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박자현,송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1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topic trend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titles and abstracts of the papers published in four major journals such 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uring 1970 and 2012. After that, we applied the well-received topic modeling techniqu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 the collected data sets.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the extracted topics by LDA with the subject heading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hows that there are several distinct sub-research domains strongly tied with the field. Those include library and society in the domain of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ism,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in the domain of “library system,” library evaluation in the domain of “library management,”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domain of “library service,” services by library type, user training/information literacy, service evaluation, classification/cataloging/meta-data in the domain of “document organization,” bibliometrics/digital libraries/user study/internet/expert system/information retrieval/information system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science,” antique documents in the domain of “bibliography,” books/publications in the domain of “publication,” and archival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se sub-domains,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services are two most focused domains. Second, we observe that there is the growing trend in the research topics such as service and evaluation by library type, internet, and meta-data, but the research topics such as book,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reveal the declining trend. Third, analysis by journal show that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cience related topics appear more frequently than library science related topics whereas library science related topics are more popular in the other three journals studi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헌정보학 주요 학술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1970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발표 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기반의 토픽 모델링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모델링 실험에서 도출된 연구주제를 문헌정보학 주제분류표와 비교․분석한 결과, ‘정보학’영역의 디지털도서관, 이용연구, 인터넷, 전문가시스템, 계량정보학, 자동화, 정보검색,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영역의 정보서비스, 도서관 유형별 서비스, 이용자 교육/정보리터러시, 서비스 평가, ‘문헌정보학 기초’영역의 도서관과 사회, 전문성, ‘자료조직’영역의 분류, 편목, 메타데이터, ‘도서관 경영’영역의 도서관 평가, 장서개발/관리, ‘서지학’영역의 고서지, ‘도서관 체제’영역의 도서관 및 정보정책, ‘출판’영역의 도서/출판, ‘기록관리학’영역의 하위주제 등과 연결할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은 연구주제가 발견된 학문영역은 정보학과 도서관서비스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의 주요 연구주제에서 도서관 유형별 서비스 및 평가, 인터넷, 메타데이터의 연구주제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도서, 분류, 편목, 고서지에 관한 연구주제는 하강세를 보였다. 셋째, 학술지를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정보관리학회지는 도서관에 관한 연구주제보다 정보학에 관한 연구주제가 많이 출현하였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는 도서관에 관한 연구주제가 정보학에 관한 주제보다 많이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안인자,최상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2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curriculum operating model fo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investigations into LIS curricula at home and abroad. Standard courses that can be applied to this model were also proposed.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and surveyed current librarians in all types of library field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required courses, core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Six required LIS course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Six core LIS courses are: Classification & Cataloging Practice, Subject Information Resources, Collection Development, Digital Library, Introduction to Bibliography, and Introduction to Archive Management. Twenty selective LIS courses include: the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a (Cultural History of Information, Information Society and Library, Library and Copyright,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area (Metadata Fundamentals, KORMARC Practice), the Information Services area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eading Guidance, Information User Study),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area (Library Management, including management for different kinds of libraries, Library Information Cooperator, Library Marketing, Non-book Material and Multimedia Management (Contents Management), the Information Science area (Database Management, including Web DB Management, Indexing and Abstracting,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Understanding Information Science, Automated System of Library, Library Information Network), and the Archival Science area (Preservation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 KCI등재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토픽 변화 분석

