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 운영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식 분석

        김지하,문보은,장덕호,이선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2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by analyzing the status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who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3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related to this syst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was explained based on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the system were described.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using the 2016~2018 full-time faculty survey data. Also,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used as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direction and future research projects for improving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at the government and university level.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본 제도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을 근거로 대학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제도의 도입 배경 및 추진 경과를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2018 대학 기본역량 진단 보고서의 ‘2016~2018 전임교원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전임교원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과 대학의 교원인사행정담당자로 구성된 4개 그룹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면담 결과를 수렴하여 향후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개선 방향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연구재단 시간강사지원사업 재설계 방안

        김민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As the university reform driven by reduced the number of student,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in charge of teaching is high, but ratio of contingent faculties are lowered. Part-time lecturers are not guaranteed the legal status of 'professeor'. As suffer harsh treatment of low wages and unstable employment situation is the motivation to engage in teaching and research. Part-time lecturer Enforcement Decree has been subject. Part-time lecturer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upports system for better treatment and support of research projects between the instructor also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non-professional teachers at universities increased from 48.2% in 1990 to 60.6% in 2015. The selection rate of the research foundation support projects for part-time lecturer was about 51% or more. It suggests that the current situation and maintain support systems, research support expanded, three re-design measures such as improved treatment and research support separation support. 학생수 감소 등에 따라 대학구조개혁 등이 추진되면서 각 대학들은 학생 및 교원정원을 감축하는 추세이며, 전임교원의 강의담당비율이 높아지고 시간강사 등 비전임교원의 비율이 낮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간강사들은 법적으로 ‘교원’이라는 지위를 보장받지 못한 채 저임금과 고용불안의 열악한 처우에 시달리게 되면서 교육 및 연구에 종사하고자 하는 동기가 낮은 상황이다. 시간강사법 시행령이 예고되어 있어 시간강사들의 처우개선 및 연구지원을 위한 한국연구재단의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 또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도별 대학의 비전임교원 규모는 1990년 48.2%에서 2015년에는 60.6% 정도로 증가하였다. 비전임교원 중 시간강사를 위한 연구재단지원사업의 선정률은 약 51%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은 현행 지원체제를 유지하는 방안, 연구지원체제를 확대하는 방안, 처우개선 및 연구지원을 분리하여 지원하는 방안 등의 3가지 재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교육 정책 및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원 신규임용 소요 기간 특성 분석

        김훈호,박환보,김민희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full time faculty appointment in Korean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duration of full time faculty member appointment of doctoral degree holders and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duration. The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on analyzing change in trends of faculty appointment duration and related influential factors in the paradigm of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and graduate education) as well as increase in popularity to study abroad during last 40 years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uration for faculty appointment of domestic and foreign degree holders in 1980’s was 1.2 year, but it has increased consistently where in 2015 the average duration increased up to 5.1 years. Such change reflect that there are increase in mismatch between supply and demand on doctoral degree holders in academic job marke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duration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country of degree obtained, industry experience, doctoral degree grant institution and such difference was found differently according to appointment period. 국내 고등교육의 팽창과 대학원 교육의 확대, 외국 유학의 보편화 등과 같은 고등교육 환경 속에서 대학 교수가 되기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으며, 박사학위 취득 후 교수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 또한 빠르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박사학위 취득자들이 교수로 임용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실제로 얼마나 되는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러한 소요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 전임교원 신규임용까지의 소요 기간 특성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박사학위 취득 이후 전임교원으로 신규 임용되기까지의 기간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둘째, 인문계열이나 자연계열과 같은 기초학문 분야의 신규 임용 소요 기간이 타 학문 분야보다 길게 나타났다. 셋째, 산업체 경력은 전임교원 임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체 경력이 길어질수록 그만큼 전임교원 임용은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사학위 취득 대학에서 전임교원으로 임용되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으며, 이에 소요되는 기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전임교원 확보를 위한 노력, 기초학문 분야의 박사학위 취득자들에 대한 노동시장 이행 지원 방안 마련, 박사학위 소지 연구자 및 대학 교원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에 대한 고찰

