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 진흥의 토대에 관한 연구

        손영삼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라는 진단과 인문학의 진흥이라는 처방을 검토하여 이 처방에 따른 치료들 가운데 하나인 인문한국(HK)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우리나라의 인문학은 과연 위기에 처해 있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먼저 물어야 한다. 그런데 인문학이 독자적인 연구 대상과 방법을 가진 개별학문은 아니기 때문에 인문학을 규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인문학을 어렵사리 규정하더라도 인문학의 위기에 관한 의견도 다양하다. 인문학이 인간에 의한, 인간에 대한, 인간을 위한 학문이라는 점에서 보자면, 인문학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로 이어지는 심각한 사태이다. 이와 같은 인문학의 위기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하지만, 인문학이 정밀학이 아니라 엄밀학일 수밖에 없는, 그리고 자유라는 인간의 날개를 꺾을 수는 없는 운명을 지니고 있는 한, 인문학 진흥이라는 처방과 HK사업이라는 치료가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무엇이든 하는 것이 인문학의 위기, 나아가서는 인간의 위기에 대처하는 바람직한 태도일 것이다.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 자체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보완하며,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하는 것이 요청된다. 인문학 자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와 통섭적 연구를 통해 이론의 실증성을 높여서 설득력을 확보하며, 현실적 적용의 실제적 사례를 통해 이론의 효용을 제시하여 실용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연구성과를 전파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HK사업은 인문학의 연구부문을 활성화하여 우리나라 인문학의 진흥을 도모하려는 기획이다. 우리나라 인문학의 연구부문이 안고 있는 문제는 연구환경과 연구인력의 확충, 연구성과의 축적과 활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문학과 인접 학문영역들의 학제간 연구와 통섭적 연구에서 인문학이 연구의 태도와 방법에서 선험성과 근원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으면, HK사업은 우리나라 인문학의 외부적 환경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것에 그치고 말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해, 인문학 자체가 바로 서지 않으면 인문학의 설득력이 강화되지 않을 것이며,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기 어려울 것이며, 그래서 인문학의 사회적 효용이 문제가 될 것이며, 결국 인문학의 외부적 환경이 다시 악화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rrange groundworks for implementing successfully the Humanties Korea(HK) Project with reviewing the diagnosis "crisis of the humanities" and the prescription "promo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The HK project is one of the treat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ption. Does the humanities of korea face a crisis indeed? For answering to this question, the question "What is the humanities?" is asked firstly. Because the humanities is not a individual scienc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at the humanities is. Even if it is determined with difficulty,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a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humanities is a science by the human being, on the human being, and for the human being, a crisis of the humanities is a desperate situation, for it ends in a crisis of human being. Even though this crisis of the humanities has to be overcome, it is probably difficult to get a satisfactory effect of promotion of the humanities and the HK project for coping with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because the humanities is not an exact science but a stric science, and has a fate not able to snape wings(i.e. freedom) off human being. And yet doing something is better than doing nothing for meeting with crisis of the humanities and crisis of the human being. For overcoming crisis of the humanities, it is requested to review problems of the humanities, to consider a countermeasure against them, and enlarge social role of the humanities. For considering a countermeasure against problems of the humanities, it is necessary to enforce positivity and to secure powers of persuasion of the theories with the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t research, and to produce utility and to prove positivity of the theories with practical instances of actual application, For enlarging social role of the human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part in society actively with various route to spread products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HK project is to revitalize field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and to attempt promo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Problems of research field in the humanities of korea will get solved through improving circumstance of research and expanding researcher and with accumulating and applying products of research. But if the humanities does not try to ensure transcendentality and originality in attitude and method of research in the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t research with other research areas, HK project improves only external circumstance of the humanities in korea. In other word, if the humanities does not put itself on a sound footing, its power of persuasion becomes weak, its social role is reduced, its social utility is doubted, finally external circumstance of the humanities is going steadily downhill.

