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재창조(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민라영(Min, Layoung),안동근(An, Dongg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재창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직무재창조를 설명하는 상사, 조직, 개인에 대한 인식 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 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조직동일시, 자기효능감 및 직무재창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은 조직동일시, 자기효능감, 직무재창조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동일시가 자기효능감과 직무재창조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했고, 자기효능감은 직무재창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진성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직무재창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직무재창조에 기여하는 상사, 조직, 개인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다측면적 관점에서 설명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유아교사의 직무재창조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실행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o investigate the complicated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s about supervisor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hat explai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raft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on the job crafting of teachers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25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measured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 thei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of teacher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were significant,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teachers’ job crafting,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ers’ job crafting and was successive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finding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explaining 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about supervisor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contribute to job craft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From a practical viewpoint, it ha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roposing effective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job craft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자기경멸에 관하여

        오흥명(Oh, Heung M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2 No.-

        철학이 빈번하게 자기 자신에 대한 실망과, 삶에 대한 환멸과, 세계에 대한 혐오 같은 실존적 체험 속에서 잉태된다는 점에서, 자기경멸은 경이의 감정과 마찬가지로 철학의 탄생을 매개하는 근원적 정신현상의 하나처럼 보인다. 이 글은 그러한 근본감정으로서 자기경멸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다. 분석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자기경멸의 감정이 정련된 형이상학적 사유의 형태가 아니라 생활세계의 공간 속에서 겪게 되는 구체적 경험과 더불어 발생하는 심리적 사건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자기경멸의 철학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명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프로이트의 마조히즘 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정신분석의 해명만으로 그 감정의 전모를 철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경험과 초월을 요소를 아우르는 신화적 상징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통해 자기경멸의 감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유형화한다. 이를 통해 자기경멸의 윤리적, 형이상학적 함축이 드러날 뿐만 아니라, 그 감정의 극복가능성 또한 타진해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In that philosophical pursuits are often born through existential experiences such as disappointment with oneself, disillusionment with life, and disgust for the world, self-contempt appears to be a common internal phenomenon that mediates the birth of philosophy, like wonder. This article is a philosophical analysis of self-contempt as a fundamental emotion for the birth of philosophy. The analysis will be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first, for the reason that self-contempt does not exist in the form of refined metaphysical thoughts, but is rather a psychological event that occurs concurrently to concrete experiences in the space of lifeworld, I will conduct a critical analysis of Freud’s theory of masochism to set the preliminary stage for an in-depth dissection of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self-contempt. Second, for the reason that there are fundamental limits to laying bare the whole of that feeling with psychoanalytic explication alone, I will analyze and typologize self-contempt through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mythological symbols encompassing empirical and transcendental horizons. In this way, we will be able not only to reveal the ethical and metaphysical implications of self-contempt, but also seek to overcome it.

      • KCI등재

        자기 생산하는 삶, 자연, 세계 -니체의 발생존재론 “세계는 자기 스스로를 탄생시키는 예술작품”