        황설중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4

        In this essay, I try to reveal the problems of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hidden in Korean universities and seek a solution. The overall discrimination and poor condition of this kind of full-time faculty within the university has already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previous studies. Few people deny that this system has serious problems. The barbarism of neo-liberalism has penetrated into universities, and it is clear that a representative victim brought by the huge trend of this capitalist market is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A number of ways to improve the poor condi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have also been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and these were mainly to urg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niversity authorities to recognize the actual situation and to suggest alternatives. We can agree that various solutions in this direction are necessary. However, anyone who knows a little about the circumstances of Korean universities can only be skeptical as to whether such measures can be achieved in the actual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other new way. I think it is just to organize the faculty labor union. A way of improving this system should be sought not from the level of benevolence provided by the government or universities, but from the level of the acting subject. i.e.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itself. This faculty members are the only men who can and should resist the absurd system to escape from the suffering caused by it. Only then can this system be directly and substantially improved or abolished. The fact that the situa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is gradually improving, albeit weakly, by organizing the recently legalized labor union and by making a collective agreement shows that my suggestion is a plausible solution. 나는 이 글에서 한국대학에서 은폐되어 있는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비정년계열 전임교원들이 대학 내에서 받는 전면적인 차별과 열악한 실태는 이미 몇몇 선행 연구에 의해서도 구명된 바 있다. 이 제도가 지닌 문제점을 부인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신자유주의가 지닌 야만성은 대학 안까지 침투해 왔으며, 그로 인한 희생양 중의 하나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임은 분명하다. 이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이미 몇몇 선행 연구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것들은 주로 교육부와 대학 당국의 각성을 촉구하고 대안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이런 방향에서의 해결책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한국대학의 사정을 좀 아는 사람이라면, 현장에서 그런 방안들이 과연 실현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른 새로운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나는 이 제도의 개선이나 폐지는 정부나 대학이 베풀어주는 시혜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직접 고통받는 비정년계열의 전임교원들이 저항하고 쟁취하는 주체의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들은 이 제도에 있어 희생양의 차원에서만 서술되었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당사자로 등장해야 이 제도가 직접적이고도 실질적으로 교정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 길이 어떤 것인지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국립대학 전임교원의 정원기준과 산정모형에 관한 연구

        김종성(Jong-Seong Kim),전주상(Joo-Sang Jeo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 Vol.23 No.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ts personnel ceiling of national university and allocates faculty number to national universities. But There is not definite and detailed criteria. So I analysed the current quota system. And according to the needs of educational needs, I built a model for calculation of faculty number. This model is based on the student credit hours and give a different weight with characters of curriculum, methods of teaching, degrees of student and category of science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factors and weights of the model. But the weights of this model are for example. Each university may sets the weight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speciality. If the human resources of national university are allocated efficiently, the higher education is developed.

      • KCI등재

        국립대학 전임교원의 신규채용제도에 관한 연구

        김종성(Jong-Seong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The basic fuctions of national university are trainings of competent students and productions of excellent research performance. For this purposes, it is essential to appoint and maintain competent faculties. But stil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national universities have a tradi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It is needed to introduce of SHRM(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national universities. SHRM emphasis on high performances, a long-term performance, a horizontal-decentral decision making process, a collective effort. In terms of SHRM, national universities have to introduce following institutions. The first is the faculty quota reallocation based on performance measures of a department. The second is the special appointment of competent human resources. The third is the decentralization of appointment process. The forth is appointment based on fair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career and outcomes. The fifth is the same delegation process of appointment power of all faculties. The sixth is individual contract based on ablilities and outcomes. I expect that national universities and state would be more competent by the new institutions.

