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봉창 전기를 활용한 자아정체성 탐구 학습

        박찬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역사교육에서 정체성을 다루는 것은 민감한 사안이지만, 그것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 학교 역사교육에서 정체성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고 해도, 정체성은 학생들이 역사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기반으로 작동한다. 역사교육은 국가・민족・종교 등 거대 집단의 정체성을 함양하는데서 벗어나, 갈등 속의 다른 집단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서로를 연결시켜 주는 정체성들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종교라는 하나의 기준으로 세계를 분할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테러와 전쟁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듯이, 특정 집단의 단일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것은 갈등과 폭력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이다. 집단 정체성의 함양에서 벗어나 개인의 정체성 변화・형성 과정을 탐구하는 학습은 세 가지 목표가 있다. 먼저 학생들이 과거의 사람들이 동일한 가치와 사고방식을 가졌다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지 않고, 특정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각기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 이는 다원적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개인이라는 작은 대상에 대한 세밀한 탐구를 통해 거시적 주제의 맥락과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공식적 역사’의 권위와 학습 내용의 ‘단순화・축소’로 인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주제에서 배제되거나 왜곡된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게 해 줄 것이다. 이 학습의 마지막 목표는 학생들이 학습의 대상이 되는 인물과 공감하는 동시에 개인과 집단・구조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현재 자신들의 삶과 사회적 변화가 무관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우리가 소속한 집단으로 인해 생겨난 특정한 사회적 정체성이 갈등과 폭력을 조장한다고 해도, 그것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리는 문제가 되는 정체성과 경쟁하는 ‘대안적 정체성’을 인식하고 강화함으로써, 문제를 완화할 수는 있다. 역사교육에서도 우리와 그들을 구별하는 정체성을 강조하는 데서 벗어나, 우리와 그들을 연결시켜주는 ‘가교(架橋)’ 역할을 할 정체성을 발굴하고 형성하는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타인이 가진 다양한 정체성들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타인과 자신이 연결되는 지점을 찾아가는 경험을 해나갈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정체성을 협소화시키려는 시도에 비해서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것이며, 조금 더 사회를 평화롭게 만들 것이다. 이 글에서 사례로 제시한 독립운동사 학습의 경우, 학생들의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독립운동가들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독립운동가들과 현재 학생들의 공유점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오히려 공동체에 대한 헌신과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Discussing identity in history education is a sensitive issue, but it should not be avoided. Although history classes do not address identity issues, identity serves as a basis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history.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dentities that reduce bias among conflict groups and connect one another, beyond its conventional role, cultivating the identity of large groups such as nations, ethnic groups, and religions. Recognizing the world with the eyes of a single identity of one certain group is a fundamental cause of conflict and violence, as can be seen through terrorism and war that arises from one religious standard that divides the world. There are three goals in the inquiry-based learning that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ing and shaping an individual's identity, beyond the development of group identity. First, students should be aware that individuals in a community have diversity, without thinking that people in the past had the same values ​​and mindset. It will help cultivate the citizenship in a pluralistic and democratic society. Next, students should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macroscopic theme based on a detailed inquiry into the smaller subject of individuals. It will allow them to identify historical facts that are excluded or distorted from historically important themes due to the authority of “official history” and “simplification and reduction” of learning. The final goal of this learning is to let the students empathize with the individuals they meet in the learning and further acknowledg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groups, and structures. Consequently, students will realize that their lives and social changes are not irrelevant,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tudents' social involvement. Even if a particular social identity created by the group to which we belong promotes conflict and violenc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eliminate them. However, we can mitigate the problem by recognizing and reinforcing “alternative identities” that compete with the problematic identities. In his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find and form an identity that plays a role of ‘bridge’ that connects them and us, not to emphasize th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us from them.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diverse identities in the past, students can find themselves experiencing the connection with others. This effort will promote understanding of others as well as oneself, as opposed to attempting to narrow the identity, and will make the society a little more peaceful. In the case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presented above as an example, it can be seen from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hat instead of highlighting the greatnes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finding shared points between the activists and the students can rather encourage their contribution and engagement in a community.

