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혼여행지 재방문 제약협상이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 : 1970~80년대 제주도 신혼여행 경험자를 중심으로

        김상원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4

        행복하고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아있는 신혼여행지는 재방문하고 싶은 마음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제주도로 신혼여행을 다녀온 경험자들의 재방문율은 절반이 안 된다. 제주도로 신혼여행을 다녀 온 40~50대들의 절반에게 제주도가 재방문지로서 매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여가제약 협상 관련 이론을 적용하여, 과거 신혼여행객의 재방문 제약협상이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관리 협상’은 재방문 의사에 정(正)의 영향을, ‘대인관계 조정 협상’은 부(負)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관리 협상’을 통해 ‘재방문 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재방문으로 유도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언급한 대체가 불가능한 신혼여행지 재방문의 경우는 재방문 제약협상 과정이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대인관계조정 재방문 제약협상’이 ‘재방문 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재방문 제약 협상과정이 실패로 끝나 ‘재방문 의사’에 부(負)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재방문 제약협상을 통해, 신혼여행 이후 재방문을 하지 않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상품개발과 방문 여건 조성 등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생태관광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요인 - 우포늪을 중심으로 -

        장민숙 ( Jang Min-sook ),김근호 ( Kim Keun-ho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재방문은 어떻게 결정되는가?’에 관한 연구의문에 해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생태관광을 구성하는 요소들 즉, 생태자원, 시설, 활동, 환경의식, 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생태관광 및 생태관광 구성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태관광지인 우포늪 탐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단일변수의 기술적 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분석, 경로분석(path analysis)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생태자원, 시설, 활동, 환경의식, 만족도는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의 크기는 만족도, 시설, 환경의식, 활동 순으로 높으며, 간접효과의 크기는 시설, 활동, 환경의식, 생태자원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효과의 크기는 시설, 만족도, 활동, 환경의식, 생태자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직접효과의 크기가 가장 크고, 시설이 재방문에 미치는 간접효과 및 인과효과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국내 조성된 생태관광지의 경우 재방문을 결정하는데 시설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만족도 증진이 재방문 증대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생태자원의 특성을 반영하고,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는 적정규모의 시설도입은 재방문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생태자원, 시설, 활동, 환경의식과 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제고시켜야 인과효과가 커지고, 간접효과가 커져 재방문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cological resources, facilities, activiti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atisfaction on repeat visitation in order to provide answers to the questions on 'how are ecotourists' return visitsdetermined?'. For this purpose, both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research hypothesis of the study are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on ecotourism and ecotourism components. A survey is conducted on visitors to Upo wetlands, a recognized ecotourismdestination in Korea.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or a single variable,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cological resources, facilities, activiti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atisfaction are influencing ecotourists’ revisiting the sites. The direct effects on the return visits are higher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faciliti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activities, while indirect ones are facilities, activiti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cological resources. The size of causality is higher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facilities, activiti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cological resources. In other words, satisfaction directly has the most impact on any return visit while the facilities are mains factors in the indirect and casual effects. Therefore, the facil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ecotourists’ revisiting. Finally,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relevance of ecological resources, facilities, activiti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atisfaction. This may lead to greater causality and indirect impacts which help to increase the number of return visits.

      • KCI등재

        연구논문 : 경주지역 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재방문객 유치를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

        박진영 ( Jin Young Park ),이성각 ( Sung Gak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경주관광 경험자의 재방문을 통해 경주 관광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단골 관광객을 확보함으로써 경주관광의 활성화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증조사를 통하여 경주관광의 재방문 요인을 추출하고 이러한 요인 중 경주의 재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관광동기 군집과 경주 재방문요인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광동기 군집별에 따른 경주 재방문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5개의 모든 관광동기에서 군집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검증 결과 적극적 활동형, 주변권유형, 사교형 일수록 각 관광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활동형 일수록 각 관광동기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주관광 재방문 유발요인이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주 재방문화 요인이 경주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서비스성, 교통편의성, 홍보성, 유희성 요인이 경주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성은 경주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성 요인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교통편의성, 서비스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성 요인은 경주 재방문 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igorate tourism in Gyeongju by boosting the loyalty to Gyeongju tourism through repeat visits of those who have visited the city and securing regular visitors. To this end, factors for a repeat visit to Gyeongju were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among them, those with positive effects on repeat visits to the city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usters of tourism motivations and the factors for repeat visits to Gyeongju.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luster in terms of all of five tourism motivations. Second, we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factors for repeat visits to Gyeongju on repeat visit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service, traffic convenience, promotion, and amusement had effects on repeat visit intention. The factor of promotion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followed by traffic convenience and service. The factor of amusement had negative effects on repeat visit intention.

