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은주(Park Eun J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4

        재활동기는 재활성과의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인의 재활 영역에서는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재활동기의 유형별 수준과 특성 그리고 각 재활동기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시에 거주하면서 퇴원 후 지역사회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기관방문조사 또는 우편조사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최종분석에는 총251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 재활동기는 의무적 동기, 외부적 동기, 무동기가 과제지향적 동기와 변화지향적 동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즉 정신장애인이 상대적으로 자기 결정력이 낮은 재활동기적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제지향적 동기에는 자기효능감, 타인지지, 가족지지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변화지향적 동기에는 재활서비스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정도, 그리고 의무지향적 동기에는 타인의지지, 재활서비스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정도, 나이, 신체건강정도가 의미있는 영향변수였다. 외부적 동기에는 가족의지지, 서비스 만족도, 성별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무동기에는 자기효능감, 사회적응도, 친구지지가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재활과정에서 재활동기강화를 위한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is a key factor influencing rehabilitation results, but this was not significantly researched in the field of the mentally ill. Against such a backdrop,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ill's rehabilitation motivation by type, and factors influencing such types of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The survey targeted 251 mentally ill people who lived in Busan City and that, after being discharged from hospitals, attempted to adjust themselves to communities and to rehabilitate themselv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with regard to the mentally ill people's rehabilitation motivation, their obligatory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and a motivation were found to be high, compared with their task oriented motivation and change-oriented motivation. In other words, the mentally ill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with lower self-determination. Second, exercis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ask oriented motivation were self-efficacy, others' support, and family's support: for the change oriented motivation, other's support and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considered helpful; for the obligatory motivation, others' support and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considered helpful; also, age and physical health degre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Factors influencing the external motivation were found to be family's support, service satisfaction, and gender. Exercis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motivation were self-efficacy, social adjustment, and friend's support.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indicate a need to bolster involvement in strengthening the mentally ill people's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their rehabilitation process, and to further research into such involvement measures.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통증파국화와 재활동기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배자현,이택영,강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4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들의 통증파국화, 재활동기와 일상생활활동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통증파국화와 재활동기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11개 재활요양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한국형간이정신상태검사 24점 이상인 뇌졸중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의학적 특성, 통증파국화척도,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 수정바델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중 113부를 SPSS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피어슨상관분석, 단계별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통증파국화와 일상생활활동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또한 통증파국화는 재활동기의 하위항목 중과제지향적 동기, 의무적 동기 및 무동기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상생활동작과 의무적 동기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통증 파국화는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1%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에서 통증파국화가 낮을수록 환자는 재활치료에 대한 내적 동기가 높아지고 일상생활동작에 독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작업치료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통증관리를 위해 인지적 대처 훈련 및 재활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가 인지하는 재활동기와 삶의 질 관계의 연구

        유영열,안창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포괄적 재활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재활동기의 수준과 이를 바탕으로 삶의 질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조성 및 유발에 효과적으로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이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분당 및 용인에 소재한 재활전문병원 3곳과, 부평시에 소재한 재활전문병 원 1곳, 서울에 위치한 요양병원 1곳에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재활운동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재활동기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긍정적 및 부정적 재활동기, 의료기관 및 사회적 도움 기대 정도에 대해 5개 영역(삶의 질, 신체적 건강영역, 심리적 건강영역, 사회적 건강영역, 환경영역)에서 모두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그리고 재활동기와 삶의 질 간의 종합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활동기에 대해 사회적 건강영역의 만족도(beta .680)가 클수록 높게 작용하였고, 그 다음 이 전반적인 삶의 질(beta .285), 신체적 건강영역(beta - .250)이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삶의 질은 각 요소의 밀접한 관계에 있고 그중에서도 사회적 건강영역의 만족 도와 재활동기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가 사회적 건강영역의 부문의 만족도 가 증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이들의 삶의 질은 더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 rehabilitation medical centers in the Seoul and Gyonggi-do districts from Dec. 2008 to Jan. 200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1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mean rehabilitation-motivation, the total score was 10.81, while for mean quality of life, the total scores was 14.94. The positive rehabilitation-motivation was influenced by the onset of patient status (F=2.701, p=.015), education level (F=6.532, p=.000), economic status (F=4.668, p=.001), while the negative rehabilitation-motivation was influenced by medical insurance forms (F=3.490, p=.009), economic status (F=4.155, p=.003), and education level (F=7.209, p=.000). Also, expectations regarding the medical institution & the social support were influenced by sex (F=2.281, p=.024), age (F=3.827, p=.001), medical insurance forms (F=4.485, p=.002), education level (F=11.332, p=.000), and economic status (F=4.776, p=.001).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was influenced by medical insurance forms,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p< .05). As a result, the more quality of life in social health increases, the more rehabilitation-motivation is influenced (beta .680). Second, is the general quality of life (beta .285), while third is physical health(beta -.250).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n affinity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particularly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social health and rehabilitation-motivation. Therefore, we should come up with programs to provide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in social health.