      • KCI등재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형성 과정

        장용선(Yong-Sun Chang) 한국경영사학회 2018 經營史學 Vol.85 No.-

        본 연구의 목표는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선언된 조직정체성에 담겨 있는 전략선택과 조직정체성과의 상호관계 및 삼성전자 내 사업들 사이의 정체성 관계를 통해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삼성전자는 한국의 대표기업으로 관련 기록과 문헌이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형성 과정을 관련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서 1차 분석은 문헌과 기초자료를 통해 영역을 분류하였고, 2차 분석은 유사한 영역들을 범주화하여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삼성전자는 초기정체성 형성을 시작으로 삼성전자의 1기 정체성 선언과 조직정체성 원형 형성, 삼성전자의 2기 정체성 선언과 정체성 관리, 다중조직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겪었다. 삼성전자는 1969년 창립하여 가전제품의 OEM 기업으로 명확한 존재감을 형성하지 못하다가 1980년대 후반 부터 반도체산업에서 빠른 속도로 세계적인 기업이 됨으로써 전자산업에서 강한 조직정체 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를 시작으로 바람직한 조직정체성을 형성 한후 정체성 특성을 관련 디지털산업인 LCD, 스마트폰, 디지털 TV사업 등으로 확산시켜 세계 정상 기업이 되었다. 삼성전자는 삼성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고유한 정체성을 발전시켜 삼성그룹의 대표적인 기업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경영사 관점에서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및 발전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다. 1970년대 당시에 삼성전자가 지금과 같은 세계 최대 전자회사가 될 것으로 예측한 사람은 적을 것이다. 그러나 메모리반도체 사업의 성공을 시발점으로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회사가 되었다. 세계 최대 전자회사인 삼성전자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조직정체성을 형성하였고 발전하였는지에 대한 이해는 한국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Samsung Electronics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profess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identities among various businesses. Samsung Electronics is a representative company in Korea. Records and documents related with Samsung Electronics are accumulate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Samsung Electronics through related literatures. Samsung Electronics was not able to establish a definite organizational identity as an OEM company for home appliances until the early 1980s since it was founded in 1969. But it became a global company rapidly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from the late 1980s. Thereby Samsung Electronics has formed strong organizational identity. Samsung Electronics has become a global leader by spreading its identity not only in semiconductors but also in related digital industries such as LCD, smart phones, and digital TV busin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nagers of Korean companies.

      • KCI등재

        한국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최샛별(SetByol Choi),이명진(Myoung-Jin Lee),김재온(Jae-On Kim)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5

        이 연구는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계량적인 문화간 연구의 대표격인 ACT그룹의 기본적인 틀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다음의 세 가지 목적하에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정체성, 그 중에서도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 (affective meaning)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 이 연구는 한국 문화에 대한 양적인 연구의 첫걸음으로, 특히 사회정체성과 사회적 행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한국의 상황에서 사회정체성에 대한 국제적 비교연구가 가능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다. 둘째,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도 단순한 기초 자료의 수집을 넘어서, ACT가 아무런 의문 없이 받아들였던 EPA의 범문화성이라는 기본가정에 대한 재조사를 통해 이 연구전통에 있어서의 새로운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에 따라 주요 차원들이 바뀌거나 부가될 수 있으며, 사회정체성의 경우는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EPA의 세 차원 중 평가(E)의 차원이 사회학의 고전들이 구분한 집단의 특성들에 맞게 분리되어 나타났다는 것을 보여준다. 각각의 차원은 그 특성에 맞춰, 각각 ‘친밀성’ ‘책임성’ ‘활동성’ ‘권력성’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정체성 연구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문화와 그 변화 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전반적으로 친밀성과 책임성, 권력성 측면에서의 감정적 의미는 연령과 성을 기준으로 하는 위계관계와 역할분할이 뚜렷한 한국가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사회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가족은 아직까지도 이러한 전통적인 가족의 질서와 모습을 많은 부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각 정체성들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의 분산값을 통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면, 분산값이 높은 아버지, 장인, 장모, 이혼녀 등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들이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많은 측면들을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challenges one of the fundamental assumption of an active and productive research program in Sociology-the Affect Control Theory. The assumption to be examined and tested is that the three dimensions identified by Osgood et al, namely EPA dimensions -Evaluation, Potency, and Activity can be used to represent affective meanings associated with social ident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first four dominant factors include ‘power’ and ‘activity’ dimensions, while the original ‘evaluation’ dimension is now split into two - one dealing with the degree of intimacy (‘sociability’) and the other dealing with general competence and dependability (‘responsibility’). The analysis of affective meaning on family-related social identities suggests that despite the rapid change in Korean society, Korean family still have a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based on hierarchy of age and division of gender. But the high variance of several identities including father, parents-in-law, the divorced person reflects the change in Korean family.

