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한글신문의 조선문화운동론

        조규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1

        In 1930s, Dongailbo and Chosunilbo carried often articles about national culture. They introduced ‘Chosun culture’ in an editorial or articles. Occasionally they emphasized preservation of historical remains, which were connected with historical heroes of Korea. Sometimes they stressed on protecting picturesque places in Korea, for example Keum-gang Mountain. So they developed Chosun culture movement. Writers of Dongailbo and Chosunilbo expressed their hopes of developing Chosun culture. But their thoughts about the methods of developing Chosun culture were not in accordance. First group of them, who thought ‘Chosun culture’ as all Korean’s aggregate power, wanted to increase Korean’s power of all parts. They intended to increase all sides of Korean’s power. Second group wanted to chang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to the Occidental culture. Namely they unfolded new culture movement. They accentuated on freedom, independence, self-control, and vitality instead of dependence and laziness. The representative person of this group was Lee Gwang-soo. They succeeded to the cultural movement theory in 1920s. Third group intended to develop traditional cultures and characteristic sprit of Korea. So they lay stress on ‘Dangoon’who was the founder of Old Chosun, and the science of Chosun. The representative persons of this group were Ahn Jae-hong and Moon Il-pyeong.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rticles of Chosun culture were disappeared little by little. On the contrary, articles of national sprit come into view step by step. In this times, Dongailbo and Chosunilbo followed the tone of articles of Maeilshinbo. 1930년대 한글 신문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전시체제 하 조선총독부의 동화정책이 진행되던 상황에서 민족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양 신문은 조선과 조선민족의 실상을 파악하라고 역설하고, 조선문화의 발전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두 신문의 기사의 내용과 논조는 동화정책의 강화와 전시체제의 공고화로 인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양 신문은 1930년대 초 이충무공ㆍ을지문덕ㆍ권율 등 위인의 유적보존에 관한 글과 조선의 정취, 민족정신, 조선의 독자성에 관한 글, 그리고 조선의 사상과 학문에 관한 글을 자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양 신문은 조선의 정신을 고취하고, 조선의 역사와 사상의 계승을 강조함으로써 조선의 문화를 유지 혹은 발전시키려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1930년대 후반에는 조선문화에 관한 기사의 내용이 변하였다. 위인과 관련된 유적의 보존에 관한 사설이 점차 사라지고, 대신에 勝景과 국토의 보존에 관한 글이 여러 차례 소개되었다. 또 1937년 이후에는 민족주의와 민족정신에 관한 사설을 대신하여 국민주의와 국민정신에 관한 글이 다수 실렸다. 두 신문의 사설에 소개된 조선문화 관련 기사의 내용이 이렇게 변화를 보인 것은 1930년대 초 우가키 총독이 ‘內鮮融和’의 정책에 따라 조선인의 자유로운 활동을 어느 정도 용인한 데 반하여, 1936년에 부임한 미나미 총독이 內鮮一體의 정책으로 동화정책을 강화한 것과 관련이 깊었다. 또 1937 중일전쟁 이후 국민총동원체제가 강화됨에 따라 조선인에게 忠良한 일본 臣民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강요한 데에 영향을 받았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사설에 보이는 조선문화운동론은 사상적 기저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민족의 실력양성을 주장하는 민족문화발전론이고, 둘째는 서구의 근대문화 수립을 지향하는 신문화건설론이다. 그리고 셋째는 우리 민족문화의 독특성을 찾아 이것의 계승을 주장하는 전통문화계승론이고, 넷째는 일본국민으로서의 도덕을 발흥할 것을 요구하는 국민정신작흥론이다. 민족문화발전론은 1920년대 실력양성론의 주장을 계승한 것으로 이광수로 대표되는 이른바 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한 이론이었다. 이 운동론의 입장을 지지한 논자들은 현재는 민족경쟁의 시대인 만큼 저급한 수준의 우리의 민족문화를 발전시켜 민족의 번영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민족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민족 모두가 각기 문화적 역량을 발전시키고, 특히 지식인과 유산자를 중심으로 한 중심세력이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을 주문하였다. 신문화건설론은 서구의 자율적 합리적 사상에 입각하여 조선의 사상과 문화를 혁신하여 서구의 근대문화를 수립할 것을 주장한 이론이다. 이는 1920년대 자유주의적 문화운동론을 주장한 민족주의 우파의 견해를 계승한 이론이다. 전통문화계승론은 우리의 역사에서 독특한 민족정신과 전통을 찾아 이것을 계승할 것을 주장한 이론이다. 이 이론을 주장한 사람들은 조선 말과 조선 글의 사용을 주장하였고, 조선학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등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이 이 이론을 주장한 대표적 인물이다. 국민정신작흥론은 1936년 미나미 총독이 부임하여 내선일체론에 입각하여 황민화정책을 강화하고, 국민정신총동원운동에 따라 국민정신작흥을 강요함에 따라 ...

