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비판의 은유적 개념으로서 자연

        박구용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이 글의 주된 목적은 계몽의 변증법 저자들이 구성하고 있는 자연을 사회비판의 은유적 개념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자연파괴와 인간타락의 연결고리를 서술한 다음(1), 아도르노가 구상했던 자연사 이념과(2), 호르크하이머가 주목했던 자연의 폭동을 논의한 다음(3),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자연을 사회비판을 위한 은유적 개념으로 해석한다(4). 이 과정에서 이 글은 계몽에 의해 추진된 자연의 탈마법화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거꾸로 자연을 재-마법화 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해방보다는 억압과 폭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왜곡될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nature' as a metaphorical concept of social criticism, which is revealed in Dialectic of Enlightenment. For this purpose, I discussed 1) a connection between the destruction of nature and the fall of human beings, 2) Adorno's ideas of the history of nature, 3) Horkheimer's concept of 'the revolt of nature, 4) and later tried to understand 'nature' in terms of a metaphorical concept to criticize a society. In this proces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our re-magicalization of nature, which has been tried in order for us to overcome the abuses of the de-magicalizaton of nature as part of the enlightenment, has a possibility of aggravating oppression and violence rather than causing the coexistence and liberation of nature.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에서 자연관 다시 보기

        이병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nature-related contents and to find alternatives.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natural view in the Nuri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tradition of perspectives on nature? Third, What is the view of perspective on nature i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re-establish the viewpoint of nature that is presented in the Nuri curriculum. This is because only external nature is treated as nature in the current Nuri curriculum. Second, nature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nature. This is because nature is presented as being separate from humans in the current Nuri curriculum. Third, young children should learn to interact with nature. The nature presented in the current Nuri curriculum is only an object for convenient use in human life. This is ultimately aimed at helping infants grow into individuals able to make their lives happy as dignified people and to make this world widely available.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나타난 자연 관련 내용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고 그 대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에 나타난 자연관은 어떠한가? 둘째, 자연관에 대한 역사적 전통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육에서 다시 보아야 할 자연관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자연에 대한 관점을 재설정해야 한다. 현행 누리과정에서는 외적 자연만을 자연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자연을 생태학적 자연관에서 다시 보아야 한다. 현행 누리과정에서 자연이 인간과 분리된 관점에서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유아들이 자연과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배울 수 있게 해야 한다. 현행 누리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자연은 오직 인간생활에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한 대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에서 현행 누리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자연관이 새로운 자연관으로 전환되어 제시되어야 한다는 교육적 함의를 얻을 수 있다.

