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운동 연습과 언어적 복잡성이 말더듬 성인의 조음속도에 미치는 영향

        전희정(HeeCheong Chon),Torrey M. Loucks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3

        본 연구는 조음속도를 사용하여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의 말운동 특성과 운동기술 학습 능력을 비교하고, 언어적 복잡성이 조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말더듬 성인 11명, 일반 성인 11명이었다. 각 참여자는 길이와 구문적 복잡성이 다른 4개의 문장(짧고 단순한 문장, 길고 단순한 문장, 길고 복잡한 문장, 길고 구문적 오류가 있는 문장)을 반복해서 산출하였으며, 문장별로 전체 조음속도 및 문장산출 순서에 따른 조음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적 복잡성과 상관없이 말더듬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전체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긴 문장들이 짧고 단순한 문장보다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산출순서에 따른 조음속도 비교 결과, 두 집단은 모든 문장에서 중간 4개 문장과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가 첫 3개 문장의 조음속도보다 유의하게 빠른 모습을 보였다. 길고 구문적 오류가 있는 문장은 중간 4개 문장의 조음속도보다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빨라 지속적인 연습효과를 보인 반면, 다른 세 개의 문장들은 중간 4개 문장의 조음속도와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말더듬 성인이 일반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미숙한 말운동통제 능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문장의 길이와 구문적 복잡성이 조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은 문장을 반복적으로 산출하며 조음속도가 빨라지는 연습효과를 보였으며, 연습효과가 나타나는 패턴은 두 집단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ech motor control in adults who stutter (AWS) by testing whether articulation rate changes with practice and linguistic complexity. Eleven AWS and 11 adults who do not stutter (AWNS) repeated four sentences of different lengths and syntactic complexity [simple-short (SS), simple-long (SL), complex-long (CL), and faulty-long (FL) sentences]. Overall articulation rates of each sente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groups. Practice effec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rticulation rates of the first three, middle four, and last three productions. Overall, the AWS had significantly slower articulation rates than AWNS across the four sentences. The longer sentences showed significantly slower articulation rates than the baseline sentence (SS). The articulation rates of the middle four and the last three production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ose of the first three productions of each sentence in both groups. The articulation rates of the SS, SL, and CL sentences indicated a consistent practice effect. The slower articulation rates of the AWS are consistent with a speech motor limitation. There was no interaction with linguistic complexity or practice, so a slower articulation rate may be a general feature of the speech of AWS. Both AWS and AWNS showed practice effects with faster articulation rates which may reflect a degree of adaptation to the stimuli.

      • KCI등재후보

        대화 상대자의 말속도 변화에 따른 말더듬 아동의 변화

        이경재(Kyung Jae Lee),신지철(Ji Cheol Shin),김향희(Hyang Hee Kim),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대화상대자인 연구자가 아동보다 빠른 정상 성인의 조음속도, 아동과 유사한 조음속도, 아동보다 느린 조음속도로 상호작용을 하였을 경우 학령 전기 말더듬 아동의 조음속도와 전체 말속도, 말더듬 발생비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학령 전기 말더듬 아동 6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대화 상대자의 조음속도 변화 시, 학령 전기 말더듬 아동의 조음속도와 전체 말속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말더듬 발생비율은 대화 상대자의 조음속도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대화 상대자의 세 가지 조음속도 상황 중에서, 아동보다 빠른 조음속도 상황과 아동보다 느린 조음속도 상황 사이, 아동과 유사한 조음속도 상황과 아동보다 느린 조음속도 상황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화 상대자의 조음속도가 아동보다 빠른 상황과 아동과 유사한 상황 간에는 학령 전기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발생비율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대화 상대자가 조절하여 말더듬 아동보다 느린 말속도로 상호작용할 경우, 비록 학령 전기 말더듬 아동의 조음속도와 전체 말속도는 변화하지 않아도 말더듬 발생비율은 감소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rticulation rate, overall speech rate, and frequency of stutters of pre-school stuttering children in three conditions: (1) when the investigator's speech rate is faster than the child’s, (2) when the speech rates of the investigator and the child are the same, and (3) when the investigator’s speech rate is slower than the child’s. Six pre-school stutter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rticulation rate and overall speech rate in all of the three conditions. (2)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requencies of stutters between conditions (1) and (3) and between conditions (2) and (3).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that the slower speech rate of the conversational partner is a positively efficacious factor for reducing the frequency of stutters in the pre-school stuttering children.