      • KCI등재

        해방직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자리 만들기

        이재봉(Lee Jae Bong)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재일조선인 문학은 특정한 국가에 귀속시키려는 근대 국민국가적 욕망에서 벗어나 디아스포라 문학으로 바라볼 때 그 독특한 위치성이 밝혀질 수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1945년 조선의 해방과 일본의 패전이라는 역사적, 정치적 상황 아래서 재일조선인 문학이 어떤 위치를 만들려고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조선과 일본 그리고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재일조선인 문학은 스스로의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끊임없이 조선과 일본에 개입한다. 따라서 재일조선인 문학 역시 조선과 일본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었다. 󰡔민주조선󰡕의 필자가 재일조선인, 일본인, 본국의 조선인 등으로 나뉘어 있는 것 등에서 이런 성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조선과 일본에 동시에 개입해야 하는 이 독특한 위치성은 재일조선인들이 조선을 적극적으로 번역하는 행위로 나타난다. ‘재일조선문학회’가 ‘조선문학가동맹’의 강령을 거의 그대로 번역한 것이나 조선을 배경으로 삼은 문학작품이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표현이라도 발화 위치와 문맥에 따라 번역의 의미는 달라질 수밖에 없었고 조선은 여전히 식민지적 모순에 가득 찬 공간으로 번역된다. 그래야만 재일조선인은 일본이라는 식민지 종주국 공간에서 일본인들과 공동투쟁 또는 공생의 명분을 마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재일조선인은 일본인들에게 적극적으로 번역되어야 하는 존재이기도 했다. 󰡔민주조선󰡕의 창간 목적 중의 하나가 조선과 재일조선인에 대한 왜곡된 일본의 시선을 바로잡는 것이었다는 점은 여기서 기인한다. 조선과 일본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번역하는 존재임과 동시에 번역되어야만 하는 존재였던 재일조선인 문학은 바로 이 때문에 이미 세계성을 띠게 되고 그들의 문학은 상호문학적 과정이라는 특성의 세계문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The unique positionality of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can be revealed when it is viewed as a diaspora literature, which gets out of the modern national desire of imputing to a certain nation. This paper, approached in this terms, intended to look into which positionality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tried to make under the historical,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liberation and Japan defeat in 1945. In the circumstance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international changes,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continuously intervened in Korea and Japan to establish their own status. Thus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also had an innate respect for Korea and Japan at once. It is possible to judge from the fact that the authors of 『Minju Chosun』 were composed of the Koreans in Japan, Japanese and inland Koreans etc. The unique positionality, intervening in Korea and Japan at once, is outed as behaviour that the Koreans in Japan translated Korea actively. That is why ‘The Association of Choseon Literary Writers in Japan’ translated the organizational statement of ‘The Union of Chosun Literary Men’ to the letter and there were many literary works with Korea setting. However it has been inevitable that the same expression differed in accordance with utterance places and contexts and Korea is still translated as a space filled with colonial contradiction. Only then could the Koreans in Japan get justification for joint struggles or symbiosis with Japanese in space of Japan, the country from which colony originated. Besides, the Koreans in Japan were beings translated by Japanese positively. That contributes to the point that one of the purposes for 『Minju Chosun』 foundation was to correct distorted views on Korea and the Koreans in Japan.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was a translated being as well as a continuously intervening in Korea and Japan and translating being, and because of this, it has already taken on globality and their literatures have showed world literary character that is inter-literary process.

      • KCI등재

        식민사관의 차질(蹉跌) : -조선사학회와 1920년대 식민사학의 제도화-

        정준영(JUNG, Joon-Young) 한국사학사학회 2016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4