      • KCI등재후보

        직업으로서 인문학

        김기봉(Kim Gi-Bong)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1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인문학의 중요성은 모두가 인정하지만, 직업으로서 인문학은 위기에 빠져있다. 필자는 먼저 왜 이런 모순적 현상이 생겨났는지를 막스 베버가 1917년에 행한 〈직업으로서 학문〉을 오늘의 맥락에서 다시 생각해 봄으로써 분석해 보고자 했다. 베버는 직업으로서 학문의 길을 가려는 학생들에게 그 길이 얼마나 험난한지를 두 가지 측면에서 말했다. 첫째는 학자의 길을 갈 때 감수해야만 하는 어려움이고, 둘째는 근대에서 학문 자체가 처한 위기상황이다. 베버는 근대에서 학문은 전문화됐기 때문에 학자가 되려는 자는 고독을 감수하면서 학문에 대한 열정과 소명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하지만 그런 소양과 사명감을 가진 사람들이 학자가 된다고해도 근대에서 학문의 위기는 극복될 수 없다고 베버는 진단했다. 베버가 했던 강연의 주제는 한마디로 모든 것을 계산 가능하게 만듦으로써 합리적으로 지배할 수 있다고 믿는 근대에서 과학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성찰하는 것이었다. 근대 과학은 무엇보다도 세계를 탈주술화(Entzauberung)를 기반으로 해서 성립했다. 탈주술화를 통해 인간은 초자연적인 힘에 기도하고 의지하는 대신에 과학적 지식을 믿는다. 과학은 인간을 세계를 인식하는 주체로 만드는 해방과 함께 문명의 진보를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해방과 진보의 대가는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의 망각’이다. 모든 학문적 연구는 그 연구가 “알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선험적 전제로 해서 이뤄진다. 하지만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근거를 과학 스스로가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 탈주술화를 통해 제 2의 ‘인식의 나무’를 먹은 근대인의 운명이다. 우리는 ‘과학적’ 세계관을 가질 수 있지만 ‘과학’ 그 자체를 세계관으로 삼을 수는 없다는 것이, 우리가 처한 실존적 문제다. 탈주술화 이후 근대인의 삶이 어떤 형이상학적 또는 종교적 준거 없이 그 자체로서 존재의 근거를 가져야만 한다면, 신들 간의 싸움은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다. 사무엘 헌팅턴은 이 같은 신들 간의 싸움을 “문명의 충돌”이라고 표현했다. 인간의 모든 인식과 가치판단은 문화의 가치이념에 의거해서 이뤄진다. 인간이란 그 자신이 짠 문화라는 거미줄에 매달려 사는 거미와 같은 존재라는 의식으로부터 베버가 그런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를 초월하기 위해 제안한 인문학이 문화과학(Kulturwissen schaft)이다. 그는 우리 스스로가 깨어있는 의식을 갖고 세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세우고, 세계에 대해 주체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과 의지를 가진 문화인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모든 문화과학의 선험적 전제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런 ‘문화인’으로 산다는 것은 사무엘 베케트(S. Beckett)가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에서 보여준 것처럼 견디기 어려운 일상을 초극하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기다림의 일상에 지쳐서 절망에 빠진 인간은 쉽게 악마의 유혹에 빠질 수 있다. 민족주의 광기와 파시즘이라는 악마가 바로 그것이다. 결국 우리 앞에는 악마와 인문학이라는 양자택일의 선택이 놓여있다. 인문학은 인문학자를 위한 하나의 직업이 아니라 이 시대를 견디며 살아야 할 모든 사람의 영혼을 각성시키는 사명을 짊어졌다. 오늘날 인문학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화폐가치로 환산되어야만 가치로서 인정받는 자본주의 경제학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 앨빈 토플러는 부의 창출 시스템이 서비스하는(serving) 것, 생각하는(thinking) 것, 아는(knowing) 것, 경험하는(experiencing) 것을 기반으로 하는 제 3의 물결로 바뀌면서, 개인 또는 집단이 스스로 생산(PROduce)하면서 동시에 소비(conSume)하는 ‘프로슈밍(prosuming)’ 경제가 미래의 혁명적 부(revolutionary wealth)를 창출하는 원천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 세계가 지속가능한 성장과 세계화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도 보이지 않은 경제를 추동하는 프로슈밍에 의해 열릴 수 있다고 한다고 보았다.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변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인문학에도 해당한다.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진실이다. 하지만 오늘의 대학에서 가르치는 인문학이 디지털 지식환경 사회(digital-oriented society)에 맞춰서 변하지 않으면 직업으로서 인문학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인문학의 위기는 인문학자만의 위기가 아니라 인류 문명의 위기다. 더 늦기 전에 인류를 구하기 위해 인문학을 구해야 한다. Although everybod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humanities as a vocation is stuck in crisis. Putting “science as a vocation” of Max Weber in 1917 into the contemporary context, I want to analyze why this kind of contradictory phenomenon happened. Weber explained to the students who want to stride the way of science in two aspects how difficult it would be. The first one is the hardship of this career, and the second one is the critical situation in which science found itself in the modern time. He asserted that scientists should have passion and a calling for science, allowing for loneliness, because modern science had become specialized. However, even if such people with passion and calling become scientists, Weber diagnosed, the modern crisis of science could not be solved. The topic of Weber's lecture was, in one word, to reflect on what is science and what science can do in the modern age in which people think it is possible to explain everything rationally by making it calculable. Modern science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demystification of the world. Through this demystification, people learned to believe in science, instead of relying on and praying for supernatural power. Science brought civilizational progress, making humans rational subjects of the world. But liberation and progress took place at the expense of the “oblivion of existence.” All the scientific research is performed on the a priori presumption that such kind of research is “worthy of knowledge.” However, it is the fate of the modern humans who ate from the second “tree of knowledge” through this demystification. It is the existential problem facing us that we can have a “scientific” view of world(Weltanschauung), but we cannot take the science itself as a view of world. Should modern life need to have an existential foundation for itself, the struggle between gods would occur everyday. Samuel Huntington expressed this kind of struggle between gods as “collision of civilizations.” All the human cognition and valuation are based on cultural idea of value. Considering human being as a spiderlike being who is living, hanging on the web of culture he himself webbed, Weber suggested a cultural science(Kulturwissenschaft), in order to overcome such an existential limit of human being. He asserted that it was the a priori prerequisite of all the cultural sciences that we set up our own positions towards the world by somber consciousness and become a Homo Cultura(Kulturmenschen)” having a will and a capability to imbue with a meaning. However, living as such a Homo Cultura is, as Samuel Beckett has shown us in “En Attendant Godot,” impossible just like springing over the unbearable everyday life. Desperately tired of everyday life, human beings can be easily seduced by the devil's temptation. That's the devil of the insanity of nationalism and fascism. Eventually, we have to choose between devil and humanities. Humanities are not a vocation for the scholars of humanities, but they carry a mission to purify all the people's souls who have to endure this epoch. In order to reassure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nowadays, the paradigm of capitalist economics which acknowledges values only in terms of monetary value. Alvin Toffler predicted that a “prosuming” economy in which individuals and groups are producing and consuming at the same time for themselves will be the origin to create the revolutionary wealth of the future, with the wealth-creating system changed into the third wave based upon serving, thinking, knowing and experiencing. He also though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t world to proceed to a durable growth and globalization could be tapped by the prosuming which puts the invisible economy into motion. There is a saying: “Should be changed, in order not to be changed.” These words also apply to humanities. It is an unchangeable truth that humanities are

