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타난 인천시 유권자의 투표 참여

        이재철(Lee, Jaechul)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마치고 실시한 여론조사를 사용하여 인천시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분석하였다. 민주화 이후 인천시의 투표율이 전국의 평균 투표율보다 높았던 선거는 한 번도 없었다. 수도권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는 경우도 항상 낮았다. 논문은 인천시의 투표율이 타 지역보다 끊임없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주제와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았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논문은 인천시 유권자의 행태를 서울시, 경기도의 유권자와 비교하였다. 이들은 비슷한 정치문화를 지니고 있을 것이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 유권자는 서울시, 경기도의 유권자보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정치적 효능감은 반대의 모습을 나타냈다. 세 지역 가운데 인천시 유권자의 정치적 효능감은 가장 낮았다. 둘째, 지지하는 정당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뿐만 아니라 투표를 의무라고 응답한 비율 및 지난 두 차례의 선거에서 투표에 모두 참여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세 지역 가운데 인천시가 가장 낮았다. 셋째, 수도권 세 지역 가운데 인천시 유권자는 중앙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이었고, 평가의 강도도 가장 높았다. 넷째, 수도권에서 투표 참여의 결정 요인은 지역별로 다른 모습을 나타냈다. 인천시의 경우 서울시, 경기도와 다르게 시민적 의무감과 연령은 투표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voter’s behavior in Incheon by utilizing the survey data conducted after the 19th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Since democratic transition in Korea, Incheon’s turnout has been lower than national turnout over time. In addition, it has been always lower than other regions in metropolitan area. However, little systematic effort has been made to analyze the voter’s behavior empirically in Inche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reveals that voters in Incheon are more interested in election than other regions of metropolitan area. However, the city shows the lowest level in political efficacy. In addition, people in the city show the lowest level in party identification, civic duty, and voting experience in metropolitan area. Second, voters in Incheon are the most critical about the government and the evaluation magnitude is the highest. By utilizing the survey data, third, this paper reveals that determinants of voting participation are various across the regions in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해방기 인천 좌익운동가 박남칠 자료 연구

