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 추간판 수술과 관련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병의원 홈페이지에 대한 비교 분석

        심대무(Dae Moo Shim),정을오(Ul Oh Jeung),김태균(Tae Kyun Kim),김정우(Jeong Woo Kim),박진영(Jin Young Park),권석현(Seok Hyun Kweon),박성규(Seong Kyu Park),최병산(Byong Sa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2

        목적: 정형외과와 신경외과의 개원의 및 봉직의를 중심으로, 요추 추간판 수술 시행 여부에 대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4월까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에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를 검색어로 하여 검색하였다. 검색된 68개 정형외과 병의원과 27개 신경외과 병의원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여 추간판 수술 시행 여부와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전문의 수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통계학적 검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는 정형외과 병의원은 45.6% (31/68)였으며, 신경외과 병의원은 85.2% (23/27)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정형외과 병의원 중 16.2% (11/68)는 척추 질환 수술을 시행하는 신경외과 전문의가 근무하고 있어, 실제 정형외과 전문의가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는 병의원은 29.4% (20/68)였다. 정형외과 전문의가 근무하는 신경외과 병의원은 51.9% (14/27)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전문의가 동시에 근무하는 경우는 신경외과 병의원이 의의 있게 많았다(p<0.001). 결론: 정형외과 병의원의 70%가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고 있지 않았으며, 향후 학회 차원에서 추간판 수술을 잘 시행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 및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operability for disease of lumbar intervertebral disc (LID) of practitioners and pay doctors of orthopedic surgeons and neurosurgeons by examining their websit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April 2006, we searched the internet using the key words orthopedic surgery and neurosurgery, with NAVER as the portal site. There were 68 homepages of orthopedic hospitals and physician's offices (OHP) and 27 homepages of neurosurgical hospitals and physician's offices (NHP). Each homepage was visited in order to survey the operability for disease of an intervertebral disc and the number of board of orthopedists and neurosurgeon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chi-square test. Results: In 45.6% (31/68) of OHP and 85.2% (23/27) of NHP, the operation for LID was performe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16.2% (11/68) of OHP, neurosurgeons employed by OHP performed the operation for spinal disorders. In 29.4% of OHP, the orthopedic surgeon performed the operation for LID. Orthopedists were employed in 51.9% of NHP. NH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HP in the cases in whom the orthopedists and neurosurgeons worked together in a single hospital (p<0.001). Conclusion: In 70% of OHP, surgery for LID was not performed. A survey about reasons for not performing operation for LID and improvement of that reasons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medical association.

      • KCI등재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와 연관된 특성(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논문 분석)

        배정연(Jung Yun Bae),곽상호(Sang Ho Kwak),강상우(Sang Woo Kang),우승훈(Seung Hun Woo),안태영(Tae Young Ahn),이상현(Sang Hy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6