      • KCI등재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최현덕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이 글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가 한국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사업의 일환으로서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진홍을 위한 인문치료” 라는 아젠다의 핵심적인 개념인 ‘인문치료’를 소개하고 있는 최희봉의 논문에 대한 논평문이다. 인문한국 사업은 현 한국 연구재단의 전신인 한국 학술진흥재단이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정책으로 도입한 지원 사업으로서, 2010년 대동철학회는 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관련 연구소 다섯 곳을 추계 학술대회에 초청해 함께 인문학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마련했다. 이 글에서는, 그간에 진행된 인문학 및 인문학 위기 담론을 염두에 두면서, 최희봉의 발제문에 담긴 다음과 같은 논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논의의 심화를 위한 질문을 던진다. 첫째, 인문치료 사업 역시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기획으로서, 현실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해 진행된다면, 인문치료 사업은 인문학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될지 그리고 그 변화는, 현재 “인문학의 위기”라 부르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얼마만큼의 해결이 될 수 있는가? 둘째, 인문학을 기반 학문으로 하고 있는 ‘인문치료’가, 의학을 기반으로 하고 태동한 ‘의료인문학’보다 더 인문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점은 무엇인가? 셋째, 이론적 학술활동을 전제로 하고 있는 인문학의 사업으로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으면서 실천적 활동이 핵심이 되는 사업을 수행해가는데 있어서 생길 수 있는 제약, 연구재단의 평가체제에 대한 대책이 있는가? 넷째, ‘병’과 ‘치료’의 개념이 전제로 하고 있는 사고방식의 체계, 심신이원론적 인간관은 서구의 주류의학계에서 통용되는 것과 많이 달라 보이지 않는데, 여기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지 않을까? 다섯째,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려는 ‘인문치료’의 노력이 심리치료와 다른 점이 무엇일까, 즉 모두가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인문학적 지식이 그 과정에서 원용된다고 했을 때, ‘인문치료’에 있어서 보다 더 인문학적 색채는 어디에서 어떻게 주장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이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는 맥락에서 인문치료 사업이라는 실례를 통하여 인문학의 성격 및 의의를 보다 더 규명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article of Heebong Choi introducing the concept of 'Humanities Therapy' as the core concept of the research project of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Sciences at the Kwangwon National Unviersity in the framework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was introduces as a counter-policy of the above foundation to meet with the situation defined as the 'crisis of humanities'. In October 2010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ltion invited five humanities institutes performing the research projects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to hold a symposium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humanities today. In this article I discuss several issues contained in the paper of Heebong Choi, being conscious of the context of the discourses on the humanities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developped in the last twenty yea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discussions I raise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1) If the proj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was launched as a counter-measure responding the 'crisis of humanities', in what extend or in what aspect it could offer a solution? Could it provoke a change of humanities itself? In which direction? (2) In comparison to the 'Medical Humanities' which has the medical sciences as its scientifical basis, does the humanities play more essential role in the 'Humanities Therapy'? In what sense? (3) The humanities project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has the assumption of the humanities as theoretical activity. However, the 'Humanities Therapy' has its place in the 'praxis'. Is there a counter-measure for a possible conflict caused by the different notions of the activities of humanities. Could it cause an excessive burden to the staff due to the competitive evaluation system of the research foundation? (4) The system of the conception presupposed in the concepts of 'disease' and 'therapy', especially the view of the human beings based on the mind-body-dichotomy seems not so much different as that of the Western orthodox medicine. Isn't it necessary to develop an alternative based on humanistic reflections? (5)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ities Therapy' and the psychotherapy? Where can we find the aspects more rooted in the humanities in the 'Humanities Therapy'? These questions are intended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humanities in the face of the situation of the 'crisis of humanities'.

