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심리학 분야의 정서노동 연구 개관

        김나리 ( Kim Na-ri ),조영일 ( Cho Young-il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심리학 분야에서 수행된 정서노동 연구를 개관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서노동을 연구한 심리학과의 학위논문 15편과 한국 심리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12편을 선정하였다. 정서노동의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였고, 연도와 연구 대상, 연구 방법에 따른 연구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연구의 변수들을 정서노동의 유형과 결과,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성격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심리학 분야의 정서노동 연구를 위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의를 통해 정서노동의 정의와 개념을 통일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질적 연구를 통해 정서노동자의 심리 상태를 면밀히 살핌으로써, 양적 연구를 보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심리학계의 정서노동 연구의 경우,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정서노동자들의 정신건강 관리를 위해 예방 및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게슈탈트치료의 알아차림, 접촉, 관계성 등의 개념이 많은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the emotional labor researches in the field of domestic psycholog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For this, 15 of Psychology dissertations and 12 of papers published i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ere selected.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emotional labor were summariz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by year, object and method were described. The variables were classified as the type and result of emotional labor and individual's personality traits which have an influence on emotional labor.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the field of psychology. First,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emotional labor is preferable to unify through abundant discussion. Second, Qualitative research which can examine the mind of emotional laborer closely will be able to supplement Quantitative research. Third, in the case of emotional labor research of psychology, identifying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emotional labor is very important.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to manage mental health of emotional laborers. And gestalt therapy's concepts as awareness, contact, and relation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is.

      • KCI등재

        행복, 동정심 및 자긍심에 대한 정서노동 유발상황과 정적 정서노동의 심리적 효과

        이주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4

        본 연구는 정서노동을 정적 정서노동과 부적 정서노동으로 구분하고, 정적 정서노동, 특히 행복감, 동정심, 자긍심에 대한 정서노동의 유발상황, 이에 대한 대처방법 및 심리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간호사 207명, 일반 서비스 조직 구성원 163명 및 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 조사한 세 정서 중 행복감에 대한 정서노동을 가장 많이 나타냈다. 정서노동을 유발하는 대상은 간호사는 환자, 일반 서비스조직원은 상사, 학생은 친구가 가장 많았다. 정서노동을 하게 만드는 상황은 주로 상대의 기분에 동조해야 할 때, 업무가 원활히 처리되도록 신경 써야 할 때, 안 좋은 모습을 감추고 싶을 때 등이었다. 또한 정서적 노동을 하게 될 경우 상황에 대한 재해석이나 능동적 대처방식을 주로 사용하여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복감, 동정심, 자긍심에 대한 정서노동을 하게 되면 안면피드백 가설에서 주장하듯이 해당 정서를 더 체험하게 되고 더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이런 정서노동은 또한 개인의 정서적 탈진감을 키워주고 주관적 안녕감이나 주위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를 떨어뜨렸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Health of Korean Optician in Chungcheongnam-do

        Kyung-Hee Hong,Se-Jin Kim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3

        목적 : 안경사의 감정노동의 표면행동, 감정자각 및 표현과 관련된 정서명료성과 정서표현성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안경사의 감정노동과 정서적 건강의 상호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안경사 343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을 내면행위와 표면행위로 분류한 감정 노동 척도와 정서명료성, 정서표현성을 설문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안경사의 감정노동은 16.39점, 정서명료성은 33.80점, 정서표현성은 50.56점이었다. 정서명료성과 정서표현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아, 여성이 정서를 명료하게 인식하고 표현을 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감정노동 표면행위는 연령이 높을수록 낮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감정노동 표면행위는 정서명료성 및 정서표현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안경사의 정서명료성과 정서표현성은 감정노동 표면행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실제로 느끼지 않은 감정을 가장하여 표현하거나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을 실제로 느끼기 위해 더 노력하는 사람일수록 정서를 명료하게 인식하거나 정서표현성이 낮아진다는 안경사의 감정노동과 정서적 건강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추후,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안경사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정서 인식과 표현을 위한 정신건강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안경사가 인격적으로 존중을 받는다고 느끼며 높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Korean opticiansʼ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vity related to their surface behavior, emotional self-awareness, and expression of emotional labor, an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ir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health. Methods : It was measured, using a survey emotional labor scale,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vity classified into inner behavior and surface behavior with 343 opticians from April to May in 2018. Results : The scores for emotional labor,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vity of Korean opticians were 16.39, 33.80, and 50.56, respectively. Since the score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v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men,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were emotional more clearly and expressed it than men. The surface behavior of emotional lab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vity. The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vity of Korean opticians diff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behavior of emotional labor. Conclusions : It was revealed from this study tha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emotional health of emotional laborers who make more efforts to express their emotions in disguise that they do not actually feel, or feel the emotions in their working places that require less clear awareness of emotion or less emotional expressivity. Afterwards, follow-up studies will be required for Korean opticians in order that they are treated respectfully and feel a high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a national survey by introducing a emotional health program for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s resulting from opticiansʼ emotional labor.