      • KCI등재후보

        전통시장문화공간에서의 구매선호 제품별 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 연구

        심완섭(Shim, Wan-Seop)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전통시장에서의 구매선호 제품별 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에서 취급하는 제품 중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분석한 결과 농산물과 음식점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만족에 있어서는 농산물이며, 재방문 의도에 있어서는 음식점이 관련성이 높은 품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시장 이용객의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이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시장 이용객의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취급품목은 농산물과 음식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서 밝힌 대로 중요한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나 학술적으로 표본선정의 한계점 또한 내포하고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 더 많은 많은 전통시장의 표본선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arches the 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by purchasing favored products and revisit intention at traditional markets. It focuses on understanding customer favored purchasing produ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y sorting products which are handled at traditional markets but not quite handled. The results suggested at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y categorizing products handled at traditional markets as agricultural,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processing foods, clothes/shoes, processing materials, restaurants, it is indicated that of seven categories handled at traditional markets, agricultural products and restaurants impact a larg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can be verified that agricultural product is a high related item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staurant is in revisit intention; Second, it is indicated that as a result of analyz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traditional market customer, the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gets, the higher revisit intention raises. Therefore, it is indirectly verified that retailers at traditional markets should handle specialized products in order to increase sales and to vitalize the markets and then they can secure the competitive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significant meaning and an implication as mentioned before but it is needed to select more and more samples of traditional markets in order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because the results also include a limit of sample selection scholarly. 본 연구는 전통시장에서의 구매선호 제품별 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에서 취급하는 제품 중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분석한 결과 농산물과 음식점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만족에 있어서는 농산물이며, 재방문 의도에 있어서는 음식점이 관련성이 높은 품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시장 이용객의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이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시장 이용객의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취급품목은 농산물과 음식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서 밝힌 대로 중요한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나 학술적으로 표본선정의 한계점 또한 내포하고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 더 많은 많은 전통시장의 표본선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arches the 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by purchasing favored products and revisit intention at traditional markets. It focuses on understanding customer favored purchasing produ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y sorting products which are handled at traditional markets but not quite handled. The results suggested at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y categorizing products handled at traditional markets as agricultural,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processing foods, clothes/shoes, processing materials, restaurants, it is indicated that of seven categories handled at traditional markets, agricultural products and restaurants impact a larg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can be verified that agricultural product is a high related item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staurant is in revisit intention; Second, it is indicated that as a result of analyz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traditional market customer, the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gets, the higher revisit intention raises. Therefore, it is indirectly verified that retailers at traditional markets should handle specialized products in order to increase sales and to vitalize the markets and then they can secure the competitive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significant meaning and an implication as mentioned before but it is needed to select more and more samples of traditional markets in order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because the results also include a limit of sample selection scholarly.

      • KCI등재

        강원랜드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동주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강원랜드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전략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사회적 책임활동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은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익적 사회책임활동은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에 경제적 · 지역개발 사회책임활동을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의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익적 사회책임활동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에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제적 · 지역개발 사회책임활동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의 직접효과보다도 사회적 연결감에 의한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존 고객들의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사회적 책임활동에 의하여 강원랜드와 고객 간의 사회적 연결감(기업-소비자 동일시)을 강화시켜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iscussed various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by analyzing how thes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fluence the quality of social connectedness, the number of revisits, and the visitors' recommendations and feedback. Two main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it turned out to some degree that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social connectedness, the frequency of revisits, and the visitors' recommendations and feedback. While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common good do not affect the social connectedness, the number of revisits and recommendations,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economic and regional development have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m. Second, no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number of revisits and recommendations were found. However, in terms of the quality of social connectedness, the economic and regional developments are more indirectly affected than the number of revisits and recommendations are directly affect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strengthen the quality of social connectedness between. Kangwon Land and its dients, resulting in more frequent revisits as well as more positive feedback, rather than directly influencing the existing clients' revisits and the feedback by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재방문 외래 관광객 특성

