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천국제공항 문화예술사업의 국내·외 이용객 만족도와 경쟁요인 분석

        권병웅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5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cultural performance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 acknowledged b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sitors. The period for this research was from June 30th 2011 to June 29th 2012 (365 days). The contents wer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place, time, and contexts of performances and charming point of the airport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The survey is conducted at both first floor and duty free zone, with four different languages; Korean,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here are two types of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mparison analysis to know the difference among places and respondents. For comparison analysis, we conducted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s a result, male respondents satisfied more than female ones toward the place, time,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Moreover, respondents from English language region satisfied more than those from the rest of regi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satisfaction rate was very high as it showed 81% from duty free zone and 81.83% from first floor. About the question of asking whether visiting the airport or not, 89.1% from duty free zone and 90.06% from first floor answered positively, which reveals the high satisfaction of visitors. Visitors pointed out the modern buildings, easiness of departure/arrival procedure, and various performances as charming points of the airport. This means performances at this airport take greater part in visitor’s satisfaction than convenient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question of how much the performances influence the value and positive acknowledgemen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86.7% from duty free zone and 84.51% from first floor answered they influence a lot. Regarding this result, the most positive result was from English language users, and the rest goes Korean, Japanese, and Chinese in order. We can conclude that the performances at this airport serve as increased value and acknowledgement of airport, increased revisiting and connecting rates, and overall satisfaction towar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shows the power of this industry in global airport. As it reveals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s rather than other facilities or servic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eeds to develop this field more so that it can be a Culture Por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국내・외 공항이용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인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의 수행기간은 2011년 6월 30일~2012년 6월 29일(365일) 기간이다. 조사내용은 공연장소, 공연시간, 공연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공항의 브랜드가치 상승에 대한 문화예술사업의 기여도, 재방문의사, 공항의 매력요소 등이다. 설문지 구성은 국제공항의 이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1층과 면세구역으로 장소를 분리하였고, 설문조사는 4개의 언어권(한국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영어권)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만족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연장소, 공연시간, 공연내용에 대해서 국내·외 방문객 중 ‘여성’ 보다는 ‘남성’이 더 만족하였다. 언어권별로는 ‘영어권’에서 타 언어권 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외 공항이용객의 문화행사 만족도는 면세구역이 81%, 1층구역이 81.8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방문형태와 상관없이 문화행사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인천공항 재방문 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면세구역은 89.1%, 1층구역 90.06%가 적극적으로 응답하여, 인천공항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았다. 인천공항의 매력포인트 요인으로는 ‘현대식 건물’과 ‘입출국 절차의 간소함’에 이어서 세 번째 만족요인으로 ‘즐길거리(문화공연 등)’ 순으로 문화행사를 지목하였다. 이는 편의시설과 직원서비스 요인 보다 문화행사가 인천공항 이용객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고있음을 이미한다. 문화행사가 인천공항 브랜드가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면세구역 86.7%, 1층구역 84.51%가 공항의 브랜드가치와 인지도 상승에 문화행사가 크게 기여하는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이 점과 관련하여 가장 높은 호응을 보인 언어권은 영어권(43.1%)이며, 이어서 한국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공항의 브랜드가치 제고, 재방문 및 환승율 제고, 그리고 인천공항 이용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인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글로벌 공항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의 시사점은 인천국제공항의 글로벌 공항경쟁력은 편의시설과 직원서비스보다도 문화예술사업의 만족도로부터 크게 힘을 얻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향후 인천국제공항은 문화예술사업을 더욱 강화하여 문화공항(Culture Port)으로서의 비전을 더욱 실현해 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천시민의 정신건강·복지서비스 인지도에 대한 연구

