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ater Supply Scenarios in Response to Disaster Situations

        Seung Seop Ahn,Kyo Sik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2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상수도시설이 재난상황 발생에 따라 물을 생산하여 공급이 불가능하다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대구시에서 운영하는 각 5개의 정수장에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대응 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대구시는 전체 공급량의 60.5%를 낙동강을 수원으로 취수 하여 매곡과 문산정수장에서 공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 적용된 가상의 재난상황 시나리오는 각각의 정수장이 재난발생에 따라 운영이 불가능한 경우인 Scenario 1(a)~(e)와 매곡과 문산정수장이 운영불 가능한 경우인 Scenario 2를 가정하여 용수공급 대응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Scenario 1(a)~(e)에서는 매곡정수장이 운영이 불가능한 경우 대구광역시 전체의 용수공급 신뢰도 80.4%로 250 lpcd를 공급할 수 있으며, Scenario 2의 경우에는 60.4%의 신뢰도로 205 lpcd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정수장의 운영불능이라는 가상의 재난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대구광 역시의 용수공급방안을 검토한 결과 정수장 운영 불능상태에 따른 재난 상황에서 용수공급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대응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ter supply scenario when Daegu metropolitan area is out of water supply due to disaster. Deagu metropolitan area receives 60.5% of the total water supply from Nakdong river. In the scenario 1 assuming that the Maegok water purification plant cannot be operated, 250 lpcd of water supply can be provided with 80.4% reliability. In the scenario 2 assuming the Maegok and Munsan water purification plants are out of operation due to a water pollution accident in Nakdong river, it is possible to supply 205 lpcd of water with 60.4% reliability. As the results of the scenario-based study indicate, Deagu metropolitan area needs to develop the emergency response strategy for reliable water supply in case water supply from Nakdong river is in danger.

      • KCI등재후보

        정수장학회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최영묵(Young-Mook Choi)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3

        정수장학회(구 5.16장학회)는 장학 사업을 하는 공익법인이다. 1961년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는 당시 부산지역의 대표언론사였던 김지태 소유의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과 토지등을 강제 헌납 받아 5.16장학회를 설립했다. 이후 5.16장학회는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문화방송 등의 실질적 사주로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지금도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주식 100%, 서울MBC 주식의 30%, 경향신문사 건물 부지를 소유하고 있다. 언론사와 토지를 사실상 ‘강탈’당한 김지태씨와 그 유족들은 지속적으로 재산의 반환을 요구해 왔다. 1970년 이후 국회에서도 논란거리였다. 지난 2005년에는 국정원의 진실위원회에서, 2007년에는 과거사위원회에서 부일장학회 헌납사건 등을 조사하고 원상회복을 권고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정수장학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수장학회 거버넌스를 공영으로 바꾸고 부당하게 소유하고 있는 언론사 지분을 유족과 해당언론사에 무상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previously, 5.16 Scholarship Foundation) is public association for public service. In 1961, Junghee Park who took power through military coup established 5.16 Scholarship Foundation by the votive offerings including Busan Ilbo that belongs to Jeetea Kim and is one of the leading newspaper in Busan, Busan Munhwa Broadcasting Company, a land forcibly from Jeetea Kim. Since then, 5.16 scholarship association wielded strong influence over Busan Ilbo, Busan Munhwa Broadcasting Company, Munhwa Broadcasting Company(MBC) as an actual company owner. Even now,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s possessing 100% shares of Busan Ilbo, 30% share of Seoul Munhwa Broadcasting Company, and Kyounhyang Sinmun’s building site. Jeeteas Kim and his bereaved family who are actually robbed of media companies and a land continue to reclaim their properties. After 1970, it is a subject of considerable debate in the National Assembly continuously. Even though the Truth Commission of Korean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in 2005 and the Past Affairs Commission in 2007 investigated Buil scholarship association offering case and advised restoration, it has not solved yet. To solve the problem of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t is desired that the governance of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change to public management, and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s taking unjustified possession of media companies’ shares give back to Kim’s bereaved family.