        목적: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어떠한 특성의 논문이 보다 많이 인용되는지에 대한 보고는 아직 발표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기준이 피인용 횟수와의 연관되었는지 분석하여 어떤 특성이 피인용 횟수와 연관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전체를 대상으로 3명의 저자가 논문의 양식, 대상, 연구 시점, 연구 설계, 임상적 위치, 저자 수, 그리고 증례 수에 따라 분류하고 2020년 1월까지 국내 및 국제 학술지에 인용된 횟수와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640편의 논문 중 724편이 1회 이상 인용되었으며, 평균 1.0회(표준편차 1.9)의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였다. 연도별로는 2009년에 게재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가 가장 높아서, 평균 1.6회 인용되었다. 논문의 양식에 따라서는 원저, 수술기법 및 종설, 연수 강좌, 증례 보고의 순서대로 평균 피인용 횟수가 높았고(p<0.001), 증례 보고 중에서는 외상 일반에 대한 논문이 가장 피인용 횟수가 높았다(mean=1.5, p=0.006). 원저 중에서는 정형외과 일반에 대한 논문, 임상 논문, 실험 논문 순으로 피인용 횟수가 높았으며, 임상 논문 중에서 위치에 따라서는 척추에 대한 논문(mean=1.7, p<0.001)이, 연구 설계에 따라서는 역학 논문(mean=5.0, p<0.001)이 유의하게 높은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였다. 결론: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증례 보고 중에서는 외상 일반을 다룬 논문이, 원저 중에서는 역학 연구이거나 척추 관절을 대상으로 작성된 논문이 게재 후 피인용 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urpose: No attemp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characteristics and citation rate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JKOA). This study classified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articles in the JKOA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characteristics and citation rates. Materials and Methods: A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all articles published from February 2001 to December 2015. Three independent reviewers classified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article type, material, time of the study, design, clinical categories, number of authors, and number of cases. The citation numbers of each article by other journals were taken in January 2020. Un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 and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itation rates. Results: A total of 1,640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2001 to 2015, and 724 articles were cited more than once. The articles published in 2009 had the highest average number of citations. Original articles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surgical techniques and review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and case reports (p<0.001). Among the case reports, articles dealing with general trauma scor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citations (mean=1.5, p=0.006). Among the original articles, articles on general orthopedics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followed in order by clinical articles and experimental articles. Among the clinical articles, epidemiologic studies (mean=5.0, p<0.001) and studies on the spine (mean=1.7, p<0.001)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citation rates than the others. Conclusion: Of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KOA from 2001 to 2015, articles dealing with general trauma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among case reports. Among the original articles, epidemiologic studies and studies concerning the spine were cited significantly more than others.

      • KCI등재

        정형외과 작업치료에 대한 고찰

        김정헌,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2

        Objective: The review aims to investigate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orthopaedics focusing on theorthogeriatric model of care. Methods: Researched related literature through search engine Google and web database; Cinahl, Cochrane, Embase,and Web of Science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8. The search keywords are ‘Orthogeriatric model ofcare’, ‘guideline’, ‘hip fracture’, ‘replacement’, ‘knee arthrop+I4lasty’ ‘Orthopedic’, ‘Orthogeriatric’, ‘Occupationaltherapy’, ‘Elderly’ and ‘Discharge planning’. This review constructs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theorthogeriatric model of car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Orthogeriatric Model of Care (OMC) facilitates recovery and returning to the communityfor the elderly who undertaken orthopedic surgery. OMC consis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including physician,nurse, physiotherapist, occupational therapist, social worker, dietician and speech pathologist. Implementing OMCreduced mortality, complication, delirium, admission of intensive care unit and nursing home, and increaserecovery, functional outcome and cost-effectiveness. Occupational therapy plays important role in OMC such aspre-operation assessment and education, delirium management. early mobilization, joint education, fall prevention,rehabilitation, discharge planning and management after discharge. Conclusion: In Korea, the orthopedic care system is placed way behind compare to developed countries. there isstill a limited OT role in the orthopedic area. This may be the reason that Korean orthopedic patient stays longerat the hospital and higher readmission rates after orthopedic surgery. The Korean medical insurance system isrequired to develop to support OT to work in the orthopedic area. This will help to support ‘community care’which government louched in 2018. 목적 : 본 고찰연구는 정형외과 노인 케어 모델(orthogeriatric model of care)을 중심으로 정형외과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검색엔진 Google과 논문데이터베이스 CINAHL, Cochrane, Embase,Web of Science에서 정형외과, 관절 치환술 받은 노인 그리고 작업치료 검색어를 조합하여 문헌을 확인하고 영어권 선진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작업치료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결과 : 선진국에서는 정형외과에서 수술 받은 노인을 위한 케어 모델을 정형화하여 정형외과에서 수술한노인환자의 빠른 회복과 지역사회 복귀를 위해 다학제 팀을 이루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잇는 것을확인하였다. 다학제 팀은 의사, 간호사와 더불어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로 구성된다. 케어 모델의 효과는 사망률 감소, 수술 후 합병증 예방, 섬망 발생 비율 감소, 중환자실 입원율과 요양원 입소 감소, 빠른 회복, 입원기간 단축, 기능적 회복 증진, 그리고 비용 효과 면에서도 우수하다. 정형외과 노인 케어 모델에서 작업치료는 수술 전 평가 및 교육, 수술 후 섬망 관리, 수술 후 조기움직임, 관절 주의사항 교육, 낙상 예방, 재활, 퇴원계획, 퇴원 후 관리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확인하였다. 결론 : 우리나라 정형외과 노인들의 입원기간이 선진국에 비하여 길며 재입원율도 높아 정형외과 노인을위한 다학제간 접근 한국형 케어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형외과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건강보험수가 현실에서 정형외과 작업치료를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커뮤니티 케어를 통해 지역사회 전문보건의 역할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병원과 지역사회를연계하는 작업치료의 역할이 정형외과에서 꼭 필요하다.