      • KCI등재

        교원노조법의 주요쟁점에 대한 검토

        유각근(Yu, KagKeun) 한양법학회 2010 漢陽法學 Vol.29 No.-

        As an effort to pursue labor relationship with social integration, the law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eachers’ union (“Law of Teachers’ Union”) was became effective in July 1999 and has given many environment changes in education field for the past decade. It has brought many result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of teachers through group negotiation with the education authority in equal position in order to raise the status of teachers with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decision-making. With the purpose to find ways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guarantee the basic labor rights, this research suggest improvement and supplement matters on various issues of Law of Teachers’ Union, especially by analyzing and reviewing on qualification to sign up on the union (Article 2 of Law of Teachers’ Union) and the matter of group negotiation subjects (Article 6(1)) as limited concent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대학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고용의 결정요인들에 관한 연구

        정대훈(Daehun Chung),신동엽(Dongyoub Shi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3

        전 세계적으로 비정규직이 확대되면서 이에 관련된 연구도 신속하게 발전해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인적자원관리나 노사관계의 관점에서 조직 내부요인들을 중심으로 비정규직 고용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했고, 비정규직 고용의 급속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수준의 특성이나 제도적 수준, 환경 수준의 특성 등과 같은 거시 조직이론적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거시 조직이론의 관점에서 조직이 왜 비정규직 고용을 확대하며 축소하는지를 조직 내부의 요인이 아닌 보다 거시적인 수준에서의 요인들의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모형은 거시 조직이론의 주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제도이론과 환경적합성이론, 그리고 지위이론과 기업행동이론을 통합하여 비정규직 고용을 설명한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211개의 국내 4년제 종합대학교들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고용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사회담론과 환경 불확실성이 거시적 요인으로서 비정규직 고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효과는 개별 조직의 지위와 성과피드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ith the worldwide diffusion of contingent employment in recent years, academic inquiries of this issue also have rapidly increased. Nevertheless, prior studies focused mostly on intra-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contingent employment from HRM or IR perspectives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potential effects of more macro-leve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level factors, which have been studied primarily in the field of macro organizational theory. In this regards, this paper examines the potential effects of macro-level determinants on contingent employment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non-tenure track faculty in Korean universities. The research model of this paper draws on various theoretical paradigms of macro organization theory such institutional theory, contingency theory, status theory and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study that analyzed the macro determinants of non-tenure track faculty in 211 Korean universities 2007-2013, the employment of non-tenure track faculty turned out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social discourses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Moreover, we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the two variables are moderated by organizational status and performance feedback. Gener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캐나다의 기록학 대학원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연경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캐나다의 대표적인 문헌정보학 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록학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문헌정보학과 기록학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내용분석과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내에서 기록학 교육이 이루어지는 대학원의 명칭 및 역사, 학위과정, 이수학점, 필수과목 및 선택과목, 실습, 연구, 전임교원, 기록관련 협회의 지침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캐나다는 독립적인 기록학 석사학위 과정이나 특성화 프로그램을 통해 독자성을 가진 기록학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는 북미에서 유일하게 기록학 석사과정을 최초로 운영해 온 만큼 상당히 상세하고 탄탄한 교육과정을 갖고 있었다. ACA의 기록학 교육 지침서는 발행된 지 오래되어서 기록학 교육은 각 대학원의 원칙과 SAA 지침서를 참고로 운영되고 있었다. 캐나다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국의 현 상황과 비교하였으며 한국의 기록학 교육에 있어서 나아가야 할 발전 방향을 끝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seful factor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archival program in Korea by analyzing archival graduate programs of th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English-speaking Canada. Name and history of the schools, degrees, credits, required and elective courses, practice, research, md faculty of archival prgrams, and the official guidelines of ACA and SAA are compared by analyzing web sites and literature review. It is found that Canadian LIS schools offer independent archival programs with a separate MAS degree or a specializati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the first LIS school that has a separate MAS degree program, provides a systematically developed curriculum. It also reveals that Canadian archival programs are based on their own principle·md SAA guidelines because ACA guidelines are out of date.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archival programs in Canada,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archival graduate programs in Korea are compared and several suggestions ale made f3r the direction of successful archival education in Korea in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