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비저항 탐사와 자기지전류 탐사 자료를 이용한 미얀마 중앙분지 전기비저항 구조 연구

        노명근,이희순,안태규,장성형,황인걸,이동훈,황세호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9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2 No.2

        We conducted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to obtain the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central Myanmar basin. We tried to analyze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resistivity variation of Myanmar by performing representative geophysical survey methods because researches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are insufficient in Myanmar. The electrical resistivity is expected to be low considering the marine sedimentary rocks composed of shale and sandstone in this area. The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were carried out using SmartRho of Geolux Co., Ltd. and MTU-5A of Phoenix geophysics Ltd., respectively, to visualize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of study area.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showed an electrical resistivity less than dozens of ohm-m within the depth of 100 m. In particular, MT survey data were almost similar to TM and TE modes in the frequency range above 1 Hz. The two-dimensional inversion of MT data showed a subsurface structure with low resistivity below 150 ohm-m divided into east-west direction. We confirmed that the inversions of DC resisitivity and MT data along an overlapped survey line represented similar results.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t would be effective to perform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simultaneously to study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central Myanmar basin. 이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와 자기지전류(magnetotellurics, MT) 탐사를 이용하여 미얀마 중앙분지에 대한탐사를 수행하였다. 미얀마에서는 지하구조의 전기비저항 구조로 해석한 연구가 미흡하여 심부까지 전기비저항을 제공해주는 대표적인 탐사를 활용하여 지하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지질은 셰일층과 사암층으로 구성된 해성퇴적층으로 지하의 전기비저항 값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연구는 ㈜지오룩스에서 자체 개발한 전기비저항 탐사 장비(SmartRho) 와 Phoenix사의 MTU-5A를 사용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전기비저항 구조를 영상화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와 MT 탐사는지하 100 m까지는 수십ohm-m 미만의 전기비저항 구조를 보였다. 특히 MT 탐사 자료에서는 1 Hz 까지 TM, TE 모드가 거의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MT 탐사 2차원 역산 결과 150 ohm-m 이하의 낮은 전기비저항 구조를 나타냈고, 동서방향으로 전기비저항 구조가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T 탐사를 전기비저항 탐사와 인접한 위치에서 수행한 결과, 2차원 역산 결과가 유사한 전기비저항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미얀마 중앙분지의 전기비저항 구조 연구를 위해서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고려하여 전기비저항 탐사와 MT 탐사를 동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한 석회규산염암의 공동탐지

        박삼규,김창렬,손정술,김정호,이명종,조성준,Park, Sam-Gyu,Kim, Chang-Ryol,Son, Jeong-Sul,Kim, Jung-Ho,Yi, Myeong-Jong,Cho, Seong-J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5

        본 연구는 석회규산염암 공동에 의한 지반침하 지역에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로부터 지하공동의 영상화를 시도했다. 조사지역은 무안군 용월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적층 하부에 석회규산염암이 분포하고 있는 곳이다. 이 지역의 지질특성은 충적층 하부 석회규산염암의 용식작용에 의한 돌리네와 파쇄대를 따라 공동이 발달되어 있으며 과거 여러 차례 돌리네의 함몰에 의한 지반침하가 발생하였다. 조사지에 실시한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로부터 지하공동이 분포하고 있는 곳은 주변의 기반암에 비하여 전기비저항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석회규산염암 공동에 지하수와 점토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임을 알았다.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로부터 저비저항 분포 영역을 중심으로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고, 전기비저항이 50ohm-m 이하를 지하공동으로 가정하여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로부터 석회규산염암 공동을 영상화 하였다. 이것을 시추조사에서 공동이 발견된 위치와 비교한 결과 양자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석회규산염암에 발달되어 있는 지하공동 탐지에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3-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detect underground cavities within ground subsidence area at the field test site, located at Yongweol-ri, Muan-gun in Korea. Underground cavities are widely present within the limesilicate bedrock overlain by the alluvial deposits in the area of the test site where the ground subsidences have occurred in the past. The limesilicate cavities are mostly filled with groundwater and clays in the test site. Thus, cavities have low electrical resistivity compared to the surrounding host bedrock.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the zones of low resistivity correspond to the zones of the cavities identified in the boreholes at the test site, and that the 3-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very effective to detect underground cavities.