        이 논문은 1923년에 조직되어 대략 193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던 조선사학회라는 일본인 단체에 주목하면서, 1910년대 후반 이후 일제의 식민사학이 어떤 딜레마적 상황에 처해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20년대 들어 어떻게 식민지 관변사학의 제도화를 모색했는지를 검토했다. 1923년 설립되어 1924년에 이르기까지 왕성한 활동을 전개했던 조선사학회는 식민사학의 제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보았듯이 여러모로 전환기적 성격이 강했다. 조선사학회가 설립되었던 것은 1916년 조선총독부가 의욕적으로 출범시켰던 ‘조선반도사’ 편찬사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사실상 중단된 이후 1922년 조선사편집위원회가 설치되어 관변 역사편찬의 새로운 전환을 모색했을 무렵이었다. 이런 전환의 시점에서 조선사학회는 1910년대 조선반도사 편찬사업이 가졌던 식민지 통사의 문제의식, 즉 조선이 식민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서 통시대적으로 서술한다는 지향을 계승하면서도, 관변통사 자체가 가지는 자기모순, 즉 역사연찬과 역사보급 사이의 딜레마를 ‘지상강의(紙上講座)’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취해서 극복하려 했다. 하지만 이런 조선역사의 보급이 과연 실효를 거두었는가 하는 것은 여전히 문제가 있는 듯이 보인다. 실제 서술에서 조선사강좌가 과연 누구를 독자로 겨냥하고 있었는지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과연 이런 통속강좌로 조선인들에게 의도했던바 의식의 개선이 당시에 이루어 졌는지도 의문의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Chosensigakkai, or The Chosun History Society was established by Oda Shogo(小田省吾), the high-ranking officer of the Chosen Governor-General and the Japanese historians who served for government in Colonial Korea, and was officially accredited as a “academic society in 1923. This association held many academic lectures for a year since its foundation, and published and distributed lecture note, The Lecture of Chosen History(朝鮮史講座) every month. Especially, the publication of this lecture note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osenhantosi(朝鮮半島史) compilation project that the colonial state had promoted enthusiastically in the 1910s promoted enthusiasticall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compile a unique Korean history in perfection from the viewpoint of Japan. But, this project failed and the colonial state changed its direction. In this sense, the activities of Chosensigakkai in the 1920s can be located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lonial historiography.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lonial historiography through analyzing the activities of Chosensigakkai in the 1920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월남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술을 중심으로-

        김택중 ( Taek Joong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21세기 현재 한국과 월남 양국은 물적 교류와 인적 교류 상 아시아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적 파트너이며 전략적 동반자 관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역사적 관계로 근대 이전 한월 양국 간의 교류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한국과 월남은 직접적인 교류가 거의 없었다. 때문에 본 논문 주제에 관련된 자료 역시 매우 희소한 편이다. 본문은 주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조선사행의 보고서를 근거자료로 근대이전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인식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한국과 월남 간에는 오늘날처럼 직접 상대국을 오고가는 인적 교류와 물적 교류가 없었다. 때문에 조선의 월남에 대한 정보 혹은 인식은 주로 양국 사신들이 만나는 중국의 수도 북경에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대체로 한국사신이 중국에서 중국정부로부터 월남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우, 중국정부가 조선정부에 조서 등을 통해 월남에 대해 알려주는 경우, 한국사신이나 통역관이 중국에서 월남의 사신이나 통역관을 직접 만나 상호 간의 정보를 주고받는 경우 등이 있다. 둘째,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인식의 범위는 월남내부의 큰 정치변동에서부터 대중국 외교정책과 공물내용, 천주교 탄압, 국호 변경, 의관 풍습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정치방면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인물의 이름과 행적 등과 같이 정보의 내용이 매우 상세하다. 시대는 어느 한 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월남의 호(胡) 왕조로부터 후기의 완(阮) 왕조에 이르기까지 근대이전 월남의 각 시대를 망라하고 있다. 셋째, 조선시대 조선은 다른 무엇보다 월남의 정치적 변동과 그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월남정책 및 월남의 대중국 사대정책이나 조공관계 등에 대해 지대한 관심과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조선 역시 중국 중심의 중화질서 속에서 월남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자신의 안위와 존립을 지키고자 하는 관심에서 나타난 현상일 것이다. 넷째,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중국을 통해서 얻는 정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정보의 내용이 객관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에 중국의 대월남관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역시 부정확한 면이 있음과 동시에 중국의 월남에 대한 관점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 다섯째, 조선시대 조선은 중국 중심의 아시아 국가 중에서 중국을 제외한 가장 뛰어난 문화국가라는 자부심과 우월감을 지닌 채, 의관 풍습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월남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경시하고 무시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조선시대 한국은 월남과 직접적인 교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사신들의 학문교류와 정보교환, 혹은 중국의 조서나 대외발표문 등과 같은 간접적인 방식을 통해 예상외로 월남의 각 상황에 대해 많은 정보를 확보하고 또한 그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現在韓越兩國在經濟和戰略上흔重要關係.可是因地理和歷史的背景,20世紀以前韓越兩國之間흔少人和物的往來或交流.尤其是朝鮮時代幾乎沒有韓越兩國之間直接交流.從而也흔少有關本論文的資料.因此本文主要根據朝鮮王朝實錄所記述朝鮮使行的報告文,探索朝鮮對越南的認識.其結果如下.第一,朝鮮時代在韓越兩國之間從未有像現在的直接交流.因而朝鮮要獲得對越南的情報,主要依據在中國首都北京所進行的資料.在其資料有幾種,一.朝鮮使臣由於中國政府的報告書得到越南的狀況,二,中國政府通過詔書等告訴朝鮮政府對越南的情況,三,朝鮮使臣和通譯官與越南使臣和通譯官在北京面對而互相交換情報.第二,朝鮮時代對越南的理解範圍有廣範而多樣,如從越南內部的政治變動至越南對中國外交政策和供物內容,天主敎彈壓,國號變更,衣冠風習等.特別朝鮮在對越南的政治方面認識흔詳細,如對人物的姓名和行爲等比較具體的了知.此外,時代範圍也是不局限於特定時代而網羅近代以前的全越南時代如從胡王朝至阮王朝.第三,朝鮮關於越南的政治變遷,越南對中國的事大主義和朝貢政策等持有至大的關心和敏感的反應.此目的是朝鮮亦在中國中心的中華秩序上,以越南當作他山之石,爲了保持朝鮮自身的安危和存立.第四,朝鮮時代對越南的情報,大部分是從通過中國而獲得.所以其情報的內容不但不客觀,而且多包含中國的觀點.從而在朝鮮對越南的認識上難免有不正確的部分,同時在其認識內多作用於中國的對越南觀.第五,近代以前以中國爲中心的亞細亞國家中,朝鮮以爲除了中國以外朝鮮具有最優秀的文化,持有此種自負和優越感的朝鮮相對越南具有輕視和無視的傾向.總而言之,雖然朝鮮時代朝鮮與越南從未有直接交流,但是朝鮮通過像韓越兩國使臣的學問交流和情報交換,或中國的詔書和對外發表文等間接交流方式,得到多方面的越南情況而據此了解越南.

