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잔디해충 연구사

        추호렬,이동운,Choo, Ho Yul,Lee, Dong Woon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2

        해충은 잔디재배지나 운동장이나 공원, 골프장, 공항 등의 잔디에 피해를 주는 주요 원인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잔디해충에 관한 연구는 다른 작물분야에 비하여 적고, 역사도 짧다. 본 총설은 우리나라에서 잔디해충분야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 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52편의 잔디해충 분야 논문이 8개의 전문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전체의 63.5%인 33편의 논문이 Weed and Turfgrass Science에 게재되었다. 잔디 해충분야 연구 주제는 해충의 생태적 연구와 방제연구로 크게 대별된다. 1990년대 이전에는 잔디해충 관련 논문이 없었으나 1990년대에 9편, 2000년대에 10편, 2010년 이후 14편의 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어 1997년 이후 년 평균 2편의 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다. 6목 13과 33종의 해충과 잔디혹응애(Aceria zoysia), 쥐며느리(Armadillidium vulgare)가 우리나라에서 잔디 피해 절지동물로 기록되어 있다. 굼벵이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 지렁이 관련 논문이 전체 잔디해충 관련 논문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Insect pests have been one of the main constraints affecting turf sod cultivation areas, playgrounds, parks, golf courses, airports and other related recreational grounds. However, turfgrass research has been very limited and confined within a limited period of time compared to other branches of crop science in Korea. This review was surveyed from all papers in KCI (Korea Citation Index), SCI (Scientific Citation Index) and SCIE (SCI Expended) journals related to turfgrass research in Korea. Fifty two papers concerning turfgrass insect pest in Korea have hitherto been published in 8 different scientific journals since 1990. Thirty three papers (63.5% of total) were published in Weed and Turfgrass Science. The main topics of focu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ecological study and control of insect pests. Before the 1990 decade, there were no scientific papers published in relation to turfgrass insect pest science. However, during the 1990, 2000 and 2010 decades, 9, 10 and 14 papers were published respectively in Weed and Turfgrass Science. From 1997, about 2 papers were published per year in the scientific journals. Thirty three insect pest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in 6 orders, one Eriophyidae mite, Aceria zoysia and one Armadillidae sowbug, Armadillidium vulgare, have hitherto been listed as turfgrass arthropod pests in Korea. Fifty percent of turfgrass insect pest papers published were focused on whitegrub, Adoretus tenuimaculatus, Popillia quadrigutta and earthworm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잔디 재배지 발생 해충 종류

        이채민,권오경,이광수,이상명,최성환,이동운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2

        Turfgrass insect pests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turf sod production areas of Korea. Twelve insect pest speciesof 7 families in 6 orders and one Eriophyidae mite, Aceria zoysiae were collected from turf sod production areas. The zoysiagrassmite was most frequently occurred zoysiagrass sod production areas. Damaged rate by zoysiagrass mite was increased fromMay to September. Noctuidae (Spodoptera depravata, Agrotis ipsilon and A. segetum) and Pyralidae (Crambus sp.) insect pests inLepidoptera were attracted in A. ipsilon sex pheromone trap. Eggs and larva of A. ipsilon was the highest occurred August. Zoysiagrassmite and A. ipsilon were main insect pests in turf sod production areas in Korea 우리나라 잔디재배지역에 발생하는 잔디 해충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6목 7과 12종의 해충과한 종의 Eriophyidae 응애류인 잔디혹응애(Aceria zoysiae)가 잔디 재배지에서 채집되었다. 잔디혹응애는 한국잔디류(Zoysia spp.) 재배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피해율은 5월에서 9월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나비목 밤나방과 해충인 잔디밤나방(Spodoptera depravata)과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거세미나방(A. segetum) , 포충나방과 해충인 포충나방류(Crambus sp.)가 검거세미나방 성페로몬트랩에 유인되었다. 검거세미나방 알과 유충은 8월에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잔디혹응애와 잔디밤나방이 우리나라 잔디 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이었다.