        김선욱,Yang, Kiduk,이혜경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문헌정보학 SSCI 85종 학술지에 게재된 55,442편의 학술논문의 논문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도별 흐름에 따른 연구 주제 추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토픽에서 도서관경영(장서개발 및 관리, 도서관평가, 도서관 지식경영, 기획 및 활성화), 정보학(계량정보학, 정보이용행태․이용자연구, 의료정보,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도서관교육․정보리터러시), 도서관체계(도서관 시책 및 정책)에 따른 4개의 대분류를 파악하였다. 연도별 흐름에 따라 정보학 영역의 경우, 계량정보학 연구 주제가 학술지단위에서 논문단위로 변화되고 있었으며, 최근 도서관경영 영역의 경우, 이용자의 의견과 감정에 관련한 연구가 최근 등장하였다. 도서관서비스 연구영역은 20년간 안정적인 연구 주제로 그 양상이 보다 심화되고 견고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바일과 소셜미디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학영역 하위주제로 의료정보와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등장해, 문헌정보학의 간학문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 결과라 판단하였다. This study applied dynamic topic modeling on titles and abstracts of 55,442 academic papers in 85 SSCI journals from 2001 to 2020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jor themes of library management, informatics, library service, and library system in 10 major topics. The results also showed subtopics in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management topic areas to change over time, while library service remained stable over 20 years to establish itself as a robust topic. In addition, medical information emerged as a significant sub-topic of informatics, thus exemplifying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 KCI등재

        정보학, 인문학의 숨겨진 서고를 여는 또 하나의 열쇠

        윤애선(Yoon, Ae-S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80

        2002년은 이른바 ‘디지털 시대’가 열린 해로 평가된다. 생산량에서 디지털 데이터가 아날로그 데이터를 앞선 해이다. 그 이후로 디지털 데이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빅데이터’에 대한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은 점점 중요해지고, 그 결과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패러다임의 변환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 정보학은 연구자들에게 그들의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다양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롱데이터’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인문학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롱데이터란 아날로그 방식의 소규모 데이터이지만 오랜 기간 축적되어, 빅데이터에 못지않은 중요성을 갖는 자료를 뜻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출판된 서적 전부를 디지털 형태로 바꾸고자 하는 ‘구글북스 프로젝트’는 인문학에서 의미가 있다. 롱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나면, 중요하나 그동안 눈에 띄지 않은 사실들이 발견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부산대학교 ‘인문정보학센터’는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초까지의 한국 근대 개항기를 인문학의 다른 하위 분야들과 함께 연구해 왔다. 그 시대 서구선교사나 외교관이 만든 ‘한국어 이개어 사전’이 주요 연구 대상의 하나이다. 언어의 장벽 때문에 심화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영역인 것이다. 이때, 숨겨져 있던 고문서에 접근하여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발견하도록 도와준 것이 바로 정보학이다. 인문정보학센터는 한국어 이개어 사전 여섯 개를 디지털화 한 바 있고, 그 가운데 세 개는 지식베이스화하였으며, 일반인들에게 공개하였다. 인문정보학센터가 제공하는 디지털 버전은 현재 구체적이고 믿을 수 있는 지식베이스로, 본 센터뿐만 아니라 다른 한국의 학자들에게도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인문정보학센터의 과제가 완수된 것은 아니다. 위에서 언급한 개항기의 더 많은 텍스트를 디지털화해야 하는 작업이 남아있다. 좀 더 개방적이고 효율적인 인문학 연구를 위해, 다수의 인문한국 연구단이 각자의 관련 텍스트를 디지털화하고 공유하는 공동연구 체제인 ‘클라우드 방식’을 제안한다. The year 2002 is estimated as the beginning of ‘Digital Era’ when digital data began to exceed analog ones in term of production quantity. Since then, digital data increases exponentially. Efficient and effective analysis of such ‘big data’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and a variety of research fields undergo a paradigm shift in approaches. Informatics provides researchers with numerous tools analyzing their big data. Humanities, of which research texts constitute ‘long data’ (i.e. tiny quantity during very long periods) written on papers (i.e. in analog format), seemed to stand out of such changes. ‘Google Books Project’, which aims to transform all books ever published into digitalized format, is significant in Humanities, in a sense that meaningful but unseen facts can be found through processing digitalized long data. The ‘Center for the Study of Humanities Informatics’ (hereafter, CSHI)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investigating the first era of modernity in Korea (from the mid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ies) with other fields of Humanities. The 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formulated in that period by Western missionaries or diplomats were one of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Elaborate observations had not been conducted due to language barriers and the micro-structure of those dictionaries. Informatics could help us to open those hidden archives and to find unseen facts : CSHI digitalized six 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transformed three of them into knowledgebases, and opened them to the public on the web. The digitalized versions provided by CSHI are now used as concrete and reliable resources not only by CSHI’s affiliates but also other Korean scholars. However, CSHI’s works are far from being sufficient : much more texts in that period need to be digitalized. We suggest ‘Cloud Digitalization’ : a large number of Korean Humanities scholars will join in digitalizing their concerned texts and in sharing them.

