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략적 리더십 구성요인 탐색

        김영춘(Kim, Young Choon),백유성(Baek, You Su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그 동안 연구를 소홀히 해왔던 군의 고급제대에 초점을 맞추어 군 고급제대 지휘관의 전략적 리더십의 핵심 구성요인을 탐색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략적 리더십의 핵심 구성요인 탐색은 직접조사와 간접조사를 병행하였다 직접조사는 현역 및 예비역 장성 31명을 선정하여 델파이 기법으로 전략적 리더십의 핵심 구성요인을 설문 및 인터뷰 연구로 탐색하였으며, 간접조사는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한 리더들의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결과 검증을 위한 실증 연구는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위해 육군 24개 부대, 해군 2개 부대, 공군 3개 부대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전략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은 다양하나 이론적 배경 연구와 설문 및 인터뷰 연구를 통해 전략적 리더십의 핵심 구성요인은 인격 및 품성, 지식 및 역량, 전략적 조직운영, 변화관리 등 4개 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적 일관성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 일관성이 높고, 구분된 요인들은 측정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군 고급제대 지휘관의 전략적 리더십과 관련하여 전략적 리더십의 핵심 구성요인은 인격 및 품성, 지식 및 역량, 전략적 조직운영, 변화관리 등 4가지로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military senior echelons whose study have been somewhat neglected, and the purpose of it is to research core component factors of military senior echelon commanders’ strategic leadership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 for future study. For the research of core component factors of strategic leadership, empir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were used. For empirical approach, 31 active and reserve generals were chosen and by using Delphi-analysis, core component factors of strategic leadership were explor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For theoretical approach, the data relating to successful leaders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data, credibility and validity test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this analysis, samples were chosen from 24 Army units, 2 Navy units, and 3 Air Force units. Component factors of strategic leadership can vary, but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study and analysis of interviews, it can be confirmed that 4 factors, personality and character, knowledge and capability, strategic management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inconstant situation, are the core component factors of strategic leadership. In order to verify and have greater confidence level on the data, internal consistency test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tests reveals that high internal consistent factors are valid for research.

      • 서애 유성룡의 전략적 리더십과 그 시사점

        오완석(Wan Seock Oh),김덕수(Deog Soo Kim)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임진왜란 극복 과정에서 서애 유성룡 선생이 펼쳐 보였던 여러 경세적 활약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그가 발휘한 전략적 리더십에 관한 여러 요소를 조명하는 것이다. 당대 최고경영자의 위치에서 임진왜란 극복의 총책임을 맡았던 유성룡 선생의 남다른 현실 인식과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 모색이 담긴 경세사상을 전략적 리더십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략적 리더십의 개요 및 전략적 리더십의 구성요 소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유성룡이 전략적 리더의 전형임을 파악하였다. 서애의 경세사상에 담긴 전략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사회의 비전 제시를 통해 국민 통합이 전란 극복의 중요한 기반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총체적 자원 관리를 통해 전란을 이끌 인재를 찾아 적재적소에 배치하였다. 셋째, 통찰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해 국가에 당면한 현안을 슬기롭게 해결하였다. 넷째, 윤리적 가치를 중시하여 안민 실현을 위한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의 윤리경영을 실천하였다. 다섯째, 탁월한 위기돌파 능력을 바탕으로 통합과 설득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유성룡 선생의 전략적 리더십은 무엇보다도 뛰어난 통찰력에 기반하고 있다. 과거 420여년 전과 여러모로 비슷한 최근의 우리나라는 복잡한 대 내외적 상황을 맞이 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는 시대 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읽고, 목표 달성을 위하여 조직의 강점과 약점을 철저히 분석하는 전략적 사고가 절실히 요청된다. 특히 학교조직 최상위층의 리더들은 유성룡 선생처럼 통찰적인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요컨대 사회각 분야의 교육행정가들에게 있어 유성룡 선생과 같은 통찰적인 전략적 리더십의 발휘가 더욱 필요한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several cases involving the governing activities of Seoae Ryu Seong-ryong during the time of overcoming the hardship that followed the war,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various elements of his strategic leadership. The study examined his statecraft thought from the standpoint of strategic leadership as it shaped his perceptions of reality and his diverse searches for solutions to the problems he encountered as the chief manager in charge of helping the nation recover from the hardship that followe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 theoretical review of strategic leadership and its components revealed that he was a typical strategic leader. The components of strategic leadership reflected in his statecraft thought were as follows. First, he stressed that the unity of the people was a critical basis for healing the war-battered nation, as he proposed his vision for the future society. Second, he recruited talented people to lead the war-battered nation and placed them in the right positions through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Third, he wisely resolved the issues faced by the nation by exercising his insightful problem-solving skills. Fourth, he practiced noblesse oblige to restore order and confidence, with an emphasis on ethical values. Finally, he demonstrated the leadership skills of integration and persuasion, which were based on his superior ability to solve a crisis. Those findings show, in general, that his strategic leadership was based on his remarkable insight. Sharing many conditions with the Joseon Dynasty of approximately 420 years ago, South Korea today faces complicated situations at home and abroad. In today s korean societ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trategic thinking that accurately perceives the changing times and that closely analyz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n organization, in order to achieve some organization s goals. In particular, the leaders of schools should exhibit the kind of insight that Ryu used. Stated more explicitly, it is especially important that the top managers responsible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exercise insightful strategic leadership, as Ryu did with great success.