        이성진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인천학연구 Vol.7 No.-

        박남칠은 1902년 인천 용동에서 태어났다. 기독교인 부모를 따라 어렸을 때부터 내리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였다. 아버지 박삼홍(박대여)는 1897년 나인데청년회 창립회원으로 1903년부터 2년간 나인데 청년회 회장으로 활동한 기독교 청년지도자였다. 그의 강한 민족의식은 1907년 영화소학교에 군악기와 소총을 기증하여 군사교육을 통하여 국권회복 하고자 하는데서 잘 나타난다.?? 박남칠도 아버지의 강직한 성격을 그대로 닮아 강한 민족의식과 더불어 물려받은 미곡상을 운영하는데도 상도덕을 엄격하게 지켰다. 또한 영화소학교에 다니는 가난한 학생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학교에 기부금을 내는 등 교육자선가로 활동하였다.??박남칠은 1920년 대 후반부터 내리 엡웟청년회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인천 기독교 청년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1927년 내리교회에서 개최한 특별대전도회에 참석하여 기독교 사회주의를 처음 접하고 이에 심취되었다. 그래서 교회 중심의 청년 신앙활동에서 벗어나 인천 지역 빈민을 구제하는 실천적 기독교 청년운동을 하였다.?? 또한 1933년 기독교인이었던 여운형의 2차례 인천지역 시국강연회는 박남칠을 비롯한 기독청년들이 기독교 사회주의자가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여운형을 추종하게 되었다.??1935년부터는 내리 조선소년척후대 대장을 하면서 청소년 운동지도자로 활동하였다. 척후대원들에게 인천지역 각종 행사에 참석하여 봉사하도록 하였으며. 하나님과 국가에 대한 책임과 남을 위한 봉사를 통하여 몸과 마음을 남을 도와주기 위해‘준비’ 모범 소년척후대로 발전시켰다.?? 박남칠은 사업가로서도 크게 성공하여 미곡상에서 정미소를 운영하는 신흥 청년사업가로 주목받았다. 쌀 정량을 속여 파는 당시의 폐습을 쇄신하고자 정량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빈민을 위한 구제사업에도 적극 참여하는 존경과 신뢰를 한 몸에 받았다.?? 일본인들도 박남칠의 위상을 새롭게 인식하여 일본인 상공인을 위하여 세운 인천상공회의소에 김용규와 함께 조선인 평의원으로 활동하도록 할 정도였다.?? 또한 1938년 인천 미곡상 조합을 책임지는 조합장으로 선출되어 그 당시 잘못된 미곡상들의 부도덕한 상거래 질서를 바로 잡는 운동을 전개하여 인천 지역 서민들로부터 많은 호응과 찬사를 받았다. 박남칠은 어렸을 때부터 친분을 갖고 있던 대표적 좌익인물인 이승엽을 인천미곡상조합 사무장을 채용하여 해방기에 200명의 인천 미곡상들이 좌익 진영이 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박남칠은 독립운동 관계로 감옥생활을 하고 인천으로 돌아온 인천 대표적 좌익인사인 조봉암에게 미강업조합을 운영하도록 하면서 친분관계를 유지하였다.?? 박남칠은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천지역 감리교회가 일제의 강력한 압력에 못 이겨 친일행위에 앞장서면서 많은 실망을 하면서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기독교 신앙을 버리지 않은 참다운 신앙인이기도 하였다.?? 해방이 되면서 박남칠은 김용규, 이보운, 윤석준 등과 함께 조봉암의 지도를 받으면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하는 등 발 빠르게 인천 좌익진영을 지도하는 등 핵심 역할을 맡았다. 그리고 인천부 초대부의원이 되어 김용규, 이보운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그러나 인천 좌익진영의 위세에 눌려 아무런 움직임도 없었던 인천 우익진영은 서울 우익 청년단을 인천으로 불러들여 인천 지역 전평을 초토화하여 어용노조를 세웠다. 이것이 인천 지역의 좌우익 진영이 서로 폭력으로 대결하게 하는 도화선이 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우익 청년단체인 평안청년회가 있었다. 그리고 배후에는 기독교 반공주의자들이 존재하였다. 박남칠은 자신이 꿈꾸던 하나님 세계 안에서 평등하게 잘 사는 인민세상은 사라져 버리고 좌?우익진영이 피터지게 싸우는 한복판으로 들어가 대결하는 역사의 비극을 맛보게 된다.??박남칠은 1947년 인천지역 노동자의 총파업을 계기로 인천 경찰서에 체포되면서 우익진영은 비로소 인천 지역의 정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박남칠은 1949년 인천좌익진영이 우익진영의 잔혹한 탄압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되게 많은 좌익 인사들이 전향선언을 하면서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하여 그동안 무지몽매한 좌익활동에 대한 반성을 하고 앞으로 대한민국을 위해 헌신 봉사하겠다는 전향광고를 대대적으로 하였다. 이 시기 박남칠도 전향선언을 하고 경찰의 지시에 따라 김용규와 함께 국민보도연맹 임원을 맡게 된다. 이후 집에 칩거하다가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4일 인민군이 인천에 들어오기 직전 월미도 앞 바다에서 수장되는 비극적 운명을 맞이하였다

