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의 시인적 면모에 대하여

        김용태 ( Yong Tai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19세기 진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月皐 趙性家의 시문학에 대해 연구하였다. 조성가는 19세기의 대표적 도학자인 蘆沙 奇正鎭의 수제자였다. 조성가는 기정진을 만나 도학에 뜻을 세우게 되면서 문장학에 대해서는 마음을 접었지만, 시를 사랑하는 그의 속마음을 없앨 수는 없었다. 조성가는 도학과 문장학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주목할만한 시문학을 산출하였다. 조성가의 문학적 성취 가운데, 본고에서는 `만시`와 `지리산 노래들`이 가장 중요한 성과라고 보았다. 조성가는 만시를 지으며 자신의 시인적 역량을 한껏 발휘하고자 의식적으로 노력하기도 하였으며, 또 주위의 인물들에 대해 연속적으로 만시를 창작하였기에 그의 만시들은 그를 둘러싼 인물들에 대한 작은 역사와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성가의 지리산 노래들에는 지리산의 맑은 자연과 순박한 풍속이 인상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조성가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리산에 대해 무한한 애정과 자부심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한 지리산 일대에 유학의 도가 이상적으로 구현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점은 당시 서세동점의 현실과 대비되어 그에게 더욱 소중하게 여겨질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talked about poems of Wolgo, Cho Seong-ga who lived in Jin-ju, Korea in the 19th century. He was best pupil of Gi Jeong-jin who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19th century. After meeting Gi Jeong-jin, Cho Seong-ga set an aim in moral philosophy and gave up the study of rhetoric. But he could not abandon his passion for poetry. Although he had a conflict between moral philosophy and rhetoric constantly, he wrote remarkable poems continuously. Among his literary accomplishment, I paid attention to epicedium and Jirisan poems especially. Writing epicedium, he consciously tried to show his all capabilities as a poet. He continuously wrote epicedium for his acquaintance, so his epicedium can be regarded as a little history of people around him. In Jirisan poems, he described clean nature and naive customs of Jirisan impressively. He had boundless love and pride for Jirisan where he lived, and thought that the way of Confucianism was bodied out there. Under the situation that western culture spread over the Orient, he cherished culture of Confucianism around Jirisan all the more.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조성가(趙性家)와 최숙민(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蘆沙學)의 전개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성장하면서 학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각 가문에서는 과거 급제나 학행에 뛰어난 인물 배출을 위해 노력한 결과 진주 일대의 학문 수준은 그 이전시기보다 훨씬 높아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다. 각 가문에서는 書齋를 지어 학문에 몰두하였으며, 지리산과 덕천강의 풍경이 뛰어난 곳에는 樓亭을 지어 문장을 통해 당색을 뛰어넘어 교제하였다. 문장 외에도 경학이나 성리학에 뜻을 둔 학자들은 호남의 기정진과 같은 저명한 학자 들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경상우도의 기정진의 문인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을 따라 이어진 길을 따라 호남으로 나아갔는데, 곳곳에 숙박할 수 있는 객점과 시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족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여행이 용이하였다. 또한 장성의 김인후나 함양의 정여창의 후손 등 영,호남을 대표하는 사족들 간에 혼인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호남 지역을 왕래하는데 정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정진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학자들이 기정진을 찾아와서 수학하게 된 것이다. 조성가와 최숙민은 19세기에 성장한 가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상우도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다. 그들은 河達弘(1809-1877)등에 의해 전개된 시단에 참여하여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장성의 기정진을 찾아가서 주리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잠심하였다. 조성가는 호남지역 문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하달홍 이후 이 지역의 시단을 이끌었으며 영, 호남간의 노사학파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는 崔益鉉이나 宋秉璿, 李震相 등이 찾아올 정도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향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계서원의 원장이 되어 강규를 새롭게 정하거나 조식의 신도비의 일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최숙민은 남인 출신이지만 기정진에게 수학한 인물로서 이항로나 이진상의 문인들과도 교제하면서 기정진의 학설을 심즉리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정진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한 이후 동문들과 강회를 자주 개최하였으며, 조식을 숭상하여 山川齋에서 德山講約의 강규를 정하는 등 강학에 힘써 산청과 단성, 진주 일대에 다수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그의 학문은 기정진의 학설을 추종하여 매사에 천명 즉 천리를 구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를 중시하고, 의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체 행동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여 직접 언문을 지어 단성의 吏民들을 효유하여 결국 단발령을 철회하게 하였다. 