        홍사현 한국니체학회 2008 니체연구 Vol.13 No.-

        Die nietzscheanische Kritik an der Vernunft und an der traditionellen europäischen Metaphysik gründet sich auf die Kritik an der menschlichen Stellung zur Natur, die durch die ‘Entnatürlichung’ des Menschen, des Lebens und der Moral usw. gekennzeichnet ist. Bei Nietzsche ist die Natur vor allem als Prinzip des Werdens und Schaffens aufzufassen, das die Welt und das Leben überhaupt als den endlos weiter gehenden Prozeß ermöglicht. Sie gilt daher keineswegs als eine schon geschaffene Welt durch Gott oder als außenbestimmte Schaffung und determinierte Bewegung wie im Kausalgesetz. Sondern als Prozeß des autonomen und freien Schaffens, in dem die Natur sich selbst produziert. Das Sich-selbst-schaffende als Natur, ob ein Mensch oder eine Welt, ist in jedem Augenblick die Voraussetzung dieses Schffensprozesses und dessen Ergebnis zugleich, was dem auf der Dynamik und Autonomie beruhenden Naturprozess eigen ist. Gerade an dieser eigentümlichen Weise, in der das Werden und Schaffen geschieht, zeigt sich, wie gründlich Nietzsche mit dem traditionellen dualistischen Denken bricht. In diesem Zusammenhang erscheint das Verhältnis zwischen Chaos und Ordnung bzw. zwischen Zufall und Notwendigkeit bei Nietzsche nicht mehr als unüberbrückbare Gegensätzlichkeit, und auch die Hauptbegriffe Nietzsches wie Große Vernunft, Amor Fati, Wille zur Macht, Ewige Wiederkehr und Dionysisches Subjekt kreisen alle um sein Naturkonzept, das als Prinzip der Autonomie, des Werdens und der Widersprüchlichkeit zusammenzufassen ist. 니체의 이성 비판, 전통형이상학 비판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간중심주의 및 인간의 탈자연화에 대한 비판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이로부터 가장 본질적 의미에서의 자연과 자연성을 강조하는 니체 사유의 핵심은 인간과 세계를 끊임없이 변하고 생성하는 창조의 과정으로 설명하는 발생학적 존재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때의 창조는 외적인 법칙으로서의 신에 의한 창조도, 결정론적 인과론에 의한 운동이나 변화도 아니다. 타율적 창조가 아니라, 스스로가 창조의 주체이자 주인이 되는 자율적 창조를 통해 변화의 주체는 자신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자신을 형성한다. 즉 자기 자신이 자기 창조의 조건이자 그 새로운 결과이다. 그리고 이 창조 과정 자체가 자연의 운용원리이다. 이러한 자기 생산성에 기초한 역동성과 자율성이 삶과 자연, 그리고 세계의 고유한 존재방식을 이루는데, 여기서 창조나 변화가 일어나는 독특한 방식 자체에서 보이는 모순적인 구조는 니체의 사유가 어떤 점에서 전통적인 이분법적 사유를 근본적으로 벗어나 있는지 보여준다. 카오스와 질서의 관계, 우연과 필연의 관계 등은 더 이상 대립적인 개념들이 아니라 변화를 통한 자기창조과정 속에서 서로 맞물려 있는 이중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니체의 대표적인 개념들, 즉 큰 이성(몸 이성), 디오니소스적 주체, 힘에의 의지, 운명애, 영원회귀 등은 상기한 자연성의 내용을 통해 서로 내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판넨베르크의 창조론에 나타난 창조적 역동성의 보편사적 의미로서 ‘교회일치’