      • KCI등재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

        조준호(Cho, Jun 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인천체육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선인학원의 탄생, 그리고 선인체육관의 건립과 활 용, 해체까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기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공화국은 체육중심정책을 펼치며 체육을 통한 ‘건민체육’과 ‘국위선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은 체육중시사조와 새로운 실내체육관 건립을 시대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3공화국과 긴밀한 인천 선인학원이??등장한다. 선인학원은 초, 중, 고, 대학교의 계통적 학교체육을 크게 활성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인학원은 “군인 정신으로 무기를 마련하는 심정”으로 동양최대의 체육관인 선인체육관을 건립한다. 선인체육관의 위치는 인천시??남구 도화동 235번지에 건립되었다. 선인체육관의 건립일은 1973년 10월 완공, 1975년 6월 준공된다. 선인체육관 의 면적은 14,532,32㎡였으며 2개의 강의동에는 한쪽은 1973년부터 인천체전이 자리했고, 다른 한쪽은 1976년부터??인천체고가 자리하였다. 선인체육관에서는 당대 최고의 스포츠인 프로복싱경기가 펼쳐졌다. 선인체육관에서 활약한 대표적 선수로는 홍수 환,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 등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인체육관은 건물 노후화와 함께 가수들의 공연장, 씨 름과 체조 등의 비인기 종목의 경기장으로 활용되며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결국 대한민국 경제의 놀라운 성장은??학교 체육시설도 변화, 발전시켰다. 이제 선인체육관 보다 더 우수한 실내체육관들이 인천시 곳곳에 등장한다. 뿐 만 아니라 선인체육관의 한쪽 강의동을 차지한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또 다른 한쪽 강의동을??차지하고 있던 인천체육고등학교도 청라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선인체육관을 체육회관으로 리 모델링하고자 했으나 그 비용이 신축비용보다 더 비싸다는 판단으로 발파, 해체를 강행하였다. 선인체육관은 인천 체육 발전의 근간이었다. 시대를 초월하며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한 선인체육관, 그곳은 인천체육의 자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nin Gymnasium and its meaning in the sports history of??Incheon through researches o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contemporary times, birth of Sunin school foundation, and the history of Sunin Gymnasium including??establishment, utilization and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ird republic concentrated 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People’ and ‘Enhancement of National??Prestige’ through sports centered policy. Because of these requests of the times, sports Gymnasium became??more important and many new indoor Gymnasiums were built. At this time, Incheon Sunin Foundation emerged??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hird republic. Sunin Foundation activated systemic school sports from??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Additionally, it established Sunin Gymnasium??which was the largest in the oriental world with “the mind to prepare weapons with the spirit of soldier.” It was??located in 235, Dohwa-dong, Nam-gu in Incheon. It was completed in October in 1973 and permitted to be??operated in June in 1975. The area of the Gymnasium was 14,532,32㎡. It had two school buildings. Incheon City??College has been located at one building since 1973 and Incheon Sports High School has been located in the??other building since 1976. In Sunin Gymnasium, professional boxing games were held which was the most popular sports at that time.??Famous boxers who played in Sunin Gymnasium include Hong Su-hwan, Chang Chung-gu, Park Cheong-pal??and You Myoung-woo. However, in 1990s, Sunin Gymnasium was used as a playground for unpopular sports??such as Korean wrestling and gymnastics as well as a performance venue of singers. Remarkable growth in??economy in Korea eventually developed sports facilities includ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t this time, better??indoor Gymnasiums than Sunin Gymnasium appeared. Additionally, Incheon City College located in one of??buildings of Sunin Gymnasium was merged into Incheon University. Moreover, Incheon sports high school??located in the other building moved to New City of Cheong-na. Finally, it was blew up with dynamite and??dismantled, as remodeling cost was estimated higher than building cost, although the municipality of Incheon??tried to remodel Sunin Gymnasium as a sports center. Sunin Gymnasium was basis of the development of??school sports in Incheon. Sunin Gymnasium which appeared as a huge building transcending beyond the??times! It has been a pride of sports in Incheon.

      • KCI등재후보

        도시성장을 위한 촉매제로서의 프로스포츠 활성화: 인천 원도심 경기장을 중심으로

        정진원,이종현 (재) 인천연구원 2017 도시연구 Vol.- No.12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original downtown growth and professional sports revitalization focused on the Incheon SK Happy-Dream Stadium and Incheon Football Stadium.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cheonconnected professional sports revitaliz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ncheon original downtown growth, while intra- Incheon original downtown growth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cheon-connected professional sports revitalization. In other words, there is the necessity of having to arrange a close connection plan for Incheon-connected professional sports team revitalization and original downtown growth in Incheon. To this end, it is required that relative authorities should arrange professional sports marketing which could induce local residents’ aggressive participation, display openness of cultural activity within the original downtown in Incheon, set up a complex plan in combination with the surroundings of a stadium, and original downtown development plan, and form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Incheon-connected professional sports teams, Incheon urban planning, and its related culture policy. 본 연구는 인천SK행복드림구장과 인천축구전용구장을 중심으로 원도심 성장과 프로스포츠 활성화간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 인천연고 프로스포츠 활성화는 인천시 원도심 성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천내 원도심 성장은 인천연고 프로스포츠활성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천연고 프로스포츠 활성화와 인천 원도심 성장을 위한 밀접한 연계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스포츠 마케팅, 인천 원도심내 문화적 활동의 개방성 표출, 경기장 주변과 원도심 개발계획과의 단지계획수립, 인천연고 프로스포츠 팀과 인천시 도시계획 및 관련문화정책과의 공조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 KCI등재