      • KCI등재

        정수장슬러지 (Alum sludge)톨 이용한 인공배양토 개발에 관한 연구

        구자공(Ja-Kong Koo),임재신*Jae-Shln Lim),문용택(Yong-Taik Moon),이인복(In-Bog Lee) 유기성자원학회 1999 유기물자원화 Vol.7 No.1

        인공 배양토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수장 슬러지를 주원료로한 인공 배양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인공 배양토보다제지 슬러지,하수슬러지,완숙퇴비,정수장슬러지를각각 40, 20. 10. 30% 혼합하여 제조한 인공 배양토가 perennial rye맑ass. 싸리나무에 대한 식물생육에 효과적이었다. 식물독성실험에서도 정수장 슬러지를 혼합한 시료에서는 식물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정수장 슬러지는 인공 배양토의 보수력 및 접착력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정수장 슬러지는 알루미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퇴비와 혼합하였을 경우 pH2의 낮은 pH에서 Al의 용출이 거의 없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unction of an artificial culture soil which was mixed mainly with alum sludge. The artificial culture soil was more efficient than the commercial culture soil for the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킹ld bush clover. Artificial culture soil was prepared paper sludge(40%) , alum sludge(30%), sewage sludge(20%) , and compost (10%). This artificial culture soil had no adverse effect on phytotoxicity tests. The alum sludge gives som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hesion strength to the soil enought to require no other addition of adhesive agents. The leaching of aluminum from the alum sludge was negligible even at very low pH(=2) due to the mixed compost.

      • KCI우수등재

        정수장 시설공사의 통합관리를 위한 시설물분류체계 개발

        김창학,강인석,김효진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5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breakdown structure of water purification plant has been made by classifying various the waterpurification methods and facilities. this can be utilized as a code system of computer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quantitative of environmental impact and calculating cost of maintenance and energy consumption which was used during life cycleof water purification plant. Since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contains many heterogeneous inform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code system for manag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water purification plant facilities are mainly composed of installation of facilities including many processes,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code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water purification breakdown structure which is not yet attempted in Korea was constructed by using facet classification system.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수처리공법과 시설을 분류하여 정수장의 시설물 정보분할코드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이것은 정수장 시설의 생애주기 동안 소요되는 유지관리비용, 에너지 사용비용 산정 및 배출된 환경오염원의 규명과 환경영향평가의 정량적 분석 등을 위한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전산시스템의 코드체계로 활용하게 된다. 건설공사의 정보는 많은 이질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합해서 관리하기 위한 코드체계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정수장 시설은 많은 프로세스를 포함한 시설물 설치공사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좀 더 세분화된 분활코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도되지 않은 정수장 관련 분류체계를 건설공사 분류체계인 파셋 분류체계 표현방식을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무기질 비료의 제조에 관한 연구

        이중기(Jung-Ki Lee),백순기(Sun-Gi Beak),김조천(Zo-Cheon Kim),이정일(Jeong-Il Lee),표병식(Byoung-Seok Pyo),최종건(Jong-Guen Choi),김판채(Pan-Chae Kim),박귀환(Gui-Hwan Park) 유기성자원학회 2000 유기물자원화 Vol.8 No.1

        As it is forbidden to landfill the organic sludge generatεd in water treaanent plant fÌom 2001, disposal coast of the sludge will be highly incersed. Therεfore, Th.is Srudy was conducred to recyle the sludge of water supply planr as inorganic fertilizer for agriculrural areas and forests using the Chemical and the Hydrothermal methods. As the result, we could manufacture sutiable inorganic ferrilizer, removing organics and harmful heavy metals by the Chemical and the Hydrothermal method. 2001년부터 정수장에서 발생하는유기성오니의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이의 처리비용이 매우증가할것으로판단 되어 본 연구에서는 정수장 슬러지를 Chemical 및 Hydrothermal 법을사용하여 농업 및 임업용 비료로 재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찾고자진행하였고,그결과두방법 모두유기물및 유해 중금속을제거할수있었으며 안정화된 무기질 비료를 제조할수있었다.