이처럼 조성가와 최숙민은 각각 이 지역의 문단과 학계를 주도하면서 경상 우도 지역에 의리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의 학설이 굳게 뿌리내리게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relatively tolerant environment began to take shape owing to the rise of the newly established clans. It became possible to pursue a doctrinal faction of one`s own choosing. With every family clan vying to produce their own promising prodigy, who would make a name for themselve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r becoming a respected scholar, academic standards of the Jinju region rose higher than ever before. Every clan would set up their own "Seojae(study hall)" to dedicate themselves to learning. While building "Rujeong(pavilion)" in scenic spots, mostly in the Jirisan mountains or along the Deokcheongang river, to promote wide-ranging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Munjang(handwritten manuscripts)" even to the point of transcending political affiliations. Those keen on "Gyeonghak(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Seonglihak(Neo-Confucianism)" would study under renowned scholars like Gi Jeong Jin in the Honam region. Followers of Gi Jeong Jin living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would make their way to the Honam region taking the trail winding through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Jirisan mountains. Along these paths, lodging facilities like "Gaekjeom," and "Sajok(distinguished family`s household)" where you can exchange "Shimun(literary writings)," would be found scattered about, making traveling less of a chore.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Kim In Hu of Jangseong or the descendants of Jeong Yeo Chang of Hamyang, marriage between the leading families of the two regions was not an uncommon practice, thus canceling out any concerns of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All of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scholars flocking to study under Gi Jeong Jin as his reputation continued to grow.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o had the financial backings of the newly-risen clan in the 19th century, became notable figures among Gyeongsangwudo scholars. They had been closely involved in a poetry group fostered by Ha Dal Hong(1809-1877), contributing many compositions. They also went to Gi Jung Jin in Jangseong region delving into Seonglihak based on Ju-Ri philosophy. Jo Seong Ga kept close ties with literati of the Honam region,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reins from Ha Dal Hong to lead his poetry group, effectivel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and the Honam region. Jo was held in such high esteem that scholars like Choi Ik Hyeon, Song Byeong Seon, and Lee Jin Sang sought him out. Working closely with governors and local officials, Jo would implement "Hyang-Yak(Confucianist village code)," as a means of establishing order in provincial districts. Later, he was to head "Namgye Seowon(lecture hall)," exercising his influence in newly enacting academic code of conduct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dedicated to Jo Shik. Choi Suk Min though he was from the Namin faction, chose to study under Gi Jeong Jin establishing close ties with the likes of Lee Hang Ro and Lee Jin Sang. He was to interpret Gi Jeong Jin`s theories in terms of "Shim-Jeuk-Lee(心卽理)" philosophy`s perspective. After studying "Seonglihak" under Gi Jeong Jin, he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with