      • 도산 안창호의 융합성 전략적 리더십 특성 연구

        최청평(Chung Pyung Choi),윤천성(Chun Sung Yo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5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한국의 근대 격변기,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항하며 독립운동을 격렬하게 전개했던 도산 안창호(安昌浩, 1878~1938)의 민족지도자로서의 지도력(Leadership)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민족의 선각자, 민족의 스승이라고 불리우는 도산 안창호(1878~1938년)는 그의 독립투쟁의 생애에 두 가지 큰 행보를 보인다. 하나는 직접적인 항일독립투쟁의 행보이며 다른 하나는 민족지도자 양성의 행보였다. 도산은 이 두 가지 큰 행보 속에 도산다운 독특한 리더십을 발휘한다. 본 논자는 도산의 이 두 가지 큰 독립운동의 행보 속에 나타난 리더십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산의 독립운동의 적극적인 항일독립투쟁은 정치, 외교, 교육, 군사 등의 총체적인 영역에서 발휘 되었다. 도산에게 있어 교육운동인 민족지도자양성사업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도산의 궁극적인 목표는 독립국가 쟁취에 있었고 민족지도자양성사업은 이 독립국가를 쟁취하는데 필요한 주요 수단이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우리가 도산의 리더십을 보는 핵심도 직접적인 독립국가 쟁취에서 나타난 리더십의 유형과 특성을 보려고 시도하는 것이 마땅한 일일 것이다. 도산의 리더십을 리더십이론 정설에 비추어 연구해본 결과는 도산의 리더십의 원천과 도산의 민족지도자양성의 리더십 그리고 도산의 항일독립투쟁의 리더십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었다. 첫째 도산의 리더십의 원천은 자질론과 진정성추구리더십과 서번트리더십의융합으로 보이며 이들의 융합으로 카리스마적 자질을 드높히고 있다 할 것이다. 이 융합성 카리스마 리더십은 도산의 모든 독립운동에 기본을 이루고 있음을 중시하게 된다. 둘째 도산의 민족지도자양성사업에서 나타나는 리더십유형으로는 도산은 자신은 물론 젊은 학습지도자들도 유능한 독립운동지도자가 되도록 훈련, 양성한 것이었다. 바로 학습형 수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융합적으로 작용한 특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도산의 적극적인 항일독립투쟁에서 나타나는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과 전략적 리더십의 융합일 것이다. 특히 도산의 핵심적인 리더십 유형은 변혁적 리더십을 이끈 전략적 리더십으로 취합된다. 도산의 위대한 리더십의 특성은 여타 모든 리더십 유형을 품고 융합적인 효과를 견인한 전략적 리더십에 있었다 할 것이다. 본 논자는 이를 "도산의 융합성 전략적 리더십"으로정의한다. "Dosan" Ahn Chang Ho (1878 - 1938) devoted his entire lif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unfortunately he passed away seven years prior to liberation at the age of 61 due to an illness developed under Japanese oppression. "Dosan" Ahn Chang Ho, along with compatriots, Rhee Syungman and Kim Goo were the most respected leaders and independence activists. Dosan was called the "people's teacher" or the "people's pioneer" as he was recognized as an educational thinker and activist; many documents and papers on Dosan give credence to this. However, when one looks at his political, diplomatic, educational and militaristic contributions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 nurturing of leaders was a vital element to obtaining liberation. In the end, his ultimate goal wa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nation. By examining his leadership styles, one can understand the methods and appreciate the skill sets he relied upon to obtain his ultimate goal. Dosan's struggle for liberation could be divided into two path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gradual nurturing of young leaders. His unique leadership revolved around these two paths. This paper examined the leadership that manifested from these two paths. Dosan's leadership was examined using the established "leadership theory." The result: the origin of Dosan's leadership, Dosan's nurturing of talent, and Dosan's anti-Japanese effort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ly, the source of Dosan's leadership is his charismatic talent. His "authentic" and "servant" leadership styles complemented his charismatic gift. This cohesion strengthened his charismatic quality. This multi-faceted charismatic leadership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all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Secondly, the type of leadership behind Dosan's nurturing of young talent comprised of "super leadership" and "self leadership" working in unison. Dosan's expectations were that young leaders mature and partak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Thirdly, the type of leadership Dosan relied upon to combat the Japanese imperialists was a fusion of transformational and strategic leadership. More specifically, his entire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revolved heavily around the fusion of his transformational and strategic leadership; however, his strategic leadership held everything in place, allowing his other styles of leadership to work in cohesion. This dissertation researched the way Dosan was able to rely on many different styles of leadership to be fusible with one another. This multi-faceted leadership comprised of his charismatic gift, authentic leadership, super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rategic leadership. Out of all these, the strategic leadership model was the key element that played a vital role in his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I would like to call this model of multi-faceted leadership, "Dosan's Fusible Strategic Leadership.

