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역전시회 레이아웃 공간 유형화에 관한 기초 연구

        구미정,이현수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1

        무역전시회는 실체적인 공간에서 개최된다는 점이다. 전시주최자는 사람과 사람 간의 만남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이게 기획해야 한다. 환경심리학에 따르면 공간은 사람의 인지, 인식, 행위에 영향을 주는 큰 요인이다. 따라서 공간설계에 따라 전시공간이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관계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실제 무역전시회 레이아웃 분석을 통해 국내 전시공간이 어떤 위계성, 가시성을 가지는지를 분석하여 공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기초가 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여 위해 공간구문론이라는 방법론을 차용하고자 한다. 이에 먼저 공간구문론을 바탕으로 연구된 박물관, 미술관, 쇼핑몰 등의 타공간 연구자료를 살펴보고 국내 전시회 레이아웃을 수집하여 분석에 적용해보기로 한다. 공간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간을 유형화하고 주최자의 기획의도를 바탕으로 공간을 해석하고자 한다. 무역전시회 공간의 가시성 분석결과 수직형, 수평형, 교차형, 교차점형, 탈중심형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전시주최자 기획의도에 따라 다시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기획의도에 따라서는 이동동선형, 부스유형형, 부스배정형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에 따라서 가시성이 다른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동동선형은 이동동선에 가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스유형형, 부스배정형은 대형부스 주변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장관찰과 병행하여야만 더욱 정확한 분석결과가 나타나는 한계를 가지지만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전시회 참가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시공간의 설계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문제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al space of trade show layouts with space syntax metho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regarding to the space syntax researches, the trade show layouts are converted to depthmap tool version and expressed with VGA analysis and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exhibition organizers’floorplanning intentions. The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5 types of centricity of visual integration and in the 3 types of spaces so-called traffic lines, booth types and booth allocation with organizers’intentions. Traffic lines type is shown by the intention for the consideration of visitors’ movement and the main traffic path is coloured in red. In the booth type’s type, the exhibition organizers are considering the 2-sided open type booth important, therefore the visibility of trade show layouts are shown as blue. Through the intention, so many traffic lines are occurred and it make the visitors to lost their ways. The last type is called as booth allocation. In the trade show floorplanning process, the layouts may be fixed at the just after the collection the exhibitors. In this case, organizers tend to allocate the large scale booth the first and it shows the high visual intensity around the large booth.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nterests in the importance of trade show space.

      • KCI등재후보

        한국 전시문화산업의 현황과 과제

        이정화 ( Lee JungWha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1

        전시문화산업은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문화산업으로서 제조업이나 건설과 같은 2차산업에서 IT기술, 서비스업고 같은 3차산업, VR과 같은 4차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종다양한 산업과의 융복합적 특성을 매우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한편, 전시문화산업은 오히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적합한 지원 법제의 부재로 전시문화산업의 현장은 매우 혼란스럽다. 본 연구는 전시문화산업의 본질과 제 특성을 파악하고, 관련 법제의 현황을 살핌으로써 그 한계와 과제를 찾아내어 21세기 산업동력으로서 전시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향방을 제시하고자함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시문화산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기획·설계 업무의 창의노동으로서의 가치 인정, 전시문화산업 특성을 고려한 특수분류 체계 제정과 전시문화산업 지원을 위한 법과 제도 마련, 전시문화산업의 창작료에 대한 보상체계 등이 마련될 때 전시문화산업은 진일보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hibition industry is a cultural industry that produces cultural content, and and it shows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dustries very clearly covering from secondary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to fourth industries such as IT technology, VR and so 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cultural exhibition industry in Korea is rather confusing due to its characteristics due to the lack of suitable support legi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the cultural exhibition industry in Korea by identifying the nature and challenges of the cultural exhibition industry and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legislation and presenting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exhibition industry in Korea as an industrial engine in the 21st century. In conclusion, the cultural exhibition industry is expected to advance when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cultural exhibition industry, recognition of its value as creative labor, enactment of a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exhibition industry, preparation of laws and systems.