      • KCI등재

        청각장애인과 건청인의 말 속도와 쉼 특성 비교

        윤미선(Mi S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1

        말의 빠르기는 말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초분절적 요인 중 하나이다.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도 말의 빠르기는 말명료도와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말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방법은 조음시간과 쉼 시간을 함께 고려하는 말속도(speech rate)와, 쉼 시간을 제외하고 조음시간의 속도만을 보는 조음속도(articulation rate)의 두 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의 말속도와 조음속도 및 쉼의 특성을 건청인의 자료와 비교하여, 청각장애인에게서 나타나는 초분절적 요인의 시간적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13명의 청각장애인 대학생과 13명의 건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청각장애인의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모두 건청인 보다 유의하게 느렸다. 전체 쉼 시간은 청각장애인이 유의하게 길었으나 문장 간 쉼 시간은 청각장애인과 건청인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쉼의 빈도에서도 전체 쉼의 빈도는 청각장애인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문장 간 쉼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장 내 쉼의 빈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이 건청인에 비해 조음시간과 쉼 시간이 모두 길어 말속도와 조음속도가 느린 것을 의미한다. 특히 쉼에 있어, 문장 간 쉼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문장 내 쉼은 길이와 빈도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청력손실의 정도와 말속도 및 조음속도는 부적인 경향성을 보였으나 높은 상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각장애인의 말의 빠르기를 건청인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분절음의 조음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과 더불어 문장 내의 비정상적인 쉼 길이와 빈도를 줄이는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Speech rate and pause are the supraseg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deaf.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 and pause in deaf adults. The subjects were 13 adults with profound hearing impairment and 13 adults with normal hearing matched in gender and age. Subjects’ hearing levels were measured by pure tone audiometers. Each subject was instructed to read a short story. Speech rate, articulation rate, pause duration, and pause frequency were calculated. The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of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s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hearing. Furthermore, intra-sentence pause durations and frequen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ose of inter-sentence weren’t. The hearing-impaired group showed a longer intra-sentence duration and more frequent intra-sentence pauses than normal hearing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ual hearing level and speech rate showed a negative tend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for segmental duration and intra-sentence pause duration are important for the better speech rate control ability of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 KCI등재

        학령전기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구어적 상호작용 특성에 관한 종단연구: 부모의 조음속도 및 말의 자연스러움과 아동의 조음속도, 비유창성을 중심으로

        황시현,이수복,이영미,심현섭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부모와 아동의 구어적 상호작용 시 아동의 조음속도와 부모의 조음속도 및 말의 자연스러움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만 2–5세의 학령전기 말더듬아동과 아동의 모 6쌍과 일반아동과 아동의 모 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스러운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발화를 2회(초기평가, 12개월 후) 수집하여 아동의 AD 빈도와 조음속도, 어머니의 조음속도와 말의 자연스러움을 분석하였다. 결과: 초기평가 및 12개월 후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 아동의 조음속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말더듬아동 어머니의 조음속도와 말의 자연스러움은 초기평가 및 12개월 후 시점 모두 일반아동 어머니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말더듬아동 집단은 초기평가 및 12개월 후 시점에서 어머니의 조음속도와 어머니 말의 자연스러움이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아동 집단은 12개월 후 시점에서 아동의 조음속도와 어머니의 조음속도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부모의 말 특성과 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간 양방향적인 관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말특성이 아동의 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이 아동의 말더듬에 대한 반응으로 부모의 말 특성 또한 변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정신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말속도에 관한 비교연구

        엄윤희,김영욱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6 No.-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3;6-3;11, 4;6-4;11, 5;6-5;11세인 정신지체 아동 12명과 언어연령 범위를 일치시킨 정상 아동 12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말속도(전체말속도, 조음속도)를 비교하여 정신지체 아동의 말속도 특성에 대한 이해 및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정신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의 연령 및 과제(놀이, 그림책)에 따라 전체말속도를 비교하고, 둘째, 정신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의 연령 및 과제에 따라 조음속도를 비교하였으며, 셋째, 정신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의 과제에 따라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은 연령 및 과제에 따라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정신지체 아동은 정상 아동보다 느린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를 보였다. 또한 정신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과제에서 조음속도가 전체말속도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정신지체 아동은 정상 아동보다 인지적, 언어적 능력 등의 부족으로 쉼 또는 비유창성이 증가해 말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아동에게 충분히 생각하고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rate and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retarded children by means of comparing the speech rates, both overall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with the subjects of total 24 children, 12 retarded ones and 12 normal ones at the language ages of 3;6-3;11, 4;6-4;11 and 5;6-5;11. We compared firstly the overall speech rate, secondly the articulation rate and lastly the differences of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of retarded children with normal children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asks (play and picture books). As a result of this study, both retarded and normal children increased overall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but retarded children showed lower rate in both overall speech and articulation than normal children did. When w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of retarded children to normal children, both groups showed faster articulation rate than overall speech rate in tasks. With this study, we see that the speed of retarded children are getting slower due to the increased discontinuance and disfluency resulted from the lack of cognitional and verbal capability than normal children and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enough time for retarded children to think and react.