      • 자연재해 발생 시 환경부문의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명수정외 한국환경연구원 2011 수시연구보고서 Vol.2011 No.-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홍수나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재산과 인명 피해 이외에도 폐기물의 발생과 환경기초 시설의 운영 장애와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부가적인 환경오염으로 사회의 안정과 공중보건에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재해에 대해서는 재산과 인명의 보호 이외에도 환경오염과 같은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대응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대응은 긴급구조와 복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재해가 초래하는 환경적 측면의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포괄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해외의 자연재해 대응체계를 고찰하고 자연재해가 초래하는 환경영향을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조사·분석하였으며, 환경기초시설 현장방문을 통한 관련 매뉴얼 분석 등 환경부문의 대응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자연재해 발생 시 재해폐기물 수거와 같은 해외의 모범 대응 사례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환경부문이 고려된 자연재해 대응체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2000년대 이후 세계 곳곳에서 이상기후가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의 영향이 심각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연재해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부문에서 영향과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특히 태풍과 홍수와 같은 수문학적 재해에 의한 피해가 크게 발생하는데, 자연재해로 인한 전체 피해 중에서 공공시설의 피해 비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대응은 국가 재난관리의 일환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해에 대한 기본법으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자연재해대책법」을 들 수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은 재해 발생에 대비한 국가기반시설의 예방·대비·대응·복구 단계별 대응과정을 규정한다. 해외의 자연재해 대응체계 또한 각 국가의 행정 체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적 측면의 대표적 영향은 재해폐기물 발생과 오염물질 유입으로 인한 하천과 토양오염, 환경기초시설의 피해로 인해 처리하지 못한 오수 등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을 들 수 있다. 재해는 대부분의 경우 막대한 양의 재해폐기물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적시에 처리하지 못하면 하천오염, 토양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2차 오염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공중보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2001∼2010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는 태풍과 홍수로 인한 침수, 산사태, 재해폐기물 발생, 환경기초시설 가동 장애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2006년 태풍 에위니아 발생 시 재해폐기물 발생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태풍의 피해가 극심했던 강원도 지역은 평상시 지정폐기물의 30배 이상의 재해폐기 물이 발생한 바 있다. 태풍과 집중호우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철에는 하천의 부유물질 농도가 급증하는데, 2006년 7월의 경우 전국 하천수의 부유물질 농도가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자연재해는 환경기초시설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매미, 2006년 태풍 에위니아 및 2007년 태풍 나리와 2011년 중부지역 집중 호우로 인해 상수도 시설과 하수도 시설 등에 피해를 가져와 하수처리 장애와 상수도 공급의 어려움을 초래한 바 있다. 재해로 인한 환경기초시설의 운영 장애는 오수와 같은 오염물을 적시에 처리하지 못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환경부문의 대응은 환경부의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 및 지원을 담당한다. 환경부는 자연재해 예방단계에서 환경기초 시설의 방재기준 제정과 시행 등 피해 예방을 위한 각종 대책을 강구하며, 자연재해의 대응과 복구 단계에서 상하수도시설의 복구와 폐기물 처리 및 비상급수계획을 실행한다. 자연재해로 인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부처별로 풍수해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유관기관의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국가위기관리 기본지침」에 의거하여 제작된 것이다. 환경기초시설 역시 개별적으로 자연재해에 대응한 현장매뉴얼을 갖추고 있다.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한 환경기초시설의 현장매뉴얼 분석에 의하면, 자연재해 위험에 대비한 매뉴얼은 시설마다 체계가 달랐고 작성자의 역량에 따라 구성내용과 수준이 좌우되었다. 즉 대부분의 환경기초시설이 자체 매뉴얼은 갖추고 있으나 표준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의 부재로 현장매뉴얼이 자연재해로 인한 잠재적 위기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며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대응체계에 있어 환경적 측면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재해폐기물 처리 체계를 개선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재해폐기물 처리 체계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담당기관이 나누어져 일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재해폐기물 수거를 위한 부처 및 지역 간 협력에 대해 동기부여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재해 발생에 대비하여 임시적환장을 마련하고 주변 지자체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자연재해 발생 시 환경기초시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환경기초시설의 자연재해 대응 현장매뉴얼을 개선해야 한다. 현재 환경기초시설의 현장매뉴얼은 표준가이드라인 없이 개별적으로 현장에서 만들어져, 자연재해로 발생 가능한 위기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국가차원에서 미래의 기후변화 영향까지 고려한 자연재해 대응 현장매뉴얼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준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은 시설물의 위험도 및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또 우수 매뉴얼을 발굴하고 이를 확산하는 것도 필요하다. 셋째, 자연재해가 초래하는 환경문제와 피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확산하는 것이다. 자연재해가 환경오염을 야기하며 공중보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알려진 것이나 재해발생 전후의 데이터 부족으로 과학적인 분석이 부재한 실정이다. 적절한 대응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연재해가 환경에 어떤 영향을 초래하는지 파악해야 하므로 재해폐기물의 발생량과 성상이나 하천 수질의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재해가 발생할 경우 유관부처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신속히 정보가 전달되어 빗물받이 등의 시설물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자연재해 위험 감소를 위한 지역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재해는 특정지역의 환경기초시설 운영장애를 초래하거나 극심한 환경오염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특정지역의 시설 마비 혹은 접근불가 상황에 대비하여 인근지역의 시설물 등을 일시적으로 함께 사용하는 비상운영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경우, 대형재해 발생시 수도시설 운영이 마비될 경우를 대비하여 수도사업자 간에 구체적인 협력협정을 맺고있다. 이와 같은 협력을 위해서는 사전에 지역 간의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주민의 협조가 병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환경을 고려하는 사전 예방적 자연재해 대응체계의 구축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재해에 대한 위기분류체계를 개선하고 유관부처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국민행동지침을 제공하여 홍보·교육을 강화하고, 관련 법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현재의 위기 분류체계를 홍수, 태풍, 대설, 산사태 등 여러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위기상황을 포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재해 피해 방지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이 취해야 하는 국민행동지침이 제공되어야 하며, 재해의 잠재적 위험에 대한 홍보교육도 강화되어야 한다. 