      • 해안 대수층의 2차원 층서 구조 및 염/담수 영역 영상화를 위한 지구물리탐사의 복합 적용: 전남 영광지역

        박권규,황세호,박인화,신제현,박윤성,이상규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07 한국지구시스템 공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해안침투대의 지질 층서 및 염/담수 영역의 영상화를 위하여 전남 영광군 백수읍 일대 해수침투 지역에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굴절법 탐사를 적용하였다. 전기비저항 수직탐사와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는 기존의 광역 등가 NaCl 염분도 분포도의 분해능을 보완하여 보다 고분해능의 염/담수 경계 영상화를 목적으로 적용하였으며 탄성파 굴절법 탐사의 경우 연안 대수층의 암상 경계에 대한 분해능 제고를 위해 적용하였다. 또한 지료 물리탐사 자료의 해석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3개 지점에서 확인 시추와 물리검층을 수행함으로써 해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및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기존의 염/담수 경계가 연구지역의 북동쪽으로, 기존 광역 탐사결과에 비해 내륙 쪽으로 상향 조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대수층 하부 기반암부에서 저비저항 이상으로부터 기반암 내부 균열을 따른 고염분 지하수의 유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성파 굴절법 탐사를 복합 적용함으로써 해수침투 환경, 특히 천부에 매우 낮은 저비저항 이상대가 존재하고, 동일 측선 내 동일 암상에서도 지하수의 염분도에 따라 체적 전기비저항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기탐사에 의한 층서 분해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3차원 댐구조가 전기비저항 자료에 미치는 영향

        조인기 ( In Ky Cho ),이근수 ( Keun Soo Lee ),강혜진 ( Hye Jin Kang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10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3 No.4

        전기비저항 탐사법은 저수지 누수구간 탐지에 매우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물리탐사법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제체의 마루에서 수행되는 전기비저항 탐사는 저수지가 2차원 구조를 갖고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저수지 제체에서 얻어지는 전기비저항 탐사자료는 저수지의 3차원 지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쇼법을 사용하는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수지의 3차원 구조와 저수지 수위의 변화가 전기비저항 탐사자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측선의 위치에 따른 전가비저항 탐사자를 비교하였으며, 지형보정 기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누수구간이 존재하는 제체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자료에 대하여 2.5차원 역산을 수행하여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법을 이용한 누수구간 탐지의 가능성올 분석하였다. Resistivity method is a practical and effective geophysical technique to detect leakage zones in embankment dams. Generally, resistivity survey conducted along the crest assumes that the embankment darn has a 2D structure. However, the 3D topography of the embankment distorts significantly resistivity data measured on anywhere of the dam. This study evaluates the influence from 3D etlects created by specific dam geometry and effects of water level fluctuations through the 3D finite element modeling technique. Also, a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locations of survey line are carried out, and topographic correction technique is developed for the resistivity data obtained along the embankment dam. Furthermore, using synthetic resistivity data for an embankment dam model with leakage zone, detectability of leakage zones is estimated through 2.5D inversion.

