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cator attachment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유지형 피개의치의 임상적 평가

        이주형,손동석,Lee, Ju-Hyoung,Sohn, Dong-Se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4

        연구 목적: 현대의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고령의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무치악 환자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하게 흡수된 하악골에선 기존의 총의치로는 환자가 사용하기에 유지, 지지의 부족으로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하악에 2개의 임플란트 식립하여 피개의치를 제작하면 환자에게 좀 더 사용하기가 편한 의치를 제작해 줄 수 있다. 간단한 보철과정과 추후 수리가 쉽다는 이유로 현재 Locator가 보편적인 유지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Locator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에서 임플란트와 보철물의 장기적인 성공률을 알아보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치과 구강외과에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총 10명의 환자(남 4명, 여 6명)의 하악에 2개의 임플란트(총 20개)를식립후Locator를 이용한 조직-유지 피개의치를 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7년간 시술된 1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를 조사하고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여 후향적 임상연구를 하였으며, 임플란트의 생존률 및 보철적인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임플란트는 100%의 누적 성공률을 보였고, 1년후(평균 58주) 방사선 사진에서 임플란트는 평균 1.03 mm ${\pm}$ 0.20 mm의 골소실을 보였으며, 임플란트의 기능에는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피개의치는 의치파절, 의치상 이장 또는 개상, 메일의 탈락 또는 유지력 감소로 인한 메일 교체 등 다양한 합병증을 보였다. 그러나 의치상 이장 및 개상, 메일 인써트의 간단한 교체로 인해 장기적으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가 환자에게 유지되고 있었다. 결론: 하악 전방부위에 임플란트 2개를 식립 후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유지 하악 피개의치는 최소침습적인 수술, 간단한 보철 과정 및 수리 과정의 장점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marginal bone loss around dental implant that were placed in the canine areas of the mandibles and finded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s and prosthetic complications in 10 patients treated with overdentures retained with Locator attachment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ho had received implant retained overdentures in the mandibules using two implants and Locator attachments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2004 to 201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valuations of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marginal bone loss and prosthetic complications were performed. Results: Implants placed in this study showed a 100% survival rate and the average annual bone loss was 1.03 mm ${\pm}$ 0.20 mm in the first year. The patients have verbally indicated that they are comfortable and that their overdentures function well. But, implant retained overdentures had various prosthetic complications such as male change, relining, rebasing and denture fracture. Conclusion: Implant retained overdentures using two implant and Locator attachments in the fully edentulous mandibles is considered as a stable way for long terms because of minimal invasive operation, simple prosthetic process and easy repair.

      • KCI등재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사용 후의 환자만족도에 관한 전향적 연구

        홍주희,정겨운,신상완,방은경,Hong, Ju-Hee,Jung, Gyu-Un,Shin, Sang-Wan,Pang, Eun-Kyo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전통적인 총의치의 환자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치료가 계획된 40명의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51세 - 82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환자는 저작기능, 발음, 심미, 통증, 전반적인 만족도를 기존의 총의치 장착 시와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장착 1주 후, 12주 후에 visual analog scale법을 이용하여 답하였다. 각 시기의 만족도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measures ANOVA)을 시행하였다(P<.05). 결과: 모든 설문 항목에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장착 1주 후, 12주 후에 총의치를 장착했을 때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05).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장착 12주 후에 저작기능, 발음, 통증, 전반적인 만족도는 장착 1주 후에 비해 증가된 결과를 보였고, 심미에 대한 만족도와 전체적인 만족도는 감소함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는 기존의 총의치에 만족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patients worn implant supported mandibular overdentures and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Materials and methods: Full edentulous patients (n=40) who were planned to do implant supported mandibular overdentures, aged 51 to 82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rated their satisfaction levels (mastication, pronunciation, esthetics, pain, and general satisfaction) of their original conventional dentures prior to treatment and their new overdentures 1 week and 12 weeks after the delivery on 10 cm visual analogue scales. Repeated-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three period (P<.05). Results: The mean satisfaction levels of the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s after 1 week and 12 weeks of deliv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in all scoring parameters (P<.05). After 12 weeks of overdenture delivery, the increase of the satisfaction levels in mastication, pronunciation, and pain and the decrease in esthetics and general satisfaction were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ose after 1 week of deliver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s of 1 week and 12 weeks after delivery. Conclusion: An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might be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give more satisfaction to patients who were not gratified with a conventional denture and eventually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 고정성보철 환자에 상악 Milled-bar와 부착장치를 이용한 피개의치로 수복한 증례