또 자연재해는 특정 부처만의 노력으로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유관부처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기초시설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설물의 입지선정 단계부터 자연재해의 환경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법에 해당하는 환경기초 시설이나 자연재해 유형 등을 명시하여 법을 개선하는 것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우리나라 자연재해 대응체계의 개선 방향은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대응체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are rising sharply worldwid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or typhoons not only cause property damages and casualties, but also cause disaster waste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of environmental facilities, which can lead to additional environmental pollution hazardous to social safety and public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response system to the natural disasters that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al aspects, as well as the protection of property and human lives. However, Korea's current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 mainly operates on emergency rescues and recoveries. An inclusive response system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effect is needed to prevent environmental damages. With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reviewed the response system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lso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natural disasters through library research, a survey of cases, and analysis of environment-related manuals of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by visiting such places. It also surveyed advanced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s of other countries, especially in the area of environment,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al issues. The impacts of the natural disasters are growing serious worldwide, as evidenced by the growing reports of extreme weather throughout the worl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Due to increasing natural disasters, there are arising impacts and damages on many fields in Korea, too. Korea has severe damages from hydrologic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and floods. The amount of the cost of the damages and the proportion of the damages on physical infrastructures among the overall damage cost are continuously increasing. Korea's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 is organized as a part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e standard laws for natural disasters are 「The Standard Law for Disasters and Safety Management」and 「The Law for Natural Disaster Response」. 「The Standard Law for Disasters and Safety Management」 stipulates step-by-step response measures of national physical infrastructures, including the prevention of disasters, preparation for them, response to them, and recovery from them. Other countries'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s have a variety of uniqu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n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The main environmental impacts of natural disaster are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water and soil pollution caused by the inflow of contaminants, and additional pollution by damaged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due to natural disaster. Most natural disasters produce an enormous amount of disaster waste, which, if not treated in time, can ultimately harm public health with the second round pollution such as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During the decade of 2001 to 2010, the main damages of typhoon and flood in Korea were flooding, landslides, environmental pollution, disaster wastes generation,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of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According to a flood waste analysis, when typhoon Ewiniar hit Korea in 2006, the flood wastes in Gangwon-do were 30 times more than those of a regular period.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typhoons and heavy rains occur frequently,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of streams increases drastically. In the case of July, 2006,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 waste in rivers and stream was two times higher than normal. Natural disasters have impact on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too. For example,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in running water supply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hen typhoons Rusa (2002), Maemi (2003), Ewiniar (2006), and Nari (2007), and extreme heavy rains (2011) hit the nation. If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fail, they can delay wastewater treatment, which causes negative effects on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In Korea, when a natural disaster occurs, the Central Accident Probation Headquarter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vides support and requests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At the prevention stage of natural disaster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epares various measures such as setting the emergency standards for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At the response and recovery stages, the ministry restores water supply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deals with disaster waste treatment, and develops emergency water supply plan. In order to respond to natural disasters, each organization has its own standard manual for storm and flood disaster emergency management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emergency response manuals, all of which were developed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Guidelines for Emergency Management.