      • KCI등재

        일제강점기 『朝鮮名勝詩選』의 구성 방식의 특징과 자료적 가치 연구 -「京畿道 京城」을 중심으로-

        강수진 한국고전번역학회 2022 고전번역연구 Vol.13 No.-

        Joseonmyeongseungsiseon(Collection of poems on scenic sites of Joseon Dynasty, 『朝鮮名勝詩選』) is a collection of poems compiled by Narushima Sagimura in 1915, and it is composed to introduce the scenic spots in Joseon at the time and the poems about them. In the 1910s when the material was compiled, it was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Japan tried to develop tourism resources in Joseon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ith the development of railroads. Joseonmyeongseungsiseon was compiled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Joseon's scenic spots by a Japanese official who worked in Joseon,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at distinguishes Joseonmyeongseungsiseon from tourist-related books compil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 that it contains the scenic spot-themed works which were created under the title of ‘siseon(詩選)’. In other words, it has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books in that it selects scenic spots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m,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of potes in that it collects and contains the poems related to scenic spots. Narushima organized the content of Joseonmyeongseungsiseon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part contains information about scenic spots, especially based on the circumstances in the 1910s, whereas the lower part contains poems about scenic spots - mostly, the works crea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nce Narushima selected scenic spots at the time of compilation and brought the relelated poems from old books such as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the placeness of scenic spots described in the upper part does not match the placeness expressed in the poems. The reason Narushima organized the book in this way was because he wanted to compile a book different from the geography books and tourist books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Narushima’s Joseonmyeongseungsiseon was intend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collection of poems and a geography book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cenic spots while compiling a collection of poems with a focus on wayu(臥遊). Its value as the material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he compiled a book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geography book and a collection of poems. 『朝鮮名勝詩選』은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가 1915년에 편찬한 시선집으로, 당시 조선의 명승과 이를 소재로 창작된 시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자료가 편찬된 1910년대는 일제강점기 초기로, 당시 일제는 철도의 발달을 토대로 조선총독부의 주도하에 조선의 관광자원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朝鮮名勝詩選』은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조선에서 근무했던 일본 관료가 조선의 명승을 소개하려는 목적으로 편찬한 것이다. 『朝鮮名勝詩選』이 조선총독부 주도하에 편찬된 관광 관련 책자와 구분되는 점은 ‘詩選’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명승지를 소재로 창작된 작품을 수록하였다는 것이다. 즉, 이 책은 명승을 선정하여 그곳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리지의 특징을, 그리고 명승과 관련된 시를 모아서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詩選集의 특징이 있다. 『朝鮮名勝詩選』의 내용을 살펴보면 본문은 상하단으로 나뉘어 있는데, 상단에는 명승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하단에는 명승에 대한 시를 수록하는 방식으로 그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상단에 기록된 정보에는 일제강점기 초기의 조선 상황이 반영되어 있으며, 하단에 수록된 시는 대체로 조선 전기에 창작된 작품이다. 이처럼 나루시마가 1910년대에 식민지 본국 관료의 입장에서 조선의 명승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시는 『新增東國輿地勝覽』과 같은 고서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상단에서 설명하는 명승의 장소성과 시에서 표현하는 장소성이 일치하지 않는다. 나루시마가 이러한 방식으로 책을 구성한 이유는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지리지, 관광지와는 성격이 다른 책을 편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나루시마는 자신이 선정한 명승의 경관을 이미지로 전달하기 위해 명승을 소재로 창작된 시를 모아서 詩選集을 편찬하되, 명승과 관련된 역사적ㆍ지리적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지의 특성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朝鮮名勝詩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는 당시 일제의 관광 정책을 수용하여 地理志의 특성을 포괄한 詩選集이라는 측면에서 당시에 나온 지리지, 관광지와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더불어 이 책을 통해 일제강점기 초기의 지리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자료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1920년대 『朝鮮文 朝鮮』의 내용구성과 특징