        김혜미,허선영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7 No.-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with an aim to examine the Incheon residents’ awareness on mental health social work service agencies. While service awareness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leading to service utilization, studies focusing on service awarenes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are limited. In particular, not much is known about the service awareness among Incheon residents even though mental health needs and problematic indices are highly noticeable in Incheon City. With an objective to assess the awareness lev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1,000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ervice awareness had increased, and that residents were well aware of ‘Suicide Prevention Center’ and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In comparison, a less number of people had knowledge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a central mental health service agency, indicating a need for more active and diversified advertisement tacts to reach a larger community.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천시민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정신건강·복지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및 인지도에 관련된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인천시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인천시민의 경우 우울감 경험률, 음주율, 스트레스 경험률, 자살사망률 등 다수의 정신건강 지표에서 취약하며, 국내 다른 지역주민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정신건강·복지서비스에의 접근성 향상 및 이용률 제고를 통해 인천시민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 지역사회의 정신건강·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서비스 이용의향과 행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신 건강 증진에 있어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시민의 정신건강·복지서비스 인지도 및 이에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000명의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민의 정신건강 수준은 취약한 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2013년 인천시 실태조사의 결과에 비해 전반적으로 정신건강·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높아졌으며, 특히 자살예방센터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편이었다. 반면 정신건강·복지서비스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인지율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 지역사회 내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인천광역시 투표율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이준한(Lee, Jun-ha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인천학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인천 투표율에서 관찰되는 특징을 찾아보고 그 요인을 규명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1987년 민주화 이후 실시된 모든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로 연구의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또한 이 연구는 보다 통계적인 분석을 가하기 위하여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통계청, 인천시가 수집한 투표율 등 각종 집합자료를 이용한다. 연구결과 1987년 이후 실시된 모든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에서 인천의 투표율이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저조한 편에 속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 요인으로 인천에는 상주인구 비율이 절대값상 100% 에서 가장 먼 편에 속한다는 사실이 놓여 있다. 또한 인천 내의 구별로 보았을 때 인천에서는 서울에서 가까울수록 투표율이 낮았다. 그리고 인천의 구별 인구이동률과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도 인천 유권자의 투표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This essay ascertains the characteristics of voter turnout and explains the factors determining voter participation in the Greater Incheon. This study includes all the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held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In doing so, this essay employs various aggregate data collected by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first, that voter turnout has always recorded the lower rates in Incheon than any other major cities and provinces. Regionalism is the weakest and the proportion of the permanent residence is the lowest in Incheon. Secondly, voter turnout tends to be lower, as the district is closer to Seoul. Population mobility is higher in the Incheon area that is closer to Seoul and those who reside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even more in the Incheon area near Seoul than their counterparts.

      • KCI등재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법 연구

        장윤이(Jang Yun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0 No.-

        한국의 근현대 시대상을 반영하던 인천 지역에는 역사기록물을 포함한 각종 형태의 근현대 문화유산이 산재되 어 있다. 그에 따라 인천의 지역성,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근현대 문화유산이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은 기관별로 수집하여 관리, 보존하며 기관의 설립목적에만??부합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문화유산 범주 내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을 위하여 문화기관??협력을 통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엄청난 분량과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근현대 역사기록물을 재가공하여 반영구적 보관이 가 능하게 하는 것을 넘어 인천의 근현대 역사와 문화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여 지역 시민의 정체성 함양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방법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한다. 먼저 초기단계로서 기록화의 목적과 범주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전문적 실무팀과 자 문위원 구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어 실제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 파악을 위하여 인천광역시립박물관과 인천 광역시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의 소장현황과 관리 실태를 논의한다. 이어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디 지털화와 표준화를 위해서 문화재청에서 문화유산 관련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기록화 사업의 표준화를??위해 제시한 가이드를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메타데이터??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메타데이터를 기능에 따라 비교, 분석 후 매핑하는 방식을 취하여 참조테이블을 작성한 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내용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정책, 기술, 예산 인력 등의 협의가 기반이 되어야 가능할 것이 며, 그러한 기반은 인천시청과 같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의 기록 보존과 시민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필요한??것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가능한 일 것이다. 본고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밑그림을 제시하고, 그 필요성에 대 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연구이다. Various type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including archives are spread in Incheon which reflected the??phases of the modern times. Along with this, it is needless to say that modern cultural heritage has an??important value in order to establish the locality and identity of Incheon. Presently modern historical??archives in Incheon have been collected, managed and preserved by each institute and used in accordance??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discuss the method of Digital Archive??construction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cultural institute for modern archives in Incheon in the range of??cultural heritage. Digital Archives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regional citizens' identity cultivation by utilizing it as the??field of education on modern history and culture of Incheon surpassing the purpose of enabling semi- permanent storage of modern archives through reprocessing them which have a huge quantity and various??types. This thesis suggests the model of modern archives' digital archive in Incheon, and to do so, suggests the??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irst, it concretely defines the purpose and the range of documentation as??the initial stage, and discusses the composition of professional practical work group and consultant group.??Also, in order to grasp actual modern archives in Incheon, it discusses current status of possession and??management of Incheon Metropolitan Museum and Incheon Hwadojin Library rural·port opening cultural??material center. And in order for modern archives to be digitalized and standardized, it applies the guide??which was suggest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documentation project which is progressed individually by??the institute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Incheon modern historical??archives. Lastly, a crosswalk is composed by taking the method of mapping after comparing and analysing??the existing meta data along with the function for metadata design of Incheon modern archives. However, in order for such contents are materialized, the establishment of discussion on the policy,??technology, budget, manpower, etc. should be prepared, which establishment can be possible when the??local government as Incheon acknowledges that it is necessary for regional record preservation and??citizens' identity establishment. This thesis suggests a sketch for digital archive establishment, and intends??to give an awareness of its necessity.