        최태관(Tae-Kwan Choi)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7

        본 논문은 판넨베르크의 창조론에 나타난 창조적 역동성의 시각에서 교회일치의 문제를 다룬다. 그의 창조론에서 창조적 역동성은 하나님아들과 하나님 영의 자기구분과 일치에서 비롯된다. 한편, 판넨베르크는 세계를 지속적으로 창조하고 유지하는 보편적 로고스와 피조물 안에 존재하는 개별적 로고스와의 상호관계에서 존재자의 다양성과 구분의 문제를 제기한다. 다른 한편, 그는 다양한 피조물들을 통해 생명으로 자기 조직화하는 하나님의 영의 일치운동을 보여준다. 두 가지의 상호연합에서 그는 하나님 창조의 창발성이 곧 근원적으로 하나님의 자기구분과 일치에 있음을 주장한다. 이와 같은 창조론의 시각에서 판넨베르크는 교회일치의 보편사적 의미를 더는 교회분열이라는 부정적 의미가 아니라, 세계창조에서 드러난 하나님의 창발적 행위에서 찾으려고 한다. 지역교회들이 고백의 다양성과 그들의 일치를 지향하는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종말론적 일치와 기독교 진리의 궁극적 완성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의 보편사 신학은 세계 안에서 다양한 종교적 진리들을 수렴하는 하나님 보편사적 행위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교회일치는 나사렛 예수의 세계 통치의 전권을 드러내는 보편사적 사건이 된다. 그래서 본 논문은 판넨베르크의 보편사신학에서 신중심적 교회일치의 가능성을 살피려고 한다. 첫째, 본 논문은 세계창조에서 판넨베르크가 하나님의 창발적 창조원리로 규정하고 있는 창조적 역동성을 살피려고 한다. 창조적 역동성은 교회일치의 근간이기 때문이다. 둘째, 하나님 아들과 영의 협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보편사적 공간으로서 교회에 나타나고 있는 창조적 역동성으로서 ‘구원의 영향력’에 주목한다. 보편사 신학의 시각에서 볼 때 하나님의 창발적 창조를 지시하는 구원의 영향력으로서 창조적 역동성은 종말론적 일치를 향해 나아가는 하나님의 보편적 행위를 지시하고 신앙고백이 다원화되는 상황에서 교회일치를 이루어가는 힘이기 때문이다. 셋째, 하나님 미래로서 종말론적 교회일치를 선취하는 그리스도의 부활사건이 드러내는 창조적 역동성의 보편사적 의미를 해명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창조의 시각에서 본 교회일치가 지니고 있는 신학적 문제들을 비판하고 오늘날 에큐메니칼 신학에 보편사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 판넨베르크의 보편사 신학의 의미를 살펴본다. 판넨베르크의 보편사적 관점에서 에큐메니칼 신학의 가능성을 전망해본 하나님의 행위로서 드러난 보편사적 사건들이 에큐메니칼 신학의 과거, 현재, 미래를 지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고백교회들이 다양해지고 지역교회들이 사사화되는 과정에서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해서 판넨베르크의 교회일치에 대한 인식의 기여가능성을 해명하려고 한다.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issue of church’s consensu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dynamics in Pannenberg’s understanding of creation of God. The creative dynamism that arises from God’s self-differentiation comes from the unity of the Son of God and the Spirit of God. On the one hand, Pannenberg raises the question of the diversity and distinction of existence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 logos that create creations and the individual logos that individualize creations. On the other hand, he shows the unity of the Spirit of God self-organizing into life through various creatures. Through these two interconnections, he argues that the emergence of God’s creation is fundamentally in harmony with God’s self-differentiation. In this view of the God’s creation, Pannenberg tries to find the universal historical meaning of church unity not in the negative sense of church division, but in the emergent act of God in creation. This is because the local churches are pursuing the eschatological unity of the Triune God and the ultimate fulfillment of Christian truth in the ecumenical movement toward diversity of confession and their unity. In fact, in his theology of universal history regards Pannenberg God’s universal history as the History of convergence with various religious truths in the world. In such a situation, the unity of church becomes a universal historical event that reveals the full power of the world rule of Jesus of Nazareth. So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udent church’s consensus in Pannenberg’s universal theology. First, this study explains the creative dynamic that Pannenberg regards as the emergent principle of God in world creation. Because creative dynamic is the foundation of church’s unity. Second, this treatise defines the influence of salvation as Pannenberg’s the creative dynamic that appears in the church as a universal historical space in which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on of God and the Spirit is visi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of the universal history, creative dynamism, as a salvation influence that directs God’s emergent creation, is the power of church’s unity in the context of diversifying confession and directing God’s universal action towards eschatological unity. Thirdly,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universal meaning of creative dynamic revealed by Christ’s resurrection event in which is anticipated the eschatological church’s unity as God’s future.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Pannenberg’s universal history theology, which criticizes the theological problems of church’s 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creation and suggests a way to the ecumenical theology today. This is because the universal histories, which are revealed as God’s acts that projected the possibility of ecumenical theology from Pannenberg’s universal histories. His theology of universal history points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ecumenical theology. In conclusion, this paper attempts to elucidate the contribution of Pannenberg’s perception of church unity in order to restore the church’s publicity.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궁극자의 범주’ 다시 읽기: 인과성 문제를 중심으로