      • KCI등재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에서 손상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에 대한 수상기전, 손상유형, 초기 치료적 접근의 비교

        이의섭(Eui-Sup Lee),손훈상(Hoon-Sang Sohn),김영환(Younghwan Kim),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의 손상기전, 부위, 유형, 치료적 접근 및 그 치료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응급실/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은 기간을 제외한 57개월 동안 국립중앙의료원 외상센터로 입원한 손상 중증도 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9점 이상의 환자들 중 정형외과적 손상이 동반된 7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ISS와 생리학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중등도 손상군(1군, 679명)과 중증 손상군(2군, 99명)으로 분류하고 손상기전, 비정형외과적 손상을 평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침범된 해부학적 영역과 골격구조의 수와 유형을 평가하였고, 치료적 접근 방법을 세분화하여 비교하였다. 치료결과는 재원기간을 포함하여 재원기간 내 발현된 전신 합병증과 사망률을 평가하였고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2군이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가 높았고 고에너지 손상기전 및 동반 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정형외과적 손상중 침범된 골격계의 수는 2군에서 유의하게 많아지면서 하지를 주로 침범한 1군에 비해 2군에서는 골반, 척추, 상지 영역의 침범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환자의 임상적 상태에 따라 확정적 또는 단계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다발성 중증 손상을 보이는 2군에서는 일시적 외고정술을 이용한 단계적 수술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1군에서는 생리학적 안정화를 이룬 뒤 확정적 수술을 시행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재원기간 역시 길어졌으며 재원기간 내 총 전신 합병증은 약 4.9%, 총 사망률는 약 4.5%였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사망률은 유의하게 높아졌다(1군 2.9%, 2군 15.2%; p<0.0001).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 중 고령과 높은 ISS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손상의 중등도가 높을수록 고에너지 손상기전에 의한 손상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와 동반 손상의 빈도가 높아졌다. 정형외과적 손상 역시 다발성 손상의 빈도와 중증도가 유의하게 증가되면서 정형외과적 외고정장치를 이용한 내고정술 등이 단계적 치료의 일환으로 시행된 경우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원기간, 전신 합병증 및 사망률 역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며, 사망률에는 높은 연령과 ISS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injury mechanism, site, type, initial management approach of orthopedic injury, and outcomes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in moderate-to-severe injur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57-month, excluding the period when the authors’ emergency/trauma center was not operating, from 2014 to 2019,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778 patients with orthopedic injuries among patients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9 scor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moderate-injured group (group-1, 679) and severe-injured group (group-2, 99)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based on the ISS and physiologic parameters. The injury mechanism and non-orthopedic injury were evaluated. Orthopedic injurie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injury pattern and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The management approach for the orthopedic injuries in two groups was compared. Outcomes (hospital stay, system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evaluated, and the risk factors for mortality were analyzed. Results: In group-2, the incidence of younger males, high-energy mechanisms, and accompanying inju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1.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increased in group-2. The involvement of the pelvis, spine, and upper extrem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2, whereas group-1 was involved mainly by the lower extremit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definitive or staged management for orthopedic injuries may be used. Group-1 was treated mainly with definite fixation after the physiological stabilization process, and group-2 was treated with staged management using temporary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2. The overall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as approximately 4.9% and 4.5%. A higher injury sever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hospital mortality (2.9%, 15.2%; p<0.0001). Increasing age and high ISS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Conclusion: A higher severity of injur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high-energy mechanism, younger, male, accompanying injuries, an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orthopedic injuries. Severe polytrauma patients were treated mainly with a staged approach, such as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vere-injured patients. Age and ISS are strong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in polytrauma.