      • KCI등재

        해방~한국전쟁기 인천 지역 월남민의 정착과 네트워크 형성

        이세영(Lee, Se-yo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0 No.-

        이 글은 해방~한국전쟁기 남한으로 내려온 월남민들의 정착과정을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천은 해방 직후부터 다수의 월남민들이 거쳐가거나 머무른 도시였다. 한국전쟁 이전에는 평안도민들의 월남이 많았고, 전쟁 와중에는 황해도민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해방 정국기, 평안도민을 위주로 한 월남민들은 인천의 좌우 대립을 적극적으로 주도하였다. 우익 청년단 활동을 통해 월남민들은 대한민국에 대한 자신들의 ‘충성’을 증명하였으며 인천에 정착할 근거를 확보해 나갔다. 평안도민들은 종교와 교육의 두 분야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켜 나갔다. 한말 이래 평안도민에게 기독교는 곧 근대문명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평안도민 정체성의 근원이었다. 이들은 인천에 발을 디딤과 동시에 장로교회를 설립하고, 교회 인맥에 기반하여 교육 사업을 벌려 나갔다. 한국전쟁의 발발과 전황의 급변 속에서 다수의 월남민이 발생하였다. 인천에는 생활기반을 잃은 다수의 황해도민들이 유입되었다. 황해도민들은 생계를 꾸리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하였다. 다행히 인천은 경제적 활력을 지닌 도시였다. 황해도민들은 인천의 상권을 장악하였고, 전쟁 이후 들어선 미군기지를 통해 생계를 해결하기도 하였다. 황해도민 다수는 전쟁 기간 유격대로 참전하였다. 3년여의 비정규전 경험은 강고한 반공주의의 기반이 되었다. 해산과 동시에 이들은 대개 인천에 들어왔고, 이들의 유격대 경험은 황해도민들의 집단기억으로 승화되었다. 인천의 황해도민들은 이른 시기에 동향 조직을 만들고 현재까지도 강한 결속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들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은 바, 그들의 마음 속에는 피난과 전투, 정착의 고난이 여전히 쳇바퀴처럼 돌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refugees who came to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period, mainly in the Incheon area. Many refugees passed by or stayed in Incheon after the liberation. A lot of Pyungan-do inhabitants came in before the Korean War, while the people of Hwanghae-do flowed in during the war. Prior to the war, the Pyungan-do people—i.e., the right-wing youth organizations—proved their loyalty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secured grounds for settlement in Incheon. They maintained their identity in the two areas of religion and education. Upon arriving in Incheon, they established a Presbyterian Church and launched educational projects based on church connections.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sudden change in the front line drew in a large number of refugees. Many Hwanghae-do residents fled to Incheon. Although they were poor, Incheon was a city with economic potential. They took control of Incheon s commercial areas. Many of the Hwanghae-do people participated in the war period as irregular military forces. The experience of three years of irregular warfare formed a basis for strong anti-communism. As they were discharged, they usually settled in Incheon, and their guerrilla experience was sublimated into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Hwanghae-do people.

