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악수복환자에서 Shilla system을 이용한 교합평면 재구성 증례

        양민수,방몽숙,박상원,임현필,윤귀덕,양홍서,Yang, Min-Soo,Vang, Mong-Sook,Park, Sang-Won,Lim, Hyun-Phil,Yun, Kwi-Dug,Yang, Hong-S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1

        교합평면은 시상면적인 치열궁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악구강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인 교합을 형태적으로 구성한다. 본 증례에서는 생체의 정중 시상면에 대한 수평, 측방좌표를 교합기상에 재현하여 상하악 치아 및 결손부 치조제에 대한 좌우 동적인 위치관계 얻기 위해 Shilla system (Hamans,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재구성 하였다. 본 증례의 환자는 41세의 남자 환자로 상악 전치부 10본금속-도재 고정성국소의치 파절 및 탈락과 전반적인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검사, 방사선 검사, 모형분석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Gothic Arch device (Centrofix; AmannGirrbach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악간관계를 채득하고 마운팅 후, Shilla system을 이용하여 기존 교합평면을 평가, 분석하여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다. 이를 토대로 방사선 스텐트를 제작하여 임플란트 식립하였고, 진단 납형을 이용하여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임시 수복물의 형태 및 교합 양식을 재현하기 위해 맞춤 전방유도판을 제작하고, 교차 마운팅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수복물은 지르코니아 코핑을 이용한 완전 도재관으로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악수복환자에서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Shilla system을 이용하여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Occlusal plane is a sagittal expression of dental arch form, and it composes the shape of occlusio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Maxillo-oral system. In this case, vertical, horizontal coordinates of bionic-median-sagittal plane was produced in articulator, and to achieve relation of left and right position of upper, lower teeth and deficits in alveola, Shilla system was used to reconstruct occlusal plane. In this case, a 41 year-old male patient visited for fracture of 10 unit metal-ceramic fixed partial denture of upper anterior teeth and for overall treatment. Clinical, radiographical, model examination was held, full mouth rehabilitation was achieved by placing dental implant. Maxillo-oral relation was recorded using Gothic arch Tracer complex and were mounted. And for the next step, we estimated original occlusal plane using Shilla system. After analysis we produced diagnosis wax pattern. On the basis of this, radiography stent was manufactured and dental implant was placed, and temporary prosthesis was made by using diagnosis wax pattern. Cross mounting and anterior guiding table were performed in order to reproduce temporary restoration morphology and bite pattern, followed by final restoration made of all ceramic crown with zirconia coping. As stated above, appropriately 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can be seen in using Shilla system in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dure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patient.

      • KCI등재

        Class III 악간관계와 교합평면 부조화를 보이는 환자의 전악수복증례

        김하영,백장현,권긍록,배아란,Kim, Hayeong,Paek, Janghyun,Kwon, Kung-Rock,Pae, Ahr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4

        Prosthodontic decision-making process is done through analysis of clinical informa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dentist. When opposing teeth are extruded due to missing tooth or tooth defects, selection of appropriate treatment plan and predictory prognosis can be complicated in functional rehabilitation. In case of severely disharmonious occlusal plane result from extruded teeth, re-establishment of the occlusal plane is required, if necessary via prudent evaluation. In this case, class III patient had unesthetic appearance and mastication discomfort caused by disharmonious occlusal plane due to severe extrusion. Through a structured diagnostic process, appropriate treatment plan was selected. 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from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re-establishment of the occlusal plane. 보철 치료계획 결정과정은 임상정보에 대한 치과의사의 분석과 환자와의 상호소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치아의 상실이나 치관부 결손으로 인해 발생한 공간으로 반대악 치아가 정출된 경우, 구강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있어 적절한 치료방법 선택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치아의 정출로 인한 교합평면의 심한 부조화가 나타난 경우,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며, 필요 시 교합평면을 재설정 해야 한다. 본 증례는 심한 정출에 의한 불균일한 교합평면과 class III 악간관계로 인한 비심미성 및 저작불편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체계적인 진단과정을 통한 치료계획의 수립으로 교합평면 재설정을 통한 전악수복으로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출혈이 심한 환자에서 개별치아 인상채득후 트랜스퍼 코핑 픽업인상법을 이용한 전악수복증례