his alumni. As a sign of utmost reverence for Jo Shik, Choi would institute academic code of conduct called "Deoksangangyak" in Sancheonjae. His commitment to education has turned out many scholars from Sancheong, Danseong, and Jinju region. Choi`s philosophy, which follows in the footstep of Gi Jeong Jin`s theories, is in realizing the truth in everything. In line with this logic is to place the utmost importance on ethical order according to "Sam-Gang-Oh-Ryun(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denouncing any behavior contrary to righteousness and reason. On this account, when "Danbalryeong(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proclaimed in 1895, Choi personally wrote a written protest using Korean alphabets in opposition, asserting that it ran counter to reason. This incited the citizens of Danseong, and Danbalryeong was soon called off.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ile leading the learned circles of this region, made doctrines of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righteousness take root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 KCI등재

        「외필(猥筆)」의 사상적 단초를 찾아서 - 기정진(奇正鎭)과 조성가(趙性家)의 문답을 중심으로

        양순자 ( Soon-ja Yang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3 No.-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3)는 노사 기정진의 곁에 가장 가까이 머물면서 학문적 질정을 거듭하였고, 노사가 애써 드러내지 않았던 그의 학문적 입장을 이끌어 낸 노사의 고제(高弟)이다. 노사의 이기론적 입장이 집약된 「외필(猥筆)」은 노사가 조성가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노사와 조성가의 문답을 통해서 「외필」의 철학적 단초를 찾아보고, 노사와 조성가의 이론적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노사는 제자 조성가의 질문에 자극을 받아 리의 기에 대한 주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노사는 조성가와의 문답에서 처음에 태극(太極)이 동정(動靜)의 지극한 표준일 뿐만 아니라 동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후 노사는 ‘천명(天命)’이 하늘과 주재의 의미를 겸하는 말이며 리(理)가 기(氣)의 주인임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노사가 보기에 ‘천명’은 리가 잃어버린 권한을 되돌려주는 개념이다. 결과적으로 노사는 「외필」의 첫 구절에서 ‘천명’ 이외에 동정하게 만드는 것은 없다고 단언하게 된다. 조성가는 율곡이 “기자이 비유사지(機自爾, 非有使之)”라고 말했을 뿐만 아니라 리가 음양동정의 소이연(所以然)임을 분명히 밝혔기 때문에 리의 기에 대한 주재를 충분히 드러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율곡의 이론을 주기(主氣)로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그에 반해 노사는 율곡의 “기자이”는 타는 것이 위이고 태우는 것이 아래임을 드러내주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형이상인 리와 형이하인 기가 ‘상하(上下)’ 관계임을 분명히 보여주지 않는다. 따라서 “기자이”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으며 ‘소이연’과 양립할 수 없다. 노사는 율곡의 이론은 단지 유행(流行)에 관한 것이며, 유행의 측면에서 보면 율곡의 이론을 ‘주기’로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생각했다. Jo Seong-ga (1824-1903) was one of Nosa's oldest disciples who stayed closest to Nosa and frequently asked him academic questions and get his academic position out, which Nosa himself had not been trying to reveal. The "Oepil," which focuses on Nosa’s theory of li-qi, was written by him to answer questions from his disciple, Jo Seong-ga. This paper seeks to find philosophical clues of the "Oepil"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them, and to show their differences regarding Neo-Confucianism. Nosa was inspired by the questions of his disciple, Jo Seong-ga, and moved toward further strengthening li’s superintendence over qi. In their conversations, Nosa first said that Taiqi is not only an ultimate standard for the movement and stop of qi, but also makes qi move or stop. Later, however, Nosa argued that “The Heavenly Mandate”, connoting both Heaven and superintendence, is the best indication that li is the master of qi. Accordingly, “The Mandate of Heaven” is the concept by which li can regain the lost authority from qi. As a result, Nosa asserted that there is nothing to move or stop qi than “The Mandate of Heaven” in the first sentence of the “Oepil.” In Jo Seong-ga’s opinion, Yulgok has fully revealed that li superintends qi because he said “The frame moves itself, but there is nothing to move it.” but also made it clear that li is the reason by which yin is quiet and yang is active.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evaluate Yulgok's theory as “qi-preferred one.” Nosa, on the other hand, thought Yulgok's theory does not clearly show the fact that li is above qi. Therefore, the expression “The frame of qi moves itself.” is not appropriate and is incompatible with “Li is the reason by which things are as they are.” Therefore, it is plausible to consider Yulgok's perspective as a “qi-preferred theory.”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의 학자적(學者的) 생평(生平)과 시(詩)의 특성(特性)