      • KCI등재

        대한민국 정형외과 전공의 평가시험 분석: 수부 및완관절 분야

        김동희,김준엽,심승보,김주학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To evaluate the questions of hand and wrist section of Korean orthopedic in-training examination (KOITE). Methods: We analyzed questions of hand and wrist section of KOITE between 2010 and 2014. The weight of hand and wrist section was calculated and topics were thoroughly analyzed. The construct of questions were evaluated and taxonomic classifications were also performed. The frequency of presentations of physical examinations and radiologic evaluations in diagnosis and treatment related questions were analyzed. The coverage of available references which were recommended by Korean Orthopedic Association (KOA) were analyzed. Results: Sixty one out of 500 questions (weight: 12.2%) were related with hand and wrist section. Disease (30/61, 48.2%) was more commonly asked than trauma, however most frequently asked topic with a broad classification was fractures and dislocations (19/61, 31.1%). The description only questions (46/61, 75.4%) were most commonly asked construct of question. According to taxonomic classification, taxonomy B (diagnosis; 27/61, 44.3%) was most frequently asked. The Campbell’s operative orthopedics (54/61, 88.5%) and textbook of KOA (53/61, 86.9%) were representative references covering questions most widely. Conclusion: This analysis of hand and wrist section of KOITE could be used as the check-up tools for resident training programs of each training hospital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형외과 전공의 평가시험 중 수부 및 완관절 분야를 분석하여 평가시험의 출제 경향과 문제점을논의 하고자 한다. 방법: 2010년에서 2014년까지 5년간 치러진 정형외과 전공의 평가시험 문항 중 수부 및 완관절 관련 문항들을 분석하였다. 수부와 완관절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과, 문제 주제, 출제 형태 및 유형에 따른 분류 등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정형외과 참고서적 및 문헌들의 가용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부 및 완관절 관련문항은 총 500문항 중, 61문항(12.2%)이었으며 대분류에서 질환 문제(30/61, 48.2%)가, 주제분류(광범위)로 골절 및 탈구 문항이(19/61, 31.1%) 출제 빈도가 높았다. 출제 형태는 단순 서술형 문제(46/61, 75.4%), 출제 유형에선 진단관련 문항(27/61, 44.3%)이 가장 빈번하였다. 참고서적으로 캠벨의 수술적 정형외과학(54/61, 88.5%)과 대한 정형외과학 교과서(53/61, 86.9%)가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결론: 이번 수부 및 완관절 영역 전공의 평가시험 분석은 현재 수부 및 완관절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검토할만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겠다.

      • KCI등재

        정형외과 영역에서의 삼차원 프린팅의 응용

        최승원(Seung-Won Choi),박경순(Kyung-Soon Park),윤택림(Taek-Rim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2