      • KCI등재

        지속가능한 전시컨벤션 거버넌스의 공유가치(Shared Value)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중심으로

        백나영,김철원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

        이 연구는 전시컨벤션 거버넌스에서 발생하는 전시컨벤션 공유가치를 근거이론을 이 용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전시컨벤션 전문가(거버넌스 내의 이해관계자) 16명을 대상으 로 심층 면접을 통하여, 전시컨벤션 기획부터 준비, 운영까지 경험에 의한 전시컨벤션 의 가치와 공유가치의 현상을 귀납적으로 분석하고, 지속적인 비교 작업을 통하여 188 개의 개념을 도출하고, 33개의 하위범주를 이끌어 낸 후에, 이를 근거로 8개의 상위범 주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전시컨벤션 공유가치의 중심현상은 전시컨벤션 거버넌스의 가치체계 변화로 전시컨벤션 참여가치 확장과 감소, 전시컨벤션 협력 가치 변화, 전시컨벤션 공유가치에 대한 자각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의 원인인 인과적 조건으로는 전시컨벤션 개최에 따른 가치 추구경험이, 맥락적 조건으로는 시간에 따른 인지 경험 변화로 나타났다. 거버넌스 이해관계자의 핵심 가치 추구는 산업경쟁력 강화, 신뢰 네트워크 구축 그리 고 인력양성을 통해 진행되며 중심현상과 작용·상호작용전략을 매개하는 역할로 나타 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긍정적 상호작용 요소와 부정적 상호작용 요소로 구분되 며, 이에 따른 결과로 전시컨벤션 공유가치의 현상이 소통성, 대표성, 관계성, 가치혁신 성, 지속가능성으로 제시되었다.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델은 개념과 도출된 범주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전 시컨벤션 거버넌스의 이해관계자들이 경험적으로 느끼는 공유가치의 개념과 현상의 의 미 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효한 도구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전시컨벤션 공유가치의 현상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전시컨벤션 거버넌스 이해관계자들이 느끼는 지속가능한 전략과 공유가치의 개념적 범주를 제공하므로, 관심을 갖는 연구자와 현업의 실무자에 게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shared value between the users, intermediaries, and suppliers in the context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E&C) governance using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s with 16 stakeholders derived the E&C's value and the shared value from the planning to the preparation and operation. The study extracted 188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8 top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E&C shared value revealed the change of the value system of E&C governance.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provide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meaning of shared values empirically felt by stakeholder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categorie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managers interested in the shared value of E &C governance.

