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별 체육수업 자신감

        김윤희(KimYoonhee)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별로 체육수업 자신감 수준과 원천을 파악하고 자신감 향상 방법을 학생의 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중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 자신감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자신감 향상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만들어진 체육수업자신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체육수업 자신감, 체육수업 자신감 발생 원천, 체육수업 자신감 향상 방법 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체육수업 자신감 수준이 높았다. 둘째, 신체활동단계에 따른 체육수업 자신감 차이 비교에서 실천/유지단계 학생의 체육수업 자신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준비단계, 무관심/관심단계 순이었다. 셋째, 체육수업 자신감 원천은 성이나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관계없이 성공경험, 신체/정서 상태, 언어적 설득, 간접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자신감 향상을 위해 학생 자신이 희망하는 방법으로 노력하기와 잘할 수 있다는 자기 설득과 칭찬 등을 언급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 자신감 향상방법으로 체육교사와 동료 학생들의 칭찬과 격려를 희망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따른 자신감 원천 제공 방법과 향상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fidence in PE class by gender and stages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l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405 middle students in Seoul and used mixed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on stages of exercise change was used to investigat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and used a questionnaire for subjective assessment of confidence in PE class and a questionnaire that determines 1st and 2nd sources that arouse confidence. This study conducted the two-way ANOVA and conducted chi-squared analysis(χ2 test). The open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fidence in PE showed difference by stages of physical activity. Meaning, confidence in PE was highest in the order of practice/ maintenance stage, preparation stage, and disinterested/interested stage. Secondly, confidence in PE class showed difference by gender. Meaning, it was identified that boy students recognized to have higher confidence in PE class than girl students. Third, source of confidence in PE class did not show difference by gender. Fourth, source of confidence in PE class did not show difference by stages of physical activity. Meaning, the source of confidence in PE class was in the order of success experiences, physical/emotional state, verbal persuasion, and indirect experience regardless of gender and stages of physical activity. Students' confidence improve through regular practice and praise and encouragement of P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suitable source of confidence, provide many success experiences of PE class, to make vibrant physical/emotional status of students, and to compliment and encourage P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to raise confidence of students in PE classes.

      • KCI등재

        가계경제부담, 재무관리 자신감 및 가계재무만족 간의 구조분석

        허경옥,김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가계경제부담이 재무관리 자신감을 매개로 가계재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조사했으며, 동 구조모형에서 사회․경제적 특성별 집단 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지출부담은 재무관리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자산부담과 부채부담은 재무관리 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소득부담은 재무관리 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못했다. 가계경제부담이 가계재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소득부담과 자산부담, 부채부담은 가계재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출부담은 가계재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무관리 자신감은 가계재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 구조모형 경로계수의 효과 분해를 실시한 결과 가계경제부담에서 재무관리 자신감을 매개로 가계재무만족에 이르는 4개 경로 중 지출부담, 자산부담, 부채부담의 3개 경로에서 재무관리 자신감을 매개로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경제적 특성 즉 연령, 남편직업, 거주지역, 거주형태, 맞벌이 여부, 부채상환유무별로 두 집단으로구분한 후, 동 구조모형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에서는 지출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경로와 자산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2개 경로에서, 남편직업은 자산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경로와재무관리 자신감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2개 경로에서, 거주지역은 지출부담이 재무관리 자신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거주형태는 소득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맞벌이 여부는 부채부담이 재무관리 자신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부채상환유무는 자산부담이 재무관리자신감으로 가는 경로와 소득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2개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s among financial stress,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financial satisfaction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addition, it is examined the regulation effect of age, husband job, residence, home ownership, dual income, and debt repayment.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majority of the path. Income stres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but it had negative effect on financial satisfaction. Expenditure stress had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However, expenditure stres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satisfaction. Asset stress and debt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financial satisfaction. Als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makes static effect to financial satisfaction. Second, Expenditure stress, asset stress, and debt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financial satisfaction by affecting the variable measuring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Third, this study identified the regulation effect of age, husband job, residence, home ownership, dual income, and debt repayment. Through the regulation effect, age had regulation effects on expenditure stress and asset stress to financial satisfaction. Husband job had regulation effects on asset stress and financial self-confidence to financial satisfaction. Residence had regulation effect on expenditure stress t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Home ownership had regulation effect on income stress to financial satisfaction. Dual income had regulation effect on debt stress t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Debt repayment had regulation effects on asset stress t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income stress to financial satisfaction.