        이승원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2

        the ChosSunMoon ChoSun is a Korean-language magazine of "Chosun"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o promote accomplishments. Compared to the official version of the Korean version the "Chosun", the "ChosSunMoon ChoSun" had a intention to enlighten the Koreans on the superiority of government general policies and system. These contents can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contents. First of all, in the composition of the writer, there were a lot of Japanese writers, mainly in January 1924 (No. 76), but thereafter, the number of Korean writers increases. However, if there is a certain government general policy, increase the number of Japanese writers. This is the projection of the colonial policy of the governor-general in the "ChosSunMoon ChoSun". Also, these colonial policies are aimed at Koreans who do not cooperate with the Koreans who cooperate with Japan. However, since the “ChosSunMoon ChoSun” is the official magazine of the governor general, the contents are different when the governor is replaced. This is the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s when the third governors, Saito, and the fourth governor, Yamanashi, That's it. In this way, the composition of the “ChosSunMoon ChoSun” is,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s Office and the governor replace, shows in more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sSunMoon ChoSun” 『朝鮮文 朝鮮』은 조선총독부가 자신의 업적을 홍보하기 위하여 발간한 『朝鮮』의 조선어판 잡지이다. 관보적 성격이 드러나는 일본어판 『朝鮮』에 비해 『朝鮮文 朝鮮』은 조선인들에게 총독부의 정책이나 체제의 우수성을 계몽하기 위한 성격이 강했다. 이러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朝鮮文 朝鮮』의 내용구성을 살펴보면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 우선 민족별 필진구성에 있어서 1924년 1월(76호)을 중심으로 이전에는 일본인 필진이 많았지만 이후에는 조선인 필진이 비중이 대체적으로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조선부업품공진회와 조선박람회가 있던 1923년 10월과 1929년 10월에는 총독부에서 식민정책 홍보를 위해서 잡지에서 조선인 필진을 줄이고 일본인 필진과 공진회 및 박람회에 대한 내용을 대대적으로 늘리며 언급하고 있어 총독부의 식민정책이『朝鮮文 朝鮮』에 투영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이러한 식민정책은 지방의 조선인 면장과 면서기들을 대상으로 글을 싣고 홍보함으로써 일본의 식민체제의 우수성을 알리고 식민지배에 ‘협조’하는 조선인 유력자들과 ‘비협조’적인 조선인들 모두를 대상으로 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朝鮮文 朝鮮』은 총독부 기관지였던 만큼 그 내용구성에 있어서는 총독이 교체될 경우 편집방법과 내용이 달라질 수 있었다. 3대 총독인 사이토와 4대 총독인 야마나시가 부임하던 때 발간된 『朝鮮文 朝鮮』의 내용구성의 차이는 이러한 점을 보여준다. 즉 1928년과 1929년에 추가된 ‘總目次’의 의미와 잡지 초반의 글 구성이 대부분 일본인들이였던 것과 달리 1928년 이후에는 조선인 등으로 구성되는 점등이 그것이다. 이로써 『朝鮮文 朝鮮』은 조선부업품공진회와 조선박람회와 같이 총독부에서 관심을 가지고 진행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내용구성이 바뀌고 적극적으로 홍보에 앞서는 모습이 확인되었고, 이와 같은 정책을 지방의 면서기나 면장 등 ‘협력적’인 조선인들을 통하여 퍼져나가게끔 한다는 사실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총독이 누구냐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근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현실인식 - 재일불교청년단체의 기간지 『금강저(金剛杵)』를 중심으로 -