        문창옥 ( Moon Chang-oh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0

        화이트헤드의 철학은 원자론적 생성으로 구성되는 우주를 제안한다. 이것은 곧바로 우주의 시간적 진행성(temporal ongoingness)과 인과적 연계성(causal connectedness)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하는 물음들을 낳는다. 창조성을 현실적 계기 내의 특성으로 환원하는 고전적 견해, 즉 창조성을 개별 존재의 내적 생성으로 제한하는 다원론적 해석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신의 개입을 요청했다. 신은 과거의 계기를 현재에서 되살리는 작인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런 시도는 존재신학적 전통의 설명방식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만족스런 해결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래서 비교적 최근에는 창조성을 초월적이고 독자적인 설명원리로 간주하려는 일원론적 해석이 부각되었다. 창조성은 자기창조를 마감한 과거의 계기를 현재로 실어 나르는 힘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창조성이 가능태로서, 결코 독자적인 작인이 될 수 없다는 화이트헤드의 기본주장과 충돌한다. 결국 이런 난점에 직면한 몇몇 연구자들은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과거의 힘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이를 현재의 창조성과 구별되는 인과적 힘의 원천으로 이해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해결 역시 과거의 활동성과 현재의 창조성간의 구체적인 인과적 기제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양자의 존재론적 관계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 지를 선명하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양자의 관계가 궁극자의 범주로 기술된 창조성, 즉 관계적 활동성으로서의 창조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궁극자의 범주는 창조적 전진의 과정을 ‘이접에서 연전으로의 전진’으로 규정한다. 여기서 창조성은 일종의 관계적 활동성이다. 창조성이 이행의 과정에서 작동하는 창조성일 때 그것은 다수의 이접적인 자기초월체들을 하나의 연접적인 일자로 만드는 창조성, 곧 인과적 창조성이다. 그래서 인과적 창조성은 일자의 완결, 즉 계기에서의 만족의 달성과 동시에 이를 새로운 일자의 여건이되는 다수 가운데 하나로 이행시키는 창조성이다. 이행을 구현하는 물리적 파악은 순응적인 것으로서 현재의 계기가 과거의 힘을 계승하고 반복한다. 이렇게 현재에서 반복되는 과거의 활동성이 과거와 현재 사이의 인과관계를 구성한다. 따라서 화이트헤드 철학에서 궁극자의 범주는 무규정적인 활동성으로서의 창조성을 ‘다에서 일로’라는 구조로 제약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사이의 인과관계는 물론이요 원자적 계기들의 계속적인 생성의 원천까지 정합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Whitehead’s Philosophy proposes a cosmology in which the world is described to be constituted of atomic becomings. This cosmology, however, causes us to ask why there is temporal ongoingness and how causal connectedness among atomic entities can be explained. The classic interpretation that takes the creativity as the internal property of actual occasion in becoming turns to God for answering these questions. According to this opinion, God is an agent who restores the dead past to life and, then, conveys to the present becoming. But it has a great weakness that it suggests the onto-theological explanation which Whitehead explicitly rejects. For this reason, some of Whiteheadians try to solve this problem in terms of creativity which is regarded as one substantial and transcendent activity. For them, creativity is interpreted as a universal force or activity which transcends the actual world. Creativity is, thus, considered as an agent that transmits the dead past entities to the present. But this understanding also comes into collision with Whitehead’s principal theses that creativity is potentiality which cannot, for itself, exercise any influence on actuality. This reflection forced a few Whiteheadians to reinterpret Whitehead’s concept of becoming. They deny the classic interpretation which understand the past as the dead data. For them, the past occasion is regarded as an agent which is alive and, thus, able to cause activity of present entity. But they seem to be incapable of explaining appropriately the ontological or causal relation between the activity of the past and the creativity of the present. I think that the relation could be explained by means of creativity as relational activity, which means the creative advance from many to one. Category of the Ultimate proclaims the creativity is the advance from disjunction to conjunction. According this category, creativity in process of transition is the activity that unifies the divers and disjunctive superjects into the a conjunctive one, while in concrescence, creativity is the activity which unifies multiple feelings into a feeling, that is to say, a satisfaction. And the former, creativity of transition, explains the causality. For Whitehead, transition is analyzed in terms of physical prehensions. Physical prehension is conformal prehension in the sense that it inherits, and repeats, the influence of the past. All activity of the present occasion, at least, in the initial phase is, therefore, issued from the past. In this sense, occasion in the initial phase may be said to have only passive activity. And Causation is the very physical prehension of the past activity. Consequently, Category of the Ultimate as a ultimate principle, which characterized creativity as an advance from many to one, may coherently be said to explain not only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ut the original source of successive becomings.

