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when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was present in the core biopsy (P=0.03, 0.02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umor size between benign and malignancy which was measured by ultrasonogram in the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thologic tumor size in the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P=002). All of pathologic and ultrasonogram tumor size were larger than in the malignancy with atypical papillary neoplasm diagnosed core biopsy.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ultrasonogram measured tumor size more than 1.5cm (P=0.45, OR+2.4 95% Cl 0.16~0.95). Conclusion : The excisional biops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core biopsy had revealed atypical papillary neoplasm. We might suggest that excisional biopsy underwent in the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with the case of the ultrasonogram measured tumor size more than 1.5cm and the existence of dis-concordance between radiologic findings and core biopsy pathologic result.

      •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혈관종, 연골-골종과 불확실한분화종에 대하여

        서경진,Suh, Kyung-J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연조직종양의 분류는 종양학에서 영상의학과의사와 임상을 담당하는 정형외과의사, 종양학자 그리고 병리학자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이다. 연조직종양의 이해는 과거 10년 동안에 걸쳐 주요 변화와 더불어 진보가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분류가 WHO에 의해 2002년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은 이전에 발표된 분류와 많은 부분에서 다른 내용의 접근을 하였고, 이 작업에는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그리고 임상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알고 있었거나 특성이 알려진 종양을 포함하여 새로운 큰 변화나 작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의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혈관종, 연골-골종 그리고 불확실한분화종을 중심으로, 큰 변화와 작은 변화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새롭게 소개되는 병명을 정리하였다. 이 새로운 WHO의 연조직 종양의 분류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s should be an important part of radiology, oncology and, for orthopedic clinicians and pathologists, they provide diagnostic instruction and prognostic guidelines. In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 system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s have become dominant, enabled by the timely publication of new blue books which included detailed text and numerous good illustrations. The new WHO classification of soft tissue tumors was introduced in 2002. Because the classification represents a broad consensus concept, it has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around the globe. This article reviews the changes which were introduced the vascular tumors, chondroid-osseous tumors and tumors of uncertain differentiation which have been first recognized or properly classified during the past decade.

      • SCOPUSKCI등재

        Effect of Tumor Hypoxia on Efficacy of Tirapazamine Combined with Fractonated Irradiation in Mouse Tumor

        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 적 : 종양내 저산소상태는 저산소세포치사제에 의하여 극복이 가능하다.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키는 tirapazamine 의 효과가 마우스 종양에서 분할방사선조사와 병용된 상태에서 종양내 산소상태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의 종양을 수립하기 위하여 정상 및 4주전에 방사선 조사를 받았던 마우스의 등과 하지에 RIF- 1 종양을 이식하였다. 종양이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 종양에 대하여 생리식염수(0.02 mlg), tirapazamine (0.08 mM/kg), 방사선조사(2.5 Gy), tirapazamine 과 방사선조사의 병용 등을 사용하여 4일간 8회의 과분할 치료를 시행하였다. 등의 종양 체적이 4 배로 증가하거나 하지의 종양 단면이 2배로 증가할때 까지 종양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종양성장의 지연을 기준으로 각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등 및 하지의 정상 및 저산소종양의 평균증식양상으로 부터 tirapazamine이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켰음을 알 수 있다. tirapazamine에 의한 방사선증강효과는 초기의 종양체적 또는 종양단면적을 기준으로 한 증식지연실험 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9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4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초기종양체적의 4배 증식 또는 종양단면적의 2배 증식까지의 기간을 기준으로 설정한 증식지연실험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48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02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결 론 : 분할 방사선조사에 tirapazamine을 병용할 경우 방사선조사효과는 증강되며, 저산소상태에 있는 마우스 종양에서의 증강효과가 대조 종양에서의 증강효과와 동일하거나 더욱 양호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Purpose :Tumor hypoxia can be overcome with hypoxic cytotoxin. In mouse tumor, tirapazamine's efficacy of the potentiating radiation effect was tested by the tumor oxygenation status combined with hyperfactionated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trol and hypoxic mouse tumors were established by inoculation of RIF- 1 tumor cells into the normal or previously irradiated back and thigh of C3H mice. When the tumors reached a proper size, both the control and hypoxic tumors were given hyperfractionated treatments (8 fractions/4 days) with saline (0.02 ml/g), tirapazamin (0.08 mM/0.02 ml/kg), irradiation (2.5 Gy), irradiation combined with tirapazamine given 30 minutes prior to each irradiation. The response was evaluated by the growth delay assay by measuring tumor size from day 0 (12 hrs prior to the first fractionation) to the day when the volume had 4- fold increase or cross sectional area had 2- fold increase. Results :Overall growth pattern showed that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in back and thigh tumors grew in the normal and preirradiated tumor bed. With growth delay assay using reference point of initial tumor volume or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9 times for the control and 2.4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With reference of 4- fold increase of the initial volume or 2- fold increas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48 times for the control and 2.02 times for the hyp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Conclusion : Present result indicated that radiation response of hypoxic tumors was potentiated by tirapazamine in the back or thigh tumors grew in the control or preirradiated tumor bed, and potentiation of the hypoxic tumors was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tumors in the back or t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