      • KCI등재

        전시의 실행을 위한 드라마투르기와 포스트드라마투르기-왜 다시 이야기인가

        서지영 한국브레히트학회 2019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41

        Eine Ausstellung war eine mehr oder weniger bewusste räumliche Anordnung einer mehr oder minder konsistenten Sammlung von Gegenständen, vorgegeben durch 전시의 실행을 위한 드라마투르기와 포스트드라마투르기 241 prägnante Auswahlkriterien. Aber die heutigen Ausstellungen sind nicht vollständig durch die Intentionen der Handelnden bestimmbar, sondern sie sind offen für Abweichungen, mithin für Ungeplantes, Neues und Erfinderisches. Dinge werden hier nicht allein als Werkzeug und Gegenstand menschlicher Zwecke gedacht, sondern als Handlungsträger, die in allen Bereichen des Lebens wirksam werden. An die Stelle von Werken tritt eine Praxis, deren Wirksamkeit über den abgezirkelten Bereich der Ausstellung in den Alltag hinreichen soll. Im Ausstellen zeigt sich deshalb der intrikate Zusammenhang von Ästhetik und Alltag. Trotzdem heißt Ausstellen auch Geschichten im Raum erzählen. Die Ausstellungsmachers gingen in Workshops den folgenden Fragen nach, also “was ist eine gelungene Dramaturgie und wie entsteht eine gute Geschichte?”. Warum ist es ‘Geschichte’ wiedergekehrt? In dieser Studie wurde ‘die Rückkehr der Geschichte’ auf den Konflikt zwischen ‘Dramaturgie’ und ‘Postdramaturgie’ in der Ausstellung bezogen. ‘Postdramaturgie’ zielt immer auch auf die Transformation von Handlungen, auf die Abweichung von gängigen Gebrauchsformen und die Subversion etablierter Gebräuche. Dies steht in Zusammenhang mit der Kommunikation in unserer Gesellschaft. ‘Die Rückkehr der Geschichte’ widerspricht daher der zeitgenössischen Kommunikationsweise und der Kunst. ‘Die Rückkehr der Geschichte’ kritisiert also an zeitgenössische Kunst und ergänzt sie zugleich. 동시대 전시는 이제 ‘사물의 고정화’나 ‘의도적인 배치’로 이해할 수 없다. 전시장의 예술 행위는 예술과일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변칙으로 ‘예술의 테러리즘’이라는 말까지 탄생시키게 되었다. 전시의 이 같은 소통방식은 인터넷의 등장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난 익명성과 중심 없는 관계망에 부합한다. 그러나 반면전시장은 여전히 관습적인 전시가 기조를 유지하고, 관습 비판적 전시에서도 전통적인 드라마투르기를 적용하여 ‘이야기’를 언급하고 있다. 전시뿐 아니라 예술계 전반에서, 정치·사회적 환경이 유발하는 충격과 예측불허에 반발하며 예술에서만큼은 처음과 끝이 있는 ‘이야기’와 완결성이 다시금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듯 이야기가 귀환한 현상에 주목하여 전시 분야의 드라마투르기 수용을 고찰했다. 전시의 미학적 쟁점에 드라마투르기가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전시의 실행과 소통의 변화를 연결하여 분석했다. 전시의 새로운 실행 개념을 토대로 새로운 드라마투르기의 실행을 탐색하여 전통과 변형이 교차하는 동시대 흐름 속에서 드라마투르기의 두 가지 양상이 충돌하고 보완하며 공존하는 과정을 주시해 보았다. 독일어권 전시 분야 학술대회 참가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전시 현장의 실태도 파악했다. 그 결과, 관습을 거부하면서도 전통을 수용하고자 하는 동시대 전시 작업에서 ‘이야기의 귀환’은 예술의 형식에 대한 논쟁에 부쳐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임을 발견했다.

      • KCI등재

        전시기획사 직무분석 및 컨벤션기획사와의 비교에 관한 연구

        윤영혜,허준,이은성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분석 기법인 DACUM(Developing A Curriculum)을 통해 전시기 획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컨벤션기획사와의 개념, 자격증 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시기획사 직무분석을 통해 전시기획사의 책무 와 과업 분석, 일반적 지식 및 기술, 행태적 태도, 도구를 도출하였다. 전시기획사와 컨 벤션기획사의 정의, 자격증 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DACUM 워크숍을 통해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인적자원개발 분야와 MICE 분야 박사 로 이루어진 내용전문가 집단을 통해 전시기획사와 컨벤션기획사 직무를 비교 및 분석 하여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기획사의 직무는 8개 책무, 92개 과 업으로 도출되었는데 책무는 기획하기, 참가업체 마케팅, 참관객 바이어 마케팅, 광고 및 홍보, 공식행사, 부대행사, 전시회운영, 사후관리 등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KSA 분석 을 통해 전시기획사 직무에 준하는 지식과 기술, 행태적 태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 로 전시기획사와 컨벤션기획사와의 직무 비교 분석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of PEO (Professional Exhibition Organizers) by using a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And to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jobs’ definitions, certificates, duties, tasks, knowledge, skills, behavioral attitudes, tools of PEO for expanding their academic background and fin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PEO. The DACUM job analysis of PEO is conducted, and two expert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a MICE content specialist conduct the task of comparing the duties of the PEO and the PCO. And then, they confirm the content validity of the analysis. First, the job description of PEO reveals 8 duties and 92 tasks. The duties are planning exhibitions, marketing to exhibitors, marketing to buyers and participants, advertising and promotion, official event, exhibition joint event, exhibition operation and post management. Second, the DACUM analysis find the duties, tasks, knowledge, skills, behavioral attitudes and tools of PEO. Finally, we find tha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PEO and PCO and reveal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내용적 관점에서 분석한 과학전시 국내연구 동향과 과제