      • KCI등재

        장애전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공마리아,이영숙,전종국,최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장애전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이 보육교사-유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전문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125 명을 대상으로 조사하고,최종 107부를 연구 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전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총합)과 정서노동 하위요인 중 자연적 행동과 내연적 행동 및 회복탄력성은 교사 유아 상호작용과 상관이 있으며 정서노동(총합)과 하위요인 중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이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전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 두 변인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125 teachers working in disabled children’s nurseries were surveyed and 107 of these data were analyzed in our research. We determined that the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f the teachers indeed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icularly, deep acting, a sub factor to emotional labor and interpersonal skills, a sub factor to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Age was also relevant: the younger the child and older the teacher, the more frequen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f teachers of disabled children are important variable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that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resili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investigated. Our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are two variables that must be integrated in nursing programs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정서노동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백유성(Baek, You Su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정서노동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주시 소재 대형 쇼핑몰 판매원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과정을 거쳐 연구결과 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노동의 구성개념 중 내면행 동이 많아질수록 직무만족은 증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표면행동은 내면행동에 비해 그 영향력이 작기는 하지만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직무만족이 커지면 조직몰입도 증대한다는 점이 다시금 확인되었다. 넷째, 직무만족이 정서노동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정서 노동의 내면행동은 고객만족을 향상시키고 노동자의 직무만족을 높인다는 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야 할 것이다. 특히 정서노동 강도가 강한 경영 현장일 경우 경영자가 내면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 서노동을 수행하는 노동자의 내면행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만 할 것이다. 다음 으로 정서노동을 수행하는 노동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를 긍정적으로 느끼도록 직무와 개인 간의 적합성을 높이고 직무를 충실 설계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고 풀이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conduct such examination, the author (i) designated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variables and (ii)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set up the hypotheses by conducting preceding studies on the variables. To examine the hypotheses, the author conducted a survey on members of the large shopping mall of Youngju-City and analyzed the survey based on collected 230 copies of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and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itness of the study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ep acting in the constructs of emotional labor ha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n the relevant hypothesis was adopted. Second, the surface acting also have been found to b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deep acting, surface ac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been fou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경력과 조직환경요인이 비서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Kim Jeong-A),조영아(Cho Young-Ah),유승혜(Yoo Seung Hye)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비서의 정서노동에 경력, 정서표현규범, 상사의 리더십, 고용불안정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비서의 정서노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비서가 정서를 잘 관리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최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167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SPSS 15.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은 내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기관의 정서표현 규범은 내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내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표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고용불안정성은 표면적 정서노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서가 마음에서 우러나서 우호적,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최소 1년 6개월 이상의 업무경력 기간이 필요하다. 조직환경 변인 중에서 내면적 정서노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서표현규범이며 표면적 정서노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다. 또한, 연구결과는 조직환경적인 측면에서 비서가 정서를 잘 관리하여 직무수행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속기관은 긍정적인 정서 표현규범을 비서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사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소속기관은 비서에게 안정적인 고용환경을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al display rul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insecurity on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There were two specific objectives. The first was to help understand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The second was to provide the implication that a secretary gives the best work by controlling emotional labor. Data was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s of 167 female employees working as secretaries in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5.0 statistics package. There were four major results. First, career deeply influences emotional labor. Second, emotional display rules of the institutions to which a secretary belongs greatly influences the deep emotions of a secretary. Thir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bosses influences both surface acts and deep emotions of a secretary. Fourth, job insecur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rface actions of a secretary. In order to manage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and enhance their work performance, positive emotional display rules provided by the institution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boss, and job insecurity were important variable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임혜원(Lim, Hye-Woun),장영숙(Jang, Young-Sook)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정서노동, 자아탄력성, 교수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obel Test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 교수몰입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 정서노동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중 유아에 의한 정서노동은 교수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중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이 교수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 본 결과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은 독립변인인 정서노동과 종속변인인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감소시키고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eaching flow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were 251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o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 24.0 for IB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by a Sobel 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variables, i.e. emotional labor, ego resilience, teaching flow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the emotional labor of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teaching flow, accounting for 5.0% of the total variance. The ego-resili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eaching flow, amounting to 32.0% of the total variance. Third, there w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teaching flow.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come up with effective ways to decrease the emotional labor and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teaching flow.