        김진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It is often said that repeat visitation is important and repeat visitor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first-time visitors. However, empirical evidence for this notion is insufficient and inconsistent, making it difficult to draw any general explanations or predictions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visitors.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visitors to Korea.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inbound tourists to Korea in 2016 reveals that repeat visitor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ip characteristics, expenditures, post-trip evalu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Important results include: (1) the proportions of female, people over the age of thirty, residents of Japan, Hong Kong, and Singapore are higher in repeat visitors; (2) the proportions of visitors whose purpose of visit is shopping or visiting friends or relatives (VFR), who stay shortly, and who visit Seoul are higher in repeat visitors; (3) repeat visitors spend more than first-time visitors; (4) repeat visitors show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and a higher level of revisit intention than first-time visitors. Some other characteristics of repeat visitors were also found. These characteristics of repeat visitors to Korea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peat visito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peat visitors can be utilized in academic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tourists’ motivation, attitude, and behavior. They can also help practitioners develop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재방문 관광객 유치가 중요하고 그들이 처음 방문객과 다르다는 주장이 흔하지만, 정작 그들이 처음 방문객과 비교해 어떻게 다른지 실증적으로 밝히는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방한 외래 관광객 중 재방문객이 갖는 특성을 인구・사회통계 특성, 여행 특성, 지출 특성, 여행후 평가와 행동 의도 특성으로 나누어 조사해 보았다. 2016년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방문객이 다음과 같이 처음 방문객과 뚜렷이 구별되는 특성을 가짐을 확인했다. 첫째, 30대 이상, 여성, 일본, 홍콩, 싱가포르 거주자 비율이 처음 방문객보다 높다. 둘째, 쇼핑이나 친구・ 친지 방문 목적 방문자, 단기 체류자, 서울 방문자 비율 역시 더 높다. 셋째, 총지출과 쇼핑, 오락 활동 지출이 처음 방문객보다 많다. 넷째, 처음 방문객보다 관광 만족도는 더 낮고 재방문 의사는 더강하다. 이 외에도 검토 대상이 된 여러 면에서 재방문객은 처음 방문객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재방문 관광객 특성은 이후 학술 연구에서 외래 관광객 여행 동기, 의사 결정, 행동을 설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또, 누가, 왜 한국을 재방문하며 그들이 어떤 유형의관광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는지 밝힘으로써 실무에서 재방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책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과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유아의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

        홍선희,김경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무엇인지, 비디오 재방문 토의활동 후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 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7명으로 2016년 3월 11일에서 6월 29일까지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쌓기놀이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극놀이에 대하 여 총 21회의 참여관찰과 10회의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이 이루어졌다.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은 유 아들의 실제 사회극놀이에서 일어난 갈등 상황 영상을 보여준 후 어떻게 갈등을 해결할 것인지 토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사회극놀이 활동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을 관찰한 결 과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과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차이가 있었다. 첫째, 비디 오재방문 토의활동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으로는 공평하게 사용하기, 공평하게 나누기, 공평한 방법으 로 역할 정하기로 모두 공평과 관련된 방법이었고 둘째,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유아의 사회극놀이 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으로는 가위바위보로 정하기, 상황과 대상에 따라 나누기, 공평한 방법으로 역 할 정하기였다.

      • KCI등재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 행태에 관한 연구

        이현재(Hyun-Jae Rh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는 고유한 특성이 강해 초기 관광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관광지인 청남대를 대상으로 재방문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시도이다. 분석기법으로는 다변량 통계분석인 시차변수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 행태를 입장료나 소득수준과 같은 경제적 요인을 바탕으로 하였다.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를 결정하는 장기적인 분석결과에 의하면 단기분석과는 달리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충청권 및 충북지역의 재방문 관광객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남대 재방문 의도의 결정 요인을 살펴보면 입장료에 의한 영향은 초기 방문을 통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득수준에 의한 영향은 시차가 길어질수록 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남대 재방문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청남대 입장료의 요금체계 개선뿐만 아니라 이에 부합하는 시설 확충, 이미지 제고, 서비스개선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잠재된 관광지 가치의 개발이나 주변의 유사 관광지와의 연계개발 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is basically designed to reveal a revisiting behavior for Chung Nam Dae which is inherently characterized sightseeing site. Distributional lag model is tentatively employed to analyze economic factors such as entrance fee and a different level of income. Empirical findings investigate that the revisiting behavior that is associated with a long run effect is more closely connected to the level of national income, but not the level of incomes in Chung Cheong region and Chung Buk province as well. As far as revisiting intention concerns, the entrance fee tends to affect to it by a shorter distributional lag, but the level of income affects to it by way of a pretty much longer distributional lags. To this end, perceived value for Chung Nam Dae should be exposed in order to induce a re-visitor. Such a goal could be attainable by taking care of its system for entrance fee, expanding facilities, re-branding, service improvement, and developing useful programs. Also, setting up an inter-connected networking system with a sightseeing site around is highly recommended.