      • 방조제 피복상태를 고려한 지표 물리탐사에 의한 안전성 평가

        용환호 ( Hwan-ho Yong ),이대용 ( Daeyong Lee ),송성호 ( Sung-h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방조제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주된 관심 부분 중 하나는 육안으로 관측되지 않는 제체의 내부 상태이다. 약화된 제체의 내부를 통한 세굴 현상이나 재료의 손실은 부분적인 침하나 씽크홀(sink hole)을 야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체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들로 시험 시추나 각종 계측방법들이 많이 적용되었지만, 이 방법들은 제체를 교란시키고 대표적 단면에 대한 제한된 정보만을 추출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물리탐사 방법 중 전기비저항 탐사가 많이 거론되었지만, 비교적 전기전도도가 높은 해안가에 위치한 방조제의 특성상 지하에 안정적인 직류전류(direct current)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다. 따라서 직접 전류를 지하에 흘려보내지 않는 자연전위 탐사가 방조제에서 많이 적용되었으나, 이 방법 또한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전극의 영향이 매우 크며, 심도에 대한 정보 없이 누수에 대한 추정만 가능했다. 이후 탐사장비가 한층 개선되고, 해석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깊은 심도까지 안정적으로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전기비저항 탐사가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대규모 간척사업에서 가장 외곽을 담당하는 중요한 시설물인 방조제가 농어업 분야 등의 부지 조성과 같은 근본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관광 산업의 발달로 인한 경관 조성의 대상으로 자동차 도로, 산책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방조제의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또한, 기존 방조제의 피복상태는 성토 이후 자연적인 조감만을 강조한데 반해 최근 방조제의 피복상태는 각종 포장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포장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방조제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기존의 전기비저항 탐사 이외의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조제의 피복상태, 즉 포장되지 않은 부분에서 적용될 수 있는 전기비저항 탐사와 포장되어 있는 부분에서 적용될 수 있는 지표레이더 탐사와 표면파 탐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전기비저항 탐사에서는 3차원 구조의 방조제를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탐사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해수에 포화되는 구간과 전기비저항의 변화가 급변하는 구간에 대한 정보를 구간별로 추출할 수 있었다. 이 구간들은 방조제의 누수와 관련된 구간으로서 향후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구간으로 판단된다. 지표레이더 탐사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중 채널 송수신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지표면 직하부 심도 4 m까지의 연약 구간 및 보강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표면파 탐사 대상 구간 선정에 활용되었다. 표면파 탐사에서는 표면 접촉 스트리머(streamer) 방식의 지오폰과 저주파 송신원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 전단파 저속도대의 수평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강 범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보강 이후의 효과에 대해서도 판정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포장재에 의한 피복 유무에 따라 적합한 지표 물리탐사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방법은 향후 제체의 안전성을 도모하는 비파괴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조제의 저비용, 고효율의 안전진단 방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홍성 단층대에서의 전기, 전자 탐사 연구

        권병두,이희순,박계순,오석훈,이춘기,Kwon, Byung-Doo,Lee, Heui-Soon,Park, Gye-Soon,Oh, Seok-Hoon,Lee, Choon-Ki 한국지구과학회 200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4 No.4

        1978년에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홍성지역에 발달한 단층대의 전기, 전자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기, 전자 탐사는 최근 토목공사현장에서 단층대 및 파쇄대 등의 연약지반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이들 탐사로부터 얻어지는 전기비저항 구조는 연약대의 공간적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홍성지역에 위치한 단층대를 가로질러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탐사와 MT (Magnetotelluric)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역산을 통해 단층대의 전기비저항의 분포를 추정하였다. MT 탐사는 주단층대를 가로지르는 2.9 km의 측선상의 18측점에서 실시하였으며, 자기쌍극자를 인공 송신원으로 사용하였다 전기탐사는 단층대를 측선의 중앙으로 하여 전극간격이 50 m인 쌍극자배열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두 탐사 결과는 예상단층선을 따라 좌우지역의 전기비저항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예상단층선을 따라서는 뚜렷한 저비저항대가 깊게 발달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홍성지역의 단층대에서 낮은 전기비저항분포를 보이는 부분이 수직으로 잘 발달해 있다는 것은 최근에 두 차례의 지진이 발생한 것처럼 이 지역 단층이 활동 중인 단층이라는 사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 성과는 앞으로 홍성단층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We have investigated the electric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fault zone located in the Hongseong area where a big earthquake with M 5.0 occurred in 1978. Usually,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methods are broadly operated in the field of engineering works since these methods are effective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geological weak zones - fault or fracture zones. We have conducted the dipole-dipole array resistivity method and MT(magnetotelluric) method and interpreted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of the fault zone with the aid of various inversion methods. An MT survey was performed at 18 points along a 2.9 km survey line perpendicular to the fault line and a magnetic dipole source was used to enhance the S/N ratio in the high frequency. A Electric dipole-dipole array resistivity survey with the dipole length of 50 meters was carried out perpendicular to the fault. In view of two survey results, the fault marks the boundary between two opposite resistivity structures, especially the low resistivity zone is exhibited deeply through the prospective fault line. The result that the low resistivity zon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ault zone corresponds with the fact that the fault zone of the Hongseong area is active. We expect these resul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ult zones in Korea.