        하승룡 대한치과보철학회 202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9 No.1

        과도하게 마모된 치열의 경우 보철물이 들어갈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경우에는 교합을 거상해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결정된 교합고경이 생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지 확인하는 가역적인 방법으로 가철성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여러 인접한 치아의 인상채득을 하는 경우에 한번에 정확한 인상채득을 만들어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개개 치아의 정확한 인상채득을 나눠서 시행한 후 하나의 작업모형을 만들기 위해 트랜스퍼 코핑을 제작하고 구강내에서 픽업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과도하게 마모된 치열을 지녀 보철수복 공간이 부족하고 출혈경향이 심한 환자에서, 개별치아의 인상채득 후 트랜스퍼 코핑 픽업인상법을 이용하여 작업모형을 만든 후, 교합고경을 거상시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전악수복한 환자를 7년의 추적 관찰 결과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상악 전치부 치간 이개와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을 가진 환자에서 교정치료를 동반한 완전 구강회복 증례

        이선기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22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38 No.1

        심한 치주염을 가진 환자는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증가함에 따라, 병적인 치아 이동이 증가하고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의가능성이 높다. 특히, 상악 전치부에서 병적인 치아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환자는 심미적인 위축감과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 중증 치주염 환자에게 교정치료는 새로운 뼈 형성을 촉진하고 치주낭을 감소시키며, 임상적 부착을 얻어보철 수복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이상적인 교합과 기능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 구치부의 교합지지 상실로 인해전치부 병적 치아 이동이 있는 환자에게 치주치료, 교정치료, 임플란트 치료를 계획함으로써 이상적인 수복공간 확보와안정적인 교합접촉을 형성하였고, 구치부 교합회복을 통한 기능적인 전악수복을 통해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강한 교합력과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의 전악수복 증례

        박지희,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귀덕,임현필,Park, Ji-Hee,Vang, Mong-Sook,Yang, Hong-So,Park, Sang-Won,Yun, Kwi-Dug,Lim, Hyun-Pil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2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는 광범위한 수복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마모의 원인은 주로 교모에 의해 발생하나 이외에도 여러 가지 유발 요인이 있으며 치료 계획은 이러한 마모의 양상과 병인 분석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어야 한다. 발달된 저작근과 치조돌기, 높은 교합력을 보이며 수축 상태와 안정 상태의 근육길이 차이가 적어 악간 간격이 많지 않은 환자는 수직 고경 상실에 대한 평가와 수복물의 설계가 더욱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치아 길이의 감소는 그에 상응하는 치조골 높이 신장에 의해 보상될 수 있으며 수직고경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것이므로, 이 경우 수직고경의 섣부른 증가는 근피로감, 치아의 압하 및 통증, 보철물의 파절등을 초래할 수 있다. 본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의 마모와 이 악물기 습관이 관찰된 환자로,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상악 무치악 부위는 아말감을 삽입한 가철성 국소의치, 상하악 유치악 부위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하였으며, 이에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치험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Many of the patients with extensive abrasion need comprehensive restorative treatment. The abrasion is usually caused by attrition, besides of it, there are many reasons for it. The plan of treatment should be started on assessment of the type of attrition and the etiologic analysis. Patient with well-developed masticatory muscle, alveolar process, and high occlusal force and also with little muscl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stable and the contracted state should be carefully assessed for the vertical dimensional loss and the restoration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Decrease of tooth length can be compensated by the growth of the alveolar bone height; therefore, consistency of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s maintained. Accordingly, a careless increase of the vertical dimension can produce muscle fatigue, depressed tooth and pain, and fracture of the restoration. In this case, the patient with multiple tooth abrasion and clenching habit, the edentulous maxillary area is restored with amalgam inserted RPD, and the dentulous area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re treated with fixed restoration accompanying with the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Consequently, we are going to report about the satisfying result in both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 KCI등재