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also prepares natural disaster response field manuals. An analysis of the field manuals of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collected by the researchers revealed that their natural disaster response manuals differ from facilities to facilities, and that the manuals' organization and the content were determined by the capabilities of the authors of such manuals. In other words, although most of the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have their own manuals, because of the lack of standards and guidelines, these field manuals do not consider the potential crisis coming from natural disasters, and do not have systematic response measure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Korea's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 as follows. First, improve the disaster waste handling system. Korea's disaster wastes are handled by different organiz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waste, which makes the overall management difficult. Therefore, incentives are needed to encourage the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between regions.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temporary disposal sites in preparation for natural disaster and to establish cooperating systems between surrounding municipalities. Second, the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field response manual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ince the current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field manuals were developed separately by individual organizations without standard guidelines to refer to, they do not fully consider possible crisis situations incurred by natural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on the national level,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 response field manuals that consider the impact of the future climate change as well. The standard manuals and guidelines need to include checklists to assess the facilities' risk and vulnerability, and they need to be updated constantly on the national level. Discovering good manuals and disseminating them are also necessary. Third,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should be monitored and disasters information should be disseminated promptly. Experience tells us that natural disaster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arms public health, and yet scientific analysis of the damages is lacking due to the absence of data before and after the disasters. Since identifying the natural disasters' impact on environment is a prerequisite for developing of appropriate response systems,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monitor the environmental impacts such as the amount and types of disaster waste and the change in the water quality of rivers and streams. Furthermore, when disasters occur, the information should be relayed not only to the concerned organizations but also to regional communities so that their facilities and rainwater drainage can be check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with a view to reducing disaster risks. Natural disasters frequently bring forth operational difficulties in particular regions'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and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A contingency network is necessary to allow neighboring regions to share facilities when a particular region's facilities are shut down or inaccessible. In Japan, running water businesses have cooperative agreements to respond to the situation where their water supply is paralyzed by large-scale disasters. In order for this type of cooperation to be possible, a regional cooperative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in advance, and the communities' cooperation is necessary. Fifth, natural disaster prevention systems that take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developed. To this end, the natural disaster classification system need to be improved,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need to be established, guidelines for the people's action need to be provided, public awareness education need to be intensified, and related legal systems need to be improved. That is, the current contingency classification system need to include a variety of crisis situations including flood, storm, heavy snow, and landslide. In addition,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to the community people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s from disasters in their residential areas, and awareness education should be intensified about potential disaster risk. Besides, since natural disasters cannot be properly responded by the efforts of one particular individual organization, a close cooperative network need to be established to disseminate disaster information. Also,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s of natural disasters on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the environmental aspect of natural disasters need to be considered at the initial stage of site selection of the facilities. Improvement of laws need to be considered by clearly identifying the types of natural disaste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 of Korea that were made in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s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present study needs to be continuously conducted.