      • 골프장 주요해충 발생양상 및 방제적기

        정태성,이재홍,문윤기,권순배,황미란,김재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골프장의 잔디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들에 대한 발생양상과 방제적기의 구명을 위해 춘천과 원주지역에서 각각 골프장 한곳을 선정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페 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등얼룩풍뎅이, 애풍뎅이, 녹색콩풍뎅이, 검거세미나방 및 잔 디포충나방을 대상으로 시기별 채집량을 조사하였다. 트랩에서 채집된 곤충을 분류한 결과 춘천지역 골프장에서는 등얼룩풍뎅이 등 7 종의 해충이 발생되었으며, 우점 해충은 등얼룩풍뎅이>애풍뎅이>잔디포충나방> 검거세미나방 순이었고 대상해충 이외에도 참콩풍뎅이 등 3종의 해충이 추가적으 로 조사되었다. 원주지역 골프장의 경우 애풍뎅이 등 10종의 잔디해충 발생되었으 며, 우점해충은 등얼룩풍뎅이>애풍뎅이>잔디포충나방>녹색콩풍뎅이>검거세미 나방 순이었고, 특히 등얼룩풍뎅이의 발생밀도가 높았으며 대상해충 이외에 참콩 풍뎅이 등 5종의 해충이 추가적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종과 발생양상은 춘천과 원주 두 지역 모두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이들 해충의 방제시기는 풍뎅이류의 방 제적기가 1~2령기인 것을 감안하여 등얼룩풍뎅이는 7월하순, 애풍뎅이는 8월상순 과 9월상순이었고 나방류는 잔디포충나방은 7월상순, 8월하순, 10월상순으로 예 측되었다.

      • 외래해충 잔디왕바구미(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의 발생 보고

        양승원,심규열,김정호,홍기정,정영기,Yang, Seung-Weon,Shim, Gyu-Yul,Kim, Jeong-Ho,Hong, Ki-Jeong,Jeong, Young-Gi 한국잔디학회 2009 한국잔디학회지 Vol.23 No.2

        2009년 10월 15일 경남 진해시 소재 용원 컨트리클럽의 한국잔디에서 외래해충인 잔디왕바구미의 발생 피해가 최초로 확인되었다. 성충은 체장이 6~11 mm로서 검은색 내지 흑갈색이며, 형태적으로는 앞가슴 등판에 점각무늬가 있으며, 중앙에 Y자 모양의 융기선과 그 양측에 괄호 모양의 융기선이 특징이다. 잔디왕바구미는 한국잔디류를 비롯한 난지형잔디에 피해를 준다. 잔디왕바구미는 검역관리 대상해충이므로 국립식물검역원에서 인근 골프장 및 잔디재배지 등을 위주로 추가 발생 및 피해 여부를 조사하였으나 아직 다른 곳에서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In October 2009, hunting billbug, 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 was first found on zoysiagrass at Yongweon country club in Jinhae. The adult was 6~11mm long and dark brown to black color. The pronotum is coarsely punctate except for a "Y"-shaped area in the center and a parenthesis-like marking on each side. This pattern is characteristic of the species. This billbug feeds on warm-season grasses like zoysiagrass and Burmudagrass. As the hunting billbug is one of the plant quarantine pests in Korea, the National Plant Quarantine Service surveyed additional occurrence for neighboring golf courses and some turfgrass farms, but not found yet.

      • KCI등재

        외래해충 잔디왕바구미(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의 발생 보고

        양승원(Seung-Weon Yang),심규열(Gyu-Yul Shim),김정호(Jeong-Ho Kim),홍기정(Ki-Jeong Hong),정영기(Young-Gi Jeong)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9 Weed & Turfgrass Science Vol.23 No.2