      • KCI등재

        정체성 정치의 두 얼굴 : 정체성 정치에서 탈중심화된 시민권으로

        이상환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7 No.-

        정체성 정치를 연구하는 것은 지배 또는 주류 문화와는 다른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여성, 성적 소수자, 장애자, 소수 민족이나 인종, 그리고 비정규노동자와 이주노동자도 역시 인간 존재로서 도덕적으로 평등하고, 똑같이 존중과 관심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종속적 카스트로 서 무시되거나 비하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회 정의적 관심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체성 정치는 단순히 우리 사회에서 주변화 되고 소외된 민족, 인종, 여성 등과 같은 소수자들의 역 할과 권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의 정체성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러한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탈이데올로기 시대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정체 성의 갈등이 역사 문화적 과정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며, 정치적 차원에서 어떻게 표현되는 가를 이해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주의 시대에서 정체성이 어떻게 왜곡되고 변형되며, 또한 어떻게 재현되는가를 급진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체성을 문화정치적으로 재구성해서 정체성의 새로운 얼굴, 곧 억압 없는 정체성을 세계시민주의 관 점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특정 집단이 자신의 정체성을 재현함으로써 자신의 문화적 가치를 표현하지만, 동시에 다른 집단의 정체성과 충동함으로써 긴장과 갈등, 심지어 폭력을 낳을 수 있음에 주목한다. 심대한 다원주의 사회에서 상이한 가치관을 지닌 개인들이 하나의 정치공동체에서 평화로운 공존을 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동일성을 강요하는 억압 체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체성 정치의 이중성 효과, 즉 해방적 기능 과 폭력적 기능을 복합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나아가, 정체성 정치를 탈중심화된 시민권 개념에 의해 억압과 폭력으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Studying identity politics is due to the social justice interest that women, sexual minorities, the disabled, ethnic or racial minorities, and non-regular and migrant workers, who have cultural ident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governing or mainstream culture, should also be morally equal as human beings and should not be ignored or demeared as subordinate caste because they should be equally respected and cared for. That is why identity politics simply mean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roles and rights of minorities, such as marginalized and alienated peoples, races and women, and recognizing their identity in our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embody these goals, we must first understand how the conflicts of identity, which often occur in the era of Talideol, are formed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processes and expressed on a political level.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from a radical democratic perspective how identity is distorted and transformed and reproduced in an era of multiculturalism.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identity culturally and politically to seek a new face of identity, or the nonsuppression- free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The paper notes that a particular group expresses its cultural value by recreating its identity, but at the same time it can lead to tension, conflict and even violence by impulsing with the identity of other groups. In order for individuals with different values to coexist peacefully in one political community in a profound pluralistic society, on the one hand, we want to critically analyze the suppression system that enforces uniformity, and on the other, to reflect on the dual effects of identity politics, the liberation function and the violent function. Furthermore, we wan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reeing identity politics from oppression and violence by the concept of decentralized citizenship

      • 민족정체성, 그리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

        정영훈 ( Young Hun Jeong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질문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주제이면서 실천적 의의 또한 중요하다. 한말의 국학이래 민족정체성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나 아직 만족스럽 해명은 나오지 않은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민족정체성 문제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에 토대하여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지 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한 문제는 다음의 세가지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1) 민족정체성이란 말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속성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민족정체성이 개인이나 집단에게 제기되는 정체성의 한 양상이라는 점과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어떤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그것의 유지·존속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민족정체성이 민족주의와 불가분의 관련이 있음을 감안하여,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을 제기하는 가운데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민족이론들을 염두에 두면서 민족정체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3) 한민족은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나름의 대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한민족이라는 용어에 대한 고찰에 이어, 한민족이 갖고 있는 종족적·문화적·언어적·역사적 특징으로의 외적 정체성과,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하는 내적 측면의 정체성에 대해 살피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해 연구자 나름의 요약된 결론을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The identity of Hanminjok is a very controversial and ambiguous theme. Its historical origin and range are the questions under debate. Moreover there are many critical evaluations around national identity. In recent years post modernists insist that the national identity is the invented tradition, which was built up by the modern governmental power or the romantic nationalists with the purpose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tate building. More numerous anti-nationalists asserts that national identity is a dangerous and harmful mechanism for world peace. Of course for these opinions many objections are exist. This article examines some basic problems which must be dealed before the full-scale study on the identity of Hanminjok, the Korean nation. The interests of this paper will be summarized as following 3. (1) The first question is what is the concept and meaning of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As the national identity is a kind of identity, this paper starts the discussion with the meaning of identity. (2) The second question is why the national identity is necessary for mankind. This paper examines the disputes on nationalism because the national identity has inseparable ralation with nationalism. (3) The third question is who is the Korean nation and how can we define the identity of Hanminjok.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 of the term of Hanminjok and examines the ethnical, cultural, linguist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Hanminjok. Hanminjok`s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in Korean history is also checked.