      • KCI등재

        환경적 책임의 주체와 대상 ― 요나스와 마이어-아비치의 비판을 중심으로

        김양현,임채광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39 No.-

        이 글의 목적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 문제를 요나스(H. Jonas)의 자연중심적 미래윤리학과 마이어-아비치(K. M. Meyer-Abich)의 전일주의적 환경윤리학을 모델로 삼아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데에 있다. 필자의 고찰에 따르면, 두 철학자의 이론적인 중점이나 강조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생태계의 위기의 근원은, 비록 그것이 인간중심적 세계관이든 아니면 전통 윤리학의 인간중심적 관점이든 간에, 인간중심주의에 놓여있다. 둘째, 인간이 아닌 자연 존재에 도덕적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의 근거를 ‘새롭게 이해된’ 자연 개념 속에서 찾는다는 점이다. 요나스와 마이어-아비치는 새롭게 이해된 자연 개념을 통해 도덕성을 근거 짓고자 한다. 그들은 자연으로부터 도덕적인 오리엔테이션을 위한 최고의 원칙을 획득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그런데 문제는 규범적으로 이해된 자연을 근거로 도덕성의 최고 원칙을 정당화하는 시도는 윤리학의 논의의 역사에서 이미 “좌초된” 것으로 판가름 났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규범을 정초하려는 요나스와 마이어-아비치의 시도는 한마디로 존재에서 당위를, 곧 자연에서 인간의 행위규범을 도출하려는 자연주의적 오류추리로 귀결한다. 필자가 보기에 자연은 결코 도덕적 오리엔테이션을 위한 가치일 수 없으며, 더군다나 책임의 최종 심급이 될 수 없다. 자연은 결코 도덕적 행위의 토대나 척도가 될 수 없다. 객관적으로 주어진 자연으로 돌아가 고유한 가치평가나 결정의 과제(책임)로부터 부담을 덜어보려는 모든 노력은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자연에게 들을 수도 물을 수도 없지 않는가. 자연이 아니라 인간 자율성의 원칙, 즉 자기 스스로의 법칙부여자라는 사고방식이 필자에게는 이론적인 타당성의 관점에서도 그렇지만, 실천적 효용성이라는 차원에서도 훨씬 더 근거가 분명한 이야기처럼 보인다. Hier handelt es sich darum, die physiozentrischen Ansaetze von Jonas und Meyer-Abich kritisch zu diskutieren. Obwohl die beiden Autoren in ihren Theorien unterschiedliche Ansaetze haben und Schwerpunkte verschieden gewichten, lassen sich bei ihnen gemeinsame zentrale Aspekte herauszufinden: (a) die Zurueckfuehrung der oekologischen Krise auf den Anthropozentrismus; (b) die Forderung nach der Anerkennung der Rechte von nichtmenschlichen Naturwesen; (c) die Hinwendung zum normativen Naturbegriff bzw. die Rehabilitierung vorneuzeitlicher Natur- konzepte. Die Begruendung neuer Normen von Jonas und Meyer-Abich durch den Rueckgriff auf die Natur scheitert insbesondere am naturalistischen Fehlschluss, nach dem das Sollen aus dem Sein ableitbar sei, d.h. Handlungsnormen aus der Natur herauszulesen. Aber die Kluft zwischen Sein und Sollen, zwischen Beschreibungen und Bewertungen ist immer nur zum Schein ueberbrueckbar. Mir scheint klar, dass die Natur keinerlei Orientierungswert hat, weder im Sinne einer moralischen Orientiertung fuer uns, noch als Verantwortungsinstanz. Die Natur kann niemals als alleinige Grundlage und Massstab ethischen Handelns dienen. Der Gedanke, der nicht Natur, sondern dem Prinzip der Autonomie und dem sich selbst gesetzgebenden Menschen traut, scheint mir viel plausibler und begruendungsfaehiger als die auf dem normativen Naturbegriff beruhende, physiozentrische Einstellung.

      • KCI등재후보

        인간의 노동과 영화적 자연풍경의 미학적 의미: 로버트 플레허티 『아란의 사람』, 신도 가네토 『벗겨진 섬』, 테렌스 맬릭 『천국의 나날들』을 중심으로

        이익주 ( Lee Ik J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는 노동의 문제를 통해 자연 풍경이 어떻게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지 영화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분석이다. 자연풍경은 단지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노동이 자연풍경과 결부되어질 때, 자연풍경의 문제는 정치적인 담론의 경향성을 띄게 된다. 자연에서 일하는 노동자에게 자연풍경은 찾기 어렵다. 왜냐하면, 적당한 거리에서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지배계급에 비해, 그 거리가 존재하지 않는 노동자 계급에게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조건은 박탈되어 지기 때문이다. 랑시에르에 따르면, 미학은 감성학으로서, 예술작품을 통해 세계에 대한 감각적인 것을 모든 계층에 돌려줄수 있는 사회적 나눔이라는 정치의 문제로서 등장한다. 이런 면에서, 노동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영화 예술 안에서 자연풍경을 노동과 함께 연관 지어 미학적으로 사유할 때 노동과 자연풍경의 의미는 새로운 차원의 감각을 우리에게 부여한다. 자연풍경안에서 인간의 노동을 보여주는 로버트 플레허티(Robert Flaherty)의 『아란의 사람』(Man of Aran, 1934), 신도 가네토(新藤兼人)의 『벗겨진 섬』(裸の島, 1960), 테렌스 맬릭의 『천국의 나날들』(Days of Heaven, 1976)은 단지 자연의 이미지와 인간의 노동의 재현이 아니라 인간의 노동에서 대해서 미학의 정치를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끈다. 특히, 신도 가네토의 영화는 노동자의 침묵 속에서 인간의 노동의 문제를 청각적 풍경까지 연결시키면서, 몫 없는자로서의 노동자의 말이 어떻게 드러날 것인지 까지 사유하고 있다 This study is about how meaning of landscape can be redefined in connection with problem of labour in cinematic images. Landscape does not just concern the beauty of Nature. Particularly, if landscape is related to human labour, it becomes problem of political discourse. It is not easy to find landscape for a labourer who has to work in nature. Compared with the governing classes who can enjoy landscape within moderate distance from nature, the working class is deprived of the condition of enjoyment about landscape because of the absence of its distance. According to Ranciere, aesthetics is about problem of sense and it appears as a problem of politics which is that of social distribution in order to give the sensible back to all classes through works of art. In this way, when we aesthetically consider the films of human labour within landscape, they give us a new sense of landscape and human labour. 『Man of Aran』(1934) of Robert Flaherty, 『Naked Island』 (1960) of Shindo Kaneto, 『Days of Heaven』(1976) of Terrence Malick give a new perspective of human labour as politics of aesthetics. Especially, the film of Shindo Kaneto is concerned how to express in their silence in the face of ``auditive landscape`` of Nature the word of labourers who are those without a share.