      • KCI등재

        연구논문 :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과 종업원 성과 간의 경로모형 분석: 리더 및 조직문화의 변화에 의한 전략적 정렬의 달성

        김진환 ( Jin Hwan Kim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저널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의 환경 불확실성 속성들과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이 연계되어 있는가? 둘째,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이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변화와 전략적 정렬을 제고시켜 조직성과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 조직성과 그리고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의 정교화로 이어지는 피드백 과정이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 리더십, 조직문화, 전략적 정렬 그리고 종업원 성과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문헌의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8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설정된 가설은 PLS법으로 검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114개 조직의 관리자(팀장과 성과관리책임자)와 구성원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환경 불확실성의 속성 중 환경 복잡성이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동태성과 풍부성에서는 유의적인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은 리더십 변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문화의 변화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환경 불확실성 수준으로 구분해서 살펴본 결과, High 집단에서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나 Low 집단에서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리더십의 변화가 조직문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High 집단은 음(-)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Low집단은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H4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리더십의 변화와 조직문화의 변화는 전략적 정렬에 대해 예상대로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략적 정렬은 종업원 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 조직성과,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의 정교화로 이어지는 피드백 과정의 검정에서 정(+)의 영향은 미치나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조직들이 조직성과의 개선을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 개선으로 선 순환시키는 노력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불확실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 구축과 활용은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구성원들 간의 전략적 정렬을 통해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 결과는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 실행에 대한 연구와 조직의 경영통제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함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SPMS) and change in leadership, change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rategic alignment to examine how these factors influence employee performance. Drawing on existing literature, I develop a theoretical model that predic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bove theoretical constructs. Thereafter, I test the theoretical model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method and survey data collected from senior managers including directors, team managers, performance managers, and employees of 114 organizations in Korea. I found that SPMS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environmental complexity, while it is not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dynamism and munificence. SPMS has a direct effect on change in leadership, but not on change in organizational culture. However, SPMS is positively related to change in organizational culture in high-uncertainty firms, but does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low-uncertainty firms. Change in leadership i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change in organizational culture in high-uncertainty firms, while the effe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low-uncertainty firms. The data support the predicted association between change in leadership, change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rategy alignment. Further, strategy alignment is shown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firm`s performance. Finally, there was no evidence suggesting that employee performan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shaping SPMS.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SPMS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control systems design.