      • KCI등재

        ‘우물’에 빠진 철학, 탈출구는 있는가?

        이재성(Yi, Sae-Seo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인간의 위기가 상존한 한국사회를 대면하면서 필자는 ‘우물’이라는 상징을 통해 위기에 빠진 인간의 모습, 즉 영화 속의 네 주인공을 통해 대학의 위기, 인문학의 위기 그리고 철학의 위기의 속살을 비유적 방식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우리가 대학의 위기, 인문학의 위기, 철학의 위기라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사실 현상적으로 보면 이것은 대학의 기업화 및 시장화, 대학에서 인문학 전공 학생 수의 감소와 취업률 저하 그리고 철학과 등 인문학 관련 학과의 폐과라는 현실적인 생존의 위기를 뜻한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들여다보면, 이 세 가지의 위기는 각기 독립적인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 함께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위기로 나타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필자의 고민은 후자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지금 여기 우리에게 위기로 다가온 대학, 인문학, 철학은 진정 위기인지, 그리고 위기라면 그 탈출구로서의 기회는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Faced with Korean society where human is in crisis, I will investigate the nature of university"s crisis, the humanities" crisis, and philosophy"s crisis in a figurative way on the purpose of showing appearance of human in crisis by using the metaphor of ‘a well’ through four characters in the movie. We have raised our voices about university"s crisis, the humanities" crisis, and philosophy"s crisis so far, in fact, it means that theses crises are the result of the corporatization and marketisation of the university, the decrease of students majored in humanities of university and their low employment rate, or the abolition of its related department including philosophy department in the view of phenomenon, that is, they are the crises of survival. However, looked at fundamentally, theses three crises contain problems emerging as ones connected organically all together, not as an each independent status. I am worried about the latter. In this sense, I will examine in this essay if university, humanities, and philosophy approaching us as crises now here are our real crises, and if so, whether a chance as an escapeway can be possible or not.