      • KCI등재

        자연어 인터페이스를 위한 관계에 대한 자연어 표현 자동 수집 방법

        한용진(Yong-Jin Han),박세영(Se Young Park),박성배(Seong-Bae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10

        관계에 대한 다양한 자연어 표현을 다루는 것은 구조 정보에 대한 자연어 질의 인터페이스 연구의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들은 자연어 질의 인터페이스를 대상 분야에 적합하게 구축하기 위한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소규모 구조 정보에 대한 자연어 질의 인터페이스 구축 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RDF와 OWL과 같은 그래프 구조 정보가 다양한 분야에서 대량으로 생성되고 있다. 수작업에 의존하는 접근을 통해 이러한 대량의 그래프 구조 정보에 대한 자연어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자연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자연어 표현의 다양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관계에 대한 자연어 표현을 수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래프 구조 정보에서 관계는 두 객체를 연결하는 유일한 에지(edge)로 표현된다. 제안한 방법은 주어진 에지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객체 쌍을 말뭉치(corpus)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쌍 주변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자연어 표현을 수집한다. 자동으로 수집한 자연어 질의 표현을 자연어 인터페이스에 적용한 결과 수작업에 의존하는 기존 연구들과 비교할 만한 실험 결과를 보였다. One of the critical problems in natural language interfaces (NLI) to structured data is to handle the large variability in the way that a relation can be expressed. Existing approaches to solve this problem rely on manual process to adapt NLI to a new domain. The manual approaches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small structured data. However, nowadays, large volumes of graph-structured data such as RDF and OWL have been produced from a variety of areas on the web. It is not easy to adapt NLI to such large graph structured data. As a solution of the variability problem in NLI,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method to identify relations in natural language queries for NLI to graph structured data. A relation between two entities is uniquely defined as an edge linking the entities on graph-structured data. The proposed method automatically discovers natural language expressions for given relations by querying entity pairs linked with the relations from a corpus. A relation corresponding to an edge is modeled as a collection of frequently appeared expressions. In the experiment, automatically collected expressions are applied to a NLI and the NLI showed comparable results with manually approaches.