        제점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본 연구는 근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재일조선불교유학생의 현실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금강저』라는 근대 불교잡지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강저』의 기고문 중 그들의 현실인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판단되는 1920년대 후반에 전개된 일본불교시찰, 학인대회, 조선승려대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기고문에서는 조선불교계 현황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과 조선불교 부흥을 위한 새로운 개혁, 혁신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럴 경우, 일본불교학, 종교단체법과 같은 일본종교의 상황을 참고하면서 이보다 나은 조선불교를 상정 하였다. 하지만 『금강저』 간행에 있어 경제적 어려움과 조선불교계로부터의 소외감은 재일조선불교유학생이 느끼는 제국의 땅에서 경험하는 식민지민으로서의 또 다른 근대적 경험이었다. 이처럼 『금강저』라는 근대적 매체는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식민지와 제국 틈새의 근대적 고뇌가 ‘조선불교’라는 근대적 산물을 통해 표출되는 유일한 언설공간으로, 이른바 제국에서의 ‘조선불교’의 또 다른 모습이었던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a modern Buddhist magazine, Geumgangjeo (Vajra)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in Joseon Buddhist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cusses the magazine articles on the Surveys of Japanese Buddhism, Scholars’ conventions and Joseon Monks’ Conferences written in the late 1920s. These writings reveal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in contributions to Geumgangjeo. These contributions proposed inexorable criticism of the present status of Buddhism in Joseon, new reforms and theories of reform for the revival of Joseon Buddhism. Regarding the situations of Japanese religion, such as Japanese Buddhist studies and laws on religious groups, they introduced Joseon Buddhism better than Japanese Buddhism. And yet, in the publication of Geumgangjeo, financial problem and a sense of alienation from Buddhism in Joseon were other modern experiences Joseon Buddhist students in Japan as the colonized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e. The modern medium, Geumgangjeo was the only space for comments in which modern agony felt by Joseon Buddhist students in Japan as they experienced the gap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were expressed through a modern product, ‘Joseon Buddhism,’ which was so called another aspect of ‘Joseon Buddhism.’

      • KCI등재후보

        조선학교 선택에 있어 보이지 않는 경계선

        ITOHIROKO 재외한인학회 2018 在外韓人硏究 Vol.46 No.-

        Since liberation, Chosun School has been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Chosun residents in Japan" in a closed Japanese society. Particulary, economic, political and physical aspects, as well as the dilution and diversification of ethnic identity have led to a serious detachment of Chosun School. The Chosun School, which once had over 100 schools, now only has about 60 schools. If Chosun School is for Korean residents who have a blood line heritage from the Korean Peninsula, Chosun School's survival may not be a difficult problem. The problem is that Chosun School is a school for Old comer residents in Japan. In this study, I tried to draw Chosun School's invisible boundary through interviews with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did not choose Chosun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tudents attending Chosun School are "elite Chosun residents" so they are "other kinds of residents". Second, for Korean New comers," Chosun" is different from "Korea" so Chosun/Zainichi blood has a different meaning than "Korean blood". Third, the language that can be learned in Chosun School education is "Chosen-go" so it is recognized that it is a different language from "Korean". Because of these points above, there exists invisible boundaries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hosun School in terms of the blood line, ethnicity and language and some Korean residents were not able to or didn't want to choose Chosun School as a place of study. 해방 이후 조선학교는 폐쇄적인 일본사회에서 ‘재일조선인의 교육기관’으로 70년 이상 존속해왔으나 현재 학생 수 감소로 인한 통폐합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경제적, 정치적, 물리적 측면과 민족정체성의 희박화, 다양화 등에 따른 ‘조선학교 이탈(朝鮮學校離 れ)’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때 100개교를 넘었던 조선학교도 지금은 60여 개교에 불과하다. 조선학교가 한반도에 혈연을 가지고 있는 ‘재일한인’의 학교라면 학교 존속은 어려운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문제는 조선학교가 ‘재일조선인을 위한 학교’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학교를 선택하지 않았던/못했던 재일한인 4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조선학교의 ‘보이지 않는 경계’를 그려내려고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엘리트 재일조선인’이며 다니지 않는 학생과는 ‘다른 종류의 재일’이라는 것이다. 둘째, 뉴커머 재일한인에게는‘ 조선’은‘ 한국’과는 다른 곳으로‘ 조선/재일의 핏줄’은 ‘한국의 핏줄’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셋째, 조선학교 교육에서 습득할 수 있는 언어는 ‘조선어/재일어’이기에 ‘한국어’와 다른 언어체라는 인식이 있다. 이상과 같이 조선학교 내부와 외부 사이에 핏줄, 민족성 그리고 언어라는 측면에서 보이지않는 경계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일부 재일한인 학생이 조선학교를 진학처로 선택하지 못하고 있었다.