        안선영(Ahn, Sun Young),김산하(Kim, San 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과학 대중화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과학을 주제로 한 전시도 증가하고 있다. 과학전시는 과학이라는 소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보여줄 수 있고 교육적인 측면을 넘어 과학에 대한 흥미, 창의적인 영감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과학을 이해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인 과학전시가 중요해짐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전시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현재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여 추가되어야 하는 과학전시 관련 연구 주제를 도출했다. 또한 과학전시 연구에 사용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과학전시 이론화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과학전시 관련 연구들을 조사·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과학전시 관련 연구는 2003년 이후 활발히 발표되었고 매년 많은 연구 논문들이 출판되고 있다. 과학의 대중화가 과학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된 것과 맞물려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과목 연계 등의 주제로 과학전시 분야에서도 교육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그와 더불어 기술, 매체의 발달과 함께 전시운영, 전시기법에 관한 논문들이 발표되었으나 전시의 특성과 기획 등 내용자체, 내용의 구성 등에 관한 논문은 다른 분야에 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국외의 경우에도 큰 틀에서의 전시 기획은 체계적으로 잡혀있으나 ‘과학전시’를 어떤 한 분야로 인식하고 그 분야에 대한 특별한 기획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과학과 전시를 각각의 분야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많으나 효과적인 과학전시 기획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과학전시’를 한 분야로 인식하고 일반적인 전시와는 다른 체계적인 접근과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실제 전시와 연구에 사용가능한 과학전시에 관한 이론화 작업이 요구되며 과학 콘텐츠가 효과적으로 대중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이 결과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과학전시 관련 국내 연구 현황을 파악하여 연구뿐만 아니라 과학전시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과학전시 분야의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과학의 대중화와 과학교육에 있어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science popularization is increasing every day, to reflect this, it has also increased exhibitions of science-themed. Science exhibitions not only can show the material of science in different ways, thereby increasing interest, and creative inspiration in science beyond the educational aspects. Therefore the science exhibition, which is one of the effective way to understand the science is important,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cience exhibition-related, and to derive the science exhibition related research topics that should be added to analyze the flow of current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scope and contents are as follows. I examined the theory that was used in science exhibition research, and then I studied the need on the theorization of science exhibition. For this reason, until now investigate the science exhibition related research that has been done in Korea, it was analyzed.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in Korea, since 2003, been actively announcement and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Together with those that popularization of science has been carried out research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education-related papers in science exhibition areas such as non-formal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 correlation programs have been most announcemen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have been published papers about exhibition operations, exhibition techniques. However, the content itself, such as plan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uch as paper on the science contents, does not much research advanced compared to other areas. In the case of abroad, exhibition planning of a large framework, has been systematically studied. However, it recognizes the “science exhibition” as any one field, research of special planning for the field has not been studied. Research to access the science exhibition in their respective fields such as education and design, are plenty. However, research is insufficient for effective science exhibition planning and contents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ifferent systematic approach to the general exhibition it is recognized as a field in which the “science exhibition” for the sake of effective science exhibition planning and content development. In addition, the theorized work on science exhibition are required that is available on actual exhibition and research. To science content is transmitted to effectively deliver, study of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have been added.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professionals in this field. Consequently these finding suggest tha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ontinuously increased to have scientific exhibits respective national research not only research, scientific exhibition also is intended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orizon of scientific exhibition areas, it may be that there is meaning in the popularization and science education.