        인천도시공사 부채증가 원인 및 부채감축 방안

        정창훈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14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인천도시공사의 부채증가 원인과 부채감축 해법을 모색하였다. 인천도시공사의 부채는 2006년 이후 급증하였으며, 이 배후에는 안전행정부, 인천광역시, 인천도시공사 3자 모두 일정부분 책임이 있다. 특히 안행부는 외부 투융자심사과정 미규정, 지나치게 높은 부채발행한도 허용, 관리감독 소홀 등으로 인천도시공사뿐만 아니라 다른 자치단체 도시공사로 하여금 단기간에 부채를 급등토록 방조 하였다. 인천광역시도 사업성이 의문시되는 시책사업을 도시공사에 떠넘기기, 편법현물출자, 사업비 부당전가, 무리한 이익배당요구 등으로 인천도시공사의 부채급등에 한몫을 하였다. 인천도시공사도 내부 사업타당성 조사 소홀, 동시다발 사업진행등으로 인한 portfolio 관리 부족, 관리 부실 등 내부역량 미흡으로 부채급등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인천도시공사의 부채급등 배후에는 안행부와 인천광역시도 잘못이 있기에 현재 ‘부채돌려갚기’를 하고 있는 인천도시공사를 위하여 지방공기업법 등의 개정을 통하여 지방공사채에 대한 특수채 자격을 부여하여 인천도시공사로 하여금 자금조달을 원활히 하도록 돕고, 금리를 인하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지방계약법 등의 개정을 통하여 부득이한 경우에 손절매방지 규정 등을 완화하여 자산할인매각을 통하여 부채를 갚아나갈 수 있는 방안을 열어 주어야 할 것이다. 인천광역시도 인천도시공사에 추가출자를 하여 부채비율을 낮추어 주고, LH 등과 협의하여 영종하늘도시와 검단신도시를 big deal하여 인천도시공사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자산매각 등을 원활히 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또한 검단신도시의 경우 면적분할 개발방식 등을 중재하여 사업지연 또는 매각지연 등으로 인하여 인천도시공사가 부담하는 금융비용부담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 인천항 컨테이너부두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윤호(Yoon Ho)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6 전자상거래학회지 Vol.7 No.4

          인천항은 인천공항과 더불어 지정학적으로 대중국 및 북방교역의 전초기지로서의 주요역할과 북중국의 경제성장과 항만개발 등 주변여건 변화에 대응키 위해서라도 인천항을 지역 거점항으로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BR>  따라서 본 논문은 컨테이너부두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인데, 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항 컨테이너부두의 시설확충과 운영의 효율화이다. 둘째, 인천항의 기능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인천항 컨테이너부두의 하역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넷째, 인천항은 강력한 포트세일즈가 요구된다. 포트세일즈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상의 선택과 전략에 대한 다양화가 요구된다. 다섯째, 인천항은 선사 및 화물유치를 위해 가격전략과 각종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BR>  결론적으로 인천항이 동북아 물류 중심항으로 발전하는 것은 선택적 사항이 아닌 반드시 실현시켜야 할 시대적 과제이다.   In order to defeat and win against competitions the port must have differences and distinguishing traits in comparison to the other por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port the current situ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cheon container port and find the most effective way and means for it.<BR>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ed.<BR>  Firstly, there needs to be an enhancement in the facilities of the Incheon container port and the choicest method to manage it.<BR>  Secondly,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Incheon container port needs to be reestablished.<BR>  Thirdly, There needs to be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in the Incheon container port. Because of deterioration in equipments the productivity of the Incheon container port has decreased and aggravated. Thus, modernization and alteration in facilities and equipments will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oading and unloading.<BR>  Fourthly, The need for powerful port sales in the Incheon container port is not only encouraged but required. To maximize the effect of port sales, diversity in the choices and strategies for the customers are needed.<BR>  Fifthly, For the Incheon container port to receive and be related with cargo and ship companies, it needs to have strategies for the prices and apply several incentive policies.<BR>  Finally, Incheon container port becoming the hub-port for the physical distribution of the Northeast Asia is not a choice but a task and stipulation which must be completed.