      • KCI등재

        분쟁의 심층, 정체성 갈등과 평화다원주의의 길

        이찬수(李贊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9 No.-

        정체성은 상당 기간 일관되게 유지된다고 간주되는 자기만의 고유한 성질을 의미한다. 자기를 자기되게 해주는, 말하자면 자기동일성이기도 하다. 문제는 그러한 동일성이라는 인식 속에 동일성 외부의 이질성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각종 갈등 및 분쟁이나 심지어는 전쟁도 그 근원으로 들어가면, 개인이든 집단이든, 민족이든 국가든 이질성을 거부하는 정체성들 간 충돌로 연결된다. 종교, 이념, 종족, 문명의 충돌, 그리고 정치적 싸움의 심층에는 언제나 자기중심성 혹은 자기정체성의 문제가 놓여있다. 게다가 개인의 자기정체성이 ‘우리 의식’으로 범주화되고 집단적 정체성이 강화되는 과정에 정치 권력이나 경제적 이해 관계 등이 개입하면 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각종 분쟁의 근원을 ‘정체성들의 갈등’(identities conflicts) 차원에서 해명해보고자 한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시리아 전쟁, 보스니아 내전, 남북아일랜드와 영국의 갈등 등을 사례로, 폐쇄적 정체성이 아닌, 개방적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그런 뒤 정체성에서 개방성을 읽어내는 작업과 ‘자기중심적 평화주의’에서 ‘평화다원주의’로 전환하는 과정이 상통한다는 사실을 분쟁을 극복하기 위한 심층적 대안으로 결론짓고자 한다. Identity means one’s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at is considered consistent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t’s self-identical characteristic that makes him/herself him/herself. The problem is that the perception of such an identity have a tendency to reject heterogeneity outside of it. Conflicts, strifes, and even wars are at their source related to clash between identities that reject heterogeneity, whether it is individual or collective, ethnic or national. In the depth of conflicts by religions, ideologies, races, civilizations, and political fightings are always problems of self-centeredness or self-identity. In the process that the self-identity of individuals is categorized as “we consciousness” and “collective identity”, the involvement of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interests can trigger a war.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origin of conflicts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in terms of “identities conflicts.” With the examples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the Syrian war, the Bosnian civil war, and the Irish civil war, this paper will have time to think about “open identity”, not “closed identity”. Then, the common nature of the process of reading “openness” in “identity” and shifting from “self-centered pacifism” to “pluralism of peaces” will be presented as alternatives to overcoming the conflicts.

      • 부여의 지역정체성에 대한 지역 주민의 부정적 수용

        박진희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14 地理學論叢 Vol.59·60 No.-

        지역정체성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공간의 사회적 구성론의 대두와 더불어 지역정 체성은 국가나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특정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점차 지역개발방식이 하향식 개발에서 상향식 개발로 변화하고, 주민의 권리의식이 신장되면서 주민참여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지역정체성 역시 지역민의 수준에서 다루어야 할 시의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백제의 수도’로 널리 알려진 부여군을 사례지역으로 삼아 부여 주민이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갖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역마케팅이나 지역발전전략과 결합하여 지역판촉에 적합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집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입장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부 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지역주민이 지역정체성을 대하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역정체성 형성에 관한 논 의와 부정적 수용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백제의 수도’라는 부여의 지역정체성은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와 지방정부의 노력에 의해 형성되고 강화되었다. 셋째, 지역정체성에 대 한 주민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정체성에 대해 주민이 가진 태 도를 파악하였고, 왜 부정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 정적 수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지역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불만이 있는‘소극적 수용’계층, 지역 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거부하지 못하는‘비판적 수용’계층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 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원인으로는 경제적 원인과 정책적 원인이 작용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부하지 않는 이유는 역 사적 정통성과 경제적 이득, 정서적 자부심 때문이다. 두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부정적 수용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 구는 지역정체성 논의에서 그간 관심이 저하였던 지역주민의 입장에 주목하여,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반드시 긍 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 다른 학문 분야에서 쓰이 고 있는‘부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지역정체성 논의에 적용하였다는 점,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진 지역 주민의 입장을 다 루었다는 점 역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재외 이주민 정체성의 불확정성과 이중성의 의미 -재일동포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중심으로-