      • KCI우수등재

        병원 간호사가 지각한 상사의 지지와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수정 간호행정학회 2020 간호행정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calling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supervision and job crafting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28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asurements included the Supportive Supervision Scale, the Job Crafting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and the Role Breadth Self-efficac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Hayes's method for mediation. Results: Supportive supervi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lling (r=.51, p<.001)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r=.40, p<.001). Job crafting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pportive supervision (r=.51, p<.001), calling (r=.42, p<.001),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r=.38, p<.001). Furthermore, calling (β=.15, p=.013)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β=.15, p=.011) showe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supervision and job crafting. Conclusion: The impact of supportive supervision on job crafting in general hospital nurses was mediated by calling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This result suggests that strategies for enhancing supportive supervision, calling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programs for improving nurses’ job crafting. Purpose: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상사의 지지와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Methods: 서술적 관계연구로 참여한 간호사는 128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상사의지지, 직무재창조, 소명의식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이 사용된 설문지 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는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Results: 상사의 지지와 소명의식(r=.51, p<.001), 상사의 지지와 역할확장 자기효능감(r=.40,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직무재창조와 상사의 지지(r=.51, p<.001), 소명의식(r=.42, p<.001)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r=.38, p<.001)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사의 지지와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소명의식(β=.15, p=.013)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β=.15, p=.011)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Conclusion: 병원간호사의 직무재창조에 대한 상사의 지지의 영향은 소명의식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참조하여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상자의 지지를 강화하고 소명의식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을 고취시키는 것을 간호사의 직무재창조 개발에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자기존중감(self-esteem) 이론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5 성경과 상담 Vol.5 No.-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태동한 자기존중감과 관련된 이론들은 이제 기독교 상담학계에서도 친숙한 용어가 되어가고 있다. 잘 알려 진대로, 로저스를 비롯한 많은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심리적 장애와 부적응의 문제가 바로 낮은 자기존중감 으로부터 말미암는다고 굳게 믿는다. 특히, 기독교계의 자기존중감 신학의 추종자들은 자기사랑, 자기가치, 자조, 긍정적인 자아상등의 인본주의 심리학적 개념을 신학적 용어로 바꾸어 설명하려고 한다. 그들은 인본주의 심리학자들과 유사하게 인간의 존엄성, 가치, 자율성 등을 고취함을 통해 여러 가지 심리적 부적응의 문제가 해결 될 뿐 아니라, 인간의 성공과 행복이 달성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의 인본주의적 관점을 통해 중요한 신학적 교리인 창조와 구속, 그리고 인간론과 구원론 등을 전개시킨다. 그 결과, 복음의 의미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드러내고 그들 자신의 행복과 성공을 추구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심하게 왜곡된다. 따라서, 자기존중감 신학의 다양한 입장과 이론들은 전혀 성경적 지지기반을 가지지 못한다. 이에 반해 성경에 대한 개혁주의적 해석에 입각한 성경적인 자아상은 인간의 죄의 실재를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둡고 비관적이고 열등감과 죄책감으로 가득찬 부정적인 자아상은 아니다. 성경적인 자아상은 인간의 가치보다는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을 강조하며 드러내고자 한다. 성경적인 자아상은 자신의 성공이나 행복을 추구하기 보다는 자신의 문제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영광과 타인의 유익을 먼저 구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긍정적이고 건강한 자아상을 추구한다. 성경적인 자아상은 자신의 죄의 실재를 인정하면서도,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 기초하여 하나님만을 의지함으로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피조물로서 끊임없이 새로워져가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감사함으로 바라보며 느끼는 것을 지향한다. A term self-esteem which is deeply rooted in the humanistic psychology has become an acquainted term in the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As it was revealed, many humanistic psychologists such as Rogers and Maslow believed that many problems of human psychological disorders and maladaptation were originated from the low self-esteem. In particular, the proponents of the theology of self-esteem within the Christianity attempt to establish major theological doctrines by adapting the psychological concepts of self-love, self-worth, self-help and positive self-image. Like many humanistic psychologists, they insist that by instilling human dignity, worth and autonomy, human psychological problems can be solved and their success and happiness would be surely achieved. Furthermore, they try to establish the doctrines of creation and redemp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humanistic psychology. As a result, they distort the meaning of Gospel as a mere tool for human sucess and happiness. Accordingly, we can say that the position of the theology of self-esteem do not have any biblical support. On the other hand, though the biblical self-imag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a reformed perspective for the word of God acknowledges the reality of human sin, nevertheless, it is not a dark, pessimistic and negative self-image that is full of the feeling of inferiority and false guilt. It intends to reveal and emphasize the grace and power of God rather than the value and worth of human beings. The biblical self-image of a Christian represents a true healthy and positive self-image that pursuits first the glory of God and the benefit of others by seeing themselves as a new creation in the kingdom of God on the basis of relying on God in the grace of God.