        기성품 바 어태치먼트 시스템인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 전악수복 증례

        신은정,주한성,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Shin, Eun-Jung,Joo, Han-Sung,Vang, Mong-Sook,Yang, Hong-So,Park, Sang-Won,Lim, Hyun-Pil,Yun, Kwi-Du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4

        전통적인 바와 클립 유지형 피개의치의 경우, 인상채득 및 기공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어 바가 nonpassive fit하게 제작될 수 있다. 최근에 나온 기성품 바 어태치먼트 시스템인 SFI-Bar (Stress Free on Implant Bar) system (Cendres+Metaux, Biel/Bienne, Switzerland)은 튜브바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밀링방식이나 캐스팅방식에서 겪을 수 있는 작업상의 많은 어려움과 긴 작업 시간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고, 임플란트 주위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도 줄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골흡수가 심한 상악 무치악 환자에게 최근에 나온 stress free implant bar인 SFI-Bar system을 사용한 피개 의치로 수복하였다.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 제작시 수동적 적합을 얻을 수 있어 임플란트에 스트레스를 덜 가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추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In conventional bar- and clip-retained overdentures, all errors during impression making and cast fabrication result in non-passive fit of bars. SFI bar is prefabricated and assembled in the patient's mouth without the use of soldering, laser welding or conventional bonding techniques, thus reducing stress transmission to, bone loss around the implants and leading to fewer errors and lower costs. A clinical case will be presented below to demonstrate the use of the SFI Bar (Stress Free on Implant Bar) to restore an severe atrophy edentulous maxilla. In this case, no lateral stress could be applied to the implants due to the telescopic design of the bar joints. However, periodic recall check is necessary and long-term clinical results are required.

      • KCI등재

        과도한 치아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 전악수복

        방지원,김성아,임선영,이용상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4

        Gradual teeth wear is normal physiological progress, severe tooth wear can causes dysfunction, occlusal plane disharmony and esthetic problems. If additional space is needed for prosthetic restoration due to severe attrition,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increa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72 year old male patient with severe worn dentition, irregular gingival zenith and deep anterior bite was treated by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regaining the space for restoration, improving relationship and esthetic of anterior teeth. Provisional restoration obtained by systemic analysis, diagnosis and re-evaluation for a sufficient time was replicated to final restorations through double scanning technique using monolithic zirconia blocks. Satisfactory functional and esthetic outcomes were obtained.

      • KCI등재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Kim, Sung-Hoon,Rhee, Ye-Kyu,Ko, Kyung-Ho,Huh, Yoon-Hyuk,Cho, Lee-Ra,Park, Chan-Ji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2

        과도한 수직피개를 가진 과개교합 환자에서 안정적인 유지접촉이 없는 경우 연조직 외상, 치질 파괴, 대합치 정출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교합평면의 붕괴와 기능적, 심미적 문제로 이어진다. 치아의 상실과 마모가 발생된 환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 시 올바른 교합수직고경 설정을 통해 환자의 안정적인 악간관계를 회복시켜야 한다. 본 증례는 중심위에서 극심한 면 대 면 접촉이 발생된, 편측 구치부가 상실된 과개교합 환자에게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였다. 보철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고경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안정적인 교합관계와 조화로운 전방, 측방유도를 얻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Deep overbite patients who do not have proper occlusal relationship may cause problems such as teeth wear and antagonist extrusion. These lead to the collapse of occlusal plane and esthetic problem.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is frequently essential to resolve those problems. This case report demonstrates a full-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severe deep bite that contacts surface to surface by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Treatment procedures included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implant surgery, and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 KCI등재