      • KCI등재

        정비석의「성황당」과 김동리의「산화」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오양진(O Yang-jin)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이 글의 목표는 정비석의 ?성황당?과 김동리의 ?산화?에 나타난 자연의 성격을 비교하고 그 자연에서 일어난 의미론적 변화를 해명하는 것이다. ?성황당?과 ?산화?는 거의 동일한 시기에 발표된 작품이고, 숯구이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등장시킨다. 또한 자연에 대한 주술적 믿음을 가진 사람들을 보여준다. 일단 표면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정비석과 김동리의 그 작품들은 자연 개념의 근대적 변형 과정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반응한다. 전자는 주술적인 자연에 대한 믿음을 유지하고 자연의 전근대적인 개념을 보존한다. 반면에 후자는 정비석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주술적인 자연에 대한 믿음을 유지하지만, 자연의 새로운 개념화를 이끄는 서사적 아이디어를 포함한다. 요컨대 정비석의 자연은 모든 것이 신성한 존재가 매개하는 순환적인 통일성 속으로 회귀하는 공간이다. 그렇지만 김동리의 자연은 서사의 전개가 그러한 반복적인 리듬을 망각 속에 묻어버리는 산문적 전환을 나타낸다. 즉 모든 것이 시간의 직선적인 방향을 따라 전개되는 범속한 공간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다. 비슷한 모티프들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에는 미묘하고 의미심장한 차이가 있다. The aim of this writing is to compare a character of nature in Jeong, Bi-seok's novel, ?SeongHwangDang? with that in Kim, Dong-lee's novel, ?SanHwa? and explain a semantic change which appears in the nature. Two works almost are announced at the same time and the people who maintains a livelihood with selling the baked charcoal makes an entrance in those works, also show the people who has an occult belief about nature. Therefore those have a superficial analogy for the time being. But Jeong, Bi-seok's work and Kim, Dong-lee's react to modern process of a change which appears in conception of nature in each other different manner. The former maintains an occult belief about nature and preserves a premodern concept about it.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maintains an occult belief about nature just like in Jeong, Bi-seok's novel but includes the narrative idea which leads to new conceptualization in nature. In brief, the nature in Jeong, Bi-seok's work is a space where all things return to recursive unity mediated by sacred existence. However the nature in Kim, Dong-lee's represents a prose conversion that a narrative development in his work throws away the repetitive rhythm into oblivion. That is to say, Kim, Dong-lee's work reveals a character of a secular space where all things a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a linear direction of time. In spite of similar motives, there is a subtle and meaningful distinction in two works.

      • KCI우수등재

        니체와 老子의 생태학적 자연관

        양해림(Hae-Rim Yang)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9 No.-

        이 논문의 목적은 니체와 노자의 사상을 생태학적 측면에서 고찰ㆍ비교하여 동서사상의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밝혀내는데 있다. 니체와 노자의 사상은 시기적으로 봐서 상당한 간격의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단순히 비교ㆍ고찰하는 방식은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다. 우리가 니체와 노자의 사상에서 굳이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낸다고 한다면, 자연이라는 요소이다. 니체는 그의 초기 조작을 비롯하여 여러 단편들이나 유고집 등에서 생태학적 자연관에 관한 많은 흔적들을 남기고 있다. 즉 그는 자연의 탈인간화와 인간의 자연화가 나의 과업이라고 주장 한다.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려고 하지만, 자연을 억압하여 그 자체를 소외화시켰고 자연의 탈자연화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니체의 사상에 대해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그들의 『계몽의 변증법』의 공저에서 “니체를 헤겔 이후 몇 안되는 철학자중의 한사람”이라고 진단하고 그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고 전개한다. 노자(老子)는 인간이 자연에 순종해야 할 모델로서의 자연, 즉 무위자연 사상을 전개한다. 노자는 자연법칙의 근본원리를 “되돌아오는 것은 도의 움직임(反者道之動)”이라 말하고 인간을 자연과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일부분으로서 파악한다. 즉 노자는 인간을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환경 문제에 이상적인 모형을 제시한다. 요컨대 니체와 노자의 생태학적 사유의 출발점은 자연의 관점에 서서 사물을 보고 그에 상응하는 원리를 내세우려고 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존재 차원의 자연을 통한 윤리적 투시 -박두진의 시적 형이상학

