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차 및 이차 정신병질 경향성자의 의사결정과 반응역전 수행 능력에 대한 연구

        홍현기,현명호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ask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primary psychopathic and secondary psychopathic tendencies. The tasks have been known as sensitive to amygdala and orbitofrontal cortex (OFC) functioning. Group with Psychopathic tendencies(n=23) and control gruop(n=23) were defined by Levenson's self-report psychopathy(LSRP)[Levenson et al., 1995]. In addition, individuals with primary(n=12) and secondary(n=11) psychopathic tendencies were divided by Welsh Anxiety Scale(WAS) [Welsh et al., 1956]. They completed a IOWA gambling task(Bechara et al., 1994) and the intradimensional/extradimensional (ID/ED) shift task, (Dias et al., 1996) which are related to amygdala and orbitofrontal cortex (OFC) functioning. On the gambling task, all participants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showed a global tendency to choose in a disadvantageous way. Specifically, they showed an impaired learning ability over the course of the task. On the ID/ED task, the number of error in response reversal stages of individuals with primary psychopathic tendenc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 control group, but significant impairments were found in individuals with secondary psychopathic tendencies. In conclusion, individuals with primary psychopathic tendencies show amygdala dysfunction, but individuals with secondary psychopathic tendencies are lack of OFC.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정신병질자의 의사결정과 반응역전 능력을 확인하여 일차와 이차 정신병질자의 신경학적 기능이상을 추론하는 것이었다. 먼저 대학생 500명에게 Levenson 자기보고식 정신병질 질문지(LSRP)를 사용하여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과 통제 집단을 선발하였고, Welsh 불안 척도(WAS)를 사용하여,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을 일차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과 이차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으로 분리하였으며, 각 집단에게 아이오와 도박과제와 반응역전 과제를 실시하였다. 도박과제 수행 결과, 두 정신병질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많은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응역전 과제 수행 결과, 일차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은 통제 집단과 비슷한 수준의 수행 오류를 보인 반면, 이차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수행오류가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일차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은 편도체 기능이상과 이차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은 안와전두피질 기능이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추론을 통하여 정신병질자의 문제 행동 원인과 개입에 있어서 고려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정신병질 유형분류 : 1차적 정신병질과 2차적 정신병질

        김동민,박현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5 청소년상담연구 Vol.13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psychopathy-like adolescents could be subtyped as the primary psychopaths and secondary psychopat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eed the adolescents could be subtyped as such on the basis of the scores on the scales of the borderline personality, 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and trait anxiety. In addition, the two subtypes were different on the scores of the Socialization Scale that measures negative childhood experiences, poor school and family adjustment, unstabil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general acceptance of social rules and values. In general, these results support Karpman's argument that the primary psychopathy and secondary psychopathy are etiologically different. However, for several rea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as preliminary evidence that supports the validity of subtyping psychopathy-like adolescents. 본 연구는 정신병질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추측되는 청소년들이 그 성격특성에 따라 1차적 정신병질 집단과 2 차적 정신병질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외현적 자기애와 낮은 특성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1차적 정신병질 집단과 경계선 성격, 내현적 자기애 및 높은 특성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적 정신병질 집 단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적 정신병질 집단과 2차적 정신병질 집단은 아동기 경험, 학교 나 가정에서의 부적응, 대인관계의 불안정성, 사회적 규칙이나 가치를 수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등의 문제에 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2차적 정신병질 집단의 정신병질적 특성이 환경적 영향으로 발현되는데 비해 1차적 정신병질 집단은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Karpman(1948a)의 견해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예비적 증거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 KCI등재

        정서 Go/NoGo과제를 이용한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의 반응억제: 사건관련전위연구