      • KCI등재

        지하수 인공함양 지역 충적층 특성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탐사

        원병호 ( Byeong Ho Won ),신제현 ( Je Hyun Shin ),황세호 ( Se Ho Hwang ),함세영 ( Se Yeong Hamm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3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6 No.3

        지하수 인공함양 지역에 충적층 특성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수직탐사와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였다. 지하수 인공함양의 주 대상 지층인 충적층 내에 존재하는 세립자들은 지하수와 함께 이동하여 클로깅 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하는데, 전기비저항탐사를 통해서 저비저항을 보이는 포화된 실트 또는 점토의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반면에, 이러한 저비저항대가 두터운 경우는 지층에서 인위적으로 보내진 전기가 저비저항대의 층으로만통하여 그 이하의 지층 또한 저비저항대로 왜곡되는 단점을 가지므로 해석 시에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여 격자형태의 35개의 수직탐사 측점과 10개의 2차원탐사 측선을 따라서 탐사를 수행하여 각각의 장점인 수직적인 분해능과 수평적인 분해능을 비교 및 보완하였다. 수직탐사를 통해 지하 30 m 이후에 약 15 m 두께로 인공함양의 주대상 지층인 모래자갈층이 퇴적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두 탐사의 비교를 통해 연구지 지하 일부 구간에 클로깅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실트 또는 점토의 분포가 예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하수 인공함양을 위한 주입정 및 관측정의 위치와 심도를 설계하는데 있어 충적층의 퇴적양상 파악에 대한 전기비저항탐사의 적용성을 보여준다. Vertical electrical sounding and 2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were applied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lluvial layers at a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site. The fine particles in alluvial layer, main target layer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may cause clogging phenomena. In this case,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verif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low-resistivity layers, such as saturated silts and clays. On the other hand,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nterpret the resistivity data in unconsolidated layers, because thick clayey overburden sometimes produces a masking effect on underlying interbedded resistive sands and gravels. Considering these points, we designed 35 points arranged in a grid form for vertical electrical sounding and 10 lines for 2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concentrated our effort on enhanc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solution of resistivity images. According to the results, 15 meters thick layers consisting of sands and gravels are located in 30 meters below ground.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lts and clays are mapped, which may cause clogging. Consequently, this approach can contribute to design and determine the location and depth of injection and observation wells for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 대전지역 사면의 전기적인 특성 평가

        이승재,윤형구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6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31 No.1

        산사태 발생 원인에는 강우에 대한 영향력이 존재하며, 사면의 내부를 평가하는 물리탐사기법 중 전기비저항 탐사는 강우에 대해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활용하여 산사태경험이 있는 사면 내부를 탐사하였으며, 강우 발생 시 산 내부의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연구지역은 대전광역시 도심지에 있는 사면이며, 측선 길이는 총 200m, 전극의 수는 101개, 간격은 2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의 깊이는 최대 20m까지이며, 이에 대한 전기비저항값을 획득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강우량 0mm와 5mm일 때 측정을 하였으며, 전기비저항 분포는 2D 단면도를 활용하였다. 깊이 5m ~ 15m 사이에 저비저항대와 고비저항대가 골고루 분포하였으며, 전기비저항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기 위하여 한 지점을 설정하여 깊이와 강우에 대한 정량적인 전기비저항 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심도가 깊어질수록 전기비저항값은 커지며, 강우 시에는 전기비저항 값이 다소 작게 나타났다.