        유성호 ( Yoo Sung-h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0

        이른바 청록파로 불린 세 시인은 모두 자연을 시화한 공통점이 있지만, 박목월이나 조지훈의 자연과 박두진의 그것은 차원이나 어조가 매우 다르다. 가령 신성의 상상적 모형으로서의 자연을 박목월이 노래했다면, 조지훈은 시 창작의 배경으로서의 자연을 적극 받아들였다. 그에 비해 박두진이 추구한 자연은 정신과 이상을 구현하는 관념의 매개체이자 그것에 형식과 육체를 부여하는 우의적(寓意的) 대상으로 줄곧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색적이다. 이처럼 박두진 초기시는 자연을 제재로 했으면서도 현실에 대한 도피처로서의 자연이나 심미적인 체관적(諦觀的) 자연이 아니라 역동적인 생명력의 원천으로서의 자연을 노래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의 시에서 나타난 생동하는 빛과 사물은 근대적 이성주의에 매몰된 인간 내면에 잠재된 영성적 시원성(始原性)을 들춰내어 자연에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는 감각과 이미지로 작용한다. 그 점에서 박두진의 시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속성은 인간 중심의 환경론이나 생물학적 생명론의 차원을 벗어나는 데에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 그것은 박두진이 무한히 열려진 자연의 초월성을 감지해내는 빛의 감각과 생명의 서정으로 시의대상을 접근하면서 자연에 존재하는 사물의 초월적 영성을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결국 혜산만의 존재 차원의 자연을 통한 윤리적 투시를 이루어낸 것이다. All three poets of Blue Deer School(Cheongnok-pa) wrote poems about nature, however, nature of Park, Mokwol and Cho, Jihoon`s poem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Park, Dujin`s in level and tone. For example, Park, Mokwol described nature as an imagined model of sacredness of God but Cho, Jihoon actively accepted nature as a background of his poem-writing. By comparison, nature in Park, Dujin`s poems was peculiar in that it was presented as a medium that could materialize a spirit and an ideal and also an allegorical object that gave it a form and body. In this way, the features of Park, Dujin`s early poems is that they had nature as its topic and depicted nature not as a refuge from reality nor esthetical resignation but as a dynamic source of life. Fresh and vivid lights and things in his poems work as senses and images that discover the divine origin latent in the inside of human beings buried in modern rationalism and infuse life into nature. In this aspect, the characteristics of Park, Dujin`s poems could become a good reference to escape from human-centered environmental theories or biological theories of life. This is because he presented transcendental divine nature in nature by accessing to object of poems with senses of lights and lyricism of life that could perceive transcendence of nature infinitely open. In the end, Park, Dujin achieved an ethical perspective with his own nature of existential level.

      • KCI등재

        자연사박물관 연구 지원 실태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조준오,이창진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4

        이 연구는 세계적인 자연사박물관의 예·결산 내역을 기능 항목 기준에 맞추어 정리한 후,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여 장차 한국에 세워질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예산배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국립자연사박물관인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 뉴욕 아메리카자연사박물관,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일본 국립자연과학박물관의 연차보고서, 예산요청서, 재무제표,회계장부의 예산 사용과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자연사박물관의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에 관련된 예·결산 세부 내역을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예·결산 자료 기준에 맞추어 재분류하였다. 자연사박물관별로 재분류한 세부 항목에 해당하는 예·결산 내역을 정리한 후, 각 자연사박물관의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의 금액에대하여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교육, 전시, 출판 기능이 가장 활성화 되었다고 평가받는 미국과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의 예산 지출 비율이 평균 약 6:4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자연사박물관의기능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통합 연구 영역 지원 비율이 높아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budget and settlement of global natural history museums into functional criteria,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grative research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s of these museums,and to suggest the standard of budget compilation of the Kore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which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Annual reports, documents of budget request, financial statements and account books were collected from the following museums: SNMNH of The U.S.A, AMNH of the U.S.A, NHM of England, MNHN of France and NMNS of Japan. The integrative research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s of the studied museums are reclassified into the criteria of budget and settlement data of th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After arranging the details regarding budget and settlement of each museum,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was investigated on the amounts of the integrative research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s among the studied museum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show the ratio of integrative research function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 in budget expenditure standard at 6:4 in natural history museums of the U.S.A and England, of which the functions of research,education, exhibition and publication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activated in the world. This implies that museums should increase the budget for support of integrative research to allow them to maximize their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