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 운영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식 분석
김지하,문보은,장덕호,이선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2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by analyzing the status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who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3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related to this syst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was explained based on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the system were described.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using the 2016~2018 full-time faculty survey data. Also,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used as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direction and future research projects for improving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at the government and university level.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본 제도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을 근거로 대학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제도의 도입 배경 및 추진 경과를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2018 대학 기본역량 진단 보고서의 ‘2016~2018 전임교원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전임교원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과 대학의 교원인사행정담당자로 구성된 4개 그룹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면담 결과를 수렴하여 향후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개선 방향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김민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As the university reform driven by reduced the number of student,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in charge of teaching is high, but ratio of contingent faculties are lowered. Part-time lecturers are not guaranteed the legal status of 'professeor'. As suffer harsh treatment of low wages and unstable employment situation is the motivation to engage in teaching and research. Part-time lecturer Enforcement Decree has been subject. Part-time lecturer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upports system for better treatment and support of research projects between the instructor also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non-professional teachers at universities increased from 48.2% in 1990 to 60.6% in 2015. The selection rate of the research foundation support projects for part-time lecturer was about 51% or more. It suggests that the current situation and maintain support systems, research support expanded, three re-design measures such as improved treatment and research support separation support. 학생수 감소 등에 따라 대학구조개혁 등이 추진되면서 각 대학들은 학생 및 교원정원을 감축하는 추세이며, 전임교원의 강의담당비율이 높아지고 시간강사 등 비전임교원의 비율이 낮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간강사들은 법적으로 ‘교원’이라는 지위를 보장받지 못한 채 저임금과 고용불안의 열악한 처우에 시달리게 되면서 교육 및 연구에 종사하고자 하는 동기가 낮은 상황이다. 시간강사법 시행령이 예고되어 있어 시간강사들의 처우개선 및 연구지원을 위한 한국연구재단의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 또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도별 대학의 비전임교원 규모는 1990년 48.2%에서 2015년에는 60.6% 정도로 증가하였다. 비전임교원 중 시간강사를 위한 연구재단지원사업의 선정률은 약 51%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은 현행 지원체제를 유지하는 방안, 연구지원체제를 확대하는 방안, 처우개선 및 연구지원을 분리하여 지원하는 방안 등의 3가지 재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Hyun-Jin Park,Dong-Mi Yoo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5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에서 전임교원 확보율(FFSR)과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SPF)가 신입생 충원율(FER) 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연구 결과는 기관의 경쟁력 강화와 신입생 모집 성과 향상을 위해 교원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증거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 전임교원 확보율과 신입생 충원율 사이에 유의미한 긍정적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는 전임교원 비율이 높은 기관이 신입생 유치에 더 성공적임을 보여준다.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비율도 신입생 충원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적정 수준의 교육 부담과 개별화된 교수- 학생 상호작용이 학문적 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결과 는 대학 행정가들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신입생 충원율에 영향을 미치는 교원 관련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원 자원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기관의 관행을 최적화함으로써, 대학들은 효과적으로 학생들을 유치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장기적 성공을 보장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Full-time Faculty Securing Rate (FFSR) and Students per Full-time Faculty (SPF) impact freshman enrollment rate (FER)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effective faculty resource management is crucial for institutional competitiveness and recruitment success. Analysi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FSR and FER, suggesting that institutions with higher full-time faculty ratios are better at attracting new students. The SPF ratio also positively affects FE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nageable teaching loads and personalized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shaping perceptions of academic quality.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policymak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faculty-related factors in influencing freshman enrollment rates. Through strategic management of faculty resources and institutional practices optimization, universities can effectively attract and retain students, ensuring long-term sustainability and success.