        이준명,김소연,이두형,이규복,이청희 대한치과보철학회 202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2 No.2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restoring the dentition of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Removable complete dentur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economical, but they can be uncomfortable to wear. With the introduction of implant prosthodontics, various options such as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and hybrid prostheses have become available. If there is inadequate remaining ridge or limited financial resources, an overdenture supported by a few implants with additional attachments may be more suitable. In this case, due to severe peri-implantitis and other complications, the implants were removed. Subsequently, four implants (two on each side) were placed in the maxilla and a milled-bar with attachment was fabricated for each side of the maxilla.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철성 총의치는 비교적 경제적인 장점이 있지만, 불편한 착용감과 낮은 저작효율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반면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은 안정성이 높지만 다수의 임플란트가 필요하고 수술적인 위험이 있으며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임플란트 보철학이 도입되면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 피개의치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해졌다. 잔존 치조골이 충분한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이 가장 효과적인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잔존 치조골이 부족하여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능하거나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 소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는 임플란트를 통해 지지를 얻고 부가적인 부착장치로 유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의치로 안모를 회복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양쪽 구치부 임플란트 통증 및 저작시 불편감으로 내원하였으며, 심한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다수의 임플란트를 발거 후 상악은 양쪽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재식립하여 milled-bar에 부착장치로 유지력을 얻은 피개의치를 제작하였고, 하악은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 후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치료가 완료된 후 10개월간 경과관찰 결과 의치의 파절, 유지력 상실 등 임상적으로 이상이 없었으며 방사선학적으로도 초진시와 유사한 골 소실상태를 보였다. 또한 구강위생이 잘 유지되었고 환자도 심미적 기능적 결과에 만족하였다.

      • KCI등재

        기존 임플란트 보철물의 불량한 유지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임플란트 피개의치로의 상부 보철물 전환 증례

        김영규,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大韓齒科補綴學會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1

        Among many contributing factors of implant failure, excessive loading and inflammation contribute mainly to increasing implant failure rate. Especially, poor oral hygiene around implants is one of the most common reasons for implant failure. When implant prosthesis fails to function, the clinician should re-diagnose and plan treatment using the remaining implants. Additional implantation may be needed to make a new type of prosthesis or either implant-assisted RPD and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may be performed using the remaining implants. In this article, a patient whose fixed implant prosthesis in the maxilla had failed of poor oral hygiene maintenance was reported to be recovered with removable implant overdenture by using remaining implant abutments and a milled bar with additional retentive elements. Through this treatment, the clin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terms of esthetics, masticatory function recovery and oral hygiene management. 임플란트 실패의 경우에서 과도한 하중 및 염증이 실패율을 높이는 대표적인 원인이 된다. 특히, 임플란트 주변의 불량한 구강위생은 임플란트 실패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실패가 발생할 경우, 임상의는 남은 고정체를 사용하여 재진단하고 평가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하여 새로운 보철물을 만들거나 남은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의치 및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 무치악부를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로 수복한 후 구강위생관리가 불가하여 임플란트 보철물 실패한 환자에서 잔존 임플란트의 지대주 및 부가적인 유지 장치를 장착한 milled bar를 이용하여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전환하여 치료하였고 심미성과 저작기능, 지속적인 유지관리 면에서 장기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이동환,류재준 대한치과보철학회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4