      • KCI등재

        무용전공자의 체형 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과의 관계

        정다진(Da Jin Chung)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체형 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전공자의 공연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서울 소재 H대학 무용학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으로부터 표집된 184명이다. 체형인식에 관한 설문지는 김문주(2001),전영선(2006)을 토대로 하였으며, 공연수행 자신감은 Vealey(1986)에 개발된 스포츠 자신감 질문지(State Sports-Confidence In ventory: SSCI)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인에 따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인인지체형에 따른 공연수행 자신감의 차이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저체중(M=3.90), 표준체중(M=3.56), 과체중(M=3.44), 비만(M=3.0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수행 자신감의 차이를 비교한 것 간에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저체중(M=3.90), 표준체중(M=3.56), 과체중(M=3.44), 비만(M=3.0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내적자신감도 저제중일수록 높은 자신감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형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의 상관관계 간에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주변인지체형(r=.353)과의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p<.001) 체형만족, 이상체형인식, 사회이상체형인식 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체형인식은 외적자신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내적자신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ability of a dancer by which a person specialized in dance identifies relationship that his or her body shape has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da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ose of 184 persons collected from students and graduates of Dance Department, H-university located at Seoul. Questionnaires concerning recognition of the body shape was based on example of Kim Moon-ju (2001) and Jun Young-seon (2006). For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State Sports-Confidence In ventory (SSCI) developed by Vealey(1986) was used. For data process,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relationshio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every variation factor using the SPSS for Window 12.0 Version program.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 For external confidence, differ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body shape that a dancer recognizes highly represents in the order of low weight (M=3.90), standard weight (M=3.56), extra-weight (M=3.44) and fat(M=3.09),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ternal confidence as shown in dance performance, difference of confidence highly represents in the order of low weight (M=3.90), standard weight (M=3.56), extra-weight (M=3.44) and fat(M=3.09),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for internal confidenc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weight the more confidence. not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the body shape and confidence in dance performance, significant relationship appeared between external confidence and peripherally recognized body shape (r=.353) (p<.001) but no relationship appeared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shape, recognition of abnormal body shape and recognition of abnormal body shape in society. Accordingly recognition of body shape has effect on external confidence but not on internal confidence.

      • KCI등재

        대학 태권도 선수의 심리기술이 경쟁상태불안과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이재은 ( Lee Jae Eun ),여윤기 ( Yeo Yun Ghi ) 대한무도학회 2016 대한무도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심리기술이 경쟁상태불안과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태권도 선수를 위한 스포츠 심리기술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기준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대학 태권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28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는 총12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기술, 경쟁상태불안, 스포츠 자신감의 관계에서 심리기술의 하위 요인인 자신감이 인지불안, 신체불안, 상태자신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조절, 목표설정 요인은 인지불안, 신체불안, 상태자신감에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중력 요인은 경쟁상태불안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심상요인은 신체불안과 상태자신감에 정적, 팀조화, 의지력 요인은 인지불안, 상태자신감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기술과 스포츠 자신감의 관계에서는 자신감, 집중력 요인과 특성자신감, 상태자신감이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조절은 특성자신감과, 심상, 팀 조화 요인은 상태자신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지력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쟁상태불안과 스포츠자신감의 관계에서는 인지불안, 신체불안이 특성자신감에 정적, 상태자신감이 특성자신감에 부적, 특성자신감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기술이 인지불안, 신체적 불안, 상태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자신감과 상태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elf-confidence sport psychology skills to target Taekwondo athletes aim to provide meaningful data on the development of sports psychology skills program for Taekwondo.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a total of 121 patients data in the present study, except for the 28 materials response is falsel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set in the university Taekwondo registered population Taekwondo Association standard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skills, showed that on a competitive state anxiety,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sub-factors of confidence that the psychological skills of anxiety, body anxiety, positive effect on confidence in the state. Anxiety control. Goal setting factor was that there is a static relationship to cognitive anxiety, physical insecurity, state confidence, concentration factors were related to a Charm competitive state anxiety. Static images factors, team harmony, willpower factor in the body`s state of anxiety and self-confidence appeared to be correlated with cognitive anxiety, and state self-confidence. Second, in the psychological skil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 confidence, concentration factors and characteristics confidence, state confidence appear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anxiety, adjustment properties with confidence, image, team harmony factor is that this state of confidence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born appear to be a correlation showed that willpower is a talisma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anxiety and self-confidence in sports showed that cognitive anxiety, anxiety i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nfidence static, state the characteristic charm confident self-confidence, self-confidence properties. Finally, i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anxiety that the technical and physical anxiety, confidence in the state, was found on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 the self-confidence and confidence in the state.

