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별 인삼종의 기원 및 기내배양에 따른 종자의 특성

        이현우,이세진,안진희,민유은,정유성,강영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3

        인삼은 다양한 국가에서 과거로부터 민간의약적으로 사용해 온 유용한 한약자원으로, 동북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하고 있다. 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 C. A. Meyer로 Araliaceae에 속하고 약용 부위는 곁뿌리를 제거한 뿌리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인삼의 종류와 명칭을 정리하고, 동북아시아 공정서 내 인삼의 기원들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인삼종의 전초의 형태를 비교하였고, 여러 문헌 정보를 바탕으로 각국 인삼종의 약리학적 효능을 정리하였다. 현재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려인삼의 품종은 약 15종이며, 이들 중 재래종(자경종), 천풍, 연풍, 금풍, 산양삼의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한약재 활용 가능한 인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재배해야 하며, 그 조건도 까다롭다. 약리학적으 로 가치가 있는 인삼종의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대량증식 방법으로 기내조직배양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수집하여 크기를 측정하고 형태를 비교하였고, 종자를 횡단면으로 절단해 배의 형태를 관찰했다. 각 인삼종의 종자를 활용하여 기내배양을 진행하였고, MS+GA 1.0mg/L 조건에서 발아율은 미국삼이, 생존율은 금풍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인삼의 한 종류인 산양삼은 자연에서 성장 속도가 느리고, 재배조건이 까다롭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양삼을 수경 재배해, 해당 인삼종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미생물종을 동정하였다. 기내배양을 통한 4종의 인삼종 종자 발아 실험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종이 확인되었고,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 연구원이 제공하는 전통의학정보포탈(KIOM Oasis Portal)과 농업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의 인삼특작부에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분양받아 진행되었 다. 해당 논문은 기내배양을 통한 인삼의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Ginseng is a useful herbal medicine resource tha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in various countries for a long time. Ginseng is found in Northeast Asia and North America. The scientific name of ginseng is Panax ginseng C. A. Meyer, which belongs to Araliaceae and the medicinal part is the root. In this study, the types and names of ginseng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were summarized and the origins of ginseng in Northeast Asia pharmacopoeia were examined.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ginseng species from various countries was summarized based on various literature information. Additionally, to harvest ginseng that can be used as herbal medicine, it is cultivated for a long time under unfavourable conditions. In order to produce pharmacologically valuable ginseng species rapidly in line with market demand, a mass production system through in vitro cultiv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erefore, we performed in vitro culture using seeds of each ginseng variety. The seeds of each ginseng variety was collected, their sizes measured, and shapes compared. The seeds were cut in cross section to observe the shape of the embryo and then hydroponically cultivated wild ginseng and identified various microbial species found in that ginseng spec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Korean varieties Chunpoong, Yunpoong, Gumpoong and Wild ginseng were compared. Various microbial species were also found in four types of ginseng seed germination experiments through in vitro culture, and identified through rDNA sequence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seeds of each ginseng variety in the traditional medicine information portal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and the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of the Korea Institut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Ginseng varieties currently cultivated in Korea are about 15. MS + GA 1.0 mg/L condition led to highest germination rate in American ginseng and the best survival rate for Gumpoong. Wild ginseng cultivars are characterized by slow growth in nature.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the cornerstone of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mass production system of ginseng through In vitro cultivation.