        허권수 ( Kweon Soo Heo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月皐 趙性家는 19세기에 굴기한 慶尙右道의 대표적인 학자로서, 경사우도의 蘆沙學派의 首長 역할을 하였다. 어릴 때부터 月村의 문하에서 학문에 전념하였고, 장성한 이후로 蘆沙 문하에 30년을 출입하였고, 蘆沙 만년에 「猥筆」을 전수받을 정도의 대표적인 학자로 인정을 받았다. 또 노사 사후 노사를 모신 高山書院에 首位로 從享되어 노사의 首弟子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月皐는 스승의 주된 학문 분야인 性理學에 관한 著述은 하지 않았다. 朱子 등 先賢들이 이미 다 해 놓았기 때문에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는 南冥이 `程子, 朱子 이후로는 꼭 저술을 할 필요가 없다`는 말과 상통한다. 朝鮮後期 학자들은 대부분 性理學을 위주로 공부하였는데, 사실 독창적인 새로운 학설은 별로 없고, 늘 비슷한 주장이 많았다. 그리고 性理學에는 논란이 많다. 學派와 학파간은 물론이고 심지어 스승과 제자 사이에도 學說이 달라 사이가 나빠진 경우도 많았다. 月皐의 내면을 살펴보면 실제로 그는 性理學에 그렇게 큰 관심이 없었다. 복잡한 禮學 논의에도 관심이 없었다. 여타의 蘆沙 제자들과도 크게 다르다. 그가 늘 읽기를 권유한 책은 經晝와 朱子의 저서였지만, 그 자신은 성리학에 관한 저술은 물론이고 언급도 거의 하지 않았다. 月皐의 長處는 詩에 있었다. 그는 타고난 특출한 시인이다. 感覺이나 表現伎倆이 다른 사람보다 월등하게 뛰어났다. 그리고 그는 천부적으로 시 짓기를 무척 좋아하였고, 長篇鉅製도 물 흐르듯 지어내었다. 특출한 詩的인 才能을 가진 사람이 아니면 도저히 지어내기 힘든 능력이다. 월고의 시의 경지는 平淡하면서도 淸雅하다. 특히 詩語가 세련되고 표현기법이 精巧한데, 山水自然이나, 人情世態의 묘사에 뛰어났다. 그러나 정치의 모순, 위정자의 비리, 농민들의 고통상, 당시의 내외정세 등 현실문제를 다룬 시는 거의 보기 어렵다. 그의 관심이 天人合一的인 觀念世界나 修己에 치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 性理學을 공부한 큰 학자지만, 성리학적인 저술을 남기지 않은 대신, 수준 높은 시 작품을 많이 남겼다. 시 속에 그의 개성이나 사상, 학문, 취향 등이 나타나 있다. 그의 시의 분위기는 宋元의 性理學者들의 분위기가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Cho Sungga, his pseudonym was Weolgo, was the scholar of Gyeongsang wu province. He was educated under Ha Dalhong, his pseudonym was Weolchon, after growing to 27th-years, he had received instruct of the great scholar Gi Jungjin, his pseudonym was Nosa. From that time he had kept on receiving during 30 years. At the last part of Nosa`s life, Weolgo solely received Oypil, Nosa`s representative thesis of philosophy of human and nature, and after the death of Weolgo, he have enshrined as the attached status at the sacrificial ceremony in Gosan classical academy which have offered sacrifices to Nosa, because he was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disciple of Nosa. He did not willing to write essays of philosophy of human and nature. He also did not willing to write essays about rules of manners and custom. He have had his cherished opinion that it was need not to write essays of philosophy of human and nature, as Zhuxi had already written, the scholars after Zhuxi needed to practice what they had known. For after of Tuixi, there were many scholars researching philosophy of human and nature in Chosun dynasty, but their conclusions were substantially alike. In addition to that, there were many argument and party abuses between them. If we confront facts boldly, Weolgo looked upon as endowed poet. At this point he was different from his teacher Nosa and alumnae. His poetical imaginations and craftsmanships of expression were prominent above others. He could write long and great poetry with difficulty effort. The Atmosphere of his poetry was prosaic and elegant. His poetic words were polished and elaborat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as poetry were to depict the ways of world and landscape. But he was not concerned about the realistic problem. His thoughts of philosophy of human and nature have be implied in his poetry. Therefore the atmosphere of his poetry took after Neoconcian scholars` works. If we will research his poetry very exquisitely, we can define his true characters as scholar.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경상우도(慶尙右道)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학존숭(南冥學尊崇) 양상(樣相)과 그 본질(本質)에 대한 고찰(考察) -조성가(趙性家), 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u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m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명리지학(明理之學)"으로서의 심론(心論)