        정윤선,김범준,김영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response inhibi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divided into psychopathic tendencies and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 scores of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Lee, & Park, 2008; Lilienfeld & Widow, 2005). In order to explore the temporo-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ponse inhibi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event-related potentials(ERPs) were collected as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Go/NoGo tasks that required participants to respond to Go condition and to inhibit response to NoGo condition. Task 1 investigated response inhibition in a Go/NoGo task using neutral facial stimuli (Go condition) and fearful facial stimuli (NoGo condi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3 elicited by fearful facial stimuli indicated that psychopathic tendencies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oGo-P3 ampl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frontocentral and central areas. Task 2 investigated response inhibition in a Go/NoGo task using neutral facial stimuli (Go condition) and sad facial stimuli (NoGo condition). P3 elicited by sad facial stimuli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oGo-P3 ampl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frontocentral and central areas. Task 3 examined response inhibition in a Go/NoGo task using neutral facial stimuli (Go condition) and happy facial stimuli (NoGo condition). P3 elicited by happy facial stimuli indicated that psychopathic tendencies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reduced NoGo-P3 ampl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central area. In all tasks, psychopath tendencies group responded more slowly and less accurately than the control group. But both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ction times and accurac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have impaired response inhibition after facial emotion recognition. 사이코패스로 알려진 정신병질자들은 타인의 얼굴에 나타난 정서를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상황에 따라 행동을 억제하는 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사람들이 정서인식의 어려움이나 행동억제의 어려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신병질성격검사 개정판(이수정, 박혜영, 2008; Lilienfeld & Widow, 2005)의 점수에 따라 18명의 정신병질 경향성집단과 18명의 통제집단을 선별하였다. 정신병질경향성자의 정서인식에 따른 반응억제를 알아보기 위해 Go/NoGo 과제를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Go 자극에 버튼을 누르고 NoGo 자극에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지시를 받았으며,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과제 1에서는 공포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과제 2에서는 슬픈 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다. 과제 3에서는 행복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정신병질 경향성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200-600ms 사이의 평균진폭을 분석한 결과, 과제 1에서 두 집단 모두 중성 표정자극보다 공포 표정자극에서 더 큰 평균진폭이 관찰되었다. 공포 표정자극의 경우,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두 중심영역과 중심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된 P3 진폭을 나타내었다. 과제 2에서 두 집단 모두 중성표정자극보다 슬픈 표정자극에서 더 큰 평균진폭이 관찰되었다. 슬픈 표정자극에서 정신병질 경향성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중심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된 P3 진폭을 나타냈다. 행복 표정자극의 경우 중심영역에서,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이 통제집단보다 P3 진폭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행동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낮은 과제수행 정확성과 더 긴 반응시간을 나타냈으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이 공포,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인식한 후에 반응을 억제하는데 인지적인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발달적 관점에서 본 정신병질: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곽금주,김연수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ve approach of previous studies on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y. Suggestion was made to help activate further studies on theses issue. This studies focused on childhood and adolescent psychopathy features, the measure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y, childhood risk factors for psychopathy, and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psychopathy. Based on the trend, developmental variables, like attachment, temperament, and so on were review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sychologists should give close attention to the challenges of future researches for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y. 본 연구는 발달적 관점에서 정신병질의 발달과정에서의 특성과 그에 영향을 주는 발달심리학적 변인들을 정리해 보고자 관련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아동․청소년기 정신병질과 관련하여 진행된 외국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아동․청소년기 정신병질의 개념, 성인기까지의 안정성, 발달에서 관련 변인들, 그리고 치료적 개입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았다. 우선 그 증상의 존재와 관련하여 일군의 청소년 범죄자가 지닌 정신병질적 특성이 정신병질로 진단된 성인과 매우 유사하다는 사실을 보고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아동기와 청소년기 동안 드러나는 정신병질의 초기 행동특성과 이러한 특성들의 연령증가에 따른 안정성에 대해 연구되어 온 결과들을 살펴보고 정신병질관련 요인들을 발달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청소년 정신병질자의 진단 및 치료 개입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앞으로의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병질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지식은 잠재적 범죄위험요인인 정신병질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에 반드시 필요하며 앞으로도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고찰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정신병질 경향성과 고통자극 평가에 관한 연구: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정지은,이은진,김영윤,김범준 한국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pathy ability of individuals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Subjects rated pain intensity of visual stimuli(painful/neutral) consisted of pictures and cartoons. Two different perspectives were manipulated through explicit instructions: the subject's own perspective (Self), and other's perspective (Other). After the rating task, subjects completed self-reported measures of psychopathy and an empathy sca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mpathy ability of the group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was lower than the empathy ability of the group with non-psychopathic tendencies. On the rating task, the group with non-psychopathic tendencies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in the pain rating scale. In self perspective condition, the group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evaluated higher pain intensity of neutral stimuli than the group with non-psychopathic tendencies. These findings support that psychopaths appear to lack empathy. Due to the fact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t has its limitations when it is generalized. However it will serve the role as the fundamental research, allowing further tools and scales to be created upon. We further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본 연구에서는 정신병질 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들은 사진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시각자극을 두 가지 조망조건(자기/타인)에서 얼마나 고통스러워 보이는지 평정하였다. 그 후 피험자들은 정신병질 자기보고식 검사와 공감능력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신병질 경향성이 높은 피험자들은 정신병질 경향성이 낮은 피험자들보다 공감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자극에 대해서는 정신병질 경향성이 낮은 피험자들이 그렇지 않은 피험자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고통스럽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정신병질 경향성이 높은 피험자들은 고통자극보다 중립자극이었을 때, 타인조망보다 자기조망조건에서 더 자극을 고통스럽게 평가하였다. 이 결과는 정신병질자들이 타인의 고통에 대하여 공감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점이 있지만, 후속연구를 통하여 정신병질자의 공감능력 측정도구 개발의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신병질에 따른 국내 살인범들의 살인행위 특성분석