      • 서애 유성룡의 전략적 리더십과 그 시사점

        오완석,김덕수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임진왜란 극복 과정에서 서애 유성룡 선생이 펼쳐 보였던 여러 경세적 활약 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그가 발휘한 전략적 리더십에 관한 여러 요소를 조명하는 것 이다. 당대 최고경영자의 위치에서 임진왜란 극복의 총책임을 맡았던 유성룡 선생의 남다 른 현실 인식과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 모색이 담긴 경세사상을 전략적 리더십 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략적 리더십의 개요 및 전략적 리더십의 구성요 소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유성룡이 전략적 리더의 전형임을 파악하였다. 서애의 경세사상에 담긴 전략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사회의 비전 제시를 통해 국민 통합이 전란 극복의 중요한 기반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총체적 자원 관리를 통해 전란을 이끌 인재를 찾아 적재적소에 배치하였다. 셋째, 통찰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해 국가에 당면한 현안을 슬기롭게 해결하였다. 넷째, 윤리적 가치를 중 시하여 안민 실현을 위한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의 윤리경영을 실천하였다. 다섯째, 탁월한 위기돌파 능력을 바탕으로 통합과 설득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유성룡 선생의 전략적 리더십은 무엇보다도 뛰어난 통찰력에 기반하고 있다. 과거 420여년 전과 여러모로 비슷한 최근의 우리나라는 복잡한 대 내외적 상황을 맞이 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는 시대 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읽고, 목표 달성을 위하 여 조직의 강점과 약점을 철저히 분석하는 전략적 사고가 절실히 요청된다. 특히 학교조 직 최상위층의 리더들은 유성룡 선생처럼 통찰적인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요컨대 사회 각 분야의 교육행정가들에게 있어 유성룡 선생과 같은 통찰적인 전략적 리더십의 발휘가 더욱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에 관한 실증 연구