        김근호 ( Goun Go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최숙민의 `명리지학`으로서의 心論을 究明하면서 l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던 성리학 담론의 일면과 당시 성리학자들의 학문적 공감대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최숙민은 조성가와 정재규와 함께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우도 지역에 노사학파의 학문을 확대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노론의 色目을 가지고 있었던 조성가나 정재규와는 달리, 그는 남인의 색목을 가지고 있으면서 기정진의 문하에 들어갔다. 이것이 정치적 관계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학문적 교유를 전개하였다는 측면을 짐작하게 해 준다. 기정진의 직전제자이면서도 화서학파, 한주학파, 안동의 퇴계문인 등과도 학문적 교유를 확대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적 교유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학문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보인다. 특히 `明理之學`을 성현들의 학문이라고 전제하면서 `心卽理`라는 心論을 형성하고 있는 최숙민의 학문은 노사학파의 입장에서 보면 독특한 일면이다. 그러나 心을 중심으로 한 학문적 경향성은 그의 학문뿐만 아니라 한주학파, 화서학파 등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숙민의 心論은 기정진이 부정했던 `心卽理`를 오히려 긍정하였다는 측면에 학문적 특징이 있지만, 이것은 理의 氣에 대한 현실적 우위성을 확보하여 理主氣僕의 가치론적 상하관계를 공고히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理의 절대적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경향을 보이는 기정진의 학문을 현실적 측면으로 까지 확대·강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理의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학문적 노력들은 최숙민뿐만 아니라 그가 교유하였던 학파들이 공유하였던 성리학적 문제의식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變亂의 늪에 빠진 조선을 구하고자 했던 성리학자들의 현실적 고뇌가 당겨 있다. Neo-Confucianists of Chosun in the 19th century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A concept of School of Mind signified that mind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while their mind theory maintained that mind isn`t the origin of universe because of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心性之辨). However, why did they justify the mind theory although their theory was criticized by reason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propositions. Their purpose could be confirmed Choe Suk-min(1837-1905)`s mind theory. He tried to theorize `Mind is principle`, which Ki Jung-jin(奇正鎭), his teacher, denied the proposition `Mind is principle` and maintained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 There was some reason why he insisted the mind theory against Ki Jung-jin`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事氣). First, there was a realistic agenda on the realization of Li(理) in his mind theory. In theory it made the material force(氣) always to carry out the order of Li(理). So, they believed that it was up to Li to take the realistic initiative in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Second, it provided a sound theoretical basis to keep on their cultural styles on the moral base and system of Neo-Confucianism. The cultural style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hosun dynasty. Through the `Mind is priciple` theory he tried to get over his social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Finally, Li is principle without the realistic power, but Mind(心) has the realistic power on realization of Li according to his theory. And then he focused on Mind and tried to prove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

      • KCI등재

        19세기 남명학파의 동향 일고찰 -월촌(月村) 하달홍(河達弘)의 삶과 교유활동을 중심으로-