      • KCI등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강미희,김정현,Kang, Mi-Hee,Kim, Jeong-Hy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ajor trend through exhaustive search of papers contained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that has been published for 40 years. Therefore, 1,365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from 1974 to 2013 were analyzed.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 detailed subject and joint research status, research fund supporting, research area etc.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opics, paper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the most, 452 papers followed by resource organization, 213 papers. The rest was found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ervice 188, information science 155 papers, reading guidance 101, library management 91, bibliography 84, collection development 58,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 papers. Through this,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on science is on an increasing trend while bibliography is on an decreasing trend and records management shows sluggish production. Second, as for research fund supporting, it turned out that 428 papers were funded and 315 papers among them were supported by the university while the remaining 108 papers we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hird, joint research is on an increasing trend and unlike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no papers for early, papers were found to increase up to 303 papers for recent. Fourth, unlike the early phenomenon concentrated in Daegu, research areas showed even distribution throughout the country in recent years. This showed that it has grown from certain area-based academic journal to nationwide academic journal. 이 연구의 목적은 창간 40년을 맞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전수조사를 통해 주요 연구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1974년에서 2013년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에 수록된 1,365편의 논문이며, 분석기준은 연구주제, 공동연구 현황, 연구비 지원 유무, 연구자 소속지역 등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는 문헌정보학일반이 452편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자료조직 213편, 정보서비스 188편, 정보학 155편, 독서지도 101편, 도서관경영 91편, 서지학 84편, 장서개발 58편, 기록관리학 20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보학은 증가추세인 반면 서지학은 감소추세며, 기록관리학은 생산량이 부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비 지원 여부는 428편이 연구비를 지원 받았으며, 이중 315편은 교내지원인 반면 나머지 108편은 정부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연구의 경향은 점점 높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전무했던 초창기와 달리 최근에는 303편으로 증가하였다. 넷째, 연구자 소속지역은 대구, 경북에 집중되었던 초창기 현상과 달리 최근 들어서는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지역기반학회지에서 전국규모 학회지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ALA인가 문헌정보학 학위 과정의 데이터 사서 양성과 관련된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분석

        박형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3년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인가 문헌정보학 학위 과정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사서와 관련된 교과목의 강의계획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2023년 ALA인가 문헌정보학과에서 공개한 강의계획서 184개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사서의 주요 역량인 데이터 관리와 큐레이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메타데이터, 정보 서비스, 도서관 경영, 연구 방법론, 학술 도서관, 컴퓨터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과목 등을 식별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데이터 사서와 관련된 강의계획서 127개를 식별한 후, 강의계획서의 내용을 집중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목 명, 교과목 목표, 교과목 설명, 교육 내용, 과제(assignments)를 집중 분석하였다.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국내외 교과목의 비교를 위하여 국외 61개 문헌정보학과에서 개설한 교과목 명 3,045개, 교과목 설명 2,559개와 국내 37개 문헌정보학과에서 개설한 1,330개의 교과목 명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국내외 문헌정보학과 모두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목을 골고루 개설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문헌정보학과에서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의 개발 및 개정 시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data librarian-related course syllabi in the 2023 American Library Association(ALA)-accredited degree program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The present study examined LIS course syllabi related to data librarian including course titles, course objectives, course descriptions, weekly topics and assignments. ALA-accredited LIS programs offer various courses in data librarianship such as data management and curation,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metadata, information services, research methods, library management, academic libraries, computer programming and databases. This study collected 184 syllabi from the ALA-accredited LIS programs and selected and analyzed 127 syllabi that are related to data librarianship. The study examined 3,045 course titles, 2,559 course description from 61 LIS degree programs overseas, and 1,330 course titles from 37 LIS degree programs in Korea. This study found that LIS degree programs both in Korea and overseas offer various courses for data librarians. The researcher hop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starting point to develop or redesign courses related to data librarianship in the information field.