        2009년 10월 15일 경남 진해시 소재 용원 컨트리클럽의 한국잔디에서 외래해충인 잔디왕바구미의 발생 피해가 최초로 확인되었다. 성충은 체장이 6~11 ㎜로서 검은색 내지 흑갈색이며, 형태적으로는 앞가슴 등판에 점각무늬가 있으며, 중앙에 Y자 모양의 융기선과 그 양측에 괄호 모양의 융기선이 특징이다. 잔디왕바구미는 한국잔디류를 비롯한 난지형잔디에 피해를 준다. 잔디왕바구미는 검역관리 대상해충이므로 국립식물검역원에서 인근 골프장 및 잔디재배지 등을 위주로 추가 발생 및 피해 여부를 조사하였으나 아직 다른 곳에서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In October 2009, hunting billbug, 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 was first found on zoysiagrass at Yongweon country club in Jinhae. The adult was 6~11㎜ long and dark brown to black color. The pronotum is coarsely punctate except for a "Y"-shaped area in the center and a parenthesis-like marking on each side. This pattern is characteristic of the species. This billbug feeds on warm-season grasses like zoysiagrass and Burmudagrass. As the hunting billbug is one of the plant quarantine pests in Korea, the National Plant Quarantine Service surveyed additional occurrence for neighboring golf courses and some turfgrass farms, but not found yet.

      • KCI등재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잔디밤나방, Spodoptera depravata(Butler)(나비목: 밤나방과)의 생물적 방제

        강영진,이동운,추호렬,이상명,권태웅,신홍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0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3 No.1

        우리나라산 곤충병원성 선충(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S. monticolum Jiri)을 이용한 잔디밤나방(Spodotera depravata)의 환경 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와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잔디의 예고가 곤충병원성 선충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야외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의 처리가 잔디밭에 분포하고 있는 개미와 집게벌레의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잔디밤나방 3령충은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하여 처리 5일째 53.3%에서 66.7%의 보정사충율을 나타내었다. S. carpocapsae GSN1과 S. monticolum Jiri의 잔디밤나방 3령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 (LC$_{50}$)는 6.9와 3.9마리였다. S. carpocapsae GSN1의 병원성은 잔디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어 2령충에서 73.3%로 가장 높았으며, 3령충부터 감소하였다. 예고는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쳤다. 들잔디의 예고가 14mm인 pot에서 4령충의 치사율은 S. carpocapsae GSN1 처리가 40.0%였고, S. monticolum Jiri처리는 33.3%였으며 fenitrothion은 83.3%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나 45mm구에서는 모두 낮았다. 곰개미(Formica japonica) 분포지에서 선충처리구의 보정사충율은 fenitrothion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개미의 감소율은 fenitrothion구에서 56.7%로 높았고, S. carpocapsae GSN1 처리구와 S. monticolum Jiri 처리구에서는 각각 0%, 6.7%로 낮았다. 잔디의 예고는 S. carpocapsae GSN1과 fenitrothion의 효과에 영향을 미쳤다. S. carpocapsae GSN1은 3-4cm 예고구에서는 62.2%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였으나, 6-8cm와 12-14cm의 예고구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fenitrothion 처리구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못뽑기집게벌레(Forficula scudderi)의 밀도도 fenitrothion 처리구에서만 감소를 보였다. 즉, 3-4cm 예고구에서는 100%의 감소율을 보였고, 6-8cm 구에서는 41.7%, 12-14cm 구에서는 16.1%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Environmentally sound control of Japanese lawngrass cutworm, Spodoptera depravata with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I ,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and S. monticolum Jiri) was evaluated in the laboratory and field. In addition, effect of turf height on the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density of ant (Formica japonica) and spine-tailed earwigs (Forficula scudderi)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 The corrected mortality of 3rd instar of S. depravata larvae was 53.3% to 66.7% 5 days later after treatmen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LC_{50}$ value of S. carpocapsae GSN1 and S. monticolum Jiri against 3rd instar of S. depravata was 6.9 and 3.9, respectively. Pathogenicity of S. carpocapsae GSN1 was different depending on larval stages, i.e., mortality of 2nd instar was the highest representing 73.3% but decreased from 3rd instar. Turf height affected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Mortality of 4th instar of S. depravata was 40.0% by S. carpocapsae GSN1 and 33.3% by S. monticolum Jiri, and 83.3% by fenitrothion, respectively, in the turf height of 14mm, but those were lower in 45mm. The corrected mortality of S. depravata larvae was lower at the entomopathgenic nematode plots than fenitrothion plot in the distribution field of Formica japonica. However, reduction rate of F japonica was higher in fenitrothion by 56.7% compared with 0% in S. carpocapsae GSN1 and 6.7% in S. monticolum Jiri. Turf height influenced control of S. depravate in S. carpocapsae GSN1 and fenitrothion. Control value of S. carpocapsae GSN1 was 62.2% in the turf height of 3-4cm, but not effective at all in 6-8cm and 12-14cm.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fenitrothion plots. Forficula Scudderi was also reduced only in fenitrothion plots. Reduction rate was 100% in 3-4cm, 41.7% in 6-8cm, and 16.7% in 12-14cm, respectively.