      • KCI등재

        Korean Ginseng (nhân sâm Cao Ly) in Vietnam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최병욱 한국동남아학회 2012 동남아시아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전반 특히 민망-티에우찌 시기 (1820-1847) 베트남으로의 고려 인삼 유입 경로를 파악하고 인삼이 베트남 내에 서 어떤 기능을 수행했는가를 밝히고 있다. 인삼의 이동로로 육로와 해로가 있었다. 조선에서 출발한 인삼은 사행단을 따라 북경으로 이동했다. 공품 고려인삼은 청조의 예부를 통해 황제의 하사품으로 베트남에 주어졌으며 베트남 사절은 북경 에서 고려 인삼을 약포나 상인으로부터 구입하기도 했다. 이렇게 해 서 입수된 인삼은 사신의 행로를 따라 육로를 통해 베트남으로 전해 졌다. 해로 이동의 경우 대부분은 불법 무역을 통한 유출이었다. 황 해 해상을 통해 조선 인삼은 중국 밀무역 업자들에게 넘겨지고 바다 를 건너간 인삼은 다시 연안 해로를 따라 광동으로까지 이동했다. 북경에서 거래된 합법적 인삼이 해로를 통해 광동으로 이동하는 경 우도 물론 있었다. 당시 중국의 유일한 대외무역항이었던 광주로는 매년 베트남에서 채매단이 파견되었고 이곳에서 고려인삼이 구입되 었음을 이 연구는 논구하고 있다. 응우옌 왕조 초기 유명한 남북 학자 찐화이득 (Trịnh Hoài Đức)과 팜딘호 (Phạm Đình Hổ)를 시작으로 중앙 및 지방의 고위직 관료들 에게 병 치료, 노부모에게의 선물 등 목적으로 고려인삼이 지급되었다. 인삼은 충과 효를 이끌어내고 진작시키는 재료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효의 최종적 목표는 충인 것이니 문신 관료에의 인삼 하사의 효과는 충의 진작으로 귀일되는 것으로서 19세기 국가 이념의 강화 에 인삼이 사용되었던 것이라 해석될 수 있겠다. 더군다나 인삼은 베트남의 시각으로 볼 때 ‘문헌지방’ 조선에서 온 것이어서 인삼은 인삼 그 자체로서의 약효와 유교적 이념의 구현체라는 두 가지 요소 가 한데 모인 주술성을 갖기도 했다. 국가체제를 위협하는 남북의 제 반란은 물론이려니와 타이 군대 와의 전투, 캄보디아 정복전 등에 파견된 장군 및 병사들에게도 인 삼은 부지런히 지급되었다. 프랑스의 침입이 시작되었을 때도 전장 에 고려인삼이 갔다. 남북의 제 반란은 중앙집권화, 소수민족 동화 정책 등 민망-티에우찌 시기에 야심차게 추진된 제 정책의 결과물이 었다. 타이 및 캄보디아군과의 충돌은 1830년대 중반의 캄보디아 병합 과정에서 야기된 것이었다. 베트남의 장군, 병사들은 인삼의 힘을 통해 유교적 이념이 지배하는 국가 체제를 수호하고 확장하는 첨병으로 기능할 것이 기대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인삼구매를 가능하게 한 베트남 조정의 능 동성을 강조하고 있다. 북경을 통한 인삼 취득은 극히 적은 수량이 었을 뿐이다. 대부분의 인삼은 ‘여동공무 (如東公務)’를 통해 광동에 서 구매되었던 것으로 인식되는데 광동 방문은 하주공무 (下洲公務) 와 짝하여 민망-티에우찌 시기에 적극 추진되던 해외 정세 탐지 및 선진 물자 구매의 일환이었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서 맴돌던 인삼 유통의 지도가 19세기에 들어서 베트남까지 확대된 것 이니 이는 민망-티에우찌 시기 적극적으로 추진되던 대외접촉의 결 과였다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고려인삼의 해외시장 특성 분석과 수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김희철(Kim Hee-Chul)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2

          고려인삼은 현재 해외시장에서 가격이나 마케팅전략 면에서 경쟁 상대국 제품에 비하여 열위에 처함으로써 지속적인 수출부진 기조를 보이고 있으며, 경쟁국들의 기술력 향상에 따라 점차 품질경쟁력의 차이마저도 좁혀지고 있다. 잘못하면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던 고려인삼이 국제시장에서 제품 및 시장영역이 상실되고, 국내시장에서도 사라질 운명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려인삼이 직면한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고려인삼의 교역현황 및 상품적 가치, 주요 해외인삼시장에서의 특성 비교 및 국제경쟁력분석, 그리고 SWOT분석을 행한 후, 이를 기초로 고려인삼의 수출촉진을 위한 국제마케팅전략을 제시하였다. 한국이 인삼종주국의 명성을 유지하고 고려인삼이 수출 주력품목으로 육성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고려인삼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고유의 상표가치를 높이고,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현지소비자 지향적인 다양한 제품개발과 시장별 특성에 부합되는 차별화전략, 그리고 다양한 유통망 확보와 고려인삼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체계적으로 알리는 홍보전략을 수립하여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생산업체의 영세성을 감안하여 정부 차원의 각종 지원과 제도 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Korean Ginseng has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special product in korea and over the world for a long time, since its quality is known to be superior to Chinese, American, and Canadian Ginseng. Recently, the market share of Korean Ginseng in the international markets is decreasing gradually owing to the imports of low price Chinese Ginseng and the effective marketing policy on North American Ginseng. This, it is required to make a dramatic turning point for the export promotion of Korean Ginse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export promotion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ginseng market in Korean Ginseng.