      • 정수장의 처리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의 성능예측

        박완순(Park Wan-Soon),이철형(Lee Chul-Hyung)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7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A methodolog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prediction of small hydro power using discharge of purification plant has been studied. It consists of two main parts; flow duration function which can describe clean water and performance prediction to estimat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 power plants. The outpu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or Nam Dong & Su San purification plant were analyzed, using developed model.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edicted data show that the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results. Also,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model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analyze the output characteristics for small hydro power having purification plant.

      • KCI등재

        회야호의 남조류 발생 특성과 남조류 독소의 농도분포특성

        최영아(Young Ah Choi),한난숙(Nan Sook Han),임은경(Eun Gyoung Lim),김영민(Young Min Kim),전창재(Chang Jae Choun),이병호(Byoung Ho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12

        최근 국내의 호소들에 부영양화가 진행됨에 따라 남조류가 대량 번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남조류에 의한 녹 조현상은 미관상 불쾌감을 유발하고 이취미 유발과 함께 정수장애도 일으킨다. 그리고 일부 남조류가 생산하는 남조류 독소 에 의한 야생동물 및 가축에 대한 피해가 계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조류주의보 발생 시 조류독성에 대한 모 니터링을 강화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시가 상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회야호에서의 남조류 발생 특성을 조사하 고,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남조류 발생 시 생성되는 남조류 독소(Cyanotoxins) 중 Microcystin 4종과 Anatoxin-a 등 5종을 LC-MS/MS를 이용해 분석하여 그 거동을 알아보았다. 조사 기간 동안 회야호에서는 남조류 중에 서 Microcystis가 우점하였고, 남조류 개체수는 수온, pH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시기 동안 Microcystin-LR의 최대 농도는 0.424 μg/L, Microcystin-RR의 최대 농도는 0.117 μg/L 이었다. Cyanotoxins의 농도는 수온, pH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총인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서의 총 Cyanotoxins의 농도는 0.182 μg/L 이었고, 정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lgae blooms have soared recently in the lakes across the nation due to eutrophication. Blue-green algae cause unpleasant scene, produce taste and odor problem, and hinder processe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Algae toxicity monitoring has been strengthened, because the damages of wild lives and livestocks by algal toxins have been reported.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l occurrence an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Cyanotoxins in Hoeya reservoir have been conducted. Physical and chemical influences of water environment on cyanobacterial occurrences have also been studied. Movements of four species of Microcystin and five species of Anatoxin-a among Cyanotoxins were observed by LC-MS/MS analysis. Microcystis spp. among the cyanobacteria have mainly dominated in the Hoeya reservoir during the investigating period. The density of cyanobacteria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and pH of water. Highest concentrations of Microcystin-LR and Microcystin- RR were 0.424 μg/L and 0.117 μg/L at the sampling points. Total concentration of Cyanotoxins in water coming into the water treatment plant was 0.182 μg/L, and they were not detected in treated water.