      • KCI등재

        인천의 무투표 당선에 대한 비교연구

        이준한(Junhan Le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4 인천학연구 Vol.40 No.-

        이 논문에서는 1991년 이후 모든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인천의 무투표 당선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이 논문에서는 인천의 무투표 당선이라는 현상을 다른 광역시도의 무투표 당선과 횡단면적으로 비교하고 또한 시계열적으로 추세를 추적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단체장 수준을 포함하여 광역의회의원과 기초의회의원 수준의 무투표 당선의 특징을 비교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의 무투표 당선에 대하여 비교한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중요하게 발견한 것은 첫째, 인천에서 무투표 당선은 대체로 인천 안에서 비교적 정체성이 강하거나 정당의 경쟁력이 강한 곳에서 발생했다. 인천과 비슷하게 전국적으로도 무투표 당선은 대체로 지역주의가 강한 호남과 영남에서 목격된다. 다시 말해 역대 구·시·군의 장선거나 지역구 광역의회의원선거에서 무투표 당선자는 지역주의가 강한 광역시도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했다는 것이다. 둘째, 횡단면적인 비교에 더하여 시계열적인 비교의 측면에서 볼 때 인천의 무투표 당선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한다는 증거를 찾기 쉽지 않았다. 2006년부터 인천의 지역구 지방의회의원의 무투표 당선자가 급감한 것은 다른 어떤 요인보다 유급제 도입 등 제도개혁의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무투표 당선 추세는 일본의 무투표 당선이 기복 없이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와 다르다고 하겠다. 셋째, 중선거구제는 인천에서 무투표 당선을 급격하게 줄여주는 효과를 낳았다. 인천은 물론 다른 광역시도에서도 중선거구제가 2006년 기초의회의원선거부터 도입되었는데 그 이후 무투표 당선 사례는 대체로 그전에 비하여 크게 감소했다. 넷째, 인천에서 기초의회의원 비례대표의 무투표 당선은 2006년 강화군에서 1명, 2012년 강화군과 옹진군에서 1명씩, 남동구에서 2명 나왔다. 전국적으로 보면 구·시·군의회의원선거 비례대표 무투표 당선의 사례는 지역주의가 강한 부산, 대구,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서 많이 발생했다. 그리고 시계열적으로 볼 때 구·시·군의회의원선거 비례대표 무투표 당선의 사례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 비례대표의 의원 정수가 커질수록 무투표 당선은 점차 감소했다. 다섯째, 역대 구·시·군의회의원선거에서 비례대표의 무투표 당선이 지역구에 비하여 더 많았다. 구·시·군의회의원선거에서 비례대표 무투표 당선은 제4, 5, 6, 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에서 지역구 무투표 당선보다 훨씬 많았다. 그런데 2022년 지방선거에서는 그 흐름이 역전되어 빈도에 있어서 비례대표(63명)보다 지역구(144명)에서 무투표 당선이 더 많이 발생했다. 하지만 여전히 비율적으로는 2022년 지방선거에서도 비례대표의 27.8%가 무투표 당선되었고 지역구의 13.9%가 무투표 당선된 것으로 집계된다. 일반적으로 비례대표제도에서 무투표 당선이 적은 것이 보편적인데 그 반대의 결과가 목격된 것이라고 하겠다. This essa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uncontested elections in Incheon since the 1991 local elections. This piece also compares the features and changes in the uncontested elections in Incheon with other major cities ever since the first local elections. In doing so, this study emphasiz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uncontested seats between the two different levels of local elections (metropolitan councils and others). In addition, this research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uncontested elections between the proportional members and constituency members of the local council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contested elections are likely to occur in the areas with strong party competetiveness in Incheon. For example, a conservative party won the seats in the areas of Ongjin without any challengers. Likewise, uncontested elections are more likely to be observed in the Honam and Youngnam areas where the Korea’s unique voting behavior of regionalism is very strong. Second, it is not suffice to say that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is increasing in Incheon as time passes, from a time-series perspective. The number of uncontested electio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006 local elections and then skyrocketted in the 2022 local elections. In 2006, the introduction of a paid system for the council members would have changed the pattern of local elections with other major institutional reforms. Third, the multi-member system has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in Incheon. The multi-member system was firstly introduced in the 2006 local elections. Since then,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has drastically decreased in Incheon. Finally, it appears that uncontested seats for the proportional members are observed in many part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n the other hand, uncontested seats for the proportional members are more likely to emerge in the Honam and Youngnam areas where the regionalism is evident. And uncontested seats for proportional members are increasing as time passes. However, the number of uncontested seats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proportional members.