      • LC-MS/MS를 이용한 인삼 및 인삼가공품 중 잔류농약 동시다성분 분석법의 개발

        김태화 ( Tae-hwa Kim ),심재룡 ( Jae-ryong Shim ),배병진 ( Byung-jin Bae ),정진욱 ( Jin-wook Junng ),김은영 ( Eun-young Kim ),김종규 ( Jong-kyu Kim ),채석 ( Seok Chai ),박종우 ( Jong-woo Park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인삼은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삼의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농약의 잔류에 의한 오염이 발생됨에 따라 인삼 및 인삼가공품에 대한 잔류농약의 안전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잔류량 검사 및 안전성 평가 연구의 수행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식약처에서 농약별 잔류농약 분석법이 고시된 이래 높은 신뢰성과 미량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한 GC/MS나 LC/MS와 같은 분석기기를 이용함에 따라 새로운 기기에 맞는 QuEChERS 등을 이용한 시료정제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인삼 및 인삼가공품에 등록된 83 종의 농약에 대한 표준품을 LC-MS/MS를 이용하여 scanning 하였으며 서로 다른 추출법을 통해 간단하고 재현성이 뛰어난 동시분석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인삼 및 인삼가공품에 등록된 농약 중 dithiocabamate계 농약을 제외한 농약 및 대사물을 포함한 105종의 잔류농약 scanning을 LC-MS/M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현재까지 최적화된 기기조건은 컬럼의 경우 Sunniest C18(150 x 2.0 mm, 3u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Water, Acetonitrile(0.1% formic acid)를 사용하였다. 대사물을 포함한 105종의 잔류농약 scanning 시 74개가 검출 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9가지의 추출방법을 시도해본 결과. 그 중 QuEChERS방법이 가장 회수율이 좋았는데, QuEChERS의 AOAC method에서는 80 %에서 110 %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EN method는 약 90 %에서 120 %의 회수율을 보여, 인삼 및 인삼가공품에서 잔류농약을 추출시 QuEChERS의 EN method로 추출하는 것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인삼 및 인삼가공품 중 최적화된 동시분석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SPE를 이용한 정제 방법 및 기기 조건 확립에 대해 추가적인 농약잔류실험은 진행 중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인삼의 국제경쟁력의 변천과정과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철(Hee Chul Kim) 한국경영사학회 2008 經營史學 Vol.48 No.-

        본 연구는 한국 인삼산업의 실태와 SWOT 분석, 수출경쟁국과의 지리적 특성·재배기술·생산비·가격경쟁력·품질경쟁력 등 수출여건 비교분석, 그리고 국제시장점유율 및 무역특화지수와 현시비교우위지수의 변천과정을 분석한 후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인삼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출여건 비교분석을 행한 결과, 인삼의 재배기술이 우수하고 재배면적과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재배규모가 경쟁국에 비해 영세하고 기계화가 되지 못하여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며, 단위수량도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볼 때 품질이 세계적으로 우수하고 소비자 인지도도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가격경쟁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제시장점유율 및 무역특화지수와 현시비교우위지수에 의한 경쟁력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는 인삼에 수출 특화하고 있으며 수출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인삼의 국제경쟁력분석의 결과에 따른 적극적인 대처와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인삼 고유의 상표가치를 높이고, 효능 및 품질 면에서 특화된 친환경 고품질 인삼의 생산을 위한 안정적인 기반의 구축과 소비계층별 제품다양화의 추구뿐만 아니라, 수출시장의 특성을 반영한 수출마케팅전략의 수립, 그리고 한국 인삼의 우수성에 대한 과학적 홍보방안을 마련하여 실천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삼산업의 중장기정책 방향이나 정부의 인삼 수출정책 결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요 국제인삼시장에 대한 통상적 접근의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Insam has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special product in korea and over the world for a long time, since its quality is known to be superior to Chinese, North American Insam. However, the export volume of Korean Insam products has been diminishing since 1990 because the imports of low price Chinese Insam and the effective marketing policy on North American Insam.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strategies through analyses of the present state and transition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n Insam. This study conduct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insam between Korea and other exporting countrie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farmhouse number, area and yield of the Korean Insam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00. There are many kinds of saponin that are competitive from a quality profile. However, price competitiveness was very low. Also, this study can conclude that competitive power of Korean Insam in international markets, demonstrated by RCA 1.99 and TSI 0.95, still remains high mainly due to high quality, however, in spite of decreasing price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strategies of Korean Insam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sam plan for high-quality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ion. Second, Korean Insam producer should develop various consumer-oriented products according to purchasing power and taste of target market consumers. Third, export strategies must be established by finding out every importing country s characteristics with regard its import,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the Korean Insam. The u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useful information to concerned organization for the future policies to the insam product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 KCI등재

