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에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결과 및 기능적 평가

        이상훈,유재호,오주한,서성욱,김한수,Lee, Sang-Hoon,Yoo, Jae-Ho,Oh, Joo-Han,Suh, Sung-Wook,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목적: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에서 2001년 사이에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으로 본원에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관찰이 가능한 2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5세, 평균 추시 기간은 7년 1개월(1년 2개월~19년 9개월)이었고, 골육종 7예, 연골육종 14예, 방골성 골육종 1예, 혈관외피종 1예, 거대세포종 6예였다. 사지 구제술의 방법으로는 시멘트 충전술을 7예에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을 10예에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7예에서 이용하였으며, 5예에서는 절제만 시행하거나, 골이식, 관절 유합술 등을 실시하였다. 술 후 기능 평가는 근골격계 종양 학회(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의 상지 근골격계 종양 환자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추시 도중 6예에서 국소 재발 하였고, 2예에서 폐 전이로 재발 하였고, 2예에서는 국소 재발과 폐전이가 모두 있었으며 3명이 사망하였다. 구제된 상지의 생존율은 최종 추시상 88.6%였으며, 재발이나 전이가 있을 경우 열등한 사지의 생존율을 보였다(p=0.012). 근골격계 종양 학회 기능 평가상 구제된 상지의 기능 점수는 평균 80%(24점, 18~30점)였다. 치료방법에 따른 기능 점수는 시멘트 충전술 86%,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 71%, 종양 대치물 삽입술 83%점으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p=0.034). 합병증으로 요골 신경 마비와 액와 신경 마비가 각각 1예 있었으며, 생 비골 이식편의 이탈로 재수술을 받은 경우가 1예, 창상 감염이 1예 있었다. 결론: 견관절 주위 악성 골 종양과 거대 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사지 구제술은 종양학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ncologic results and functional outcomes of limb salvage surgery performed in patients of primary bone tumors of the shoulder girdl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limb sparing resection for shoulder girdle neoplasm between 1982 and 2001 were analyzed. Follow up periods averaged 7 years and 1 month.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5 (11~71) years. There were 14 males and 15 female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of shoulder girdle (proximal humerus 21, scapula 3, both 1) were 23 cases; osteosarcomas 7, chondrosarcoma 14, parosteal osteosarcoma 1, hemangioendothelioma 1, and giant cell tumor of proximal humerus were 6 cases. Limb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by curettage and cementing in 7 patients, by cement molding arthroplasty in 10 patients, and by tumor prosthesis in 7 patients, by other method such as resection only, bone graft, arthrodesis in 5 patients. Th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rating system was used to assess functional outcomes. Results: One osteosarcoma and 2 chondrosarcoma patients died, and the survival of the salvaged limb was 88.6%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6 local recurrences, 2 lung metastases, 2 local recurrences and lung metastases. The functional outcome was 80%.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unctional results among the patients treated by cement filling (86%), cement molding arthroplasty and IM nailing (71%), and tumor prosthesis (83%). (p=0.034) There were three complications including 1 radial nerve palsy and 1 axillary nerve palsy, and 1 wound infection. Dislodgement of vascularized fibular graft in one patient was treated by internal fixation. Conclusion: Limb salvage surgery seems to be useful method to treat bone tumors of the shoulder girdle.

      • 연골육종의 종양학적 결과

        김철진,정준영,정양국,이승구,강용구,박원종,심정인,Kim, Chol Jin,Chung, Jun Young,Chung, Yang Guk,Rhee, Seung Koo,Kang, Yong Koo,Bahk, Won Jong,Shim, Jung 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1

        목적: 연골육종의 종양학적 결과와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연골육종을 진단 받고 생검술 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설정한 최소 추시기간인 18개월 이전에 사망한 4명을 포함하여 총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양학적 결과를 평가하고 조직학적 등급, 병기, 위치, 용적, 내원시 연령, 수술 절제연, 수술적 치료 방법을 변수로 하여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43.8개월(1-196개월)이었다. 결과: 평균 43.8개월 추시상 무병생존율은 77.1%였으며 질병으로 인한 사망 7예(14.6%), 유병 생존 4예(8.3%)였다. 5년 및 10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4%와 58%였다. 조직학적 악성도와 외과적 병기, 내원시 연령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사지골의 저 악성도 연골육종에서는 광범위 소파술을 시행한 9예 모두에서 무병생존과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보였다. 결론: 연골육종의 무병생존율은 조직학적 악성도와 외과적 병기 및 내원 시의 연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의 유무 또한 무병생존율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사지골의 저악성도 연골육종에서는 광범위 소파술이 광범위 절제술에 비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능소실 및 합병증을 피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oncologic outcomes of chondrosarcomas and analyzed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 of chondrosarcomas according to the various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for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 of 48 chondrosarcomas, 44 of which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and followed up more than 18 months since 1993, and in the remaining 4 cases, the patients died before 18 months after surgery. The vsariables were location, tumor volume, histologic grade, stage, age at presentation and treatment performe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3.8 months (1-196 months). Results: The overall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77.1% at mean 43.8 month follow up. The 5 year- and 10 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64% and 58% respectively. The histologic grade, stage, age at presentation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disease-free survival. All 9 patients treated with extended curettage for grade 1 central chondrosarcomas revealed disease-free survival with excellent functional outcome. Conclusion: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 of chondrosarcomas mainly depended on histologic grade, stage and age at presentation.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also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disease-free survival rate. Comparing to wide resection, extended curettage for low-grade central chondrosarcomas in extremities were efficient methods with similar survival rate and less functional losses and complications.