      • KCI등재

        콘크리트 상부에서 전기비저항 탐사 적용 및 지구통계학적 복합 해석

        이희순,오석훈,정호준,노명근,지윤수,안태규,송성호,용환호 한국지구과학회 201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5 No.1

        콘크리트 도로 하부의 이상대를 찾기 위해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콘크리트의 접지저항효과를 줄이기 위해 전기전도성이 좋은 매질과 평판 전극을 이용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를 분석하고 같은 장소에서 수행한 지하투과레이더 탐사, 충격응답기법, 다중채널 표면파 탐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는 함몰과 포장 구간에서 높은비저항 분포를 보였으며, 지하투과레이더 탐사 결과는 보강으로 인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충격응답기법과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보강 구간에서의 높은 동적강성도가 높은 비저항 분포의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장소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탐사와 다중채널 표면파 탐사 결과를 공동 크리깅한 결과, 지구통계학적 복합 해석이 각 지구물리 탐사 결과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보다 더 명확하게 이상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지구물리 탐사에 기초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구통계학을 이용한 복합 해석 결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A DC resistivity survey was performed to detect anomalies beneath concrete pavement. A set of high conductive media and planar electrodes were used to lessen the effect’s a high contact resistance of concrete. Results ofthe resistivity survey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geophysical surveys such as Ground Penetration Radar (GPR), Impulse Response (IR), and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MASW), which were carried out inthe same location. The results of resistivity survey showed a high resistive distribution in the section of sink and pavement where a pattern of reinforcement was observed through the GPR survey. Also, a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the IR and resistivity surveys indicated that the high resistivity was produced by the high dynamic stiffness in there inforced section. The co-Kriging of both the results of DC resistivity and MASW surveys at the same location showed that an integrated geostatistical analysis is able to give more accurate description on the anomalous subsurface region than can a separate analysis of each geophysical approach.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grated geostatistical approaches were used for a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geophysical surveys.

      • 지구 물리탐사에 의한 시공감리성 연구

        손호웅,Shon, Ho-Woong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1997 공학논문집 Vol.2 No.1

        본 논문에서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시공감리를 위한 지구물리탐사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 삼양지역에 건설된 삼양수원지의 지하 차수벽의 시공상 부실공사 여부를 지구물리학적인 방법중 전기탐사(전기비저항, 자연전위법)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수원지 내부에 2개의 물리탐사 측선을 배열하고 부실 시공에 의한 해수유입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각 측선에서 간조와 만조 때 각각 1회씩 전기비저항값을 측정하였으며, 정확성을 높이기 이해 각 측선에서 자연전위법(self-potential method) 탐사를 간조와 만조에 전기탐사와 함께 실시하였다. 탐사결과 얻어진 전기비저항값과 전위차로부터 수원지에서의 시간에 따른 지하구조를 해석함으로써 부실 공사 여부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만조와 간조 때의 전기비저항값의 차이 및 분포로부터 지하를 통해 해수가 유입됨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측선에서의 자연전위값의 이상치를 보이는 것은 해수의 유입경로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되어 삼양수원지의 해수침입원인은 부실 공사와 사후처리의 미흡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 비파괴검사의 일환인 전기비저항탐사와 자연전위탐사 등 지구물리탐사방법이 구조물의 시공감리에 유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It is not possible to define the earth's interior because of it complicity.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directly and/ or indirectly. Geophysics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o study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on supervision by geophysical method, geophysical prospecting was performed and studied at the SamYang pumping well area in Cheju Island, where, although underground dam was constructed, the saline water invade the pumping well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by electrical measurements. Two electric resistivity survey lines are installed in the pumping well site, and at each line electric survey was conducted at ebb and flow tides. To increase the data quality SP (self-potential) survey was also performed. As a result the geophysical exploration methods explained the defect of construction well, and It shows that geophysical probe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