      • KCI등재

        인천의 무투표 당선에 대한 비교연구

        이준한(Junhan Le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4 인천학연구 Vol.40 No.-

        이 논문에서는 1991년 이후 모든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인천의 무투표 당선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이 논문에서는 인천의 무투표 당선이라는 현상을 다른 광역시도의 무투표 당선과 횡단면적으로 비교하고 또한 시계열적으로 추세를 추적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단체장 수준을 포함하여 광역의회의원과 기초의회의원 수준의 무투표 당선의 특징을 비교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의 무투표 당선에 대하여 비교한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중요하게 발견한 것은 첫째, 인천에서 무투표 당선은 대체로 인천 안에서 비교적 정체성이 강하거나 정당의 경쟁력이 강한 곳에서 발생했다. 인천과 비슷하게 전국적으로도 무투표 당선은 대체로 지역주의가 강한 호남과 영남에서 목격된다. 다시 말해 역대 구·시·군의 장선거나 지역구 광역의회의원선거에서 무투표 당선자는 지역주의가 강한 광역시도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했다는 것이다. 둘째, 횡단면적인 비교에 더하여 시계열적인 비교의 측면에서 볼 때 인천의 무투표 당선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한다는 증거를 찾기 쉽지 않았다. 2006년부터 인천의 지역구 지방의회의원의 무투표 당선자가 급감한 것은 다른 어떤 요인보다 유급제 도입 등 제도개혁의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무투표 당선 추세는 일본의 무투표 당선이 기복 없이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와 다르다고 하겠다. 셋째, 중선거구제는 인천에서 무투표 당선을 급격하게 줄여주는 효과를 낳았다. 인천은 물론 다른 광역시도에서도 중선거구제가 2006년 기초의회의원선거부터 도입되었는데 그 이후 무투표 당선 사례는 대체로 그전에 비하여 크게 감소했다. 넷째, 인천에서 기초의회의원 비례대표의 무투표 당선은 2006년 강화군에서 1명, 2012년 강화군과 옹진군에서 1명씩, 남동구에서 2명 나왔다. 전국적으로 보면 구·시·군의회의원선거 비례대표 무투표 당선의 사례는 지역주의가 강한 부산, 대구,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서 많이 발생했다. 그리고 시계열적으로 볼 때 구·시·군의회의원선거 비례대표 무투표 당선의 사례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 비례대표의 의원 정수가 커질수록 무투표 당선은 점차 감소했다. 다섯째, 역대 구·시·군의회의원선거에서 비례대표의 무투표 당선이 지역구에 비하여 더 많았다. 구·시·군의회의원선거에서 비례대표 무투표 당선은 제4, 5, 6, 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에서 지역구 무투표 당선보다 훨씬 많았다. 그런데 2022년 지방선거에서는 그 흐름이 역전되어 빈도에 있어서 비례대표(63명)보다 지역구(144명)에서 무투표 당선이 더 많이 발생했다. 하지만 여전히 비율적으로는 2022년 지방선거에서도 비례대표의 27.8%가 무투표 당선되었고 지역구의 13.9%가 무투표 당선된 것으로 집계된다. 일반적으로 비례대표제도에서 무투표 당선이 적은 것이 보편적인데 그 반대의 결과가 목격된 것이라고 하겠다. This essa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uncontested elections in Incheon since the 1991 local elections. This piece also compares the features and changes in the uncontested elections in Incheon with other major cities ever since the first local elections. In doing so, this study emphasiz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uncontested seats between the two different levels of local elections (metropolitan councils and others). In addition, this research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uncontested elections between the proportional members and constituency members of the local council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contested elections are likely to occur in the areas with strong party competetiveness in Incheon. For example, a conservative party won the seats in the areas of Ongjin without any challengers. Likewise, uncontested elections are more likely to be observed in the Honam and Youngnam areas where the Korea’s unique voting behavior of regionalism is very strong. Second, it is not suffice to say that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is increasing in Incheon as time passes, from a time-series perspective. The number of uncontested electio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006 local elections and then skyrocketted in the 2022 local elections. In 2006, the introduction of a paid system for the council members would have changed the pattern of local elections with other major institutional reforms. Third, the multi-member system has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in Incheon. The multi-member system was firstly introduced in the 2006 local elections. Since then,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has drastically decreased in Incheon. Finally, it appears that uncontested seats for the proportional members are observed in many part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n the other hand, uncontested seats for the proportional members are more likely to emerge in the Honam and Youngnam areas where the regionalism is evident. And uncontested seats for proportional members are increasing as time passes. However,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proportional members.