        삼차원(three-dimensional, 3D) 프린팅의 사용은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정형외과 영역에서도 그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정형외과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네 가지로 첫째, 3D 프린팅 모델을 이용한 수술 계획 수립 및 수술 시뮬레이션, 둘째, 환자 맞춤형 수술 기구, 셋째, 3D 적층 기법을 이용한 인공 삽입물의 생산, 넷째,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환자 맞춤형 삽입물이다.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정형외과의 영역은 견관절, 척추, 고관절 및 골반, 슬관절, 족관절, 종양 분야 등으로, 각각의 영역마다 다루는 질환 및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 역시 각각의 영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지만 모든 영역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는 것은 수술의 효율을 높여 주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며 수술 중 방사선 노출을 줄여 준다. 3D 프린팅 기술은 특히 복잡하고 어려운 질환이나 골절 환자의 치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형외과 의사는 이러한 3D 프린팅 기술의 장점을 이해하고 임상에 최대한 적용하여 효율적인 환자의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use of 3-dimensional (3D) printing is becoming more common, and its use is increasing in the orthopedic surgery. Currently, there are four major methods of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in orthopedic surgery. First, surgical planning simulation using 3D printing model; second, patient-specific surgical instruments; third, production of customized prosthesis using 3D printing technique; fourth, patient-specific prosthesis produced by 3D printing. The areas of orthopedic surgery where 3D printing technology can be used are shoulder joint, spine, hip and pelvis, knee joints, ankle joint, and tumors. Since the diseases and characteristics handled by each area are different, the method of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is also slightly different in each area. However,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in all area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rgery, shorten the surgery time, and reduce radiation exposure intraoperatively. 3D printing technology can be of great help in treating patients with particularly complex and difficult orthopedic diseases or fractures. Therefore, the orthopedic surgeon should make the most of the benefits of the 3D printing technology so that patient can be treated effectively.

      • KCI등재

        국내 정형외과 의료소송 현황 파악

        이원(Won Lee),이미진(Mi Jin Lee),김용민(Yong Min Kim),우찬명(Chan Myung Woo),김소윤(So Yoon Kim),김양수(Yang-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3

        목적: 국내 정형외과 관련 의료소송 판결문의 분석을 통하여 정형외과 의료소송의 현황과 원인이 된 과정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소송시작이 2005년부터 2010년인 정형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341건을 대상으로 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사건 발생 시점에서 소송 종결 시점까지의 평균 소요기간은 4.22년이었다. 의료소송의 원인이 된 과정은 수술이 46.3%였고, 수술의 종류는 척추 수술이 가장 많았다. 사고의 결과는 장애가 가장 많았고, 최종심 결과는 원고일부승이 40.5%, 원고패(기각)가 34.3%였다. 감염은 전체 중 26.1%에서 발생하였고, 손해배상 청구금액은 평균 181,998,036원이었으며 인용금액은 평균 58,897,161원이었다. 결론: 정형외과 의료소송으로 이어진 의료사고의 주요 원인 과정은 수술이 가장 많았고, 그 중에서도 척추 수술이 가장 많았다. 추후 의료사고의 근본 원인분석을 통해 의료사고를 줄이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rough the analysis of orthopedics lawsuit rul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of medical lawsuits in orthopedic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An analysis of medical lawsuits in orthopedics was conducted. As the study method, a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341 cases. Results: The average period of lawsuits, from the occurrence of the medical accident to end of the ruling, took an average of 4.22 years. The most frequent procedure that was the main cause of the medical accidents was surgery, at 46.3%. When surgery is the main procedure that caused the medical accident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ypes of surgeries showed that spine surgery had the highest percentage. For the outcome of the accident, the highest number of cases resulted in disability and for the final court outcome, 40.5% ruled partially in favor of the plaintiff (the patient) with acknowledgement of only the damage incurred due to medical error of the total sum claimed, and dismissal of the claim made by the plaintiff (patient) accounted for 34.3%; 26.1% of cases develop infection. For the amount of claim for damage, the average amount of claim was 181,998,036 won; in the judgement amount, the average amount of judgement was 58,897,161 won. Conclusion: The most frequent procedure in orthopedics was surgery and spine surgery comprised a large proportion of these surgeries. Future studies to determine root causes of medical accidents should be conducted to reduce medical lawsuits and to plan against the repeating of medical accidents.