      • KCI등재

        원예활동을 이용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흥미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윤은선 ( Yun En Sun ),박천호 ( Pak Chun Ho ),김종윤 ( Kim Jong Yoon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원예활동을 이용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 시 D초등학교의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2016년 봄 학기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2개 학급 중 대조반은 전통적인 영어 교과서만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반은 영어 교과 내용에 원예활동을 접목하여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에게 영어 수업 사전, 사후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에 대하여 설문을 하였으며, 수업 후 시험 점수를 통하여 학업 성취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및 학업 성취도에 대한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종료 30일 후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및 학업 성취도에 대한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자신감을 조사한 사전검사에서는 대조반과 실험반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p>0.7)으로 나타나 두 학급 학생들의 동질성을 확인 후 시행하였다. 사후검사에서 실험반 학생들이 대조반 학생들에 비해 영어 학습 흥미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p=0.005)를 보였으며,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에 대해서는 실험반 학생들이 대조반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경향(p=0.113)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 대응 표본 t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대조반 학생들의 영어 학습 흥미수치는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반 학생들은 수업 진행 후 학습 흥미가 유의하게(p=0.0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영어 학습 자신감에서는 대조반(p=0.004)과 실험반(p<0.001) 학생들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종료30일 후 학습 흥미와 자신감에 대한 지속성 검사에서 실험반과 대조반 학생들의 자신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습 흥미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유의하게(p=0.009)높은 학습 흥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성취도의 결과를 살펴보면 각 단원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대조반과 실험반 학생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습 흥미와 자신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흥미와 자신감은 정의 상관관계(r=0.337, p=0.039)을 보였으며, 흥미와 성적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자신감과 성적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r=0.586, p<0.001)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원예활동을 이용한 영어수업은 아동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높여주었으며, 학습에 대한 자신감은 학업 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원예활동을 이용한 영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후속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A horticultural activity is a proper theme for children, since it can develop five senses of the children with a hands-on experienc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horticultural activity could improve the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confidence by using related English expressions in English class through the horticultural activity. Student subjects were from two classes (19 students per class) of the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oyang city, Gyeonggi-do, Korea. Students in the control class took conventional textbook classes an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lass took English classes through horticultural activities once a week for 12 times. Students in the English class with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higher scores both on interest and confidence than the students in the conventional English class. In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As results of comparing the two groups 30 days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students in the English class with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higher English learning interest than the students in control class, which suggests maintaining the more learning interest after the class with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confidence(r=0.037, p=0.039), and also between the English learning confi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r=0.586, p<0.001). Depending on the results, this study could suppose that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confidence could be improved in learning processes through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further possibly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the more effective and significant educational environment to elementary students who have classes with difficult foreign languag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could be developed for English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they would be effective in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지각을 통한 미용대회 참여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이 미용몰입과 미용수행 만족에 미치는 영향