고등교육 정책 및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원 신규임용 소요 기간 특성 분석
김훈호,박환보,김민희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full time faculty appointment in Korean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duration of full time faculty member appointment of doctoral degree holders and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duration. The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on analyzing change in trends of faculty appointment duration and related influential factors in the paradigm of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and graduate education) as well as increase in popularity to study abroad during last 40 years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uration for faculty appointment of domestic and foreign degree holders in 1980’s was 1.2 year, but it has increased consistently where in 2015 the average duration increased up to 5.1 years. Such change reflect that there are increase in mismatch between supply and demand on doctoral degree holders in academic job marke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duration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country of degree obtained, industry experience, doctoral degree grant institution and such difference was found differently according to appointment period. 국내 고등교육의 팽창과 대학원 교육의 확대, 외국 유학의 보편화 등과 같은 고등교육 환경 속에서 대학 교수가 되기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으며, 박사학위 취득 후 교수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 또한 빠르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박사학위 취득자들이 교수로 임용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실제로 얼마나 되는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러한 소요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 전임교원 신규임용까지의 소요 기간 특성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박사학위 취득 이후 전임교원으로 신규 임용되기까지의 기간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둘째, 인문계열이나 자연계열과 같은 기초학문 분야의 신규 임용 소요 기간이 타 학문 분야보다 길게 나타났다. 셋째, 산업체 경력은 전임교원 임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체 경력이 길어질수록 그만큼 전임교원 임용은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사학위 취득 대학에서 전임교원으로 임용되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으며, 이에 소요되는 기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전임교원 확보를 위한 노력, 기초학문 분야의 박사학위 취득자들에 대한 노동시장 이행 지원 방안 마련, 박사학위 소지 연구자 및 대학 교원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학 전임교원의 시간 구성과 정체성 탐색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연구
백평구,강현주 한국성인교육학회 202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7 No.2
본 연구는 대학 정년․비정년 전임교원 연구자의 시간 구성과 그에 따른 정체성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이다. 연구자들은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자신의 시간 사용을 기록하였고 시간 일지, 성찰 메모, 공동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자료를 구성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교수의 역할 중 두 연구자 모두 봉사(외부 프로젝트) 영역에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연구자 1의 경우 봉사>연구>경력개발>교육>연구지도 순인 것과 비교해 연구자 2의 경우 봉사>교육>연구>경력개발>연구지도 순으로 시간 구성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구자 1과 연구자 2는 외부 프로젝트에 대한 시간 할애가 가장 컸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연구자 1은 ’경제적 보조 수단’으로써, 연구자 2는 ’일터의 안정화’에 따른 도전과 대학원생의 경력개발 기회라는 점에서 프로젝트의 전개 양상은 달랐다. 셋째, 시간 사용과 관련해 연구자 1에게는 비정년 연구중점 전임교원이라는 지위에 따른 처우, 연구자 2에게는 정년 전임교원으로서 이전보다 복잡하고 다양해진 역할 요구, 자녀 돌봄을 하는 엄마 연구자로서의 지위 등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간 구성에 따른 현재의 정체성의 경우, 연구자 1은 ‘반은 연구자, 반은 컨설턴트’이자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이 표류하고 흐릿해진 상태라면 연구자 2는 다양한 교수의 역할들 간의 균형을 잡는 여정으로서 정체성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임교원 정체성 구성의 차이와 공통점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is to explore how tenured and non- tenure-track faculty researchers in universities allocate their time and the meanings that this has for their identities. The researchers recorded their time usage from June to December 2023 and constructed and analyzed data based on time diaries, reflective memos, and joint interview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roles of professors, both researchers spent the most time on service (external project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ime between Researcher 1 and Researcher 2, with Researcher 1 prioritizing service > research > career development > education > research supervision, while Researcher 2 prioritized service > education > research > career development > research supervision. Second, while both Researcher 1 and Researcher 2 allocated significant time to external projects, the nature of project development differed, with Researcher 1 viewing it as an ‘economic support' and Researcher 2 as a challenge stemming from ‘workplace stabilization' and opportunities for graduate student career development. Third, regarding time usage, Researcher 1 was influenced primarily by the treatment associated with the position of non-tenured faculty, while Researcher 2 faced increased and varied role demands as her tenured faculty position, along with the status of being a mother researcher caring for children. Fourth, regarding their current identity connected to time allocation, Researcher 1 found himself in a blurred state, being ‘half researcher, half consultant,' while Researcher 2 attributed meaning to her identity of balancing multiple roles as a professor. This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searchers’ faculty identities, and concluded by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황설중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4
In this essay, I try to reveal the problems of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hidden in Korean universities and seek a solution. The overall discrimination and poor condition of this kind of full-time faculty within the university has already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previous studies. Few people deny that this system has serious problems. The barbarism of neo-liberalism has penetrated into universities, and it is clear that a representative victim brought by the huge trend of this capitalist market is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A number of ways to improve the poor condi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have also been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and these were mainly to urg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niversity authorities to recognize the actual situation and to suggest alternatives. We can agree that various solutions in this direction are necessary. However, anyone who knows a little about the circumstances of Korean universities can only be skeptical as to whether such measures can be achieved in the actual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other new way. I think it is just to organize the faculty labor union. A way of improving this system should be sought not from the level of benevolence provided by the government or universities, but from the level of the acting subject. i.e.