        박동일 ( Dong Il Park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月村 河達弘은 19세기 강우지역에서 활동했던 학자이다. 그는 실용 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을 가지고 南冥 曺植과 謙齋 河弘度를 존숭하며 慕寒齋에서 강학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로써 인근의 학자들을 운집시키 고 그들에게 남명학파로서의 의식을 고취시켰다. 이때 月皐 趙性家ㆍ 溪南 崔琡民ㆍ東寮 河載文ㆍ克齋 河憲鎭ㆍ斗山 姜柄周ㆍ尼谷 河應魯 등이 그의 문하에서 종유하였다. 이후 조성가와 최숙민은 하달홍의 인도 아래 보다 체계적인 학문을 위해 노사학단에 나아가 奇正鎭에게 수학하였다. 한편 하재문과 하헌 진은 본거지로 돌아가 寒州 李震相과 교유하였고, 강병주와 하응로는 性齋 許傳에게 나아가 집지하였다. 조성가와 최숙민이 노사학단의 핵심인물로 자리매김한 것에 비해 하재문이 한주학단에서나 강병주가 성재학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 리 크지 않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남명을 존숭하고 학문의 실천성을중시하는 남명학파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는데, 하나는 하달홍의 모한재 강학이 남명학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하달홍이 노사학파와 친밀성이 깊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하달홍은 19세기 하동과 인근 강우지역의 문인들에게 남 명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고 보다 큰 학문을 접할 수 있도록 발판의 역할을 해 주었으며, 이를 통해 그 문인들은 남명학파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각자의 학문을 발전시켜 나갔던 것이다. Ha Dal-hong(河達弘, 1809~1877) was a scholar who worked in the Rainfall Area. He respected Nammyeong(南冥) Jo-Sik(曺植)ㆍ Kyumjae(謙齋) Ha Hongdo(河弘度) besides had a practical academic tendency. And gatherd the young scholars around as inspired the Nam-myoung school``s consciousness. Especially scholars such as Wolko(月皐) Cho Sung-ga(趙性家), Gyenam(溪南) Choi Suk-Min(崔琡民) gatherd there When he was studying at Ha Hongdo``s school Mohanjae(慕寒齋). Since then, Cho Sung-ga and Choi Suk-Min enterd the Nosa School of Ki Jung-jin(奇正鎭) for systematic studying under his leadership. Other scholars enterd the Han-ju School of Yi jin-sang or Sung Jae School of Heo Jeon. Even though they said they had a different academic orientation emphasized the practical academic tendency. And they had a identity as Nam-myoung school``s scholar. So Ha Dal-hong had a great influence in that Rainfall Area``s people had a identity as Nam-myoung school``s scholar, Through this, he receives a rating that succeed to the Ha Hongdo``s learning.

      • KCI등재

        서부경남지역의 동학농민혁명 확산과 향촌사회의 대응- 조성가(趙性家)의『월고일기』(『月皐日記』)를 중심으로-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1 No.-

        본고는 서부경남지역의 저명한 학자로서 동학농민혁명에 관해 상세한 기록을 남긴 조성가의 『월고일기』를 통해 서부경남지역의 동학의 확산과 향촌사회의 대응을 살핀 것이다. 서부경남지역은 관리들의 탐학과 혹심한 가뭄으로 자주 민란이 일어나고 있었으며, 호남지역 동학농민혁명을 계기로 동학농민혁명이 발발하게 되었다. 1894년 4월 산청 덕산에서 백낙도 등의 동학교도들이 처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7월부터 호남지역의 지원을 받아 덕산의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다시 활발하게 재개되었다. 동학농민군은 8월 19일부터 곤명의 봉계와 진주의 마동 일대에 모이기 시작하였으며, 동학농민군에 비판적인 사족들을 체포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9월 초 섬진강을 건너온 순천, 광양의 영호도회소나 구례 등지를 거쳐 남원 등에서 온 호남지역 농민군과 함께 하동, 진주, 사천, 곤양 등지를 동학농민군이 장악하게 되었다. 동학농민군은 폐정개혁과 왜적의 침입을 막아낸다는 명분하에 대규모로 집결하였기 때문에, 진주 병영이나 관아에서도 동학농민군의 기세를 막아 낼 수 없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관군과 일본군이 합세하여 서부경남지역 동학농민군을 공격하게 하였다. 그 중 가장 큰 전투는 10월 14일 전개된 하동의 고성산성 전투였다. 동학농민군은 전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무기와 전투기술에 눌려 끝내 동학농민군은 패배할 수 밖에 없었다. 이어 이곳에 관군이 진격하고 진주 우병영의 활동이 본격화되면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종식되게 되었다. 당시 동학농민군의 활동에 맞서 경상 우병영에서는 각 지역의 사족들을 군무참모관으로 임명하고, 지역별로 성첩을 수리하고, 군량미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별로 요호(饒戶)를 대상으로 군무참모관을 뽑아 향회를 개최하고, 성첩을 수리하고, 군기를 보수하였으며, 군량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당시 사족들은 경상우병영의 대책에 대해서 불만이 많았으나, 어쩔 수 없이 자금을 제공하고, 군무에 종사할 수 밖에 없었다. 각 마을에서는 오가작통제를 강화하고 산에 보를 축조하였다. 오가작통제는 경상감영의 지시로 실시되었는데, 각 洞에 오고가는 자를 살펴서 수상한 자취가 발견되면 통수→두령→통장→영수→관아→감영으로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보는 진주 우병영의 지시로 단성이나 옥종면 일대의 산에 많이 축조되었다. 월횡리에서 축조한 사림산 보의 경우, 보의 축조에 마을 사람 전체가 동원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산의 정상에 성문을 축조하고 보 안에는 사람들이 머무를 수 있는 집을 지었다. 그리고 식수원과 연결하는 길을 내었다. 그러나 이 보는 땅이 좁아서 마을 사람들이 거주하기 불편하였고, 동학농민군의 신속한 공격에 맞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오가작통이나 보의 축조에도 불구하고, 마을에서는 동학농민군에 가담한 인물이 점차 늘었다. 월횡리에는 최소한 두 개 이상 동학농민군 조직이 있었으며, 10월 초 일본군이 진격해옴에 따라 마을 사람들이 동학농민군에 강제 징집되었다. 