      • KCI등재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및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와의 관계

        김다혜,오명화,정현애,김정자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4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일상생 활활동 수행력과 자아존중감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을 진단받은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 며, 연구 도구로는 일상생 활활동 수행력과 자아존중감, 재활동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orean-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로젠버그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재활동기 측정도구 를 사용하여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뇌졸중환자의 자아존중감은 일상생활활동 수행력과 재활동기와 유의미한 관련성 이 있었으며, 재활동 기 하위영역 중 과제 지향적 동기, 변화 지향적 동기, 무동기와도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재 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 으며, 설명력은 16.3%였다. 결론 : 뇌졸중환자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에서는 이루어지는 뇌졸중환자의 재활은 신체적인 기능향상뿐만 아니라 환자의 내적인 심리 즉 변화의 핵심이자 재활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재활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뇌졸중 환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재활동기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종민 ( Jong Min Lee ),류성현 ( Sung Hyun Ruy ),최현 ( Hyeon Cho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4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3 No.2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재활동기 및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구 지역 내에 위치한 재활전문병원에서 작업치료를 포함하는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행동유형에 따른 재활동기를 분석한 결과, A형 행동유형과 B형 행동유형의 재활동기는 차이가 없었으나(p>.05),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A형 행동유형이 B형 행동유형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행동유형에 따른 재활동기와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는 A·B형 행동유형 모두 재활동기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어 병적 상태만을 고려하기 보단 행동유형과 같은 성격요인과 개인이 인지하는 재활동기 및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재활동기 향상 및 스트레스 경감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작업치료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stress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type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receiving rehabilitation to including occupational therapy target the stroke patients from rehabilitation centers in Daegu, total 107 survey were finally analysed that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Results: Rehabilitation motivat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behavior type of stroke patients was type A and B of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not different (p>.05). But stress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behavior type of stroke patients was type A showed receiving a lot of stress than type B(p<.05). Correlation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stress according to the behavior type was showed higher rehabilitation motivation get a lot of stress with the all type A. B(p<.05). Conclusion: To consider only the pathological conditions i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rather than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the behavior type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stress will be required to provide appropriat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that helpful rehabilitation motivation improve and stress decrease.

      •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

        황준성(Hwang, Jun Seong)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에게 동기강화 상담이론에 근거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실시하여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있는 D재활원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동질하다 평가된 26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에서는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을 독립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재,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었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주도성, 노력성 그리고 인내성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들의 자기효능감이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받은 실헙집단이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의 심리적인 역량을 강화하는데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귀준비를 위한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에게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의 하위영역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분석 연구와 추후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y implementing it based on motivation consultation theory. As the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er wirelessly selected 26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were utilizing D rehabilitation facility in D-si, evaluated same in the preliminary homogeneity inspection, and divided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this research conducted covariance analysis by adopting the groups(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elf-efficacy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had effect also on initiative, effort, and tolerance, the subordinate scope of general self-efficacy. Secon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ocial self-efficacy.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rd,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displayed positive change i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positively, which means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to enhance psychological capability. Through this, the researcher intend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for rehabilitation preparation. Also, for the follow-up study, analys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on concrete points of subordinate scope of dependent variables are consistently necessary.