      • KCI등재

        골프장 잔디 해충과 천적의 종류

        추호렬,이동운,이상명,이태우,최우근,정영기,성영탁 한국응용곤충학회 200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9 No.3

        우리 나라 골프장의 잔디 가해 해충과 천적에 관한 조사에서 잔디를 가해하는 해충은 6목 10과 28종이 확인되었고, 잔디흑응애(Eriophydae zoysiae)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도 피해를 주고 있었다. 풍뎅이 유충인 굼벵이는 전 조사 골프장의 모든 코스에서 피해를 조고 있었으며, 검거세미나방이나 거세미나방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었다. 그리고 푸충나방류(Crambus sp.)와 깍지벌레류, 각다귀(Tipula sp.)도 잔디에 피해를 주고 있었다. 반면, 일본왕개미(Camponitus japonicus), 곰개비(Formica japonica), 고동털개미(Lasins japonicus)는 직접적인 잔디 피해보다는 간접적인 피해가 많았다. 즉, 잔디나 골프장 군데군데에 집을 만들거나 골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었다. 잔디 해충의 천적으로는 곤충병원성 선충과 곤충변원성 곰팡이 및 유화병균등의 곤충 병원미생물과 파리매와 같은 포식성 천적류, 그리고 굼벵이벌 등과 같은 기생성 곤충류가 채집되었다. 병원성 선충으로는 Heterorhabditidae과의 Heterorhabditis sp.와 Steinernematidae과의 Steinernema glaseri와 S. longicaudum이 굼벵이와 잔다밭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골프장에서 발견된 Heterorhabditia sp,는 동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풍뎅이 유충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와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 골프장에서 발견되 Heterorhabditis sp.는 등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뎅이 유층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아 등얼룩풍뎅이(Exomala or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관찰된 파리매 3종 중 파리매(Promachus yesonic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굼벵이벌(Tiphia sp.)은 주둥무늬차색풍뎅이와 등얼룩풍뎅이의 유충에서 확인되었는데 발견된 개체수는 많지 않았다. 식무 기생선충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금잔디(Z.matrella), 버뮤다그라스(Cynodon dactylon)에서 발견되었다. - Turfgrass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for biological control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pest management effectively in golf courses at several golf clubs. Twenty eight insect pest species of 10 families in 6 orders were collected from golf courses. The zoysiagrass mite, Eriophyes zoysiae and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were also collected from zoysiagrass. White grubs of several scarab beetles and cutworms (Agrotis spp.) damaged seriously at most surveyed golf clubs. In addition, bluegrass webworm (Crambus sp.), Japanese lawngrass cutworm (Spodoptera depravata), scale insects, Tipula sp., and ants (Camponitus japonicus, Formica japonica, and Lasins japonicus) damaged turfgrasses directly or indirectly in golf courses.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s, Heterorhabditis spp., Steinernema glaseri, and S. longicaudum, entomopathogenic fungi, Beauveria bassiana and Metarhizium anisopliae, and milky disease, Paenibacil/us popil/iae were isolated from white grubs or turfgrass soil as microbial control agents. Besides, dipteran predators, Cophinopoda chinensis, Philonicus albiceps, and Promachus yesonicus and hymenopteran parasitoid, Tiphia sp. were also collected. The P. yesonicus was the most active in golf courses. The root-knot nematode, M. incognita was found from Zoysia japonica, Z. matrella. and Cynodon dactylon.