대부분 탈출하였으나, 상당수가 동학농민군을 따라 백곡, 수곡, 북평을 거쳐 이동하였으며, 고성산성 싸움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이 고성산성에서 패배함에 따라 전투에 참여하였던 사람들은 죽거나 피신하였으며, 월횡리에는 도인과 속인의 조사가 시작되면서 동학농민혁명이 막을 내리게 되었다. In this study, prolifer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nd the contingency measures of the rural society is examined through 『Wolgoilgi』by Cho Seong-Ga, a celebrated scholar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who kept detailed records of the even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stern Gyeongnam region saw a number of insurrections as a result of corrupt government officials and severe droughts. In tim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f Honam eventually sparked a revolt in the reg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Donghak zealots such as Baek Nak-Do had been executed in Deoksan of Sancheong in April of 1894, around July Donghak peasant forces in the Deoksan area began to resume operations. Starting from 19th of August, Donghak peasants begin to gather around Bonggye of Gonmyeong and Madong of Jinju and set about rounding up local gentries who were critical of the Donghak movement. Later in early September, with the support from Suncheon and Gwangyang`s Yeongho chapter, who came crossing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Honam peasant troops, who came from Nawon via Gurye, the peasant forces were able to control Hadong, Jinju, Sacheon, and Gonyang region. Donghak peasants assembled under the banner of "reform abusive systems," and "banish Japanese invaders." Jinju army and even the government authorities were unable to fend off advances made by the peasant troops. When the Donghak forces took over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 three way battle between government troops, the Japanese, and the Donghak peasants ensued. The biggest clash of them all was the battle of Goseong fortress in Hadong. On the day of October 14, they took to battle in Goseong fortress. Routed by the advanced weaponry and combat skill of the Japanese, Donghak peasant forces had no choice but to suffer defeat. Subsequently, as the government troops made military gains and as the activities of the Jinju regiment began to resume full operation, campaign of the Donghak peasants was stamped out altogether. To ward off advances of the Donghak peasant forces Gyeongsang military headquarters appointed the local gentry as military staff officers, while repairing local fortresses and stocking up on military provisions. From the landed families 40 men were singled out to be appointed as military staff officers and were ordered to hold the hyanghoe in which plans for mending fortress walls, weaponry repair, and military wages were drawn up. There was widespread discontent among the local gentry at the countermeasures of the Gyeongsang military headquarters. However despite trying to dodge enlistment, had no choice but to serve in the military on top of paying a lot of money. Moreover, by the order of the Gyeongsangkamsa, western Gyeong- nam region tried to solidify its inhabitants by reinforcing the Oga- jaktong network which was basically a centralized reporting system. Once suspicious person or activity is detected, it would be reported to the chain of command in the order of Tongsu→Duryeong→Tongjang→Yeongsu→Gwan-a→Gamyeong. Furthermore, by the order of the Gyeongsang military headquarters, Okjong and other Danseong region saw an increase in the mountain fortress wall. In case of the Sarimsan fortress constructed by Wolhoengri, the whole villages would be deployed when constructing mountain fortress walls. Fortress gates would be raised and a dwelling place for the villagers would settle near mountain fortress walls as well as ducts layed out to channel water resources. However cramped space along the mountain fortress wall made it unfit for habitation and made it difficult to respond to the swift attack of the Donghak peasant troops. Also, as propagation of Donghak became more active, the number of villagers joining the Donghak cause went up. In Wolhoengri alone, there were at least two