      • KCI등재

        한국 인문학의 제도적 문제들

        강내희 (Kang Nae-hui)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It has generally been pointed out that the recent crisis of the humanities in South Korea has its own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the latter often referring to the rise of neoliberalism that has forced the capitalistic logic upo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while the former to the humanities' own 'inability' to cope with the decline of the literary culture as a result of the civilizational paradigm shift as evidenced in the expansion of digital technologies. While not deny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this essay calls attention to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he author's contention is that the humanities have shown peculiar shortcomings both in the way they have been taught and the way they have been studied, or in terms of the way the disciplines are categorized and organized. More specifically, this essay provides two kinds of institutional analysis concerning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On the one hand, it points out that the nagging problem with the 'educa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is that the humanities have to compete with 'practical' disciplines for undergraduate education, even though they constitute basic disciplines in education. Another problem with the Korean humanities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their disciplinary categorization relies too heavily on the spirit of nationalism to the point that 'sub-disciplinarity' dominates certain departmental systems that should exceed national boundaries. The conclusion of this essay thus is that only when the humanities in South Korea can cope with the problems deriving from their institutional shortcomings can they begin to overcome the crisis they are now faced with. 한국에서 인문학의 위기는 통상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전자의 경우 위기는 주로 학문을 자본주의적 생산성의 논리에 따라 수행토록 하는 신자유주의 정세의 형성에서, 후자의 경우 그것은 디지털 기술의 확산 등 문명적 패러다임 변동에 따라 문자문화의 쇠퇴가 일어나고 있는데도 이런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인문학의 무능과 한계에서 찾아진다. 하지만 이 글은 이런 이유가 중요함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한국 인문학이 위기를 겪는 원인을 무엇보다 제도적 측면에서 조명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 여기서 필자의 주장은 한국의 인문학은 학문제도와 교육제도의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 즉 인문학의 분과학문들이 범주화되고, 조직되고, 교육되는 방식에 중대한 하자가 있다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글은 한국 인문학의 위기와 관련하여 두 가지 종류의 제도적 분석을 제출한다. 한편으로 지적하는 것은 인문학은 기초학문의 성격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학부 과정에서 실용 과목들과 경쟁을 해야 한다는 문제 즉 한국 인문학 ‘교육’의 문제이다. 다른 한편 이 글은 한국 인문학이 민족주의에 지나치게 의존한 학문 범주화의 관행에 얽매여 있는 문제도 지적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 이 글은 한국의 인문학은 ‘제도적’ 결함을 극복해야만 오늘 맞은 위기를 제대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지를 제출하고 있다.

      • KCI등재

        응용 인문학을 찾아서: 철학의 응용

        김성환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6 No.3

        인문학의 위기가 한국의 여러 대학교에서 철학과의 통폐합으로 현실화하고 있다. 나는 응용 인문학의 활성화가 인문학 위기 바이러스에 대처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응용 인문학은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인문학 지식을 사용하는 학문이다. 응용 인문학 가운데 철학을 응용하는 길은 응용 윤리학, 정치 철학, 교육 철학, 논리학, 미학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응용 철학이 인문학의 위기를 해결하는 길이 되려면 위기에 대응하는 새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나는 응용 철학을 전문 직업과 연결하는 것이 한 가지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응용 철학을 전문 직업과 연결하는 두 가지 구체적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하나는 논리학 지식을 글쓰기 논술 지도사라는 직업과 연결하는 방안이고 또 하나는 철학 콘텐츠 지식을 문화 기획사라는 직업과 연결하는 방안이다. 두 방안은 모두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러나 나는 글쓰기 논술 지도와 관련해 글쓰기 논술 강의 매뉴얼의 생산, 문화 기획과 관련해 철학 답사 여행 프로그램을 구체적인 대안으로 제시해 인문학 위기 바이러스에 맞서는 항체를 강화할 것이다. The crisis of humanities is becoming a reality and departments of philosophy in some Korean universities are at trouble of being eliminated or merged with others. I think the activation of applied humanities is a way of standing against the crisis of humanities. Applied humanities are disciplines that use knowledge of humanities to solve problems of the world. Applied philosophy is found in applied ethics, political philosophy, philosophy of education, logic, and aesthetics. However applied philosophy needs to adapt to new conditions of the crisis. I think it important that applied philosophy shows good job prospects. I propose two ways of connecting applied philosophy with jobs: knowledge of logic with teaching of writing and philosophical contents with cultural planning. These ways are not new. But I propose the specific programs, such as the making of manuals for teaching of writing and philosophical field study program.

      •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이선관(Lee Seon-Gua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江原人文論叢 Vol.18 No.-