      • KCI등재

        말더듬 성인의 읽기속도에 따른 말더듬 빈도와 조음속도 비교

        박진원,권도하 한국언어치료학회 2010 言語治療硏究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ttering frequency and difference of articulation rate of stuttering adults according to their reading rate. A reading task was presented to 15 stuttering adults and they were instructed to read at a normal rate of speech and a fast rate of speech.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utter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normal speech rate and the fast speech rate. Some subjects stuttered more during the normal speech rate and some subjects stuttered more during the fast speech rat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rticulation rate according to the normal speech rate and the fast speech rate. All subjects had a higher articulation rate in the fast speech rate than in the normal speech rate.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cause of non-fluency of stuttering cannot be limited only in the pressure of the time. In the future, the various studies are needed to find out the cause of non-fluency of stuttering. 이 연구는 말더듬 성인집단을 대상으로 읽기속도의 조건에 따른 말더듬의 빈도와 조음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시간압박이 말더듬인의 비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말더듬으로 진단받은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평상시 일반속도와 명료도를 유지하면서 가능한 빠른속도로 읽기과업을 수행한 자료를 토대로 말더듬 빈도와 조음속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속도와 빠른속도 간 말더듬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상속도와 빠른속도 간 조음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말더듬인이 구어산출을 위한 운동협응에서 시간압박이 증가할수록 일관적으로 비유창성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일관되게 지지하지는 않는다. 이는 말더듬인들의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비유창성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비유창성을 설명하는데 구어산출시간의 복잡성 이외의 요인을 모색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말더듬 성인의 심한정도에 따른 구어속도 특성 비교연구

        박진원 ( Jin Won Park ),권도하 ( Do Ha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성인을 대상으로 심한정도에 따라 구어속도를 전체속도와 조음속도로 측정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말더듬 성인 40명(22:10 ~ 54:7)을 대상으로 SSI-3의 심한정도에 따라 심한 집단(14명)과 중간 집단(11명)과 약한 집단(15명)으로 나누고 읽기과제를 통하여 전체속도와 조음속도를 분석하였다. 첫째말더듬 성인의 세 집단 사이의 전체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말더듬이 심한 집단일수록 다른 집단보다 전체속도가 낮게 산출되었다. 둘째, 말더듬 성인의 세 집단 간의 조음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말더듬이 심한 집단의 조음속도가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말더듬 성인 집단 별 전체속도와 조음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조음속도는 모든 집단에서 전체속도보다 높게 산출되었다. 이는 말더듬이 심할수록 말더듬 행동의 지속시간과 빈도가 높기 때문에 구어속도가 낮게 산출되고 명료한 구어산출을 위해 보다 긴 발화시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본 연구 결과는 추후 말더듬의 진단과 치료 시 객관적인 평가와 유창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argetting the adult stutterer and according to the severe degree,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or not. For this purpose, 40 adult stutterers(22:10 ~ 54:7)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by severe group, moderate group and mild group according to severe degree of SSI-3 and analyzed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through the reading tas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speech rate among 3groups of the adult stutterer and showed the more severe group, the lower overall speech produced than other groups. Second, there was the difference in the articulation rate among 3groups of the adult stutterer and showed the articulation rate of the severe stutter group was lowest. Third, there was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among groups of the adult stutterer and showed the higher articulation rate was produced than the overall speech rate in all of the groups. The above results showed the more severe stutter, the lower speech rate was produced because the persistent time and the frequency of the stutter activity are high and for the clear speech production, the longer speech time was needed, and this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fundamental data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and fluency improvement in afterwards the diagnosis and therapy of stutter.

      • KCI등재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기능 선별검사(SMST-C)의 말소리장애 아동 변별력: ROC 곡선 분석

        김재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4

        배경 및 목적: 본연구는아동용조음기관 구조·기능선별검사(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를이용하여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을 변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3-12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20명과 일반아동 20 명이었다. 각 집단은 13명의 남아와 7명의 여아로 구성되었고, 평균 연령은 4.75세였다. 대상 아동에게 SMST-C의 ‘조음기관 구조·기능’ , ‘발성·음성·조음선별’ , ‘조음교대운동’을 평가하여 총점수를 산출하였고, /퍼/, /터/, /커/, /러/, /겅/의 교대운동속도와 /퍼터커/의 일련운동속도인 조음교대운동속도(diadochokinetic [DKK] rate)를 평가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절단점을 산출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총점수, ‘조음선별’ 점수, ‘조음교대운동’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은 /퍼/, /커/, /겅/, /퍼터커/의DDK 속도도 유의하게 느렸다. 그러나 ‘조음기관 구조·기능’ 점수와 ‘음성’ 점수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ROC 곡선 분석 결과, ‘조음교대운동’ 점수(area under curve [AUC]=.879), ‘발성·음성·조음선별’ 점수(AUC=.864), 그리고 총점수(AUC=.846)가 말소리장애를변별하는 진단적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에 대한 SMST-C의 양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SMST-C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말소리 산출 기전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되며, 임상에서 말산출 기전의 이상이 있는 아동을 변별하는데유용한도구로사용될수있을것이다.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의 말산출 하부 체계 구조 및 기능 비교