        오강수(Gang Su Oh),김수민(Su Mi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의 미용대회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신체적 자기지각 및 미용대회 참여자신감, 자기효능감을 통한 만족의 관계를 알아 보고 미용술에 대한 성취 및 수행 만족도를 파악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폭스와 코 빈의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 20문항, 앨빈소르와 무어의 자신감 12문항,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15문항, 권성호의 몰입 12문항, 김수겸의 수행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3문항 등 63문항으로 사전 설문 조사 후, 수정·보완하였다. 분석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미용대회는 29.5%가 참여하고 있었으며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결과, 신체적 자기지각에서는 미용자신감이 3.39, 연습지각, 체력지각 평균이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미용대회참여자신감은 3.41, 자기효능감은 3.38, 미용몰입은 3.76, 미용만족은 3.39로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용대회 참여여부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 미용대회참여자신감, 자기효능감, 미용몰입, 미용만족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신체적 자기지각, 연습지각, 미용대회 참여자신감, 미용몰입 등에서 미용대회를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유의미한 높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신체적 자기지각이 미용대회참여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용자신감이 미용대회참여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신체적 자기지각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용자신감이 자기효능감 및 연습지각이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대회참여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이 미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용대회참여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이 미용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용대회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신체적 자기지각, 연습지각 미용대회참여자신감, 미용몰입 등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자기자신감이 높을수록 미용대회참 여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미용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대회참여자신감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Because beauty art has the limit to complete skills just by formal curriculum, the crea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nonformal education will increase educational satisfac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beauty contest is held by organizations and colle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majoring college students`` physical self-percepti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nd figure out the achievement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in beauty art. The questionnaire for conducting this study was composed of 63 questions such as 20 questions about Fox``s and Corbin``s 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12 questions about Albinsor``s and Moore``s confidence, 15 questions about Bandura``s self-efficacy, 12 questions about Gwon Sung-ho``s commitment, 3 questions about Kim Su-gyeom``s performance satisfaction. It was corrected and supplemented after a pre-survey had been carried out to 2-year and 4-year college students through random sampling. The SPSS ver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participation in beauty contes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percepti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self-efficacy, beauty commitment and beauty satisfaction by participation in beauty contes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alysis showed that 29.5% of those surveyed participated in beauty contest. For physical selfperception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beauty confidence was 3.39. Practice perception and fitness perception were more than an average of 3.0. But beauty contest confidence, self-efficacy, beauty commitment and beauty satisfaction were higher by 3.41, 3.38, 3.76 and 3.39, respectively. For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percepti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selfefficacy, beauty commitment and beauty satisfaction by participation in beauty contest, particip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participation group in physical self-perception, practice percepti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and beauty commitment. For the effect of physical self-perception on beauty contest confidence, beauty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For the effect of physical self-perception on self-efficacy, beauty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Practice perception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For the effect of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n beauty satisfacti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satisfaction. Self-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satisfaction.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students did better than nonparticipation students in physical self-perception, practice percepti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and beauty commitment. Higher self-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Higher confidence and self-efficacy increased beauty satisfaction. And beauty contest take part confidence had more effect on beauty satisfaction than confidence and self-efficacy.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소비자자신감을 매개변수로