      • 박물관 전시환경 관리 방안 고찰 : 전시자재 안정성 평가(Oddy test) 방법을 중심으로

        이승은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동원학술논문집 Vol.12 No.-

        ‘전시 자재 안정성 평가(Oddy test)’는 금속 부식 테스트의 일종이며, 박물관 전시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잠재적 손상에 대한 검증 실험으로 전시 진열장의 자재에 의한 은(Silver) 재질 유물의 부식과 납 합금 재질의 유물에서 발생한 하얀 크리스탈에 대한 원인 규명에서 시작되었다. 본 실험은 1973년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의 W. A. Oddy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제안자의 이름을 따서 Oddy test로 명명되었고 현재까지 박물관 및 전시관의 전시, 보관 자재의 사용 적합 여부 판단에 적용되어 오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용산 이전 당시 진열장 선정을 위해 일부 진열장을 직접 설치하여 다양한 부분을 테스트하였으며, 이때 진열장 내부 마감재에 대한 전시 자재 안정성 평가(Oddy test)가 같이 진행되었다. 용산 이전을 준비하던 2003년 당시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친환경적인 건축 자재를 찾기 어려웠으며, 결국 상당 부분 진열장 내부 마감재를 수입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2004년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건축자재에 대한 친환경 마크 제도를 도입하고 2006년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도입되면서 친환경 건축자재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국내 건축자재 중에서도 전시 진열장 내부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재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보존과학팀의 test 결과 현재 3∼4종류의 접착제와 3∼4종류의 패브릭, 그리고 몇몇 전시 자재가 안정성 실험을 통과하였다. 그러나 친환경 인증을 받은 자재라 하더라도 유물 전시에 적합하지 않은 자재들도 상당수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박물관에서 사용 권장할 만한 자재들을 선별하여 유물의 보다 안전한 전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Stability test of displayed materials (hereinafter, Oddy test) is a kind of metal corrosion test that examines the latent damage by diverse harmful substances in museum environment. This test was first proposed by W. A Oddy of British Museum in 1973 to check the cause of corrosions in silver, lead alloy artifacts by the substance of displaying showcase. Since then, Oddy test has been used to check whether some substances are appropriate for display or storage in the museum and the exhibition hall. In 2003 when our museum was prepared to move to Yongsan, it was hard to find substances appropriate to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standard among the building materials and in fact most of displaying materials were imported. But, since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introduced the green mark for building materials in 2004 and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system was introduced in 2006, the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materials began to develop rapidly. As a result of test by the couservation science team, 3~4 kinds of adhesive, 3~4 kinds of fabric and some displaying materials have passed the Oddy test till now. The test showed that there are several materials which have receive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but are not appropriate for the artifact display. This report was made to select the recommendable materials for the use in the museum based on this test result and give some help to the safer display of artifacts.