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itself. This faculty members are the only men who can and should resist the absurd system to escape from the suffering caused by it. Only then can this system be directly and substantially improved or abolished. The fact that the situa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is gradually improving, albeit weakly, by organizing the recently legalized labor union and by making a collective agreement shows that my suggestion is a plausible solution. 나는 이 글에서 한국대학에서 은폐되어 있는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비정년계열 전임교원들이 대학 내에서 받는 전면적인 차별과 열악한 실태는 이미 몇몇 선행 연구에 의해서도 구명된 바 있다. 이 제도가 지닌 문제점을 부인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신자유주의가 지닌 야만성은 대학 안까지 침투해 왔으며, 그로 인한 희생양 중의 하나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임은 분명하다. 이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이미 몇몇 선행 연구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것들은 주로 교육부와 대학 당국의 각성을 촉구하고 대안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이런 방향에서의 해결책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한국대학의 사정을 좀 아는 사람이라면, 현장에서 그런 방안들이 과연 실현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른 새로운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나는 이 제도의 개선이나 폐지는 정부나 대학이 베풀어주는 시혜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직접 고통받는 비정년계열의 전임교원들이 저항하고 쟁취하는 주체의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들은 이 제도에 있어 희생양의 차원에서만 서술되었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당사자로 등장해야 이 제도가 직접적이고도 실질적으로 교정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 길이 어떤 것인지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국내 대학교 외국인 전임교원의 정착 단계에 따른 정보추구행위에 관한 연구
오경한,김건 한국정보관리학회 2024 정보관리학회지 Vol.41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foreign faculty members at Korean universities across different settlement stages. The research employed semi-structured interviews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CIT) with eight foreign faculty members.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 examined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ource utilization by dividing the settlement process into three stages: pre-departure, initial settlement, and current stage focusing on significant or challenging incidents at each stage. The findings revealed three key points. First, participants’ information needs evolved from general information about Korean culture, workplace, and daily life during pre-departure to more specific and personal needs based on individual interests in the current stage. Second, while foreign friends and colleagues served as crucial information sources, Korean experiences were necessary for specific matters such as children’s education and research grant applications. The presence of foreign networks also influenced the length of settlement periods. Third, language barriers, website accessibility issues, and workplace culture emerged as major obstacles in information see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foreign faculty member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suggesting improvements for information services dedicated to this group.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 외국인 전임교원의 정착 단계별 정보요구와 정보추구 행위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8명의 외국인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반구조화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면접을 통해 출국 전, 초기 정착 단계, 현재의 세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중요하거나 어려웠던 사건을 중심으로 정보요구와 정보원 활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가자의 정보요구는 출국 전에는 한국 문화, 직장, 일상 등의 일반적인 정보요구가 있었으나, 정착 단계를 거쳐 현재에는 개인의 관심사에 따른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정보요구로 변화하였다. 둘째, 참가자에게 외국인 친구․동료가 중요한 정보원이었으나, 자녀 교육, 연구 신청과 같은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경험이 필요했으며, 외국인 네트워크 유무에 따라 정착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언어 장벽, 웹사이트 문제, 직장 문화 등이 정보탐색의 장애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교원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 행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종성(Jong-Seong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The basic fuctions of national university are trainings of competent students and productions of excellent research performance. For this purposes, it is essential to appoint and maintain competent faculties. But stil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national universities have a tradi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It is needed to introduce of SHRM(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national universities. SHRM emphasis on high performances, a long-term performance, a horizontal-decentral decision making process, a collective effort. In terms of SHRM, national universities have to introduce following institutions. The first is the faculty quota reallocation based on performance measures of a department. The second is the special appointment of competent human resources. The third is the decentralization of appointment process. The forth is appointment based on fair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career and outcomes. The fifth is the same delegation process of appointment power of all faculties. The sixth is individual contract based on ablilities and outcomes. I expect that national universities and state would be more competent by the new institutions.
김종성(Jong-Seong Kim),전주상(Joo-Sang Jeo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 Vol.23 No.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ts personnel ceiling of national university and allocates faculty number to national universities. But There is not definite and detailed criteria. So I analysed the current quota system. And according to the needs of educational needs, I built a model for calculation of faculty number. This model is based on the student credit hours and give a different weight with characters of curriculum, methods of teaching, degrees of student and category of science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factors and weights of the model. But the weights of this model are for example. Each university may sets the weight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speciality. If the human resources of national university are allocated efficiently, the higher education is developed.
유각근(Yu, KagKeun) 한양법학회 2010 漢陽法學 Vol.29 No.-
As an effort to pursue labor relationship with social integration, the law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eachers’ union (“Law of Teachers’ Union”) was became effective in July 1999 and has given many environment changes in education field for the past decade. It has brought many result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of teachers through group negotiation with the education authority in equal position in order to raise the status of teachers with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decision-making. With the purpose to find ways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guarantee the basic labor rights, this research suggest improvement and supplement matters on various issues of Law of Teachers’ Union, especially by analyzing and reviewing on qualification to sign up on the union (Article 2 of Law of Teachers’ Union) and the matter of group negotiation subjects (Article 6(1)) as limited concent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