        이수정 ( Soo Jung Lee ),공정식 ( Jung Sick Gong ) 한국경찰학회 2007 한국경찰학회보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번역된 자기보고식 정신병질 검사지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특히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서가 아니라 현재 교정시설에 수감되어 있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정신병질 검사지의 활용도가 있을 것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질적 불안 검사지와 정신병질 검사지로부터 각기 상하집단을 추출하여 4개의 준거집단을 구성하였다. 저위험군, 혼합위험군, 기질불안 위험군, 정신병질 위험군을 각기 선정한 후, 각 준거집단의 살인범죄와 관련된 범행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정신병질 위험군의 경우 가장 범죄전력이 많았고 사전에 계획하여 살인을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질불안 위험군의 경우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지르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이용한 정신병질에 대한 평가방법은 국내의 형사사법 현장에서도 나름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This dissertation confirmed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interpreted in Korean. Especially not for the people at large, but for the inmates who are confined in correctional facility, practicality of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was quested. For the purpose of that, from temperamental anxiety scale and psychopathy scale, upper and lower side group were sampled and this sampled groups constituted 4 reference group. We chose lower risk group, mixed risk group, temperamental anxiety group, and psychopathy risk group, and then analysed homicidal behavior of each group. As expected, it is proved that psychopathy risk group has most criminal records, and committed homicide intentionally. On the other hand, temperamental anxiety group committed homicide by accident. It is estimated that this analysis method using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has practical value for domestic criminal jurisdiction field.

      • KCI등재

        정신병질 특성집단의 인지기능 연구

        김영윤 아시아교정포럼 2014 교정담론 Vol.8 No.2

        본 연구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특성을 가진 사람들의 인지기능을 알아보았다. 7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신병질성격검사를 실시하여 그 점수에 따라 30명의 정신병질 특성집단과 30명의 통제집단을 선별하였다.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해 숫자외우기검사를 실시하였고, 집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스트룹검사, 선로잇기검사를 실시하였고, 언어기억과 언어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K-CVLT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인지 기능 중의 하나인 공감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공감검사를 실시하였다.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의 총 반응수, 정반응수, 총 오류수, 보속 반응수, 보속 오류수, 비 보속 오류수, 보속 반응율, 그리고 범주유지 실패의 항목에서 정신병질 특성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값을 나타났다. 공감검사의 정서적 공감 조건에서 정신병질 특성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정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길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 특성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이 감소된 집행기능을 나타내고 정서적 공감에서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cognitive function in 700 undergraduate students divided into a psychopathic trait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scores of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Thirty psychopathic trait subjects and 30 control subjects performed the WCST(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 stroop test, the trail-making test to measure executive functioning. The subjects performed the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to examine verbal memory and performed the empathy task to assess empathy including social cognition. The subjects with psychopathic trai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s in the number of trials administered, total number correct, total number of errors, perseverative responses, perseverative errors, nonperseverative errors, percent perseverative responses, and failure to maintain set of the WCST. The subjects with psychopathic traits showed significantly longer reaction times than the controls in the emotional empathy condition of the empathy task.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psychopathic traits showed reduced executive function.

      •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SRPS)의 타당도 연구

        이수정,김재경 한국법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SRPS) and investigat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scale in a institutionalized population. The SRPS was developed to assess psychopathic attributes in a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by Levenson, Kiehl, & Fitzpatrick (1995). The samples consisted of 509 undergraduates (as noninstitutionalized sample) and 411 prisoners (as institutionalized sampl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noninstitutionalized sample provided th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RPS. The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noninstitutionalized sample confirmed that 5-factor model was fit to the data. 5-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institutionalized sampl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fit in association with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SRPS in a institutionalized population,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SRPS was a reference data rather than a good scal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Finally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비수감자 집단을 대상으로 정신병질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발된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SRP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본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감자 집단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비수감자 집단인 대학생들(509명)과 수감자 집단인 재소자들(411명)에게 한국어판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수감자 집단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추출된 요인들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신병질의 구성개념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었다. 비수감자 집단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5요인 모형과 6요인 모형이 추출되었고, 최적의 요인 모형을 선정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요인 모형이 6요인 모형보다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의 수감자 집단에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감자 집단에 대한 5요인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수감자 집단에서 도출된 요인 모형은 수감자 집단에 적용하기에 최적의 적합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 도구를 마련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감자 집단에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에서의 정서인식: 시각적 Oddball 과제를 이용한 사건관련전위연구