      • KCI등재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

        김철우(Cheol-U Kim),이철형(Chul-Hyung Lee),윤자영(Ja-Yeong Yoon),이승구(Seung-Koo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6

        목적: 본 연구는 상지 수술에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 및 합병증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총 103건에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초음파 및 프로브는 Siemens Acuson X300의 VF13-5 transducer를 사용했다. 수술 부위가 차단한 신경의 해부학적 감각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대상에 포함하였으며, 다발성 손상으로 2시간 이상의 수술 시간이 예상되는 경우와 상완부의 수술은 제외했다. 술기는 lidocaine HCl 2% 20 ml, ropivacaine 0.75% 20 ml, 0.9% normal saline 10 ml로 조성된 50 ml의 혼합액으로, 2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술기의 성공률(수술 시 마취 유도 상태 여부), 마취 유도 시간(천자침 제거 후 근력과 감각이 모두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 가능한 상지 수술 범위, 수술 후 무통 지속 시간(완전 마취 유도와 수술 후 수술 부위 통증 발생까지의 시간)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술기를 시행한 2명의 의사 간 결과값의 차이는 없었다.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에 소요된 needling time은 평균 5.5분(2.5-13.2분), 완전 마취 유도에 걸린 시간은 평균 18.4분(5-40분)이었으며 103명의 환자 중 100명에서 마취가 성공하여 97.1%의 성공률을 보였다. 무통 지속 시간은 평균 402.8분(141-540분)이었다. 마취 후 1예에서 어지러움, 4예에서 구역, 구토 증상을 보였고, 2예에서 입 주변이 얼얼한 증상을 보였으나 7예 모두 당일 완전히 호전되었으며, 총 103예 중 3예에서는 마취 실패로 수술실에서 2예에서 국소 마취제를 추가 투여하였고, 1예에서 전신 마취로 전환하여 수술을 하였다(3예/103예, 2.9%). 결론: 일부 주관절을 포함한 상지 수술에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은 빠르고 쉽게 마취를 가능하게 하여 수술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높은 마취 성공률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용량 선택적 마취가 가능하게 하는 안전한 술기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May 2017,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was performed on a total of 103 cases of surgery. A VF13-5 transducer from Siemens Acuson X300 was used. The surgical site wa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anatomic sensory distribution of the blocked nerve, except for the case where an operation time of more than 2 hours was expected due to multiple injuries and the operation of the upper arm. The procedure was performed by 2 orthopedic surgeons in the same method using 50 ml of solution (20 ml of lidocaine HCl in 2%, 20 ml of ropivacaine in 0.75%, 10 ml of normal saline in 0.9%). The success rate of anesthesia induction during surgery, anesthetic induction time, anatomical range of operation, duration of postoperative analgesia and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2 practices were similar. The anesthesia was successful in 100 out of 103 patients (97.1%). In these patients, the average needling time was 5.5 minutes (2.5–13.2 minutes), the average induction time to complete anesthesia was 18.4 minutes (5–40 minutes), and the average duration of postoperative analgesia was 402.8 minutes (141–540 minutes). The post-anesthesia immediate complications were dizziness in 1 case, nausea and vomiting in 4 cases, and peri-oral numbness in 2 cases, but surgery was performed without problems. All these 7 cases with complications recovered on the same day. A total of 3 cases failed with anesthesia, and they were treated by an injection with local anesthesia in the operation room in 2 cases and switched to general anesthesia in 1 case. Conclusion: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which was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s allows anesthesia in a brief period and the high success rates of anesthesia for certain surgeries of the elbow and surgeries on forearm, wrist and hand. Therefore, it can reduce the waiting time to the operating room. This technique i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and dose selective anesthesia is possible.