        김재옥,이조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speech mechanism including respiration, phonation, articulation, and resona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using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 Methods: Ninet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and 19 normal developing children (NC) aged from 4 to 12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evaluate with the SMST-C. SMST-C is comprises of 46 items with 14 structures and 16 functions, 3 voices, 1 articulation, and 6 regularities and 6 accuracies in diadochokinesis (DDK). Maximum phonation time (MPT), speech rates, and DDK rates (alternative motion rate (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 (SMR)) were also measured. The total score of SMST-C ranged from 0 to 100. A lower total score means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peech mechanism. Therefore, we compared the SMST-C total score, MPT, speech rate, and DDK rates between CP and NC. Results: The total scores of SMST-C of CP and N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MPT, speech rate, and DDK (AMR, SMR) also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P than in NC. Conclusions: This study preliminarily provides the objective data to screen speech mechanis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to normal children using SMST-C. It can be seen that SMST-C is suitable for screening wheth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peech mechanism in children with disorders is normal or not. 목적: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조음기관 구조와 기능을 통한 말산출 하부 체계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4~12세의 뇌성마비 아동 19명과 일반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를 실시하였다. SMST-C는 14개의 구조와 16개의 기능 항목, 3개의 음성 항목, 1개의 조음선별 항목, 그리고 /퍼/, /터/, /커/, /러/, /겅/의 5개 일음절과 /퍼터커/의 조음교대운동(diadochokinetics: DDK)을 실행 시 측정되는 12개의 조음규칙성과 조음정확성 항목에 의해 총 4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말속도 및 교대운동속도(alterantive motion rate: AMR)와 일련운동속도(sequentional motion rate, SMR)의 DDK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SMST-C의 총점수는 0~100점까지 산출되며, 점수가 낮을수록 말산출 하부 체계의 이상이 있음을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의 SMST-C 총점수, MPT, 말속도 및 DDK 속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SMST-C 총점수는 뇌성마비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MPT, 말속도 및 DDK (AMR, SMR) 또한 뇌성마비 아동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본 연구는 SMST-C를 사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말산출 하부 체계 구조 및 기능을 점수화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일반 아동과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SMST-C는 다양한 장애 아동의 말산출 하부기제의 구조 및 기능의 장애 유무를 선별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창성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과 말 속도에 관한 비교 연구

        전희정(Hee Cheong Chon),고도흥(Do Heung Ko),신문자(Moon 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2

        본 연구는 4, 5세 유창성장애 아동 10명과 정상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비유창성 유형(전형적 비유창성, 비전형적 비유창성)과 말속도(전체말속도, 조음속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 아동에게서 가장 빈번했던 비유창성 유형은 삽입(평균 4.3회)이었으며, 전형적 비유창성이 전체 비유창성 유형의 86.36 %로 나타났다. 유창성장애 아동에게서 가장 빈번했던 비유창성 유형은 음절반복(평균 5.7회)이었으며, 비전형적 비유창성이 전체 비유창성 유형의 54.09 %로 나타났다. 전형적 비유창성은 제시상황간에, 비전형적 비유창성은 아동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상 아동의 전체말속도는 놀이상황에서 평균 4.94SPS(Syllables Per Second), 과제상황에서 평균 3.66SPS였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은 놀이상황에서 평균 4.84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3.36SPS였다. 정상 아동의 조음속도는 놀이상황에서 평균 5.07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3.99SPS였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은 놀이상황에서 평균 5.26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4.32SPS였다.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는 제시상황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의 경우 놀이상황에서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stuttering children with nonstuttering children in terms of (a) the domain of typical disfluency, (b) the domain of atypical disfluency, (c) the overall speech rate, (d) the articulation rate, and (e) the relation of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disfluency type of stuttering children was ‘syllable repetition’ and that of nonstuttering children was ‘interjection’. Second, in the domain of typical disflu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the story telling context were observed in both group. In the domain of atypical disflu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in each context. Third, the mean overall speech rate was 4.84SPS(Syllables Per Second) and 4.94 SPS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3.36SPS and 3.66 SPS in the story telling context, for the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respectively. In both child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and story telling contexts in the overall speech rate. Fourth, the mean articulation rate was 5.26SPS and 5.07 SPS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4.32SPS and 3.99 SPS in the story telling context, for the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respectively. In both child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and story telling contexts in the articulation rate. Fifth, the stuttering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speech rate between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in both contexts. However, the nonstuttering children did not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t speech rate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