        강지은,김영윤,김범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motional recognition in subjects with psychopathic tendency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On the basis of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Lee et al., 2007),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psychopathic tendency(n=20) and control(n=20) groups. Task 1 and Task 2 were visual oddball tasks of emotional recognition. In all tasks, standard stimuli were neutral facial expressions. Target stimuli of Task 1 were fear and sad facial expressions and target stimuli of Task 2 were happy and sad facial expressions. Subjects were required to press the button whenever the presented stimuli were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ies in the fear stimuli than the sad stimuli. The psychopathic tendency group exhibited slower reaction time in the fear stimuli than the sad stimuli. In Task 1 and Task 2, both groups showed that P300 component was elicited by the target stimuli at the parietal sites for 400-600 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plitude and latency of P300 between groups and stimuli condition of emotion. However, in the psychopathic tendency group, P300 elicited by fear stimuli revealed greater amplitude than sad stimuli at frontal electrode sites. This pattern of P300 amplitude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dergraduate students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exhibit weak emotional recognition deficits.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사람들이 정서인식에 결함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신병질적 성격 질문지 개정판(이수정, 박혜영, 공정식, 2007)에 의해 65점 이상을 받아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으로 분류된 20명이 실험집단으로 선발되었으며 정신병질적 성격 질문지 개정판에서 65점 이하를 받은 나머지 학생들 중에서 20명이 통제집단으로 선발되었다. 총 두 가지 oddball 과제가 수행되었는데, 본 연구에 사용된 oddball 과제는 빈번하게 나타나는 표준자극들 중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두 종류의 목표자극을 변별하도록 설계되었다. 실험참가자들은 목표자극이 나타났을 때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해당되는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 받았다. 목표자극으로 과제 1에서 공포와 슬픔의 정서를 나타내는 얼굴표정이 사용되었고, 과제 2에서는 행복과 슬픔의 정서를 나타내는 얼굴표정이 사용되었다. 표준자극으로는 중성적인 얼굴표정이 모든 과제에서 사용되었다. 정신병질 경향성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공포 표정이 슬픔 표정보다 과제수행 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은 공포 표정에서 슬픔 표정보다 느리게 반응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두 집단 모두 표준자극에 비해 두 종류의 목표자극에서 유발된 P300이 400-600 ms의 시간영역에서 두정부에서 가장 큰 진폭으로 나타났다. 목표자극에 의해 유발된 P300에서의 진폭이나 잠재기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은 통제집단과는 달리 뇌의 전두 영역에서 공포 표정의 P300이 슬픔 표정 보다 큰 진폭을 보이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자들의 정서인식 결함이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대학생들에서는 매우 약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Go/NoGo과제를 이용한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의 반응억제: 사건관련전위연구

        김영윤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4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사람들이 반응억제의 어려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신병질성격검사 개정판의 점수에 따라 16명의 정신병질 경향성집단과 16명의 통제집단을 선별하였다. 정신병질경향성자의 반응억제를 알아보기 위해 도형자극을 이용한 시각 Go/NoGo 과제를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Go 자극(원)에 버튼을 누르고 NoGo 자극(네모)에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지시를 받았으며,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전전두영역에서 전두중심영역까지 NoGo자극의 P3진폭이 Go자극의 P3 진폭 보다 크게 나타나고, 통제집단에 비해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이 NoGo P3와 Go P3진폭간의 차이가 더 작게 나타나며 이런 집단 간 차이는 전두영역부터 점점 커져서 중심영역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결과,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보속반응과 보속오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이 반응억제의 집행기능에 기능저하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sponse inhibi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divided into psychopathic tendencies and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 scores of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Lee, & Park, 2008; Lilienfeld, & Widows, 2005). Event-related potentials were collected as participants performed visual Go/NoGo discrimination task that required participants to respond to Go condition (circle stimuli) and to inhibit response to NoGo condition(square stimuli). The response inhibition was investigated in the NoGo condi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3 elicited by NoGo stimuli indicated that psychopathic tendencies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oGo-P3 ampl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central area. In 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 psychopathic tendencie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severative response and perseverative error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neural processes involved in response inhibition are abnormal in individuals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