      • KCI등재

        조선민속학회 창립의 산파 송석하와 한국 민속학의 길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13 韓國民俗學 Vol.57 No.-

        식민치하에서 창립된 조선민속학회는 민족 내부의 자주적 학문운동과 국제적 식민체제극복운동의 두 갈래 상황 속에서 인식되어야 그 의미가 제대로 포착된다. 조선민속학회는 국내 학문운동을 중심으로 보면, 모국어 회복 운동을 한 ‘조선어학회’ 활동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진 민족문화 운동이고, 국제적 민족운동과 관련하여 보면, 식민지배를 받은 제3세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민속학회를 결성한 선구적 학문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국내외민족운동의 맥락 속에서 주목해야 조선민속학회의 민족사적 의미와 세계사적 민족운동 의의가 제대로 드러난다. 조선민속학회의 성립과 활동 과정을 이해하려면 학회 창립의 산파 역할을 한 송석하의 활동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송석하는 학회를 발의하고 주도하는 가운데 사재를 털어 학회지 『조선민속』을 간행했다. 학회지의 체제와 연간 4회 간행하려는 의욕은 요즘 학회와 견주어 보아도 탁월하다. 그럼에도 송석하는 일본학자들과 어울렸다는 것이 빌미가 되어 식민주의 공범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식민주의 시각에 따라, 학회지 『조선민속』 3호발행인이 송석하 대신 아끼바로 바뀐 데 관한 해석이 ‘일본화’와 ‘일제화’로 엇갈린다. 일본학계의 ‘일본화’ 주장에 대하여 전경수가 ‘일제화’로 맞서자, 남근우는 일제화를 비판하며 오히려 일본화에 동조했다. 그 근거는 조선어 사용 금지 시기와, 조선민속학회가 유명무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어 사용 전면 금지 이전부터 일제화가 시작되었다는 사실과, 발행인 교체가 사승관계에 있는 일본인 두 사람에게는 매우 유의미하게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일본화를 주장하는 식민주의 옹호 논리를 재비판했다. 그리고 송석하의 학회활동 중단 원인에 대한 전경수의 질병원인론과 인류학 선호론을 극복하며, 식민체제에 따른 민속탄압론에 이어서 인류학 통섭론을 제기했다. 문제는 한국민속학의 길이다. ‘송석하가 우리시대의 민속학자였다면 어떤 수준의 활동을 했을까?’ 반문할 필요가 있다. 일제치하의 민속학회와 송석하의 활동을 제대로 본받으려면 민속학자로서 민속지 작업과 학술저서 작업을 병행하고 인접학문을 통섭함으로써 자기 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자면 송석하의 학회창립, 사재출연, 학회지 발행, 민속조사, 논저집필, 인류학 통섭, 박물관 설립 등 그의 활동을 본받아 실천할 필요가 있다. Joseon Folklore Society which was founded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can have its meaning clarified only if it is recognized in the two paths of situations, the independent study academic movement within the nation and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overcome colonialism. Joseon Folklore Society is an ethnic culture movement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s like ‘Joseon Language Society based on mother language restoration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aforementioned domestic academic movement and pioneer academic movement constitutes the only folklore society among the 3rd world country who received colonial rule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pioneer academic movement. As such, the ethnic history meaning and world ethnic movement meaning of Joseon Folklore Society may be identified properly only if domestic and overseas ethnic movements are taken note of. For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y process of Joseon Folklore Society,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who played the role as the midwif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cannot but be paid attention. Seok-Ha Song published 『Joseon Folklore』 the academic journal of the society by paying private money while initiating and leading the society. The system of the society’s journal and his passion to publish as many as 4 times a year are outstanding even in comparison with these day society. Nevertheless, he was also regarded as an accomplice of colonialism due to the excuse that he hung around with Japanese scholars. In such colonialism related view, the interpretation that the publisher of the 3rd edition of 『Joseon Folklore』 the society’s academic journal was divided into ‘Japa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zation’. As Gyeong-Su Jeon hits back as ‘Japanese imperialization’ about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claim as ‘Japanization’, Geun-Woo Nam rather criticized Japanese imperialization and synthesized with ‘Japanization’, and his ground to that was the coincidence of the period of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titularity of Joseon Folklore Society. However, he criticized again the logic of advocating colonialism which claims Japanization on the ground that Japanese imperialization began even before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replacement of publisher was very significantly utilized to the two Japanese persons who were teacher and pupil. And he proposed the theory of consilience of anthropology after ethnic suppression theory by colonial system by overcoming the Gyeong-Su Jeon’s preference of disease causation theory and preference theory for the Seok-Ha Song’s cause of pause of the society activities. The problem is the path of Korean folklore study. If Seok-Ha Song was a folklore scholar of these days, what level of activities would he do? It is worth questioning. Following the Folklore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properly would be to carry out the work of folklore journal and the work of academic writing simultaneously as folklore scholar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one’s own study by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integrated manner.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take his activities as example and practice them by establishing the society of Seok-Ha Song, investing private fund, issuing academic journal, surveying folklore, writing papers,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y of anthropology and establishing museum etc.