      • KCI등재

        해외전시회 수준과 수행기관 역할이 참가업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석,정윤세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회 구성요소 중 전시회 수준과 수행기관 역할이 참가업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개편되어 시행되고 있는 국고지원 해외전시회 성과측정 모델의 측정내용을 평가해 봄으로써, 평가모형이 전시회와 마케팅 분야 이론에 적합하게 평가요소가 구성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분석결과 수준이 높은 전시회는 참가업체 만족도가 좋게 나타나고, 높은 만족도는 재참가 및 타업체 추천 등 충성도와 연결되었다. 반면에 수행기관 역할은 참가업체 만족도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업체들이 수행기관 역할을 전시회 참가목적 달성과는 별개로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참가업체의 관심은 판매 및 비판매 등 비즈니스 목적달성에 있을 것으로 수행기관 역할은 추후 수행기관 선정에 별도로 활용하는 방안도 필요하겠다. 국고지원 해외전시회 성과측정 요소들은 목적과 연구자들이 다름에도 연구모형에서 상당히 설득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측정항목이 너무 압축적이어서 좀 더 다양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항목 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 또 계약액, 유효 상담건수 등 정량평가 위주의 모형을 객관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판매성과 까지 파악할 수 있는 정성적인 요소를 추가하는 것도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금번 연구대상 전시회들은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전시회들로 수행기관 역할이 크게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수행기관 역할은 개도국 전시회 및 인지도가 낮은 전시회 등에서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수행기관 평가를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감안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xhibitors’satisfaction and loyalty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exhibitions and the role of organizer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program called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subsidizing program’which helps its companies to export promotion. And the government has been developing an ‘Evaluation system of participants’ performance’ since 2008. This study focuses on the reevaluation of the newly develope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for Korean exhibitors in international trade fairs. The study found that the quality of the exhibitions affect the participants’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exhibitors loyalty positively. The measuring variables for‘the Evaluation system of the participant’s performance’have been adequately defined. However, the number of variables in the model is small. More measuring variables should be added to the system to better evaluate the result of the participants’performance.

      • KCI등재

        국고지원 해외전시사업 평가체계 개선방안

        이창현,김효선 한국무역전시학회 2015 무역전시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현행 국고지원 해외전시사업 평가체계의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전시회 참가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정부 지원사업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행 평가체계의 운영현황 및 특성을 검토하고 해외 주요국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한계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세계전시산업협회, 독일 AUMA, 영국 UKTI와 같은 주요 단체에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지표 활용을 통해 전시회 참가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평가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최근 들어 비용대비효과(ROI) 접근법을 통해 전시회 참가의 효과성뿐만 아니라 효율성 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례검토 및 해외전시사업의 지원목적, 비교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평가체계를 개발하기 위해 전시회 참가목표를 유형별로 구 분하고 각 유형별 측정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표준상담 양식(sales lead form)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업별 비교 가능한 평가지표 개발 및 도입을 위해 효과성 지표 외에 효율성 지표(BCR, ROI 등)를 산출하는 방안을 제시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trade shows evaluation system that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urrent condition of exhibition evaluation system and conducted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e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FI, AUMA and UKTI use concrete and detailed indicator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exhibition participation. They also introduce Return on Investment approach to evaluate efficiency of exhibi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3 key indicators(Sales lead performance, Contract performance, Customer acquisition performance) and 13 items suitable for Korea exhibition industry. Using these metrics, the government and exhibitor both can measure their ROI, BCR indicator and conduct comparative evaluation with other exhibitio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these system, we also propose standard lead tracking form so that exhibitor can apply in practice.

      • KCI등재후보

        "전시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문형욱(Hyung Wook M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전시에 대한 연구’가 ‘전시학’으로서의 학문성과 ‘전시학’(Exhibitionology)이라는 정체성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시에 대한 연구’가 현재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였으며, 인류 역사의 발달과정에서 ‘전시’는 어떠한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여 왔으며, 어떻게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특히, 전시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 정의와 사회적 요구에 따른 다양한 전시의 기법과 형태의 출현이 갖는 의미를 검토하였다. 또한, 원시시대부터 출발한 전시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과 검토를 기초로 하여 ‘전시에 대한 연구’가 분과학문으로서의 ‘전시학’으로 승화ㆍ발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학문적 정체성 확립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hether ‘study on exhibition’ could take on an academic characteristic ad Exhibitionology as well as have the identity of Exhibitionology as a subsection of science. To this end, I hav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study on exhibition in the progress of human history, and how ’study on exhibition’has accommodated social demands. In particular, I reviewed general concepts of the exhibition and social needs in a variety of techniques of the exhibition. And I variety of techniques of the exhibition. And I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emergence of the exhibition, Also, The exhibition started from primitive times to today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was also discussed. Based on such analyses and reviews, I hav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study on exhibition’ as the subsection science of ‘Exhibitio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