      • KCI등재

        잔디에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을 이용한 검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

        이동운,Potter, Daniel A.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1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Hufnagel))은 골프장의 잔디를 비롯한 많은 경제작물에 주요해충의 하나이다.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ScG)은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것으로 시설재배 해충을 비롯한 토양서식 해충 방제에 유용한 생물적 방제인자로 우리나라에서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검거세미나방에 대한 ScG의 병원성을 실험실과 온실, 포장에서 검정하였다. 검거세미나방 인공사료 배지에서 3령충을 대상으로 63마리 감염태 유충(Ijs)을 접종한 결과 3일후에 90%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검거세미나방 령기와 잔디 초종별에 따른ScG의 병원성은 검거세미나방 2령충에 비하여 4령충에서높았고 (90.0% 대 81.2% 치사율, 2,000 Ijs pot-1), 검거세미나방 3령충에 대한 초종별 병원성은 크리핑벤트그라스(Agrostis palustris)에서가 들잔디(Zoysia japonica)에 비해서높았다(96.7% 대 52.5% 치사율, 100,000 Ijs m-2). 크리핑벤트그라스 포장에서는 m2당 100,000 Ijs ScG처리 시 검거세미나방 4령충에 대한 보정사충율은 79.9%였다. 따라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cG는 골프장 잔디에서 검거세미나방의 생물적방제 인자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Hufnagel) is a major insect pest of economic crops including turfgrasses ongolf courses.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ScG), a Korean isolate, is an effectivebiological control agent for soil dwelling and greenhouse insect pests in Korea. In addition, ScG is commercially produced inKorea. We conducted laboratory, greenhouse, and field trials to evaluate efficacy of ScG against black cutworms in turfgrasses. Arate of 63 infective juveniles (Ijs) per larva killed >90% of 3rd instars feeding in cups of artificial diet within 3 days. In greenhousetrials against cutworms feeding in pots of turfgrass, efficacy of ScG was higher against 4th instars than against 2nd instars (90.0 vs81.2% mortality, respectively, at 2,000 Ijs pot-1) in perennial ryegrass, and higher against 3rd instars in creeping bentgrass, Agrostispalustris than i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96.7 vs 52.5% mortality at 100,000 Ijs m-2) in pot. The corrected mortality of 4thinstar was 79.9% at the rate of 100,000 Ijs m-2 in the creeping bentgrass in the field. So ScG could be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against black cutworm in turfgrass of golf courses.

      • 경남 진주지역 골프장의 나방상 연구

        김종주,이석준,정영학,이상명,추호렬,이동운,Kim, Jong-Ju,Lee, Suk-Jun,Jung, Young-Hak,Lee, Sang-Myeong,Choo, Ho-Yul,Lee, Dong-Woon 한국잔디학회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1

        Moths were collected to survey turfgrass pest and to compare species diversity from Jinju Country Club in Jinju, Gyeongsangnamdo, Korea, every 10 days using 200W mercury light trap from middle May to late October in 2008. As the results, only 23 individuals of Pseudaletia separata, Spodoptera depravata, Spodoptera litura, Agrotis segetum, and Agrotis ipsilon were collected as turf grass insect pests. However, 2028 individuals of 388 species in 22 families were collected in total. Dominant species was Culcula panterinaria, Fentonia ocypete, Hypsopygia regina, Culcula panterinaria, Flavocrambus striatellus, and Diarsia camescens in May, June, July,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surveyed sites, but different among surveyed time. Species richness was more higher in hole 11 (Hole was surrounded by natural forest and located near pond) than hole 15 (Hole was located at the top part of mountain). Dominance index of moth was increased from October compared with diverse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decreased from October. A larg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Noctuidae (502 individuals in 131 species), Geometridae (491 individuals in 84 species), Pyralidae (386 individuals in 73 species), and Notodontidae (277 individuals in 25 species). These four families were 80.9% out of all the collected species. 골프장에서 나방류 잔디해충과 나방류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남 진주에 있는 전주컨트리클럽에서 수은 등을 이용하여 2008년 5월 중순부터 10월 하순까지 10일 간격으로 두 개의 홀에서 조사를 하였다. 18회 조사에서 채집된 잔디해충은 검거세미나방과 잔디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멸강나방이었으며 채집 개체수는 모두 23개체로 매우 적었다. 전체 나방류는 22과 388종 2028개체가 채집 되었으며 5월에는 노랑띠 알락가지나방(Culcula panterinaria)이 우점종이었고, 6월은 밤나무재주나방, 7월은 주홍애기비단명나방(Hypsopygia regina), 8월은 노랑띠알락가지나방, 9월과 10월은 검은줄포충나방(Flavocrambus striatellus)과 물결밤나방(Diarsia camescens)이 우점종이었다. 나방류의 종다양도는 두 조사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사 기간 내에는 차이를 보였다. 자연림에 둘러 싸여있고, 인근에 연못이 있는 11번 홀이 산정부에 위치하여 있으면서 자연림 이 코스 절개지 아래쪽에 있는 15번 홀에 비하여 종풍부도가 높았다. 나방류의 우점도는 10월부터 증가하였으나 다양도와 풍부도는 감소하였다. 밤나방과가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131종, 502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나방과(85종, 491개체), 명나방과(73종, 386개체), 재주나방과(25종, 277개체) 순이었다. 그리고 이들 4과가 전체 채집 종의 80.9%를 차지하였다.