        인삼 사냥꾼(Ginseng Hunter) - 북미대륙의 채삼(採蔘) 관행과 채삼인의 이미지

        설혜심 ( Sul Heasi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3 No.-

        18세기 초 캐나다에서 인삼(화기삼)이 발견된 후 인삼은 곧 북미대륙의 중요한 수출품으로 떠올랐다. 독립 후 차로 인한 무역역조를 극복해야 했던 미국에게 인삼은 모피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대(對)중국 수출품이 되었고, 오늘날까지도 북미산 인삼은 세계 인삼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에서 인삼의 역사적 의미는 은폐되다시피 했고, 인삼에 대한 학술적 담론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펼쳐져 왔다. 이 논문은 그런 비대칭성을 교정하고자 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북미대륙에서 인삼의 역사를 복원하는 한편 채삼인의 이미지를 분석한다. 애초 인디언들이 담당했던 채삼은 점차로 백인의 손에 넘어가게 되었다. 이들은 인삼의 까다로운 자생지에 대한 지식이며 건조법을 둘러싼 기술 등을 축적해 갔지만, 결코 중국만큼의 가공기술을 발휘할 수 없었다. 남북전쟁 후 진보를 표방하던 북부의 언론은 채삼인을 남부의 낙후성을 부각시키는데 끌어들이면서 삼 캐는 사람들에게 게으르고, 정착을 거부하며, 고립적인, 백인 빈민 가운데 최악의 계급이라는 이미지를 덧씌웠다. 채삼인에게 투사된 비합리성과 반문명성은 오리엔탈리즘적 시선을 통해 인삼을 둘러싼 신비하고 주술적인 아우라와 결합되었고 그 결과 채삼인 집단은 미국이 이미 극복한 과거에 속한 일종의 내부 식민지로 전락하게 된다. 인삼의 최종 목적지는 중국이었고, 그런 인삼에 삶을 의존한 채삼인은 미국의 주류문화에 동화될 수 없는, 다른 인종처럼 취급되었다. Soon after its discovery in the Canadian woods in the early 18th century,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s), became the most valuable export item for North America. America after the Independence designated ginseng along with furs as its specialties to overcome the serious adverse balance of trade with China. While Canada and America continued to be two of the largest producers of ginseng in the World Market to these days, American history tends to conceal the economical importance of ginseng and the academic discourse on ginseng has been dominated by East Asian scholars mainly focusing on Korean ginseng(Panax ginseng). This article, aiming to redress this noticeable asymmetry, restores the history of ginseng digging and also analyzes the images of the ginseng hunters. Native Americans engaged in ginseng trade in the earlier phase of ginseng boom, but this industry soon fell into white men’s hands. While they accumulated knowledge about the selectiveness of ginseng habitat and complicated process of its clarification, the Americans could not reach the Chinese standard of ginseng curing. After the Civil War, many progressive journalists from the North drew the ginseng diggers into the narratives on the Southern backwardness. They portrayed ginseng hunters as idle, resisting settlement, isolated, and wretched class of poor white. The irrational and anti-civilizational traits projected to the ginseng hunters with Orientalistic gaze were analogous to the mysterious and enchanting aura surrounding ginseng. And the place where people depended their lives entirely on this plant became a sort of internal colony. To America, the final destination of ginseng has always been China and the ginseng hunters were perceived as a different race who could not be assimilated into mainstream American culture.