      • KCI등재

        재창조 악기연주가 학령기 아동의 자기격려와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

        문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2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재창조 악기연주 활동이 학령기 아동의 자기격려와 정서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서울 소재 00 교육지원청 소속 7개 학교 1-6학년 18개 학급 299명과 충남 소재 00 교육지원청 소속 7개 학교 1-6학년 9개 학급 134명로 총 433명이 참여하였고, 최종적으로 409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재창조 악기연주 활동은 2023년 10월 19일부터 12일 6일까지 각 학교의 해당 학급에서 학급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2-4회기로 진행되었고, 연구 대상의 자기격려와 정서 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용 자기격려 척도와 한국형 아동용 정서표현 척도를 사용하였다. SPSS 26.0 version 대응 표본 t-test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창조 악기연주 활동 참여 전과 후에 학령기 아동의 정서적 자기격려(자아고취감, 존귀감), 정서 표현(정서 인식의 어려움, 정서 표현의 어려움)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 방법 중 하나인 재창조 악기연주가 학령기 아동의 자기격려와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re-creative instrumental playing on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433 students from 16 classes(grades 1-6) in 7 school under the Seoul OO Office of Education, and 9 classes(grades 1-6) in 7 school under the Chungnam OO Office of Education. Ultimately, data from 409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Re-creative instrumental playing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 to December 6, 2023, involving the entire student of each class in the schools, with sessions held 2-4 times.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search subjects, the Child Self-Encouragement Scale and the Korean Child Emotional Expression Scale were utili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with paired t-test. The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self-encouragement(sense of self-inspiration, self-esteem) and emotional expression(difficulty in emotional recognition, difficulty in emotional expression) of school-aged childr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re-creative instrumental playing.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re-creative instrumental playing, a method within music therapy, in promoting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 KCI등재