        전통적인 총의치와 비교했을 때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2개의 임플란트로도 좋은 지지와 유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할 때는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2개의 임플란트를 교합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견치 자리에 서로 평행하게 식립해야 피개의치의 장기적인 예후에 좋다. 하지만 무치악 환자에서 2개의 임플란트를 올바른 위치에 식립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이 때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다면 보철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본 증례는 57세 남환으로 치주질환으로 인해 상, 하악의 모든 치아가 발거된 상태로 본원에 내원했다. 이에 상악은 전통적인 총의치, 하악은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ompared with traditional full dentures,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have the advantage in that good support and retention can be obtained even with two implants. When manufacturing a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using two implants, it is important to place the implant in the correct position. The long-term prognosis of overdenture is good when two implants are placed in the direction vertical to the occlusal plane and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canine posi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place two implants in the correct position in edentulous patients, and if you use surgical guides in these cases, you can get help in placing the implants in a prosthetically advantageous position. This case, a 57-year-old male patient, came to our hospital with all upper and lower teeth removed due to periodontal disease. Therefore, the maxilla was restored with a traditional full denture and the mandible was restored with an implant overdenture using two implants, which resulted in satisfactory functional and esthetic results.

      • KCI등재

        상악 편측 소수 잔존치에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수복 증례

        윤이나,김현아,박상원,박찬,장우형 大韓齒科補綴學會 202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9 No.4

        소수의 잔존치가 존재하는 경우 소수의 임플란트를 추가적으로 식립하여 의치의 유지, 지지, 안정을 확보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및 피개의치의 성공적인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임플란트를 포함한 지대치에 가해지는 측방력을 최소화할 경우 의치의 수평적, 회전적 움직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의치의 탈락 및 안정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주소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증례는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상에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제작하고 하악에 Locator® attachment를 통해 의치의 유지, 안정, 지지를 개선하였다. 임상 관찰에서 환자가 최종 의치 장착 후 기능적, 심미적 면에서 모두 만족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uccessful cases of the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overdentures are reported in which a few implants are additionally placed to secure the maintenance, support, and stability of the denture when there are a few residual teeth. When the lateral force applied to the tooth abutment and implant surveyed crown is minimized, the horizontal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denture is significantly reduced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that can improve the address in patients who complain of reduced retention and stability of their dentures. In this case, a small number of implants were placed to fabricate an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 surveyed crown in the maxilla and implant overdenture with Locator® attachment in the mandible to improve the retention, stability, and support of the dentures.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both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after the final dentures were delivered.

      • KCI등재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Milled Bar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반민희,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신진호,박찬,Ban, Min-Hee,Yang, Hongso,Park, Sang-Won,Lim, Hyun-Pil,Yun, Kwi-Dug,Shin, Jin-Ho,Park, Ch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3

        Long-term alveolar bone resorption in edentulous patient causes difficulty in denture use. Applying an implant overdenture with 2 to 4 implants to edentulous patient is easily approachable. Moreover, it improves denture stability, support, and retention. Milled bar, the attachment used in implant overdenture, can be used to induce better stability and retention to the supporting structure than conventional bar. It has become convenient to use due to the development of CAD/CAM system which had allowed the simplification of dental techniques. In this cas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maxillary full denture and mandibular overdenture made of CAD/CAM milled bar with 4 impla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the patient who had used upper and lower full dentures for a long time. 무치악 환자에서 치아 상실 후 오랜 기간에 걸친 치조골 흡수는 의치의 사용을 어렵게 한다. 하악 무치악 환자에게 두 개 혹은 네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하는 방식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의치의 유지, 지지와 안정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중에서 milled bar는 기성 bar보다 상부 구조물의 견고한 안정성과 충분한 유지력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CAD/CAM system의 발달과 함께 기공과정이 간소화되어 이용이 용이하게 되었다. 본 증례는 오랜 기간 상, 하악 총의치를 사용했던 환자에게 상악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한 총의치와 하악에 네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CAD/CAM milled bar를 이용해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한 환자에서 실패한 임플란트 부착장치들의 원인과 이중관 임플란트 피개 의치의 적용

        권재욱,조진현,Kwon, Jae-Uk,Cho, Jin-Hy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4