      • KCI등재

        인천 민요의 성격 변화 -구전전통에서 공연예술로의 변화-

        홍태한 실천민속학회 2025 실천민속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인천 민요를 중심으로, 구전전통에서 공연예술로 변화하는 민요의 모습을 살핀 글이다. 현재 인천에는 5종목의 민요가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그런데 민요의 배경이 되는 생활이 사라지면서 민요는 전승 환경과 무관한 노래가 되었고, 이는 전통지식의 소멸로 이어져서 노래말에 기록된 다양한 전통지식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채 노래를 부르는 지경에 이른다. 인천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민요가 이러하다. 민요의 전승 기반이 사라지고, 생업 경험이 전혀 없는 이들이 민요의 전승자가 되면서 민요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를 알지 못하게 된다. 민요를 ‘생활의 필요에 의해 전통사회에서 부른 노래, 노동요와 의식요, 유희요가 대표적인 갈래’라고 정의한 기존 개념의 민요는 인천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전승환경과 전통지식을 바탕으로 우리 생활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전승되다가 노래말과 노래가락 중심으로 무대 위에서 부르는 노래’로 재정의되어야 하는 것이 인천 민요의 실상이다. 이러한 흐름이 인천 민요의 재생산에도 영향을 주어 민요가 아닌 노래들이 민요라는 이름 아래에 등장하고 있다. 인천의 역사 문화와 무관한 아리랑이 인천아리랑으로 재탄생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인천에서 민요가 공연예술로 방향을 잡으면서 무형유산은 그러한 흐름에 일조를 한다. 지정될 당시에 이미 전승환경이 사라진 노래여서 민요로서의 정체성은 확립되기 어려웠다.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민요 종목의 기록화 도서에는 전승환경에 대한 충실한 내용이 사진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것이 민요로서의 정체성이나 가치를 보여주기에는 부족했다. 민요가 공연물이 될 수도 있다는 인식을 주었다. 그래서 인천 무형유산 지정된 민요 종목이 현재 전승되는 인천 민요의 전부이므로 민요의 공연성을 강화하는 쪽으로 민요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었다. 무대 위의 공연예술로 존재하는 것이 인천 민요의 실상이라면, 민요의 개념까지 새롭게 적응시켜 나가면서 새로운 민요까지 수용하는 것이 민요를 살리는 길이 될 수도 있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folk songs from an oral tradition to a performing art, focusing on Incheon folk songs. Currently, five kinds of folk songs have been designated and handed down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Incheon. However, as the lives that were the background of folk songs disappeared, folk songs became unrelated to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were being passed down, and as this led to the dissolu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it came to a point where people were singing without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the diverse traditional knowledge recorded in the songs. Folk song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Incheon are like so. The foundation for passing down folk songs has disappeared, and those who have no working experience have become the transmitters of folk songs, so the various meanings of folk songs go unknown. Folk songs of an existing concept and defined as ‘songs sung in a traditional society following the necessities of life with labor songs, ritual songs, and play songs as representative branches’ do not exist in Incheon. The reality of Incheon folk songs is that they should be redefined as ‘songs that used to be passed down with a close connection to lives based on traditional knowledge and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were passed down and which are now sung on stage focusing on lyrics and melodies’. This trend also affected the reproduction of Incheon folk songs, and songs that are not folk songs have been appearing under the name of folk song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Arirang, which is not related to Incheon’s historical culture, being reborn as Incheon Arirang. As folk songs moved towards being a performing art in Inche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ntributed to this trend. As they were songs that no longer had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were passed down at the time of their designation,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folk songs. In documented books of folk song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ntents faithful to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were passed down were recorded as photographs, but this was insufficient in showing their identity or value as folk songs. They gave the perception that folk songs could be performances. Therefore, as folk song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Incheon are the only folk songs of Incheon that are currently being passed down, perceptions of folk songs have been established to reinforce the performance of folk songs. If reality shows that Incheon folk songs exist as a performing art on stage, newly adapting the concept of folk songs while accepting new folk songs may be the way to save folk songs.