        최청평(Choi Chung Pyung),윤천성(Chun Sung Youn)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characteristics of Dosan, Ahn Chang Ho s leadership.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Dosan and the leadership of the Dosan which is fused in the movement,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leadership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leadership styles in all independence movements through fusion and integration were exerted in total. In chapter Ⅲ, as a quantitative method to demonstrate qualitative results, it was decided to carry out over twice a Survey on Awareness of Dosan, Ahn Chang Ho s Leadership of the Heungsadan -Membership, As a result of this cognitive survey analysis, Heungsadan Mem-ber was recognized as high and uniform that Dosan has fused, integrated, and played a multitude of multidimensional leadership styles in numerous independence movements. Therefore, in Chapter Ⅳ,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study through literature stud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Ⅱ and the empirical cognition survey of Chapter Ⅲ, and in the chapter Ⅴ summarize and conclude the study.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osan was a true person. Dosan has taken the lead in life and lived a true leader. He believed well.that the most powerful weapon of independence is the “strength of well trained personality of individual people” and the “strength of the alliance” based on the individual strength. Dosan s great leadership is dissolved in Dosan s personality and It was a natural footstool that was matured without being conscious of itself Second,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on Dosan was biased toward several leadership types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 field of specialization, On the other hand, previous researchers, they have been ignoring overlooking that Dosan excelled in various types of leadership overall through synergy and integr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ssential and cor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of the Dosan have not been achieved. Third,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Dosan, Ahn Chang Ho did not show any specific leadership bias in his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out his life, It shows that various types of leadership have been integrated and converged through synergistic effects by Dosan, Fourth, as a result of the 1st and 2nd recognition survey about Dosan s diverse leadership skills, It was proved that the Heungshadan- memvers was aware of it universal, common, high and even. Fifth,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known again that Dosan was a great person who played an integral role in converging and integrating “various types of leadership styl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whole life,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characteristic of leadership of diverse dimension of Ahn Chang Ho is “Dosan, Ahn Chang Ho s Multidimensional Leadership”.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는 구한말 일본의 식민 지배에 맞서 대한 독립을 위해 전 생애를 투신한 독립 운동가였다. 소년기에 청일 전쟁을 목격하고 ‘힘’ 없는 나라의 말로를 탄하며 구국과 독립의 필요를 자각하고 독립협회 운동에 참여를 시작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래 전 생애를 통하여 국내는 물론 미주, 중국 원동, 러시아 등 도처의 독립 운동가들을 규합하여 일본 식민통치에 대항하였다. 도산의 독립운동의 행보를 리더십 유형별로 분류, 검토한 바에 의하면 독립운동 학습기, 각성기(1878~1899)에는 주로 유, 소년기의 타고난 지도적 인성, 즉 리더십 특성론의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 Leadership)을 지니고 서당에서 군자(君子)와 성군(聖君)의 도(道)를 익히는 유학(儒學)을 공부하고 신사조(新思潮)와 망국병(亡國炳)을 일깨워준 청년 선각자(先覺者) 필대은과 교유(交遊)하며, 서울로 올라와 운명적으로 접하게 된 밀러학당(救世軍 學堂)에서 기독교 사상과 서구문화를 접하고 또한 초반기의 독립운동가 서재필(徐載弼)의 독립협회(獨立協會) 회원으로 가담하면서 독립운동을 학습하며 자각하고 각성하면서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을 키운다. 이후 청일 전쟁과 일제 침략, 망국의 실상에 부딪쳐 변혁적 리더십(Authent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을 발휘하는 단계로 접어들며 점진학교를 설립하고 인재를 키우는 초기 수퍼리더십(Super-Leadership)을 보이기 시작한다. 미국 유학을 떠나며 독립운동 준비기(1902~1905)에 들어 나라의 미래를 위한 비전(Vision)과 전략적 리더십(Strategic Leadership)을 구사한다. 미주에서의 한인친목회, 공립협회(共立協會, 1905)운동을 통하여 신의와 신뢰를 쌓아가는 진정성(Authenticity leadership), 서번트 리더십(Servernt Leadership)을 발휘하여 한인지도자로 인정받고 존경받는 인물이 된다. 도산은 모국의 을사늑약의 망국의 비보(悲報)을 접하고는 동경(東京)에 들러 자신의 수퍼리더인 유길준(兪吉濬)이를 만나 닥쳐올 격랑을 논하며 귀국길에 오른다. 변혁적 리더십의 발로인 것이다. 귀국한 도산은 독립운동 국내활동기(1907~1910)에 접어들며 바로 청년 선각자들을 규합(糾合)하여 비밀결사단인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게 되는바 이 신민회의 구성과 조직에 참여하는 유능한 젊은 지도자들을 규합하는데는 도산의 진정성을 지닌 카리스마십이 가동한다. 이어서 도산은 대성학교와 청년학우회를 설립하고 태극서관을 개설하는 등으로 셀프리더를 양성하는 수퍼리더십을 발휘하며 전국 곳곳의 청년세대에게 구국운동의 동기를 부여한다. 일제가 제안한 ‘안도산 내각’을 일축하고 안중근 의사의 의거사건으로 중국 망명길에 오른다. 도산은 중국, 미국 망명기(1910~1913)와 독립운동 상해정부 활동기(1919~1932)에 들어서 망명정부 수립에 동참하며, 잠시 미국에 들러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1913)와 흥사단을 창립하여 한인사회를 독립운동 지원단으로 구축하고 다시 상해로 와서는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 1923), 대독립당(大獨立黨, 1927)과 유일당(唯一黨, 1928) 등의 개최와 창당을 시도하고 독립기지인 이상촌 건설에 혼신을 기우리던 중 윤봉길의사의 폭탄투하사건으로 연루, 체포되어 대전교도소, 서울형무소에서의 옥고로 병사(1938, 서울대병원)하기까지 도산의 모든 독립운동의 험란한 행보 속에서 비전과 카리스마, 변혁적, 전략적, 진정성, 슈퍼, 셀프 리더십 등 폭넓은 유형, 즉 다차원적 리더십 유형들이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도산은 숱한 독립운동 행보 속에서 적지 않은 독립운동의 거인들과 단합하고 통일, 통합하기를 중시하여 노선과 사상의 갈등을 극복하며 상해임시정부를 지켜내는 등 초인적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도산은 절박한 독립투쟁의 험로에서도 모든 독립 운동가들과의 인격적인 신뢰를 쌓으며 폭넓고 두터운 존경을 받아왔으며 세심하게 준비된 독립운동 계획을 마련하고 몸서 실천하며 주도하여 여타 독립운동가와는 다른 탁월한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다. 도산은 그 험난한 독립투쟁과 독립 건국을 위하여 건전한 인격과 신성한 단체를 이루어 ‘힘’을 기르는 것이 최선의 길임을 주창하며 인재양성의 최고수준의 단체로 흥사단을 창립(1913년)한다. 흥사단을 통하여 배출된 탁월한 인재들이 당시의 독립운동의 중추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흥사단우의 30% 이상이 국정에 전문 인력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은 도산의 인재 양성을 향한 탁월한 안목과 통찰력,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KCI등재

        M&A이후 전략적리더십과 변화저항, 성과인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성건(Sung-Gu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10

