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강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양상 고찰

        나선혜 ( Na Seon-hy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7

        본고는 한강의 단편 소설들을 생태문학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한강의 문학세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한강은 여러 작품에서 남성 중심의 지배담론과 이분법적 세계관에 대한 거부를 넘어 잃어버린 생명력과 창조성의 회복, 상호 공생하는 세계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작가 자신의 생태적 사유를 보여주고 있다. 한강의 작품 속에는 인물들이 떠나온 장소이자 동경하는 공간으로서의 자연이 상징적으로 등장한다. 작품 속 인물들은 자신이 속한 실재적 세계를 넘어 이상향인 자연적 공간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전이의 과정을 통해 자기 인식에 도달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전시킨다. 또한 이들은 대립 관계에 있던 타자를 이해하고 포용함으로써 서로간의 경계를 허물며 삶의 외연을 넓고 부드럽게 만든다. 나아가 자연과의 교접을 통해 생명력과 활력, 적극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요컨대 한강의 작품 속 인물들의 자연에 대한 동경과 자연친화적인 태도는 자연과 융화되는 인간의 삶을 희구하는 생태적 이념에 충실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강은 여성과 자연이 배제됨으로써 초래된 삶의 비정상성을 일깨워줄 뿐만 아니라 우리가 잃어버린, 그러나 회복해야 할 가치를 환기한다. 그것은 모든 생태계가 균형을 이루고 상호연관을 맺는 협동의 윤리적 관계이다. 따라서 한강의 소설은 모든 생태계의 조화로운 공존을 통해 평화적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하는 생태문학에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강의 소설에서 생태의식을 읽어내는 것은 작가의 문학에 대한 새롭고 다양한 가치 탐색을 위해 의미 있는 연구일 것이다. 또한 작가의 문학정신을 세밀히 규명해 내는 일이자 생태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to Han Kang's literary world by examining her short st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ture. Since her debut as a writer, she has continued to show hero wn ecological thinking by proposing the restoration of lost life force and creativity and the directionality toward the world of mutual symbiosis beyond her rejection of male-dominant dichotomous world view and ruling discourses.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in her novels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her works present nature symbolically as a place that the characters leave and also a space they yearn for. The space, which is specified as the country house where the character stayed as a kid, the mount ain in dreams, and the sea near the accommodation, functions as a natural space to embody an ecological world as the source of life beyond the role as a simple background. Her characters strive to move toward a ut opia of natural space beyond the actual world where they belong. It is in this process of spatial transition that they reach the state of self-awa reness and form and develop their identity. Nature is a spiritual base and ecological place to grant life force to them. Secondly, the characters in her novels get hurt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but they try to heal their wounds by understanding and embracing others. When they learn the true meaning of love for others, the y not only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them, but also look at the world differently, which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self-realization of deep eco logy, which argues that all human beings make spiritual growth when making mutual relations with others. Nature and man become one through the greater maturity and growth of ego. Finally, her novels depict the ways women escape from their painful life by becoming one with nature after being suppressed and confined by the desolate urban civilization and the tyranny of patriarchy. Women exhaust their life force in solitude, wound, and cessation of communication and restore their life force, vitality, and initiative after making a contact with nature. Their feminine principle helps to maintain all creatures in nature and society and create a space to enrich them. In short, the characters' longing for nature and nature-friendly attitude in Han Kang's works are loyal to the ecological idea of wishing for a life of man in harmony with nature. The writer also wakes her readers up to the abnormality of life caused by the exclusion of women and nature and arouses their attention to the values that people have lost and should restore. It is an ethical relation of cooperation in which all creatures are in balance and make connections with one another. Ecological literature tries to establish a peaceful community through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the entire ecosystem including man and nature. Her novels are thus in contact with ecological literature to awake readers'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pursue an ecological world view. An effort to read ecological consciousness in Han Kang's novels will be a meaningful research for an inquiry into her new and diverse values about literature. It will be also a significant attempt to examine her liter ary spirit closely and broaden the horizon of ecological literature.