      • KCI등재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활용한 인천광역시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고현종(Ko Hyeon-j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4 인천학연구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제급 행사로 격상하여 추진하려는 인천광역시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활용한 인천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크투어리즘의 개념적 정의와 연구관점, 인천상륙작전의 배경과 역사적 의의, 관내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관광 자원으로써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 활성화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통합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본 연구는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에 관한 연구를 처음으로 수행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었다. 둘째,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게 검토했음에 그 의의가 있었다. 셋째,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권역별로 구분하고 주변 관광 명소들과 연계한 관광 상품 개발(안)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음에 그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 첫째, 기존 문헌과 사례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연구의 일반화 및 수치화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를 수행하여 보완한다면 이론적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의 개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으나 이를 위한 홍보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여 수행한다면 이론적 확장뿐만 아니라 ‘평화와 화합으로 만드는 초일류도시 인천’의 이미지 구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Incheon Metropolitan City’s goal of elevating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commemorative event to an international level. To achieve this, the study proposes a plan for activating tourism in Incheon by utilizing the assets of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s. The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research perspective of dark tourism,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It also explores ways to activate Incheon’s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as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acti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being the first to conduct research on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econd, it holds importance in the in-depth examin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Third, the study distinguishes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by region and proposes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plans for tourism products linked to nearby tourist attract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was conducted primarily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cases, limiting the general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research. Therefore, future research that addresses these limitations through quantitative studies could contribute to theoretical expansion. Second, while the study presents development and activation plans for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it does not provide specific promotional methods. Thus, future research that addresses this aspect could not only contribute to theoretical expansion but also greatly contribute to building the image of “Incheon, a first-class city created through peace and harmony.”

      • KCI등재

        개항장 인천에서 저술한 한국어 학습서의 저자 및 편찬 배경

        이숙(Lee Soo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5 No.-

        이 논문의 목표는 구한말 개항장 인천에 기거하면서 한국어 교재와 사전을 만들었던 서양인들이 누구인지를 소개하고, 그들이 만든 책들의 특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스콧은 기독교 선교사들보다 먼저 인천에 들어와 외교관 생활을 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서양인들이 인천을 통해 물밀 듯 들어올 것이고, 이들이 가장 먼저 필요로 하는 것이 한국어를 배우는 일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는 영국 해군으로부터 신식 인쇄 설비를 지원받으며 일찌감치 한국어 문법서와 사전을 집필하여 초기 서양인들의 한국어 학습에 큰 도움을 주었다. 감리교가 인천을 선교의 거점으로 선택하면서, 감리교 선교사였던 존스 부부는 인천에 기거하였는데, 이들 부부는 특히 여자와 어린 아이들을 위한 소학교 교육을 위해 인천에 영화학교를 세우고, 순 한글로 된 책들을 연이어 집필하여 교재로 사용하면서 근대식 소학교 교육이 인천에서 자리잡게 되는 큰 역할을 하였다. 감리교가 인천에서 영화학교를 세우고 교육 선교에 중점을 두었다면, 성공회는 인천에 누가병원을 세우고 의료 선교에 헌신하였다. 성공회의 카덴 목사가 지은 한국어 회화책에는 주민들과의 원활한 소통에 필요한 일상 회화문이 실려있다. 이런 연유로 회화문에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개념들과 인천 주변의 천문 지리적 표현들이 많이 나타난다. 인천항은 서양인들의 관문 역할에만 머물렀던 곳이 아니라 서양인들이 정착하여 지역인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면서 문명의 꽃을 피웠던 장소였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westerners who lived in Incheon, an open port,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 centuries and wrote Korean-related book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ooks. Scott came to Incheon prior to Christian missionaries and lived as a diplomat, knowing that westerners would rush in through Incheon in the near future, and that the first thing they needed was to learn Korean. He wrote Korean grammar books and dictionaries using printing equipment installed on naval vessels anchored at Incheon Port, which greatly helped early Westerners learn Korean. When Methodist chose Incheon as the base of missionary work, Mr.&Mrs. Jones, Methodist missionaries, lived in Incheon,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women and young children, and wrote books in Korean script and used them as textbooks. While Methodists established Yongwha school in Incheon and focused on educational missions, the Anglican Church established a Luke Hospital in Incheon and devoted itself to medical missions. The Korean phrase book, written by Pastor Carden of the Anglican Church, contains daily conversation required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For this reason, many concepts and astronomical and geographical expressions around Incheon applied in his phrases. Incheon Port was not only a gateway to Westerners, but also a place where Westerners settled down and actively interacted with local residents.