      • KCI등재

        유휴 산업시설의 산업 유산화를 위한 조건들 - 동일방직 인천공장을 사례로 -

        윤현위(Hyun Wi Yoon),문순희(Soon Hee Moo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0 인천학연구 Vol.32 No.-

        산업화가 활발하던 시기의 산업시설들은 도시화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었으나 경제의 재구조화와 주변여건의 변화로 인해서 생산기능이 중단된 유휴 산업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 오래된 대규모 산업시설을 산업유산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생산가동이 중단된 인천시 동구 만석동에 위치한 동일방직 인천공장을 사례로 동일방직이 지니고 있는 유산 가치와 산업 유산이 되기 위한 유산의 조건에 제시하였다. 동일방직은 일제강점기부터 실과 섬유를 생산한 우리나라 초창기 방직회사이며 1960년대에부터는 수출 전선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고 현재까지 기업활동을 진행 중에 있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동일방직의 출발점이며 최근까지 섬유를 생산했으나 해외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후 공장부지 활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우리나라 방직업체 중에 수출량 가장 많았고 많은 성과를 이루어낸 기업이었으나 1970년대 후반 이른바 ‘알몸시위’와 ‘똥물사건’ 등 대표적인 노동탄압사건이 발생했던 아픈 기억의 현장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방직 인천공장의 산업유산적인 측면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숙사, 의무실, 체육관 일대의 부지를 기부채납제도를 통해 산업시설의 일부를 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이 부지만큼 부지의 소유주인 동일방직에게 용적률을 상한해 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쇠퇴한 원도심인 인천 동구를 재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인천에서 제시된 각종 계획에서도 동일방직 인천공장 부지의 활용에 대한 부분이 언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일방직 공장부지가 산업유산으로서 진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 소유주, 시민사회가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할 수 있는 협의체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동일방직 인천공장이 보유하고 있는 산업시설들에 대한 건축자산조사가 충실히 이루어져야 한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의 활용방안은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될 수 있지만 기존에 인천에서 진행되었던 대규모 공장 이전적지에 대한 전면 철거를 통한 개발을 지양해야 하며 동일방직에서 근무했던 노동자들의 흔적을 최대한 보전하는 방향의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앞서 동일방직 인천공장이 산업유산으로서 진정성과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과거 동일방직에서 발생했었던 노동탄압에 대한 사건에 대해서 사과하고 용서를 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화해의 공간을 조성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산업시설의 활용을 위해 노동과 노동자에 대한 흔적을 기록해 후세대 남겨줄 수 있는 작업이 전제되어야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단순한 산업시설의 재개발이 아닌 가치 있는 산업유산으로서 의미를 얻을 수 있다. Industrial facilities during the period of active industrialization were very important in urbanization, bu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hose production functions were suspended due to economic restructuring and changes in surrounding conditions. 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ccess older large scale industrial facilities in terms of industrial heritage. Though Dong-il textile company this study presents those the heritage values and the conditions of heritage to be industrial heritage where it located in Manseok-dong, Dong-gu, Incheon, where the production operation was recently suspended. Dong-il Textile company was the first textile company in Korea to produce thread and textile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ve made a lot of achievement in the export market From 1960s and have been doing business. However, in the Dong-il textile company, after the production base is moved abroad, the discussion on the use of factory sites is underway. Dongil Textile"s Incheon factory was the most export-oriented and successful among Korean textile companies, but it is also the site of painful memories of the so-called "Naked Protest" and "Excrement Dumping Case" in the late 1970s. This study is suggested to make a part of industrial facilities as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through land donation in the dormitory, medical room, and gymnasium. Since then was proposed floor space ratio was covering to the owners of the same land as a solution to utilize industrial facilities. With various plans presented in Incheon for revitalizing Incheon Dong-gu, the withering old city center, mentioning the use of the site of the Incheon factory, a consultative body for local governments, owners and civil society must be formed to maintain sincerity as an industrial heritage. To this end, architectural asset survey should be carried out faithfully on industrial facilities. Although the use of the Incheon factory can be explored in various ways, the development of the large-scale relocation site in Incheon should be avoided through the overall demolition of the site, which was previously conducted in Incheon, and the use of measures to preserve the traces of labors who worked in the factory is necessary. Before this, the process of apologizing and asking for forgiveness for the past cases of labor repression that occurred in the Incheon factory is necessary. Through this, work to create a space for reconciliation must be preceded. It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utilizing industrial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traces of labor and workers and leave them for the next generation. Only when this process is completed can the utilization of the site of the Incheon factory acquire the meaning of true industrial heritage, not the redevelopment of industrial facilities.