or more Donghak organizations. When the Japanese army made an advance in early October, villagers were forced into joining the Donghak troops. Although many were able to escape, considerable number followed Donghak peasant troops intoBeakgok and Sugok, all the way onto Bukpyeong, finally ending up in Goseong fortress taking part in the battle. Nevertheless, after the Donghak forces` defeat at Goseong fortress those that had engaged in battle either perished or fled. Thereafter in Wolhoengri inquiries to track down the ascetics began and that would mark the en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 KCI등재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ji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김근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Neo-Confucianists of Chosun in the 19th century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A concept of School of Mind signified that mind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while their mind theory maintained that mind isn't the origin of universe because of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心性之辨). However, why did they justify the mind theory although their theory was criticized by reason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propositions. Their purpose could be confirmed Choe Suk-min(1837-1905)'s mind theory. He tried to theorize ‘Mind is principle’, which Ki Jung-jin(奇正鎭), his teacher, denied the proposition ‘Mind is principle’ and maintained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 There was some reason why he insisted the mind theory against Ki Jung-jin'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First, there was a realistic agenda on the realization of Li(理) in his mind theory. In theory it made the material force(氣) always to carry out the order of Li(理). So, they believed that it was up to Li to take the realistic initiative in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Second, it provided a sound theoretical basis to keep on their cultural styles on the moral base and system of Neo-Confucianism. The cultural style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hosun dynasty. Through the ‘Mind is priciple’ theory he tried to get over his social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Finally, Li is principle without the realistic power, but Mind(心) has the realistic power on realization of Li according to his theory. And then he focused on Mind and tried to prove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 본고는 최숙민의 ‘명리지학’으로서의 心論을 究明하면서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던 성리학적 담론의 일면과 당시 성리학자들의 학문적 공감대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최숙민은 조성가와 정재규와 함께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우도 지역에 노사학파의 학문을 확대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노론의 色目을 가지고 있었던 조성가나 정재규와는 달리, 그는 남인의 색목을 가지고 있으면서 기정진의 문하에 들어갔다. 이것은 정치적 관계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학문적 교유를 전개하였다는 것을 짐작하게 해 준다. 기정진의 직전제자이면서도 화서학파, 한주학파, 안동의 퇴계문인 등과도 학문적 교유를 확대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적 교유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학문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보인다. 특히 ‘明理之學’을 성현들의 학문이라고 전제하면서 ‘心卽理’라는 心論을 형성하고 있는 최숙민의 학문은 노사학파의 입장에서 보면 독특한 일면이다. 그러나 心을 중심으로 한 학문적 경향성은 그의 학문뿐만 아니라 한주학파, 화서학파 등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숙민의 心論은 기정진이 부정했던 ‘心卽理’를 오히려 긍정하였다는 측면에 학문적 특징이 있지만, 이것은 理의 氣에 대한 현실적 우위성을 확보하여 理主氣僕의 가치론적 상하관계를 공고히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理의 절대적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理一元化 경향을 보이는 기정진의 학문을 현실적 측면으로까지 확대·강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理의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학문적 노력들은 최숙민뿐만 아니라 그가 교유하였던 학파들이 공유하였던 성리학적 문제의식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變亂의 늪에 빠진 조선을 구하고자 했던 성리학자들의 현실적 고뇌가 담겨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