      • KCI등재

        대중영상매체를 통해 나타난 인천의 이미지 그리고 문화콘텐츠

        김호연(Kim Ho yoe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이 연구는 영상, 특히 영화, 드라마 속에 나타난 인천의 모습이 어떻게 형상화되었고, 그 영상을 통해 어떠한 의미 를 가지고 문화콘텐츠로 생성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천은 서울, 경기, 부산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280여 만 명이 살고 있는 거대 도시로 경제 규모 등 여러 면에서 한 국의 중추 도시로 자리한다. 게다가 역사적으로도 근대 문화의 입구임과 동시에 인천공항과 송도신도시 등을 통해??새로운 열림의 공간으로 현대사회에서도 큰 의미를 지니는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에 대한 이미지는 그리??뚜렷하지 않거나 편협한 인상만으로 인식되는 듯 한 아쉬움이 남는다. 자족적인 능력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서울 의 베드타운으로 인식되거나 프로야구 삼미슈퍼스타즈나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에서 내포된 소외 의식 같은 기 호로 고정화되는 등 인천의 이미지는 단편적인 면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인천의 이미지는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인천공항의 안정적인 정착과 더불어??동아시아 허브공항으로 능력을 발휘하였고, 송도신도시가 새로운 랜드마크로 등장하면서 인천의 모습은 조금씩??역동적인 이미지로 변화하였다. 게다가 인천을 배경으로 한 영화, 드라마가 한류의 흐름과 함께 문화콘텐츠의 공 간으로 등장하면서 생산적인 기억의 장소가 하나둘씩 늘어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연구에서는 영상, 특히 영화, 드라마 속에 나타난 인천의 모습이 어떻게 형상화되었고, 생산적인??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기억의 장소로 또는 문화콘텐츠로 표상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aspects of Incheon were embodied in video, especially in??movies and dramas, and what meanings it had in such videos to be created as cultural content. Incheon follows Seoul, Gyeonggi Province, and Busan in terms of population with 2.8 million residents. It has??grown into one of the pivotal cities in South Korea in many different areas including the size of economy as a??metropolis. Moreover, it was an entrance to modern culture historically and holds huge significance in modern??society as a new place for opening through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Songdo New Town. In spite of??those aspects, however, Incheon leaves some regrets because it has no clear images or seems to have only??narrow impressions. Although it boasts remarkable self-sustaining capabilities, it is regarded as a bed town of??Seoul. It has also been fixed as a sign of alienated consciousness as in the old professional baseball team,??Sammi Superstars, and the movie Take Care of My Cat with its images remaining at the fragmentary level. Entering the middle 2000s, however, its images started to change a little bit. It exerted its abilities as a hub of??East Asia with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ts Songdo New Town also??emerged as a new landmark. As a result, Incheon began to have dynamic images little by little. Furthermore, it??appeared as the place of cultural content in movies and dramas, riding on the Korean Wave. There are more??and more places of productive memory in Incheon. In that sense,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e aspects of Incheon were embodied in video, especially in??movies and dramas, and what productive meanings it had to be represented as the place of memory or cultural??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