      • KCI등재

        항구와 공장의 근대성 - 인천에 대한 문학적 표상 연구

        이현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Incheon is represented in the Korean modern novel. Until the Joseon Dynasty, Incheon was a small fishing village. Since the opening of its port in 1883, Incheon has grown into a modern city. The reason why Incheon has rapidly developed into the modern city can be found in its geopolitical factors. Taking advantage of such conditions of the city, Japan actively exploited Incheon. By developing land for port and factory area, Japan secured a bridgehead. Therefore Incheon was able to develope into the port and industrial c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on the way in which Incheon is represented in the Korean novel inevitably engages in the examination of Korean modernity. It can be also a useful pathway to see how the Korean literature internalizes the problematics of modernity. Incheon frequently appeared in Korean novels of the early 20th century more than any other city except Seoul.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Korean writers gave attention to Incheon as it was. But only they considered the city as a gateway to Japan. In other words, they took neither Incheon nor people living in the city as the subject of narrative. Inganmunje (Human problems),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30s by Kang -Kyungae, well represented the aspect of Incheon as an industrial city. In this respect, it was a very rare work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dealing with the struggle of workers living in Incheon, Inganmunje delineates the confront between labor and capital that is one of the important traits of modernity. The novel represented Incheon as the city of workers. It means that Incheon was portrayed as the city in which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 could be overcome. Meanwhile, Hyeon-deok's 「Namsaengi (Freshwater tortoise)」, Han-namgyu's 「Badaka Sonyon (Beach boy)」, and Oh-Cheonghee's 「Junggugin Geori (Chinatown)」 took a different approach toward Incheon. These short stories described the various problems of people living in Incheon by focusing on the city space. The life of the lower classes living in the port as well as the perspective of a teenager well exposed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Incheon. These stories shared common features. For instance, the life of port city in which workers cannot settle but float, the city of migrants who lost their home, and the perspective of minors looking at the city life. The viewpoint between parents and child's generation are comparatively revealed in these works. This can be read as a intersection between intense nostalgia for the rural community and unknown longing for new urban life. 이 논문은 인천이 한국 근대소설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인천은 조선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작은 어촌이었다. 1883년 개항을 계기로 근대도시로 성장한 곳이 인천이다. 개항 이후 인천이 근대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인천의 지정학적 이유가 크다. 일본은 그런 조건을 활용하여 정책적 의지를 갖고 인천을 개발하였다. 항구와 공장 지대를 개발함으로써 식민지 지배의 효율적인 공간으로 활용하려 하였다. 그렇기에 인천은 식민지 시대 항구도시인 동시에 공업도시로 성장해 갔다. 따라서 인천이라는 도시가 한국 소설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가 하는 점은 한국적 근대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일이기도 하며 한국 문학이 근대의 문제를 어떻게 내면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통로이다. 20세기 초기 소설들에서 인천은 서울을 제외하고는 한국의 어느 도시보다 소설 속에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그것은 작가들이 인천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일본으로 가는 통로로서 인천을 끼워 넣은 것일 따름이었다. 인천이라는 도시 공간과 거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문제를 서사의 대상으로 삼지는 못했던 것이다. 1930년대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식민지 시대 소설로는 드물게 공업도시 인천의 면모를 잘 드러내었다. 이곳에서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룸으로써 『인간문제』는 인천이라는 구체적인 소설 공간을 배경으로 근대성의 중요한 한 측면인 노동과 자본의 대립을 형상화시켰다. 이 소설에서 인천은 노동자의 도시로서 표상되고 있다. 『인간문제』에서 인천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노동의 도시로 상징되고 있다. 한편, 현덕의 「남생이」나 해방 이후 한남규의 「바닷가 소년」,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는 다른 시각에서 인천이라는 도시 공간에 착목하여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문제를 형상화한 수작들이다. 이 소설들에서 다뤄지고 있는 항구 도시 하층민들의 삶과 소년․소녀의 시선은 인천이라는 도시의 근대적 성격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정착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삶으로서 항구 도시의 생활, 고향을 상실한 이주민들의 도시, 그리고 아직 채 성년이 되지 못한 미성년이 바라보는 도시적 삶의 시선을 이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고향을 상실하고 현재의 삶을 원망하는 부모세대의 이주자들과 도시 속에서 성장해가는 소년과 소녀의 미정형의 유동성이 대조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농촌공동체에 대한 강렬한 향수와 새로운 도시적 삶에 대한 미지의 동경이 교차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데 인천이라는 도시를 배경으로 한국적 근대성이 그렇게 표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인천의 가치 재창조를 구현한 웹툰 개발 연구