        허경옥,여정희,이신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4

        A contemporary society is defined as a consumer society in which consumers are heavily involved in the choosing and the buying of goods to build the individuality, to express their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their social standing, to distinct themselves from others. It is essential for consumers to take the initiative and to do actions with subjectivity by means of the autonomy and flexibility in the consumption life. In the current study, we defined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as a sense of well-being, resulting from initiative decision-making process and positive self-evaluation in the comprehensive domains of consumption and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consumers' self-confidenc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i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and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To do so,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 for adults aged 18-59 in 2015. The sample size is 500.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ree different lifestyles: (1) family-oriented lifestyle, (2) interpersonal relationship-oriented lifestyle, and (3) self-oriented lifestyle.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paths show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ifestyle, consumer self-confidence, and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ree different lifestyles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through consumers confidence i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respectively. It is noteworthy tha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lifestyle that influences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varied by lifestyles. More specifically, ‘family-oriente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ed’ lifestyle had a relatively stronger effect on consumers confidence in information acquisition. Also, ‘self-oriented’ lifestyle had a relatively stronger effect on consumers confidence in decision-making process. It implied that consumers confidence in information acquisition was more associated with active interaction with people that have close relationships, while confidence in decision-making process was more related to positive self-evaluation about themselves. It suggested that higher level of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can be reached by enhancing an individual capability (or competency) in the overall process of decision-making. 소비사회로 규정되는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는 상품의 소비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자아의 형성과 표출, 사회적 위치 표시, 타인과의 구분 짓기 등 다양한 개인적․사회적 욕구를 만족시킨다. 인간의 삶을 보다 행복하고 풍요롭게 가꾸어 나가기 위해서는 자신이 소비생활의 주도권을 가진 주체가 되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적절히 자신의 의지대로 자율적이며 융통성을 가지고 소비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소비주체로서의 자신감, 즉 자신이 소비생활 전반에 걸쳐 주도권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내리고 스스로의 능력을 인정하는 자기만족의 개념을 소비생활만족으로 규정하고 관련 변수들과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를 타인과 구별되는 특징적인 생활양식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로 유형화하고, 정보획득자신감과 의사결정자신감, 소비생활만족에 이르는 구조모형을 구축하였다. 2015년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소비자 18-59세를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예비조사를 거쳐 성인남녀 500명을 표집하여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라이프스타일, 소비자자신감, 소비생활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중심형, 타인관계추구형, 자아중심형 등 본 연구에서 분류한 모든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정보획득자신감에 영향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소비생활에도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세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소비자들은 의사결정자신감과 소비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소비자자신감인 정보획득자신감과 의사결정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소비자의 정보획득자신감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가족중심형과 타인관계추구형이고, 소비자의 의사결정자신감에는 자아중심형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즉, 정보획득자신감이 가족중심적이고 인간관계에서 적극적인 소비자에게서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다양하고 신뢰있는 정보를 많이 접하게 될수록 정보획득과정에서 자신감이 상승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그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최종의사결정시 본인에 대해 보다 신뢰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자신감이 높이지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가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가치 있는 존재로 인정함으로써 소비생활만족을 경험할 수 있다는 소비자의 자아측면에서 소비생활만족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축구 선수들의 팀 자신감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인 자신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홍은아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0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 confidence of Korean university football players on innovative performance. We specifically focused on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fidence between team confidence and innovative performance. To test hypotheses, we used 148 surveys for the dat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Lisrel 9.2 was employed for CFA, AVE, and C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m confidence of university football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self-confidence. Second, players’ self-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innovative performance. Third, players’ self-confid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onfidence and players’ innovative performance. The study implied that players’ self confidence through elevated team confidence results in enhancing innovative performance of university football player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축구 선수들이 지니는 팀 자신감과 개인 자신감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특히 팀 수준에서의 자신감이 선수 개개인의 자신감을 완전 매개체로 하여 혁신성과를 높 이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148부의 서베이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Lisrel 9.2 를 활용하여 문항의 타당도 값(CFA, AVE, CR)을 구한 후 SPSS 21.0을 통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선수들이 소속 팀에 대해 느끼는 팀 자신감은 선수 개개인의 자신 감에 정(+)적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의 개인 자신감은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 축구 선수들의 개인 자신감은 선수들의 팀 자신감과 혁신성과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 스포츠 맥락에서 선수들이 지니는 팀 자신감 의 고양을 통한 개인 자신감의 증대가 대학 축구팀 선수들의 혁신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경호무도지도자의 리더십행동이 역할 지각과 코칭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권영우 한국경호경비학회 2016 시큐리티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경호무도지도자의 리더십행동과 역할지각, 코칭자신감 간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할지각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증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로써 현직 경호무도지도자 들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를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구 가설의 검증에 앞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잠재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코칭자신감 중 심리적 코칭자신감 과 인간관계적, 심리적 코칭자신감, 운동지도, 운동처방, 봉사활동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증 결과를 확보하였다. 첫째, 가설 1에 대한 검증 결 과, 리더십행동이 역할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더십행 동은 역할지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둘째, 가설 2에 대한 검증 결과, 역할지각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할지각은 코칭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나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셋째, 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직접 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십행동은 코칭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지지되었다. 넷째, 최종적으로 리더십 행 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총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역할지각의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할지각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 되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리더십행동을 통한 코칭자신감 함양에 있어서는 역할지각이 함께 병행되었을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양궁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자신감과의 관계

        문한식 ( Han Shik Moon ),박진성 ( Jin Sung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양궁선수들의 성별과 소속팀, 그리고 수행수준에 따라서 자기관리와 자신감과의 차이가 있는지, 자기관리가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제25회 대통령기 전국 남녀 양궁선수권대회에 참가한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팀에 소속된 선수들이다. 자기관리는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설문지 그리고 자신감은 한국형스포츠자신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차이가 없었으며, 소속팀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지지, 코치의 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실업팀 선수들이 자기관리 및 자신감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행수준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 정신관리,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지지, 코치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우수선수들이 자기관리 및 자신감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관리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능력입증과 사회적지지는 훈련관리, 대인관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코치지도력은 정신관리, 몸관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신체적/정신적준비는 훈련관리, 정신관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ers` self-management and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gender, belonging tea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their confidenc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ar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25th Presidential Men`s and Women`s National Archery Championship Tournament from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amateur archery teams. The questionnaires for sport man`s self management and confidence were used. Such statistical methods a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ages were done. According to the results, by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By belonging team, self-management showed difference in mental management, a subordinate factor of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showed difference in public encouragement, coach leadership and physical/mental status, subordinate factors of confidence. Especially, it was learned that amateurs showed good in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By performance level, self-management showed difference on training,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subordinate factors of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showed difference in public encouragement, coach leadership and physical/mental status, subordinate factors of confidence. In particular, it was learned that the best archers showed good in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In conclusion, reviewing the influence of self-management on self-confidence, competency recognition and public encouragement were influenced by training management and human relations management. Coach leadership was influenced by mental and physical management and physical/mental status were influenced by training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