      • KCI등재

        골반골의 연골육종에서 내골반골 절제술 후 종양학적 결과 및 재건 방법에 따른 결과 분석

        조완형(Wan-Hyung Cho),전대근(Dae-Geun Jeon),박종훈(Jong-Hoon Park),송원석(Won-Seok Song),이수용(Soo-Yong Lee),고한상(Han-Sang Koh),변우진(Woo Jin By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4

        목적: 골반골에 생긴 연골육종의 발현 양상과 생존율, 합병증, 수술 후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2003년 사이에 수술한 연골육종은 25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0 (17-69)세였다. 병기는 ⅠB가 5예, ⅡB가 20예였다. 경예 전부에서 내골반골 절제술을 하였다 이중 비구를 포함한 절제가 12예였고 나머지 13예는 장골익 7예, 치골부 6예였다. 종양절제 범위에 따른 재건술의 방법과 기능, 합병증 및 성별, 나이, 종양의 크기, 위치, 절제연, 국소재발유무, 병리학적인 악성도와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을 시행한 25예의 15년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78.7%였다. 국소재발은 3예였으며 원격전이는 3예였다. 장골익과 치골부위만 절제한 경우 기능적 평가는 25.3점이었다. 비구를 포함한 절제 12예 중 6예는 인공관절을 이용하여 고관절을 재건하였으며 4예는 가관절 형성술, 1예는 관절고정술 나머지 1예는 종양 절제술 만 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4점이었다. 합병증은 감염이 2예, 피부괴사가 1예, 내고정물의 기계적 파괴가 1예, 고관절의 탈구가 2예였다. 병리학적 악성도가 3 이상인 11예 중 4예에서 국소재발(l) 및 원격전이(3)가 발생하였다. 결론: 연골육종의 장기간 생존율은 양호하였으며 병리학적인 악성도가 국소재발 및 예후에 관계가 있었다. 비구를 포함한 절제술 후 고관절을 재건한 경우에 합병증이 많아 일차적 가관절 형성술도 고려해 볼 만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nature of primary chondrosarcoma of the pelvis, along with long-term survival,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ive cases of pelvic chondrosarcoma were enrolled. The average age was 40 (range: 17-69) years. The stage was ⅠB in 5, ⅡB in 20. All of the 25 cases had underwent internal pelvectomy. Twelve cases had resections involving the acetabulum, while 7 involved the iliac wing and 6 involved the pubic bone. Study points were the reconstructive methods according to the extent of resection and the functional results, complications, local recurrence and the meta-stasis pattern following the clinical factors affecting long-term survival. Results: The 16-year CDF survival of 25 cases following operation was 78.7%. Three (12%) local recurrences and 3 metastases occurred. The MSTS score of the iliac and pubic resection group was 25.3. Of 12 cases with acetabular resection, 6 had prosthetic arthroplasty, 4 had psuedoar-throsis, 1 had arthrodesis, and 1 had excision. Their overall MSTS score was 19.4. There were 2 infections, 1 flap necrosis, 1 screw failure and 2 hip dislocations. Of 11 cases of a high grade (G3), there were 3 metastases and 1 local recurrence. Conclusion: The long-term survival rate was good and the pathologic grade had some correlation with prognosis. Because acetabular reconstructions of any kind may involve serious complications, primary pseudoarthrosis can be regarded as an alternative option.

      • KCI등재후보

        원위부 직장암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복회음절제술과 초저위전방절제술 및 대장항문 수기 문합술 후의 종양학적 결과 비교

        서재범,최규석,조민정,전수한,임경훈,장유석,박준석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2009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Vol.12 No.2

        Purpose: Abdominoperineal resection (APR) has been regarded as the standard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distal rectal cancer since Miles first described it in 1908. But because of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terns of spreading tumor, the pelvic physiology, the development of stapling devices and introduction of total mesorectal excision (TME), the rate of sphincter preserving surgery has been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ncologic outcomes after laparoscopic APR and ultra-low anterior resection with hand- sewn coloanal anastomosis (CAA) for treating distal rectal cancer. Methods: Between January 2003 and October 2007, 95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after curative laparoscopic APR or CAA for distal rectal canc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pathologic finding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oncologic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There were 31 APRs and 64 CAA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3 (5∼79) months.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lower margin of the tumor and the anal verge was 2.1±1.2 cm in APR and 3.7±1.4 cm in CAA (p<0.001). There were 2 (6.5%) local recurrences and 8 (25.8%) systemic recurrences after APR and 3 (4.7%) local recurrences and 10 (15.6%) systemic recurrences after CAA, respectively (p=0.641, p=0.161). The 3-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was 86.7% in APR and 93.5% in CAA (p=0.407). The 3-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73.7% in APR and 80.1% in CAA (p=0.16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ncologic results according to the stag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operative procedures are changing toward sphincter preservation. Laparoscopic ultra-low anterior resection and hand-sewn coloanal anastomosis is oncologically as safe as laparoscopic APR for treating lower rectal cancer. However, APR should be considered the standard treatment for distal rectal cancer when it invades the anal sphincter or the levator an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