        김성희(Kim Sung hee),하은영(Ha Eun yo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인천은 168개의 섬과 천혜의 자연환경과 자유경제, 인천국제공항 등으로 교통, 국제 물류 및 문화 교류의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역사적으로도 한반도에 외국의 문물과 근대 문화를 맏아들이고, 한국(조선)을 세계에 알리는 관문 역할을 한 개항도시이다. 이 같은 과정의 산물은 ‘인천에서 볼 수 있는 최초의 것들’에서 보듯이 인천만이 가진 고유한 가치와 경쟁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발굴하여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진입장벽이 낮고 대중의 호응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웹툰을 활용하여 인천의 가치 자원을 찾아내고 고유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천 가치 재창조 공모사업’의 일환인 웹툰 <인당수를 아십니까?>를 중심으로 인천이 가진 고유한 가치인 지형과 역사 문화적 가치를 웹툰에 활용하여 지역 가치를 재창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는 ‘인천 가치 재창조’라는 어휘가 나오게 된 배경과 의미와 사례를 살펴보고 활용된 방향과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웹툰을 활용하여 국내 지역 가치를 높인 사례를 분석하여, 인천가치 재창조 웹툰의 특성화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적으로 알려진 인천의 섬을 주 배경지로 한 심청전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심청의 딸인 효인, 효천과 용왕의 아들인 비추온과 미추홀 그리고 악의 축인 뺑덕어멈을 주인공으로 한 스토리를 창작하고, 웹툰을 개발하였다. 이는 인천의 주요 섬을 알리고, 인천만의 고유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Incheon has 168 islands and wonderful natural environments. It is near fro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has is very accessible in terms of transportation, international logistics and cultural exchanges. Historically, it was the first open port city receiving foreign cultures and modern culture to the Korean peninsula that serves as a gateway to introduce Korea (Joseon) to the world. The outputs of this process shown in “Table 2: Things you can see in Incheon” are the original value and competitiveness of Incheon. However, they are neither well-known nor well-developed. Accordingly, I would like to utilize Webtoons which have low entry barrier and can identify the response of the public easily to find value resources of Incheon and to develop them into the original contents. This study focuses on Webtoon “Do you know Indangsu?” which was produced as a part of “Value Recreation Con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that recreates the value utilizing geographical and historical value of Incheon. In the prefac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Value Recreation of Incheon” is reviewed. It also contains case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utilization. By analyzing the domestic cases that enhance the value of the area using webtoons, characterization of Incheon Value Recreation Webtoons is tried. This article uses ‘Shimcheongjeon’ , the background of which is islands of Incheon, as the motif. It creates a story using some new characters such as Hyoin and Hyocheon (daughters of Shim Cheong), Bichuon and Michuhol (sons of the Dragon King of the Sea) and Pangdeokeomeom, the axis of evil and develops a webto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roduced major islands and analyzed the original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