        본 증례의 환자는 약 10여년 전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Gold Hader bar 하악 임플란트 피개 의치로 수복하였고, 3년 6개월의 사용으로 인한 bar의 심한 마모로 유지력을 상실하였다. 이를 Locator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하악 피개 의치를 수리하였으나, Locator 사용 6년 6개월 후 male 부위가 완전히 닳은 상태로 내원하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하이브리드 이중관(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 의치를 새로 제작하였고, 이를 2년동안 관찰한 결과 우수한 예후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한 환자에서 2가지(Gold Hader bar, Locator)방법으로 수복한 임플란트 피개 의치에서 각 부착장치의 실패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중관 피개 의치의 장단점과 성공을 위한 조건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In this case, the patient was restored with gold Hader bar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using two implants about 10 years ago, and the retentive force was lost due to severe wear of the bar due to 3.5 years use. The overdenture was repaired using a Locator attachment, but the male part was completely worn after 6.5 years use. Finally, we used a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a friction pin to fabricate a new implant overdenture, which was observed for 2 years and showed excellent prognosis. So, we describe the cause of failure of each attachment (Gold Hader bar, Locator) in two implant overdentures and report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ouble crown implant overdenture and the conditions for success.

      • KCI등재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CM LOC<sup>®</sup> Pekkton<sup>®</sup>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 수복 증례

        홍문기,신수연,Hong, Mun Gi,Shin, Soo-Yeon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17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33 No.4

        무치악은 총의치나 임플란트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하며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는 총의치보다 유지와 안정이 우수하고,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저렴하고 심미적이다. CM $LOC^{(R)}$ $Pekkton^{(R)}$ 어태치먼트는 여자부가 poly-ether-ketone-ketone으로 마모저항성이 뛰어나다. 한편, SR Ivocap system은 가압주사성형법으로 의치의 수직고경 변화가 적고 강도가 우수하다. 본 증례에서 상악은 4개의 임플란트 식립 후 CM $LOC^{(R)}$ $Pekkton^{(R)}$ 어태치먼트와 SR Ivocap sy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를, 하악은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고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reatment options for edentulous patients are complete denture and implant prosthesis. A two implant-retained overdenture can be considered the first treatment in the edentulous mandible, but there is no clear consensus of treatment for edentulous maxilla. Implant-retention/support overdenture shows better retention and stability than complete denture and is less expensive and more esthetic th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CM $LOC^{(R)}$ $Pekkton^{(R)}$ attachment is a solitary type attachment and evaluated to have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retention with a female part made of poly-ether-ketone-ketone. Meanwhile, SR Ivocap system is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discussed to show few changes in the vertical dimension of denture and have excellent fracture resistance. In this case, we restored maxillary arch with a four implant-retained overdenture using CM $LOC^{(R)}$ $Pekkton^{(R)}$ and SR Ivocap system, and mandibular arch with a removable partial denture. Through this procedure, satisfactory outcomes were achieved both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 KCI등재

        불량한 식립 방향을 갖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하악 Milled Bar 임플란트 피개의치수복 증례

        서용호,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Seo, Yong-Ho,Jeon, Young-Chan,Jeong, Chang-Mo,Yun, Mi-Jung,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4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전통적인 총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 및 저작능력, 환자의 만족도를 보인다. 특히 골흡수가 심한 하악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서는 우선되는 치료방법으로 고려된다.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한 attachment에는 임플란트간 연결된 bar type과 연결되어있지 않은 solitary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solitary type의 경우 임플란트간의 평행관계가 중요하며, 임플란트간의 평행관계가 불량한 경우 attachment의 마모 및 유지력 감소로 유지관리를 내원횟수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평행하지 못한 두 개의 하악 임플란트 식립 환자에서 milled bar를 이용하여 제작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Implant overdenture exhibits higher retention, masticatory function, and patient's satisfa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dentures. Particularly, in treatment of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implant overdenture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treatment option. The types of attachments used for implant overdenture can be classified into solitary type, which implant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ar type in which implants are connected. In the case of solitary type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e, parallel relationship is important. When it is not established, there is a higher risk of attachment wear, retention loss, and frequent visits for maintenance. In this case,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obtained with implant overdentures using milled bar on two unparallel implants placed on the mand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