      • KCI등재

        연구논문 : 19세기 영국신문에 나타난 인삼(ginseng)

        설혜심 ( Heasim Sul ) 영국사학회 2015 영국연구 Vol.34 No.-

        인삼은 이미 17세기에 세계시장에 등장한 중요한 상품이었지만, 커피, 담배, 육두구 등의 산물과는 달리 역사학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17-18세기 인삼의 세계교역을 주도했던 주체는 영국이었는데, 그 기간 동안 영국과 미국에서의 인삼인식을 추적한 선행 작업의 연장선에서 이 글은 19세기 영국에서의 인삼담론을 분석한다. 주요 일간지와 지방지 총 28종이 실었던 인삼 관련 기사를 고찰하여 인삼의 국제적 교역로를 복원하고, 일방적 확산론에 근거한 유럽중심주의적 세계관을 교정하며, 근대 범지구적으로 다수의 ‘세계체제’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안한다. 19세기 영국신문의 기사들은 인삼에 대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많은 것들을 말해준다. 독립 후 미국이 중국과 직접교역에 나서면서 인삼을 공급하게 되자 영국의 인삼무역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하지만 영국이 19세기 초 인삼무역을 완전히 중단한 것이 아니었고, 인삼은 이후에도 계속 거래의 품목으로 주목받았다. 인삼은 동아시아 침탈이 가속화되는 시기 러시아와 일본이 눈독을 들이던 상품으로서 영국의 관심을 끌었는가 하면, 열강의 각축장이 되어버린 한국에 대한 담론에서 가장 중요한 수출품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그런데 영국신문의 기사들은 최소한 영국 내 의료영역에서는 인삼의 활용이 위축되었음을 시사한다. 오히려 인삼은 이제 동서양을 가르는 상징물로, 중국으로 대표되는 동아시아에 만연한 부패와 사치, 비합리성과 같은 전근대성의 표상으로 작용하며 서양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표상이 되었다. This work aims to situate ginseng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Although ginseng was a highly valued commodity in global market in the early modern period, it had received surprisingly little scholarly attention, especially when compared to other ‘exotic substances.’ By analyzing the discourse in a total of 28 newspapers published in 19th century Britain, this article restores the international trade routes of ginseng and provides a counterweight to the grand narratives of unilateral European expansion. This also suggests that there existed multiple world-systems in early modern world. The news appeared in the newspapers in 19th-century Britain tell us many unknown facts about ginseng. As the newly independent United States began to trade directly with China, Britain lost its monopoly in ginseng trade. These setbacks notwithstanding, the British maintained a keen interest in the trade: not only the active international transactions of American ginseng industry, the Russian and Japanese rage after ginseng was closely followed. Many articles also noted the importance of ginseng in the export economy of Korea, then the arena of competitive plunder of many imperialist powers.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gleaned from the newspapers suggests that ginseng had lost much ground within British medical field. Now, it rather signified the corruption, luxury, and backward irrationality of China and represented as a symbol which called for the intervention of the ‘rational’ West.

      • 高麗人蔘 栽培 機械技術의 導入과 發展

        박우풍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2

        山蔘 不足을 代替하기 위해 栽培하게 된 人蔘은 韓半島를 中心으로 週邊國인 中國과 日本, 沿海州 等 地域으로 傳播되어 나갔다. 高麗人蔘 栽培史에 따르면 1700年代이미 人蔘栽培 農民들은 해 가림 栽培施設을 開發하는 등 人蔘栽培가 活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1800年代에는 人蔘의 種子選別法, 豫定地 및 本圃 u理 等 水準 높은 人蔘栽培技術들이 現場에서 活用되고 있었음을 여러 文獻들이 考證하고 있다. 朝鮮時代에는 畦(두둑)는 넓으나 고랑은 좁고, 畦(두둑)上面은 現代 栽培床에 比하여 넓으나 苗蔘 播種量은 적게 하는 傾向이었다. 본 밭의 移植密度는 栽培技術의發達로 옛날에 比하여 약 2倍나 增加하였고, 해 가림 施設의 높이 現代 施設에 比해다소 높았다고 記錄하고 있다. 最近 人蔘栽培 面積은 2000年 以後 每年 增加하여 2009年 現在 約 19,700ha에 이르고 있으며, 栽培技術도 人力과 畜力에서 機械ㆍ器具技術導入으로 勞動力이 節減되어 生産費가 크게 節減되고 있다. 그러나 人蔘栽培 機械技術은 地域에 따른 이랑의形態와 모양, 播種과 移植方法 해 가림 施設, 掘取(收穫)方法 등 人蔘栽培 樣式에 따라 多少 差異를 가진다. 따라서 이 論文에서는 高麗人蔘의 栽培樣式 變遷과 機械ㆍ器具技術 導入으로 새롭게 發展해 가는 人蔘 栽培시스템에 대해 豫定地u理, 이랑 造成, 播種ㆍ移植, 해 가림(日覆)施設, 病害蟲防除 그리고 掘取(收穫)作業 工程 別로 作業特性 살펴보고, 最近人蔘栽培에 利用되고 있는 機械技術들의 리뷰를 通해 今後 大規模 省力機械化 시스템으로 發展하기 위한 人蔘栽培 機械技術의 方向을 提案하고자 했다.