      • KCI등재

        정서노동과 LMX의 질, 직무태도 간의 관계

        백유성 ( You-sung Baek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4 질서경제저널 Vol.17 No.2

        본 연구는 정서노동과 LMX의 질,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노동과정이 정서노동의 특징을 주로 지니고 있는 비서업무와 사무관리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노동의 구성개념 중 내면화 행위가 증가할수록 LMX의 질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이 요구하는 정서표현과 자신의 내면적 정서를 일치시킬수록 상사와의 교환관계가 좋아지며 이에 따라 하는 일에서 만족감도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둘째, 정서노동의 구성개념 중 가식행위와 정서부조화는 LMX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겉으로 표현하거나 자신이 느끼는 정서적 갈등은 상사와 교환관계의 질에 통계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본 연구가 횡단적인 연구이며 LMX의 질에 대한 측정도 상사가 아닌 종업원 자신이 응답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을 고려해 보아야할 것이다. 왜냐하면 가식행위는 종단적으로 관찰되고 반복적으로 행하여질 때, LMX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방법으로 쌍방적 자료를 확보하여 본 연구에서 드러난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해 보아야 보다 객관적인 연구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서노동의 구성개념 중 내면화 행위가 증대할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며 정서부조화가 커질수록 직무소진도 증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LMX의 질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나 LMX의 질이 직무소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인 비서직과 사무관리직 종업원들은 상사와의 교환관계 질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반면 LMX의 질이 직무소진에는 통계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서비스 직종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정서노동을 수행하는 미용사들과는 달리 직무소진 정도가 낮아(응답치평균 3.5000) 그로 인한 정서적 문제는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다섯째, 비서직 종업원들이 일반 사무관리직에 비해 정서노동을 많이 하고 있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의 확인은 비서직 종업원들의 정서노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론적 주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해주는 구체적 발견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emerged from studies of service jobs. But today emotional labor is relevant to almost every job. At the least most managers expect employees to be courteous, not hostile, in interactions with co-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and quality of LMX, job attitud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eceding studies on emotional labor, quality of LMX and job attitude after an overview of these variables were examined to design research model and set up hypotheses. To verify the hypothese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employees at secretariate and managerial job. Questionnaires of collected 75 copies were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ep a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MX. Second, it is revealed that both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dissonance had no effect on quality of LMX. Third, the more employee’s deep acting increases, the bigger job satisfaction is and the more emotional dissonance is, the bigger burnout is. Fourth, the quality of LMX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had no effect on burnout. Fifth, as a result of analy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employees at secretariate and managerial job that w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ep acting. This study will find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LMX may be an important variabl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attitudes. Second, The fact that deep a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provide the managerial implications. The positive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employees. This study have limitations in some facts. First, there is a problem which is related to the sample sizes. Therefore, the author would likely to say that it is too much to generalize and app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자기효능감․정서노동과의 관계

        이진화(Jin Hwa Lee),이혜원(Lee Hye Won),유진경(Yoo Jin k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0 육아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자기효능감․정서노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정서적 행위를 지원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정서지능․자기효능감․정서노 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정서노동의 각 세 유형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자기정서 조절, 타인정서 인식, 자 기동기화는 정서노동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중에서도 타인정서 인식은 정서노동 세 유형에 모두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둘째, 정서지능이 높은 보육교사들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자기정서 조절, 타인정서 인식, 자기동기화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정서노동을 보다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효능감의 하위영 역 중 자기조절효능감은 자연적 행위와 내면적 행위를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을 함양하고 자기효능감을 향상하여 긍정적인 신념에서 비 롯되는 정서노동을 수행하기 위해 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과정에서 정서교육프로그램 실시의 필요성 등 의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between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their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in early childhood setting. To conduct the study, 151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amined b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 a result, firstly,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emotional labor. And, self-motivation, self-emotion awareness, another emotional awaren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eachers’ emotional labor. Secondly,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elf-efficacy, and some factors in emotional intelligence, e.g. self-emotional regulation, self-motivation, self-emotion awareness, another emotional aware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self-efficacy. Lastly, teachers’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emotional labor. Also, teachers’ self-efficacy had effects on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however it did not had an effect on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and support teachers’ emotional aspects in early childhood setting.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 분석

        한산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3

        This study aims to closely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 types and subjects of emotional labor, based on the importance of and need for attention to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aspect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8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emotional labor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developed by Han, Lee, and Lee (2022) was used to measure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In addition, independent-samples -tests and one-way analyses of variance (ANOVAs) were conducted. If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a posterior Duncan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s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in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ere above average, and the emotional labor for parents was the highest compared to administrators, teachers, and childr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depending on age,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as personal variables and the number of children, working hours, and monthly pay as institutional variables. In other words, some types and subjects differ depending on kindergarten teachers’ variables. Therefore, discrimination and support based on individual approaches are deemed necessary. These results indicate a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finding out practical ways to support them.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맥락에서 유치원교사가 하는 정서노동의 중요성과 관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정서노동 유형과 정서노동을 하는 대상에 따라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 정서노동의 전반적 양상과 개인적, 기관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의 현직교사 398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한산섬, 이승연, 이영선(2022)의 유치원교사용 정서노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사후검증(Dunca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은 표면행위와 내면행위 모두 평균 이상의 정도로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을 하는 대상 중에서는 학부모에 대한 정서노동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경력, 학력에 따라, 기관적 변인인 유아 수, 근무시간, 급여에 따라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치원교사의 변인에 따라 일부 유형 및 대상에서 차이가 나타나 개별적 접근에 기초한 판별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이와 같은 결과는 유치원교사가 하는 정서노동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