      • KCI등재

        서울과 타이베이의 상수도 정수장의 유산화 과정과 박물관으로의 활용을 통해 본 근대 상수도의 의미

        이연경 도시사학회 2023 도시연구 Vol.- No.33

        Waterworks facilities, encompassing water purification plants, hold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urbanization. The rapid urbanization process has led to the deterioration of urban sanitation, necessitating the implementation of waterworks and the adoption of "modern water treatment" techniques in order to enhance the sanitary conditions of modern cities. The advent of water purification methods, a crucial requirement for contemporary water supply, can be traced back to their initial development in England in 1804, subsequently propagated worldwide by British engineers. Asian cities also embraced the installation of modern waterworks towards the conclusion of the 19th century, coinciding with the opening of ports. Japan saw the inauguration of its first modern waterworks in Yokohama in 1887, while Korea followed suit in Busan in 1894 and Taiwan in Keelung in 1902. Modern waterworks facilities are strategically situated upstream in areas characterized by high water quality, with considerable efforts dedicated to the preserv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to safeguard the raw water. Consequently, unlike mining and industrial facilities, waterworks facilities do not primarily contribute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 instead, they function as key protectors of water quality and urban sanitation. This distinguishing attribute has played a favorable role in the preservation and heritage of modern waterworks facilities. Abandoned waterworks facilities have been repurposed as waterworks museums, with notable examples being the Seoul Arisu Museum, and the Taipei Tap Water Museum, all located in the respective capital cities of Korea, and Taiwan. Each of these waterworks museums was established on the premises of a modern waterworks designed by British engineers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Variations exist in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approaches to recreating the waterworks' history in the process of heritage preservation. Therefore,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itial history of waterworks in Seoul and Taipei, engineered by British professionals, while also examining the distinctive features that contribute to the classification of early waterworks facilities as industrial heritag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useums' role in preserving place memory. 정수장을 비롯한 상수도시설은 근대 도시화 과정에 있어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시설이다.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 위생의 악화와 그에 따른 ‘근대적 정수 처리’를 통한 상수도의 부설은 근대 도시에 있어 필수적인 일이었다. 근대 상수도의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는 정수법은 1804년 영국에서 처음 개발되었고, 이후 영국인 기술자들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아시아의 도시들도 개항 이후 19세기 말 근대 상수도를 설치하기 시작하였는데, 일본은 1887년 요코하마에, 한국은 1894년 부산에, 대만은 1902년 지룽에 최초의 근대 상수도가 부설되었다. 근대 상수도 시설은 수질이 좋은 상류에 위치하였고 또한 원수 보호를 위해 주변 환경 보호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광공업시설과 달리 환경파괴와 오염을 만들어내는 주체가 아닌, 수질 환경을 보호하고 도시 위생을 수호하는 주체로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러한 성격은 상대적으로 근대 상수도 시설의 보존 및 유산화에 있어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내구연한이 다한 상수도시설은 다수 상수도박물관 등으로 재탄생하였는데, 서울의 수도박물관, 타이베이의 자래수박물관(自來水博物館)은 한국과 대만의 대표적인 상수도 관련 박물관이라 할 수 있다. 이 수도박물관들은 모두 19세기 말~20세기 초 영국인기술자에 의해 설계된 근대 상수도가 있었던 장소에 만들어진 박물관으로 각각 박물관이 만들어진 배경과 유산화과정에서 상수도의 역사를 재현하는 데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인 기술자에 의해 만들어진 타이베이와 서울의 상수도 설치과정 및 설치 당시의 현황을 살펴보고, 초기 상수도시설이 산업유산화되는 과정, 특히 박물관으로 사용되면서 의미화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경사판 칩전지의 효율 특성에 관한 연구

        양원영(Yang Won-You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0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4 No.-

        본 연구에서는 경사판침전지의 효율특성을 파악하고자 일반침전지와의 비교실험을 하였다. 경사판침전지의 실험조건이 각각의 경사판 각도 60˚, 70˚, 80˚, 90˚로 변화를 주었고, 경사판과 경사판 간격은 100㎜로 선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일반침전지를 경사판침전지의 동일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경사판침전지가 경사판 각도 60˚ 이고 경사판간격 100㎜일 때, 일반침전지의 침전효율은 62%이고 경사판침전지의 71%로 경사판침전지가 일반침전지보다 효율면에서 9% 침전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정수장에서 일반침전지를 적용하고 있는데, 앞으로 경사판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침전효율이 높은 침전지를 정수장을 기획,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know sedimentation efficiency of normal sedimentationㆍinclination plate sedimentation compared with laboratory test. According to inclination plate's angle of inclination plate sedimentation, as a result of laboratory get most optimized inclination plate in laboratory is inclination plate with 60° angle, and 100㎜ interval of inclination plate. Sedimentation efficiency of normal sedimentationㆍinclination plate sedimentation is 62% and 71%. Also. the rate of sedimentation was increased 9%. As a conclude, From now on, Inclination plate sedimentation requirement in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