      • 고려인삼(高麗人蔘) 재배(栽培) 기계기술(機械技術)의 도입(導入)과 발전(發展)

        박우풍 ( Woo Pung Park ),이운용 ( Woon Yong Lee ),김현호 ( Hyun Ho Kim ),김상철 ( Sang Cheol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2

        山蔘 不足을 代替하기 위해 栽培하게 된 人蔘은 韓半島를 中心으로 週邊國인 中國과 日本, 沿海州 等 地域으로 傳播되어 나갔다. 高麗人蔘 栽培史에 따르면 1700年代 이미 人蔘栽培 農民들은 해 가림 栽培施設을 開發하는 등 人蔘栽培가 活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1800年代에는 人蔘의 種子選別法, 豫定地 및 本圃 管理 等 水準 높은 人蔘栽培技術들이 現場에서 活用되고 있었음을 여러 文獻들이 考證하고 있다. 朝鮮時代에는 畦(두둑)는 넓으나 고랑은 좁고, 畦(두둑)上面은 現代 栽培床에 比하여 넓으나 苗蔘 播種量은 적게 하는 傾向이었다. 본 밭의 移植密度는 栽培技術의 發達로 옛날에 比하여 약 2倍나 增加하였고, 해 가림 施設의 높이 現代 施設에 比해 다소 높았다고 記錄하고 있다. 最近 人蔘栽培 面積은 2000年 以後 每年 增加하여 2009年 現在 約 19,700ha에 이르고 있으며, 栽培技術도 人力과 畜力에서 機械·器具技術導入으로 勞動力이 節減되어 生産費가 크게 節減되고 있다. 그러나 人蔘栽培 機械技術은 地域에 따른 이랑의 形態와 모양, 播種과 移植方法 해 가림 施設, 掘取(收穫)方法 등 人蔘栽培 樣式에 따라 多少 差異를 가진다. 따라서 이 論文에서는 高麗人蔘의 栽培樣式 變遷과 機械·器具技術 導入으로 새롭게 發展해 가는 人蔘 栽培시스템에 대해 豫定地管理, 이랑 造成, 播種·移植, 해 가림(日覆)施設, 病害蟲防除 그리고 掘取(收穫)作業 工程 別로 作業特性 살펴보고, 最近 人蔘栽培에 利用되고 있는 機械技術들의 리뷰를 通해 今後 大規模 省力機械化 시스템으로 發展하기 위한 人蔘栽培 機械技術의 方向을 提案하고자 했다. Korean insam(ginseng) is recognized as an indigenous crop of Korea.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technology were introduced in 1700years already. Dimensions of the seed bed for insam(ginseng); width of ridge is 120cm and width of furrow was 90cm in those times but width of ridge is 90cm and width of furrow is 90cm in modern times. The planting distance of insam(ginseng) was 4.0cm × 3.6cm(20lines 50rows) and 1,000grains/3.3㎡ with seeding scale (2lines × 20holes) 100 years ago. Nowadays big grain insam(ginseng) seeds planted 3.6cm × 3.6cm(1,200grains/3.3㎡), small grain insam(ginseng) seeds 3.0cm ×3.0cm(1,740grains/3.3㎡) were planted. The planning density was 20% increased for big grain insam(ginseng) seeds and 70% increased 70% for small one. The height of sun roof in 1800years was higher than modern time`s sun roof. Cultivation of insam(ginseng) was increased various region of Korea recently. But cultivation of insam(ginseng) is one of the most laborious operations requiring an extended human labor hours. Due to the reas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st of production and save the labor cost. Cultivation machinery of insam(ginseng) asked to develop for every working step. Thus, developed for insam(ginseng) cultivation equipments such as ridger, direct seeder, transplanted, digger was introduced to insam(ginseng) farmer now day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o work under the sun roof after plant insam(ginseng) because of small scale shadows system. It must be improved to be operating easily with big tractor inside of the sun roof of insam(ginseng) cultivation.