        본 논문은 M&A이후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리더십이 변화저항과 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M&A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전략적, 재무적, 경제적 분야의 연구들과 통합관점의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고 조직인사적 관점에서 리더십이나 구성원의 행동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성공적인 M&A를 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중 주목받는 리더십은 전략적 리더십일 것이다. 전략적 리더십이란 최고경영층이 장기적인 미래지향성을 가지고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여 조직의 다양성을 통합하고 영향력을 행사하여 성과를 창출하는 능력으로 볼 수 있는데, M&A이후 이러한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의 발현은 피인수기업 출신 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M&A에 대한 긍정적인 성과인식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 본 연구에서는 M&A를 단행한 국내 IT업계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통해 이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strategic leadership of CEOs after M&A on resistance to change and on perceived performance. Most M&A research has focused on the strategic, financial and economic aspects, while studies on leadership and employee behavior have been limited. CEO leadership is critical to a successful M&A. Recently, strategic leadership has been attracting more attention. Strategic leadership can be defined as a person's ability to anticipate, envision, maintain flexibility, think strategically and to work with others to initiate changes that will create a viable future for an organization. It can also reduce resistance and improve perceived performance. So this paper used empirical studies from the IT industry after M&A.

      • 한국과 미국 경영학계의 리더십 연구: 추세와 과제

        백기복(Ki bok Baik),정동일(Dong il Jung) 대한리더십학회 2004 리더십연구 Vol.1 No.1

        This paper reviewed literatures of leadership that accrued both i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management academia and yielded comparative results. In Korean academia, the trend of leadership research has been characterized as in improvement in scientific rigor,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hemes, focu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MX theories, and exploration of new leadership theories. This trend in Korea appears to be closely coupled with the research trend in the American academia. In the latter, the leadership research focuses on transformational/charismatic leadership, emergence of shared leadership theory, gender differences in leadership, issues on levels of analysis, cross-cultural aspects of leadership and strategic leadership theory. Implications of comparative results are discussed.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일어나고 있는 리더십 연구의 현황을 한국과 미국 경영학꼐의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한국에서의 리더십연구 추세는 대략 연구논문들의 과학적 엄격성 증가, 연구주제의 다양성, 변혁적,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LMX이론에 대한 관심의 고조, 그리고 독자적 이론개발에 대한 실험 등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에서의 리더십 연구 추세와 상당부분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에서의 리더십 연구는 변혁적,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집중, 공유리더십, 이론(Shared Leadership Theory)의 출현, 리덧비 연구에 있어서 리더의 성별에 관한 연구, 분석수준(lever of analysis)의 중요성 대두, 전략적 리더십에 관한 관심 고조, 이문화 리더십의 광범위한 연구 등으로 추세를 요약 할 수 있었다. 이들 양구의 추세가 갖는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업가적 리더십이 이직의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전략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김종관,왕페이,정두심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1

        Recently, interest i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t home and abroad is increasing, and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f leade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member behavior is being emphasized.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bers' turnover intention and job commitment based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rategic flexibility. Specifically, the model of this study predicted that entrepreneurial leadership would have a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a positive (+) effect on job commitment and strategic flexibility. It was also assumed that strategic flexibility would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turnover intention, and job commitment. For empirical analysis, online survey data submitted by 307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located in the Beijing metropolitan area of ​ China were us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strategic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and job commitment as well as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commitment was verifi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usiness practitioners should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accept the need for entrepreneurial leadership education. 경제의 발전은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빼놓을 수 없다. 현재 코로나 19 대유행,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갈등의 지속 심화, 글로벌 경제 환경 침체 등으로 중소기업은 전례없는 어려움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국내외 리더십과 기업가적 능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조직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전략적 유연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실증 분석을 위해 중국 베이징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307개 중소기업이 제출한 온라인 설문 자료를 사용하였고 회귀분석을사용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업가적 리더십은 이직의도와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업가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및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전략적 유연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가적 리더십에 관한 문헌 연구에 기여를 한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몇 가지 권장 사항을 제시한다. 중소기업실무자들에게 기업가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하고 기업가적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 KCI등재

        전략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동적역량, 조직민첩성의 이중매개효과: 중소·중견 기업을 중심으로

        채주석,신승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3 기업경영리뷰 Vol.14 No.1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하였던 중소·중견기업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동적역량, 조직민첩성의 매개역할과 이들의 이중매개역할을 통한 보다 정교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증 연구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략적 리더십에 대한 이론연구와 전략적 리더십, 동적역량, 조직민첩성, 조직성과 간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107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전략적 리더십이 동적역량, 조직민첩성,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동적역량 및 조직민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모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략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동적역량과 조직민첩성은 각각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중견기업에서 최고경영자가의 전략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게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동적역량과 조직민첩성은 이러한 과정을 연결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CEO의 전략적 리더십, 동적역량, 조직민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을 통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