        심한 교합 부조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악교정수술 및 교정치료를 동반한 구강회복: 증례 보고

        이정진,송광엽,안승근,박주미,서재민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3

        교합의 부조화가 있고 중심위와 최대 교두간 접촉위의 불일치가 과도하며 이와 관련된 병적인 징후가 관찰되는 경우, 반복 재현이 가능한 안정된 교합을 얻고 상실된 저작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교합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면밀한 진단을 통하여 중심위를 기준으로 한 악간 및 교합관계를 분석하여 그 부조화의 정도에 따라 교합조정이나 보철수복, 교정치료, 악교정 수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수 년 전부터 발생한 교합 불안정 및 저작기능 상실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으며 내원 당시 최대 교두간 접촉위에서 상악 우측 제2대구치만 접촉이 이루어지는 심한 교합부조화를 보였다. 중심위를 기준으로 한 교합분석 결과, 교합조정이나 보철수복을 통한 치료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든 상,하악 간 골격성 2급의 심도가 매우 깊었다. 따라서 임시의치수복을 통한 중심위를 확보하고 심한 골격성 2급을 해결하기 위한 술 전,후 교정치료를 동반한 양측 하악골 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을 시행하였다. 이후, 전악에 걸친 세밀한 교합조정을 시행하여 교합을 더욱 안정화시켰으며, 무치악 부위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임시수복 하였다. 경과관찰 동안, 주기적인 교합평가 및 추가적인 교합조정을 통하여 안정적인 중심위와 조화로운 전방 및 측방유도를 얻었다. 이에 최종 보철수복을 완료하여 환자의 저작기능을 회복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occlusal treatment including prosthetic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pathologic symptom was observed with the excessive discrepancy between the centric relation occlusion (CRO) and the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MIP). Through careful diagnosis, the malocclusion and interarch relationship can be analyzed, and occlusal adjustment, restorative treatment, orthodontic therapy, or orthognathic surgery can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sharmony. The patient in this case report complained the unstable occlusion and loss of masticatory function that had been occurring for several years. At the time of the visit, the patient showed severe occlusal disharmony, with only the upper right second molar contacting the lower jaw at the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occlusion, it wa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with just occlusal adjustment or restorative treatment. In addition, the patient had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Therefore, for resolving the sever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pre- and post-orthodontic treatment,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was performed. After that, the occlusal adjustment was performed for stable occlusion, and the missing teeth area was restored with dental implan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a periodic follow-up visits and additional occlusal adjustments were performed to achieve a stable centric occlusion and harmonious anterior and lateral guidance. As a result, the final prosthodontic treatment was completed, and the patient’s masticatory function was restored.

      • KCI등재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전악 수복 증례

        육동휘,이영후,홍성진,배아란,노관태,김형섭,권긍록,백장현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4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하고 잔존치들이 엇갈린 교합을 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의치의 하중시 다양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의치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유지, 지지, 안정 요소의 보강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는 환자의 고령과 수술에 대한 거부감 및 골소실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식립하지 않고,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한 환자의 경우 수직, 수평 악간관계 모두 새로 설정해 주어야한다. 이때 소수 잔존치 증례에서는 잔존치들로 저작하던 습관을 가지고 있어 수복을 위한 올바른 하악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Gothic arch tracing을 이용하여 환자의 안정적인 하악위를 설정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n the case of a patients who have lost the centric stop and have a staggered occlusion of the residual teeth, various movements occur when the denture is loaded. Implant placemen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retention, support, and stabilization elements to reduce denture movement. However,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patient’s age, aversion to surgery, and bone loss, implants were not placed and restoration was performed with a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set the correct mandibular position for restoration because the patient has a habit of chewing with the remaining teeth. In this case, a stable mandibular position was established using a gothic arch tracing,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by restoring with partial dentures, so this is re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