      • KCI등재

        인삼 추출액 처리가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영향

        송경헌(Kyung Hun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색물의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소나무껍질, 쑥, 양파, 울금의 4종의 천연염재로 염색한 견과 모직물을 다양한 생리활성과 기능성을 갖고 있는 인삼뿌리 추출액을 처리하여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인삼추출액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양파, 울금은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색소를 추출하여 염액으로 사용하였다. 소나무 수피와 쑥은 분말화 된 염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한 염액에 견포와 모포를 각각 넣고 90℃에서 30분간 2회 반복 염색하였다. 인삼뿌리액은 80~90℃에서 120분간 끓여 인삼추출액을 추출하였으며, 욕비 1:30으로 하여 80℃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각 염재로 염색한 천연염색물의 인삼뿌리 추출액 처리전과 후의 색상과 색차를 측정하여 인삼뿌리 추출액이 천연염색물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염색 후 인삼뿌리 추출액 처리전과 후의 세탁견뢰도, 일광견뢰도, 땀견뢰도, 마찰견뢰도를 측정하여 인삼뿌리 추출액이 이들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천연염색 후 인삼추출액 처리 결과 울금 염색견포의 yellowish가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색상변화가 거의 없었다.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인삼추출액 처리 효과는 천연염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양파껍질로 염색한 견, 모 포의 세탁견뢰도, 일광견뢰도, 땀견뢰도, 마찰견뢰도 모두에서 인삼추출액 처리 효과가 나타나 견뢰도 등급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인삼추출액 처리 효과는 양파 염색포와 같이 효과가 우수한 경우와 쑥, 울금 염색포에서와 같이 효과가 전혀 없거나 효과가 적은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세탁, 일광, 땀, 마찰의 4가지 견뢰도 중 땀견뢰도에서 인삼추출액처리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성과 알칼리성 땀액 모두에서, 그리고 견, 모 섬유 모두에서 땀견뢰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일광견뢰도는 양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효과가 없었다. 마찰견뢰도는 양파, 울금의 염색포에서 인삼처리 효과가 나타났는데 모두 모 섬유에서만 마찰견뢰도가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nseng root-extract treatment on the colorfastness of naturally-dyed fabrics by having silk and wool dyed with such four natural dyeing materials as pine bark, artemisia, onion shell and curcumin and then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which h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functions. Ginseng root-extract was extracted by boiling 600g of ginseng in 6ℓof water at 90℃ for 120 minutes, and it was treated at 80℃ for 30 minutes with the bath ratio set to 1:30 for naturally-dyed wool and silk fabrics. By measuring the color and color difference before and after having the naturally-dyed fabrics treated with ginseng root-extract, the effect of ginseng root-extract on the color tone of naturally-dyed fabrics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washing fastness, light fastness, perspiration fastness and rubbing fastness before and after having the naturally-dyed fabrics treated with ginseng root extract, the effect of ginseng root extract on the color fastness of the naturally-dyed fabrics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after having naturally dyed fabrics, the color almost didn`t change except the fact that the yellowish color of the silk fabrics dyed with curcumin was reduced.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on the color fastness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kind of natural dying ingredient. Since the silk and wool fabrics in dyed with onion shell showed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in terms of the washing fastness, light fastness, perspiration fastness and rubbing fastness, it was found that all the level of fastness were improv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ginseng root-extract on the colorfastnes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type was the effect was superior in the fabrics dyed with the onion shell, and the other type was the effect was hardly found or not shown at both in the fabrics dyed with artemisia, and curcumin. Out of the four kinds of fastness related to washing, light, perspiration and rubbing, the perspiration fastness was found to show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mo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perspiration fastness was improved in both acidic and alkaline perspiration and in both the silk and wool fabrics as well. However, the light fastness was not improved at all except the case of dyed with onion sh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