      • KCI등재

        척추 주사요법을 시행한 정형외과 의사 수부에 발생한 방사선 유발 피부괴사

        심대무(Dae Moo Shim),김유미(Yu Mi Kim),오성균(Sung Kyun Oh),임철민(Chul Min Lim),권병택(Byoung Tack Kow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3

        정형외과 치료 영역에서 점차적으로 방사선 투시 촬영기에 의한 방사선 노출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 수술, 혹은 시술 중 가장 큰 조사량을 받는 부위 중에 하나는 시술 의사의 수부라 할 수 있다. 최근에 갑상선이나 눈, 혹은 체부 전체의 방사선 조사량에 대한 연구, 방사선 암 치료나 심장, 간 등의 치료적 중재술 영역에서 발생한 몸통에 국한된 피부 병변이나 방사선 물질 취급자에서 발생한 수부의 방사선 손상에 대한 연구 등은 많이 있지만 임상의사에서 발생한 수부의 방사선 손상에 대한 국내외 문헌보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정형외과 의사의 만성 방사선 축적에 의한 수부 연부조직의 피부 괴사와 함께 연부조직 결손을 경험하고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s the frequency of radiation exposure by fluoroscopy continues to increase in orthopaedic fields, the level of hazard for the orthopaedic surgeon increases at the same time. Exposure of the clinician’s hand is highest during performance of surgery or procedures within the actual clinics. Studies on radiation exposure on thyroid, eye or whole body, or reports on radiation treatment of cancer or for dermal lesions occurring from therapeutic intervention on the body such as heart and liver, and studies on radioactive damage to hands derived from radioactive material handlers have been reported; however, no studies on radioactive damage to a clinician’s hand have been reported. Therefore, we report on a case of chronic radiation dermatitis and necrosis of an orthopaedic surgeon’s hand as well as its soft tissue defect.

      • KCI등재

        정형외과 의사가 본 건강보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정순택(Soon-Taek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서론: 1977년 저부담, 저급여, 저수가로 시작된 의료보험제도가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로 굳어지고 건강보험 재정이 부실해지면서 진료비를 줄이기 위한 각종 정책을 시행하여 의료계 환경이 열악해졌다. 특히 건강보험의 인정기준을 강화함으로써 의사들의 불만을 고조시켰고 국민들은 본인 부담금이 늘어나는 형편이다. 그러나 의사의 입장에서 의료수가가 낮거나 일부 규정이나 심사기준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공감하면서도 의료제공자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실증 사례를 지적하는 논문은 아직 발표된 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에 따라 현 건강보험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문제제기, 심사 기준의 문제 및 수술 등의 수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목적: 환자를 진료하는 현장에서 몸소 느끼는 건강보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현재 건강보험의 진료비 청구나 심사 기준 등의 문제점, 불명확성, 비효율성, 낮은 의료수가 등을 개선하고 적정진료 수가 확립 및 정부의 올바른 의료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론: 그 내용은 (l) 상대가치점수의 동결에 의한 문제, (2) 일방적이고 축소지향적 심사 기준의 개정, (3) 삭감 기준의 잦은 변동, 모호성에 의한 견해 차이 및 삭감의 문제, (4) 외래 진찰료, (5) 병원 입원료, (6) 병실 창상 처치수가, (7) 수술수가 및 심사기준, (8) 척추 수술수가 인정기준의 불명확성, (9) 동일부위의 재수술시 수가의 추가인정 문제, (10) 수술시 사용되는 고가의 재료대 문제점, (11) 수술시 사용되는 고가의 보조 장비, (12) 외고정 장치, (13) Day Surgery 비용의 순서로서 기술하고자 한다. 결론: 지금까지는 개별 수가에 대한 문제나 요양급여비용의 수술항목 자체에 대한 논의는 매우 적었다고 생각하며,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정형외과학회 및 각 분과학회를 통한 의학적 타당성에 기초하여 심사기준을 합리적으로 고치도록 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제시된 낮은 수가, 불합리하거나 모호한 심사 기준은 의학적 타당성을 갖고 명확하되 환자의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도록 고쳐지길 바라며 향후 잘못된 규정, 심사지침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또한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는 기준, 수가 등이 조속히 개정되길 바라며 본 논문이 수술수가에서 재료대와 기술료를 분리하는 작업, 위험도 평가 및 상대가치점수의 재조정에도 반영되고 향후 심사기준 개정 및 심평원 업무와 정부의 건강보험 정책에도 일조하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