      • KCI등재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박수진,송승일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3

        목적 : 본 연구는 심리적 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실시된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나누어 실시하였다. 우울의 변화는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사용하였고 재활동기의 변화는 재활동기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두 집단 각각 중재 전후 결과, 우울과 재활동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중재 후 두 집단 간 차이에서는 우울과 재활동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시간사용중재를 작업치료와 더불어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법으로서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 sixteen-week time-use intervention perio on the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stroke patients with psychological difficulties. Methods : Ten stroke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y 2014 to August 2014. Depression changes were measured using a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ir rehabilitation motiv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Scale. Results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erms of their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However, after intervention, the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ime-us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stroke patients, and therefore time-use intervention with occupational therapy will be useful as a clinical method for improving their level of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 KCI등재

        과제 지향적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송승일,이종민,정재훈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6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활동을 받는 실험군과 전통적 작업치료를 받는 대조군 각각 30명씩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치료 중재 적용 전과 후의 자기효능감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재활동기를 비교하기 위해 재활동기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료 중재 후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재활동기가 향상되었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과 재활동기가 더 많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과제 지향적 활동을 적용했을 때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재활동기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제 지향적 활동은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때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재활동기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뇌성마비 장애 학생의 지속 가능한 상지 재활 운동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기반 동기부여 UX 디자인 연구

        강예원,유승헌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6

        재활 운동은 장애를 줄이는 치료가 아닌 장애인의 기능을 최적화시키는 운동이나 활동으로, 신체기능향상 외에도 사회적 능력 회복을 돕기 때문에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뇌성마비 장애인은 뇌의 이상혹은 손상으로 인해 운동 기능의 상실이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지속적인 재활 운동은 필수이다. 이 연구는 뇌성마비 장애 학생들의 지속적인 재활 운동을 돕는 모바일 기반 동기부여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뇌성마비 장애인의 재활 운동의 필요성과 재활 운동 기기 분석을 통해 모바일 기반의 재활 서비스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이론을 기반으로게이미피케이션 전략, 학습동기이론(ARCS), 행동경제학 3가지 이론을 통해 사용자에게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맵핑하였다. 셋째, 뇌성마비 장애인에게 필요한 동기부여 디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해 관계자 인터뷰와 현장 관찰을 진행했다. 넷째, 문헌 연구에서 도출한 디자인 요소와 정성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뇌성마비 장애인의 지속적인 재활 운동을 돕는 UX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특히 관심을 유발하는 멀티모달 피드백, 운동 현황 및 목표 확인 등을 포함한 상위 6가지 동기부여 요소를 비슷한 맥락끼리 2개씩 그룹핑하여 총 3가지 화면에 따른 동기유발 전략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반영한 예상 결과물을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와 비대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서비스보다 디자인 가이드를 반영한 프로토타입이점수가 높았으며, 모든 항목에서 디자인 가이드를 반영한 프로토타입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지속적인 재활 운동을 돕는 디자인 요소 결과는 향후 개발될 다양한 재활 운동 기기 및서비스에 적용 및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경도 인지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스마트 재활시스템을 이용한 인지재활훈련이 인지,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함예진(Ham, Yeajin)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0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2 No.2

        목적: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 경도 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재활시스템을 적용하여 인지재활훈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지기능, 우울, 재활동기, 만족감 등의 효과를 확인하고 원격 재활로의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립재활원에 내원한 뇌졸중 환자 4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5월까지 두 달간 실시하였다. 치료사는 원격으로 환자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하고 환자는 치료사의 개입 없이 2주간 10회의 훈련을 진행하였다. 개입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인지능력, 기억력, 우울증, 재활 동기에 대한 평가를 중재 전후로 시행하였다. 스마트 재활시스템에 대한 추가 의견을 위해 만족도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결과: 중재 후에 모든 대상자의 실행능력과 기억력은 향상되었으며 우울감은 줄어들고 내적 재활 동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재활시스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와 안전성, 효율성도 높았다. 결론: 스마트 재활시스템을 사용한 인지 재활훈련은 인지능력의 향상뿐 아니라 우울감을 줄여주고 재활에 대한 동기는 높여주어 원격 재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new rehabilitation platform using a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MCOG) for stroke patients and to confirm its potential as a future home cognitive rehabilitation method. Method: Four patients with stroke completed a 2-week cognitive training using the COMCOG. A therapist remotely preset various cognitive training programs appropriate to the patient s level and adjusted the difficulty level. Assessments were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 assessments were on cognitive ability, memory,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all subjects cognitive and memory functions improved and their internal motivation increased, and depression decreased. In addition, subjective opinions of satisfaction, safety, and efficiency with the rehabilitation platform showed highly positive results. Conclusion: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 smart rehabilitation platform is possible for home rehabilitation as it not only improves cognitive abilities and motivation but also reduces depressiv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