        윤의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를 통해 그들의 정체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민족 언어에는 민족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는 표지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그들이 거주하는 국가의 여러 요인에 의해 순일한 정체성을 유지하지 않고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는 데 있다. 즉 대개의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이중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불확정성 원리’의 특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어느 한쪽의 정체성적 양상만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다른 한쪽의 정체성에 대한 특징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고는 재일동포의 한국어 시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통해 이들 정체성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재일동포의 시와 중국 조선족의 시에 나타난 정체성은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으로 대변할 수 있는 이중적 양상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만약 그들의 민족적 성격을 염두에 두고 민족 정체성의 양상만을 강조할 경우에는 그들의 국가 정체성이나 다른 성격의 정체성에 대해선 제대로 파악하기 힘든 것이다. 그만큼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다양한 양상을 함께 갖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의 이중적 양상은 모순적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그들 정체성의 현재적 위상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면서도 이질적인 정체성이 함께 결합하면서 또 다른 개념의 이주민 주체로서의 정체성으로 생성되어 가는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에 나타난 그들 정체성의 특성은 결국 민족이나 국가와 같은 기존의 정체성 요인만이 아니라 그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체성 형성의 요인을 동시에, 그리고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바라보아야 분명하게 파악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through their poetry in Korean. It is because national language shows the sign that reveals national identity. Identity issue among Korean emigrants lies in the complexity without a fixed, single identity because of various factors and situations in the countries in which they resid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n most cases, is characterized by its duality. Such identity among Korean emigrants should be examined by ‘uncertainty principle’. When one aspect of identity examined, the other aspect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can be hardly verifie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through poetry in Korean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Identity in poetry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demonstrates duality that represents identity of a country and a nation. When national identity emphasized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in mind, it is hard to grasp their identity of a country or other aspects.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has various aspects to that extent. Although such duality in identity seems contradictory,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sent state of their identity.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s complex, combined with heterogeneous identities and experiences the process to become another identity of emigrants with another concept. Therefor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shown in poetry in Korean can be understood clearly by simultaneous awareness of various factors of identity without any exclusion in any way.

      • KCI등재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백승대(Baek, Seungdae),안태준(An, Taej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Korean adolescents’ national identity on their unification consciousnes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identity of Korean adolescents was divided into ethnic identity and civic identity. While their civic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aspects of their unification consciousness, their ethnic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y two aspects of their consciousness. It was evident that the civic identity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ir civic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opinion on the necessity of national unification, the peaceful unification, the unification costs, the unification by South Korea’s system, and the expectation of a unified Korea. On the other hand, their ethnic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opinion on the unification by South Korea’s system, and the expectation of a unified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it significantl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unification consciousness. Previous studies on unification consciousness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eople for national unification,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ociodemographic groups for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Secondly, it significantly highlighted the positive effects of having an interest in civic identity. The study found that adolescents with a strong civic identity tended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unification consciousness.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은 민족적 정체성과 시민적 정체성으로 나누어졌다. 시민적 정체성은 그들의 통일의식과 관련된 모든 조사 항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민족적 정체성은 통일의식과 관련된 2개의 조사 항목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게다가 시민적 정체성은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시민적 정체성은 통일의 필요성, 평화적 통일, 통일비용 부담, 남한체제로의 통일, 통일한국에 대한 기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민족적 정체성은 남한체제로의 통일, 통일한국에 대한 기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정체성과 통일의식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통일의식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기술하거나, 인구사회학적 집단 사이의 통일의식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둘째, 통일의식의 향상을 위해서는 시민적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강한 시민적 정체성을 가진 청소년들이 통일의식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