        우울증과 예술적 창조성

        강경선(Kang, Kyung-S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이 논문은 우울증이 예술창조의 에너지로 작용하는 원리와 창조적 예술행위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울증 치료를 위한 예술치료의 학문적 근거 중 하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울증은 일반인들에 비해 예술가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예술가들의 우울이 빚어낸 부정적 감정의 내향화는 예술창조를 자극하는 에너지로 작용한다. 그리고 창조적 예술행위는 두 가지 층위에서의 만족을 가져다 준다. 하나는 예술적 성취를 통한 외적 보상이며 또 다른 하나는 개인성을 찾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자아 되찾기를 통한 내적 보상이다. 여기서 보상이라고 하는 것은 상처의 치유이며 잃어버린 자존감의 회복으로 창조적 예술행위가 우울증에 치료적일 수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는 구체적인 현상이다. 우울증 치료에 있어 예술치료는, 심리치료와 의료적 치료에서 간과한 몸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개입을 통해 정신과 신체를 분리하지 않고 진행되는 치료행위이다. 그리고 예술치료의 핵심 기전인 표현은 몸, 마음, 그리고 정신의 개입 수준에 따라 몸이 지배하는 운동의 단계, 지각과 구성작용에 의한 감정의 환기 단계, 몸과 마음 그리고 정신을 통합 하는 예술창조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예술치료에서 중요한 단계는 예술창조의 단계로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완성이 이루어지는 이 단계는 아름답게 표현하고자 하는 의지, 미적 체험, 창조적 자기실현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arts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by contemplating how creative arts affect depression. Creative artists suffer from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depression. Internalized negative emotions of depressive artists engender artistic creativity and creative arts work brings two levels of satisfaction to artists. One is the external reward which is successful achievement experience through arts, and the other one is the internal reward which helps restore artists" own identity that had been lost in reality by showing their self -assertion in their work. Getting rewards from creative arts work means that artistic behavior for depression can be therapeutic because rewards heals wounds and restores self-estee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ctive and spontaneous intervention of our body had been overlooked in psychotherapy and medical treatment. In arts therapy both body and mind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therapy. The core therapeutic mechanism of arts therapy is expression. The expression in arts therapy can be divided into three levels depending on how body, mind and will are involved in therapy. The first level is controlled by motor behavior. The second is emotional-arousal level that is perceived and constructed in mind. The last is the time for integrating body, mind and will for creative art. Will for aesthetic expression, aesthetic experience and creative self-actualization is the ultimate goal as well as completion of arts therapy.

      • A Study on Music Creation Experience for the Reduction of Self-Stigma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Min, Chae(채민)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24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6 No.1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 감소는 당사자의 건강한 삶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회복에 이르게 한다. 본 연구는 음악창조 경험에서 자기-스티그마 감소를 위한 창조적 표현의 의미와 그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작곡을 전공한 정신장애인 2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 면접은 2023년 4월부터 2023년 5월까지 2회씩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과 분석 및 글쓰기를 위해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절차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음악창조의 의미는 〈창조자〉, 〈한곡당 7만원〉, 〈고요한 외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창조적 표현들이 자기-스티그마 감소에 어떤 의미인지를 살펴보고 총체적으로 탐색하여 정신장애인의 창조성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반낙인 효과를 위한 음악창조가 통합사회를 지향하는 매개로 기여할 것이다. A Study on Music Creation Experience for the Reduction of Self-Stigma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Reduction of self-stigma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leads to recovery by making meaningful changes in the healthy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of the pers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narrative method to explore the meaning of creative expression and its meaning for self-stigma reduction in music crea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Composition at the College of Music. In-depth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wice each from April 2023 to May 2023. For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writ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was applied. As a result, the meaning of music creation was shown as 〈creator〉, 〈70,000 won per song〉, and 〈quiet cr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 creative expressions of the mentally disabled mean in reducing self-stigma and comprehensively explores not only understanding the creativity of the mentally disabled, but also creating music for the anti-stigma effect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 the community and awareness of the disabled.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conducting research without financial support, highlighting the challenges, strategies, and outcomes of such endeav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