      • KCI등재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 1957∼2002

        손정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3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관련 7개 학회지, 16개 대학 문헌정보학과 창립 기념논문집, 3개 전문기관지에 수록된 논문을 분석하여 1957∼2002년 간의 연구동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957∼1970년 간의 전문기관지 발표논문의 연평균은 42.6편, 1967∼2002년 간의 학술지 발표논문의 연평균은 63.1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도별로는 2002년이 가장 높고, 영역별 연평균 발표량의 순위는 정보학, 서지학, 도서관경영, 자료조직, 공공봉사, 문헌정보학기초, 도서 및 도서관사, 장서개발(관리) 순으로, 각 영역의 주제별로는 문헌정보학교육, 도서관경영론 전반, 장서개발정책ㆍ방침과 장서평가, 참고ㆍ정보봉사, 분석서지학, 도서관사, 정보검색 분야가 각 영역의 타주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s of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papers on journals of 7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ies, collection of papers in celebration of the founding of 16 departmen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nd journals published at 3 specialized institutions from 1957 through 2002.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average yearly papers: in the case of journals published at the specialized institutions - 42.6 pieces; in the case of the academic journals - 63.1 pieces. The year published the largest nmber of papers: 2002; the order of the number of papers by the domain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cience, bibliography, library management, organizing library materials, public service, foundation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history of books & libraries, collection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문헌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1996${\sim}$2000

        정진식,Chung, Jin-Sik 한국문헌정보학회 200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한국문헌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고 학문의 연구영역과 타 학문과의 주제 의존도 및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용패턴을 이용한 계량적 방법을 이용, 연구의 동향과 변화를 대응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조사결과 문헌정보학을 비롯한 정보학분야에 대한 의존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학문의 이론 및 응용기법의 활용도가 높은 컴퓨터 관련 전산학이 부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hemes, the relationship with other disciplin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other to analyze general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Methods used for the study is subject analysis of the general articles and citation analysis by correspondence analysis of SPSS. This study was done to apprehend the general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result, most researchers have studied on library related information science. in the future research trends is forecasting to computer-related study.

      • KCI등재

        기업환경 조성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확립방안

        이경호,김상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체성 확립의 방안으로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문헌정보학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하고, 정체성 훼손의 사례가 왜 발생하고 있으며, 이것이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또한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으로 사서의 전문성과 일자리 창출 등 정체성 확립의 가능성에 대해 진단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ntity establish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 suggests, as a way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the necessity of promoting of business environ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Korean cases that have damaged the identity, and analyzes why such damage has been done and how it affects the fostering of business environ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It also diagnose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establishment such as, for example, professionalism of the librarian and creation of jobs through the fostering of business environ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정보학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

        이명희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社會科學硏究 Vol.15 No.-

        정보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론들을 알아보기 위해 정보 및 정보학의 정의 및 역사, 그리고 정보와 지식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보학에서 강조되는 몇 가지 개념들인 적합성의 정의와 다양한 명칭의 문제, 정보검색의 방법론 중에서 고려하여야 할 부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정보학 분야 중에서도 다양한 법칙들을 가지고 있는 계량서지학 분야의 제 법칙을 주로 다룬 논문들과 최근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특히 인터넷이 등장한 이후 웹문서를 대상으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webometrics 관련 논문들의 응용성을 살펴보았다. Webometrics는 link와 anchor, 그리고 URL 들이 다시 한번 주목을 받고 있는 신생분야이지만 현재의 검색엔진의 기술부족 등으로 이를 새로운 하나의 평가방법으로 채택하기에는 많은 난관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