      • KCI등재

        한강의 『채식주의자』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적 변신

        박수진 ( Park Soo 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7 No.1

        21세기에 들어선 현재 우리는 포스트 휴머니즘과 휴머니즘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 인문학에 함의되어 있는 ‘인간’ 개념은 배타적이고 인간 중심적이며 유럽 중심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휴머니즘의 과오와 반휴머니즘적 비평이 팽배한 가운데 기존 ‘인간’ 개념의 한계가 강조되며,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강의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적 변신 서사를 통해 모든 사물의 척도였던 ‘인간’이 탈중심화될 가능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포스트휴먼 비판이론에 입각하여 자연화된 타자(식물)를 재해석하며, 식물-되기를(becoming vegetal) 분석하는 동시에 휴머니즘에서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점들에 대해 재점검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변신을 모티프로 한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분석하여, 기존의 ‘인간’이라는 개념과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작가의 포스트휴먼 감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강의 주인공 영혜는 이분법적 개별 주체의 정체성적 구조―인간과 자연화된 타자―에 저항하며 탈-인간중심적인 서사를 풀어나간다. 주인공 영혜는 기존의 인간이라는 개념의 경계를 흐리며, 일관성 없는 다중적 정체성을 창조함으로써 포스트휴먼-되기를 실현한다. 하지만 포스트휴먼이 된다는 것은 탈인간화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포스트휴먼은 끊임없이 자아를 갱신하여 새롭게 변신을 거듭하여, 결국 ‘인간’ 개념을 재정립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영혜는 자연화된 타자인 나무로 변신함으로써 그녀의 삶 혹은 인간의 삶에서 고통과 아픔을 그녀만의 역량(potentia)으로 이겨내며 상처와 고통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화된 타자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포스트휴머니즘의 또 다른 면모를 제시한다. 한강의 포스트휴먼 변신 서사는 부정적 전하(電荷)를 변형시켜 헤게모니적 지배와 인간 중심적인 사유에 저항하면서, 인간의 윤리적 가치와 확대된 공동체 의식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식을 사유하도록 유도한다. 이것은 고전적 휴머니즘의 규범에 따라 정의된 개별 주체의 근본적인 이해와 확연히 다르고, 모든 종과 관계적, 윤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확대된 의식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포스트휴먼 윤리학의 인간 종말론적인 설명에서 벗어나 인문학에 함의되어 있는 인간의 개념을 ‘관계적 인간’(dignified and relational human subject)으로 재정립할 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화된 타자와의 관계 또한 재정립한다. 결국, 포스트휴먼 변신 서사는 ‘인간’ 개념을 ‘관계적 인간’으로 재해석하며,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동시에 휴머니즘을 다시 쓰는 필연적 거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article opens questions of humanism and the human subject by examining posthuman metamorphosis from Han Kang’s The Vegetarian(2007). Today, the notion of ‘human’ is under attack as it demands more ethical and eco-philosophical accountability. While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n emerging trope of posthuman, it contends that humanism needs to be re-examined in order to elucidate and re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humanistic values. To challenge the so-called “human exceptionalism” and “anthropocentrism,” Han Kang frames the posthuman metamorphosis in The Vegetarian, in which the protagonist transforms into the posthuman subject, thereby offering the‘other’ conception of the human. From the ordinary wife to the life form of vegetal, Yeong-hye oscillat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nd challenges a given system heavily predicated upon humanistic values. As the protagonist transforms into non-human vegetal, she severs herself from the cycle of human violence and transmutes that negativity into affirmation―supplanting liberal humanist subject with the “dignified and relational” human subject. This article aims to cast light on the possibility of the ‘other’ conception of a human subject while examining posthuman metamorphosis as the literary trope that overcomes and rewrites humanism, in an affirmative, albeit critical, way.

      • KCI등재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비평 비교 연구:

        유진일(Jinil Yo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헝가리의 대표적인 생태비평 작가라 할 수 있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Petőcz András)의 작품을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상호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양국의 전반적인 생태비평의 경향을 살펴보고 동시 에 동시대 문학 속에서 한국과 헝가리를 대표하는 두 생태여성주의 작가의 문학기법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 작품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생태여성주의는 현대사회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의 원인과 해법을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서 찾고 또 해결하려는 생태비평 중 하나이다. 이들은 환경오염 문제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산업화이후 진행된 인간들의 자연 개발과 환경 파괴 문제를 수렵문화 이후에 진행된 남성의 여성 지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다. 그러나 이들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을 서로 대립적 관계에서 바라보고 않고 오히려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동반자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 서 분석한 작품 <채식주의자>와 Sárga virág a feleségem의 작가가 각각여성과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던 것도생태여성주의의 이러한 동반자 의식에서 기인한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동일한 인식 속에서 바라보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유사한 관점에도 불구하고 작품 속에 드러나 있는 문학적 기법들은 서로 독창적임을 볼 수 있다. 먼저 가부장적 사회로 인한 여성의 파멸을 한강은 육식주의자 아버지와 채식주의자 딸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데 비해 페퇴츠 언드라쉬는 자연과 대도시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또생태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적 사회는 반드시 가시적, 혹은 비가시적 폭력을 동반한다고 보고 있는데 이 폭력과 관련하여 <채식주의자>에는 남성의 가시적이고 직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는 남성 과 유사한 의미망에 속하는 도시의 비가시적이고 간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다. 다음으로 두 작품에 공히 등장하는 여성의 식물로의 변신 모티프는 <채식주의자>에서는 꿈의 형식을 통해 나타나지만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실재 현실 속에서 일어난다는 차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생태여성주의의 핵심 사상 중의 하나인 ‘타자에 대한 사랑’이 채식주의자에서는 유방으로 상징화되는 둥근 것에 대한 갈구의 형식으로 표출되고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날카로운 것으로 인한 고통을 강조하는 형식으로 나타나고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가 둘 다 1998년에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주최한 국제창작 프로그램에 참가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과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2007년에 발표되었고 페퇴츠 언드라쉬의 Sárga virág a feleségem이 2005년에 발표되는 등 두 작품의 발표시기가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작가가 국제창작 프로그램에서 생태비평 혹은생태여성주의에 관한 의견 교환이 있었거나 한 작가가 다른 작가에게 혹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