      • KCI등재

        경남 진주지역 골프장의 나방상 연구

        김종주,이석준,정영학,이상명,추호렬,이동운 한국잔디학회 2011 Weed & Turfgrass Science Vol.25 No.1

        Moths were collected to survey turfgrass pest and to compare species diversity from Jinju Country Club in Jinju, Gyeongsangnamdo, Korea, every 10 days using 200W mercury light trap from middle May to late October in 2008. As the results, only 23 individuals of Pseudaletia separata, Spodoptera depravata, Spodoptera litura, Agrotis segetum, and Agrotis ipsilon were collected as turfgrass insect pests. However, 2028 individuals of 388 species in 22 families were collected in total. Dominant species was Culcula panterinaria, Fentonia ocypete,Hypsopygia regina, Culcula panterinaria, Flavocrambus striatellus, and Diarsia camescens in May, June, July,August, September and October,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surveyed sites, but different among surveyed time. Species richness was more higher in hole 11 (Hole was surrounded by natural forest and located near pond) than hole 15 (Hole was located at the top part of mountain). Dominance index of moth was increased from October compared with diverse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decreased from October. A larg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Noctuidae (502 individuals in 131 species), Geometridae (491individuals in 84 species), Pyralidae (386 individuals in 73 species), and Notodontidae (277 individuals in 25species). These four families were 80.9% out of all the collected species. 골프장에서 나방류 잔디해충과 나방류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남 진주에 있는 진주컨트리클럽에서 수은등을 이용하여 2008년 5월 중순부터 10월 하순까지 10일간격으로 두 개의 홀에서 조사를 하였다. 18회 조사에서채집된 잔디해충은 검거세미나방과 잔디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멸강나방이었으며 채집 개체수는 모두 23개체로 매우 적었다. 전체 나방류는 22과 388종 2028개체가 채집되었으며 5월에는 노랑띠알락가지나방(Culcula panterinaria)이 우점종이었고, 6월은 밤나무재주나방, 7월은 주홍애기비단명나방(Hypsopygia regina), 8월은 노랑띠알락가지나방, 9월과 10월은 검은줄포충나방(Flavocrambus striatellus)과 물결밤나방(Diarsia camescens)이 우점종이었다. 나방류의 종다양도는 두 조사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사 기간 내에는 차이를 보였다. 자연림에 둘러 싸여있고, 인근에 연못이 있는 11번 홀이 산정부에 위치하여있으면서 자연림이 코스 절개지 아래쪽에 있는 15번 홀에비하여 종풍부도가 높았다. 나방류의 우점도는 10월부터증가하였으나 다양도와 풍부도는 감소하였다. 밤나방과가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131종, 502개체)가 채집되었으며그 다음으로 자나방과(85종, 491개체), 명나방과(73종, 386개체), 재주나방과(25종, 277개체) 순이었다. 그리고 이들 4과가 전체 채집 종의 80.9%를 차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