      • KCI등재

        조선문인협회 성립과정 연구

        이건제 ( Keon Je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이 논문은 조선문인협회의 성립과정을 연구하였다. 총동원체제하 성립된 조선문인협회는 일제시대 최초의 친일문인단체였으니 이의 전 단계 단체와 행사로 조선가요협회(일명: 조선시가협회), 조선문예회, 그리고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 행사가 있었다. 본론으로서의 제2장에서는 조선문인협회가 성립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었다. 제2장 제1절에서는 조선가요협회를 다루었다. 1929년에 만들어진 조선가요협회는 아직 조선총독부가 개입한 흔적이 보이지 않으나,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폄하하며 스스로의 존재근거를 내세우려 한바, 이후 친일문예단체의 기원이 되었다. 제2장 제2절에서는 조선문예회를 다루었다. 1937년에 만들어진 조선문예회는 조선가요협회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퇴영적 조선을 극복해가는, 일치하(日治下) 조선의 긍정적 기운을 문예를 통해 반영하고 발전시켜 갈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조선문예회 역시 전문 기예인의 부족으로 한계를 드러냈다. 제2장 제3절에서는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 행사를 다루었다. 조선총독부가 여태까지의 실험과 시행착오 끝에 본격 친일문인단체의 결성을 계획한바, 이에 대한 예비훈련 격으로 1939년 3~5월에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 행사를 기획 수행하였다. 제3장에서는 조선문인협회의 성립과 조선총독부 외곽단체로서의 증거를 다루었다. 제3장 제1절에서는 조선문인협회의 탄생 순간을 다루었다. ``북지황군위문 문단사절`` 행사를 수행한 뒤 1939년 10월에 일제시대 최초의 친일문인단체인 조선문인협회가 창립되었다. 이 조선문인협회는 총칼을 잡은 병사처럼 문인들이 붓을 잡고 내선일체와 신동아건설을 위해 싸울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3장 제2절에서는 조선문인협회가 조선총독부 외곽단체인 증거를 제시하였다. 이에 여러 증거자료를 살펴본바, 조선문인협회는 조선총독부가 설립을 주도하였고, 총독부와 인적 또는 물적 관련을 갖는 한편, 여타 총독부 외곽단체의 하부단체이기도 하기에, 조선총독부 외곽단체임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이 조선문인협회는 더욱 강력한 조직인 조선문인보국회에 자리를 물려주는 1943년 4월까지 조선총독부의 문학적 하수인 역할을 충실히 해나갔다.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process of formation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조선문인협회)`` under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of Japanese rule. And before ``Joseon Writers` Association``, there was two organaizations and one event for the formation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such as ``Joseon Association for Song(조선가요협회)(aka, Joseon Association for Song and Poetry[조선시가협회])``,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조선문예회)``, and the eve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북지황 군 위문 문단사절)``. In the chapter 2, I studied the process of formation to the birth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In the first paragraph of chapter 2, I researched on the ``Joseon Association for Song``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29. Even though there was no evidences that ``Governor-General of Joseon(조선총독부)`` had intervened the establishment of ``Joseon Association for Song``, this organization which had tried to claim their raison d`etre through belittl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finally became the origin of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under Japanese rule. In the second paragraph of chapter 2, I researched on the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37.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 passed ``Joseon Association for Song`` ahead, aimed at reflecting and advancing the affirmative trend of Japanese rule by art and literature. But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 also shown its limitations due to deficiency of professional artists and writers. In the third paragraph of chapter 2, I researched on the eve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 which had been gone forward from March to May in 1939. Through many trial and error, ``Governor-General of Joseon`` eventually set their plan of establishment of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Therefore they realized the ev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 from March to May in 1939. In the chapter 3, I studied the moment of birth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and the evidences which reveal the true character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In the first paragraph of chapter 3, I researched on the ``Joseon Writers` Association`` which had been born on October in 1939. After the eve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 ``Joseon Writers` Association``, the first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on October in 1939. This organization aimed at the struggle for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and ``construction of new East Asia`` by means of pen like a weapon of soldier. In the second paragraph of chapter 3, I researched on the evidences which reveal the true character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as a auxiliary organ of Governor-General of Joseon. Through inquiring into many evidences closely, I found the fact that ``Joseon Writers` Association`` was the auxiliary organ of Governor-General of Joseon. This ``Joseon Writers` Association`` gave its fealty to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until ``Joseon Writers` Association`` hand over its duty to ``Joseon Writers` Patriotic Association(조선문인보국회)`` on April in 194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