      • KCI등재

        방송콘텐츠마켓 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평가요인

        구종상(Jong-Sang Gu),이완수(Wan-Soo Lee),이진로(Jin-Ro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2 No.4

        이 논문은 2009년 부산콘텐츠마켓(BCM) 참가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행사의 평가요인별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대한 실증적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부산콘텐츠마켓 본 행사, 방송통신융합포럼, 방송경영마케팅포럼, 세계문화콘텐츠포럼, BCM 아카데미 등 다섯 개 개별 프로그램별을 서로 다른 평가문항별로 만족도와 향후 재방문 의사여부 관계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심층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CM 본 행사 참가자들은 숙박시설과 국제적 행사로서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을 표시했지만 시설, 운영, 홍보, 콘텐츠 질과 수량, 쇼핑, 친절성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했다. 또 본 행사 평가요인별 재방문 의사여부에 대한 분석에서는 개최지로서의 부산의 지역적 매력과 통역 및 외국어 안내 요소만이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CM 본 행사의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경쟁력 요인으로는 제작 및 투자분야의 만족도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셋째 BCM 포럼 행사에 대한 분석에서는 포럼의 내용, 주제, 발표자와 토론자의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재방문 의사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CM 아카데미교육 프로그램 행사에서는 교육내용과 강사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교육내용, 교육시간, 강사진의 구성이 재방문 의사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별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다큐멘터리 국제 공동제작 현황 및 비전, 〈차마고도〉 및 〈인사이트 아시아〉 마케팅 성공요인, 〈한반도 공룡〉 및 〈EBS 다큐프라임〉의 성공요인, 국내 다큐멘터리의 해외합작 제작 사례, 성공하는 다큐멘터리 기획 및 마케팅 요소가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변수로 꼽혔다. 방송콘텐츠 마켓의 재방문 동기성과 활용가치를 중심으로 토론했다. This paper explored satisfaction and revisiting of participants on Busan Contents Market(BCM) programme in 2009. Specifically,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for finding satisfaction and revisiting factors on main events, broadcasting-telecom convergence forum, broadcasting business marketing forum, world culture contents forum and BCM academy. Results show as following. Firstly, Participants satisfied on comfortable lodging and possibilities as international events, but not satisfied on facilities, managements, public relations, contents and service. In particular, regional attraction and interpretation service are one of factors for revisiting in BCM main events. Secondly, one of competition factors for revisiting intention in BCM main events is production and investment. Thirdly, contents, theme and qualities of presenters and discussants are main factors for revisiting in BCM. Fourthly, satisfaction degree on education contents and lectures in BCM academy is high and contents, time, line up of lectures analyzed as determined factor for revisiting. Fifthly, documentary planning, production and marketing with international investors drive to induce revisiting BCM. We discussed motivation and utility values for revisiting of broadcasting contents market.

      • KCI우수등재

        방한 외국인 관광객 재방문 의도 결정 요인

        김진후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5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가 증가하고 그들을 둘러싼 인접국과의 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기존 방문객의 재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과거보다 더 중요한 상황이다. 그들의 재방문 결정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됐지만, 중요한 설명 변수가 누락된 모형과 대표성이 약한 표본을 사용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변수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한 외국인 관광객 재방문 의도 설명 모형을 세우고, 이를 3천여 명의 중일 관광객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추정했다. 추정 결과 전반적 여행 만족도, 한국 이미지, 방문 횟수가 방한 중일 관광객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설명 요인으로 확인됐다. 관광객 국적, 관광 형태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중국인보다 일본인 관광객이, 단체 관광객보다 개별 자유 여행객이 더 강한 재방문 의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양의 영향은 방문 횟수가 증가할수록 약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는 만족, 이미지 등 일부 설명 변수만 고려한 선행 연구 결과가 변수 누락에 따른 편의(omitted variable bias)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나아가, 방한 외국인 관광객 재방문 의도와 그 결정 요인 사이의 관계를 더 포괄적으로, 정확히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As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increases and competition from neighboring countries for their patronage intensifies,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induce visitors to return again.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tri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behind foreign tourist repeat visits, most of them used a model that excluded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and that made estimates using data taken from a small sample. To re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pecifies a model to explain foreign tourist intentions to visit Korea again using more relevant explanatory variables, and estimates intentions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more than three thousand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satisfaction, the general image of Korea, and the number of previous visits a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turn intention. Tourist nationality (Japanese vs. Chinese) and tour type (free independent travelers, FITs vs. group tourists) are also identified as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Other variables being held constant, Japanese tourists and FITs have a stronger average return intention than their counterparts.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effect of overall satisfaction on return intention is attenuated as the number of previous visits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mitting any of these explanatory variables from a model cause the OLS estimators to be biased. Furthermore, the results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tourist return intention and its determin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