        1990년대 후반 이래 우리 사회에서는 ‘인문학 위기’의 담론이 활발하게 개진되었다. 이 담론에서 하나의 중요한 물음이 등한시된 것 같다. 그것은 ‘인문학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이다. 이 물음은 인문학의 자기 정체성 내지 자기 이해의 문제이다. 그리고 인문학이 적어도 인간 중심의 학문이라면, 저 물음은 동시에 또 다른 하나의 중요한 물음을 함의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곧 ‘인간은 무엇인가’이다. 이것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이다. 사실상 ‘인문학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본질적으로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결부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인문학 및 인문학의 위기에 관한 물음은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다. 이 글은 이러한 물음들을 간략하게 고찰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철학의 역사에서 보면, 인문학(혹은 정신과학)의 위기의식은 자연과학의 배타적 오만성과 관련된다. 과학적 배타성은 과학주의의 옷을 입고 표출된다. 과학주의는 시대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들(예 : 심리학주의, 물리학주의, 생물학주의 등)로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자연주의적 정신이 작용하고 있다. 자연주의는 인식론적으로는 감각론의 형식으로, 형이상학적으로는 유물론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이 글에서 우리는 현대의 자연주의적 태도인 생물학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생물학주의는 유전적 진화에 근거해서 인간의 정신 및 정신세계를 뇌의 진화 산물로 생물화함으로써, 인간을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기계로 만들어 버린다. 이 글은 정신의 생물화가 인간의 이해 및 인문학의 자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 KCI등재

        인문학의 `위기`와 역사학의 좌표

        김성보 ( Kim Seong Bo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7 學林 Vol.39 No.-

        이 글은 `사회인문학`의 관점에서 한국 인문학의 위기의 본질을 해명하고, 그 극복을 위해 역사학은 어떤 기여를 해야 하는지를 제시해보는 하나의 시론이다. 1987년의 제도적 민주화 이후, 한국의 인문학은 한편으로는 냉전과 독재 속에서 극단적으로 억제되었던 인문학의 비판정신을 회복하되, 1980년대의 편향되고 도식화된 사회과학 일변도의 비판적 자세까지도 비판하면서 인문적 관점에서의 비판정신을 창출할 시점에서 있다. 그런 점에서 현 시점은 인문학의 위기이면서 동시에 기회이지만, 그 기회를 살리기보다는 오히려 외적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그 위기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오늘날 인문학계는 경쟁력 향상이라는 명분 아래 산업화, 시장화가 촉진되고 있다. 이는 학문의 표준을 장악한 미국 중심의 국제적 학문권력 속에 종속되는 학문의 식민화로 귀결되고 있다. 그 속에서 한국의 역사학은 미래를 위해 과거를 성찰할 여유도 없이, 현실의 정치적 파당성 경쟁에 휘말리며 기억의 정치도구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인문학계는 안으로는 인문정신의 회복을 통해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역할을 회복하고, 밖으로는 동시적으로 위기에 처한 다른 동아시아 국가·지역들의 인문학계와 연대하여 학문 활동의 새로운 탈시장적, 탈중심적 규범을 만들어내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역사학에는 현재를 정당화하는 도구로서가 아니라, 권력에 의해 억압되고 왜곡된 과거에 대한 기억을 권력으로부터 해방하는 기억의 민주화와 그를 통한 사회의 민주화를 지향하는 `기억의 정치`가 요청된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역사대화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 학문담론의 한계를 뛰어넘어 보다 보편적인 학문 담론을 창출함으로써 학문의 식민화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 This essay aims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Humanities` and to suggest what kind of contributions that history should make to overcome. Since the 1987`s institutional democratization, Korean humanities, on one aspect, is about to restore the humanities` spirit of critical thinking that was radically suppressed during the Cold War and dictatorship, and on the other, it is on the point of creating critical spirit in the humanities perspective while criticizing the 1980`s biased and schematized pro-social science and its critical position. In that aspect now is the time of humanities` crisis as well as the opportunity, though while we are not taking onthe chance, the crisis is only worsening from external environmental influences. Today`s fields of the humanities is accelerating with its industrialization and marketization under the obligation to enhance competitive power. Such is concluded as colonization of study that is subordinated to America-centered international learning power that dominated the standards of study. Among all this, Korean history, without having time to examine the past for the future, is tangled in the present`s political parties` strife and got stuck as the instrumentation of the politics of recollection. The humanities of Korea have to restore its role of critically introspecting the society by recovering the humanistic spirit internally, and simultaneously on the outside, create a new, de-marketized and decentralized standard in the study activity by banding together with humanities field of other East Asian countries and regions that are in crisis. Korean history is requested, not as an instrument that justifies the present, but to realize the democratization of recollection that liberates the memory about the past that is suppressed and distorted by the authority, and the `memory politics` that aims for the society`s democratization through the process. Also East Asian history discourse can transcend from the limits of Western discourse that centers around America by creating an even more universal academic discourse and thus mak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colonization of study.

      • 인문학의 위기 극복의 길: 지원 의존에서 자생력 확보로

        신정근 인문예술학회 2014 인문과 예술 Vol.- No.1

        오늘날 우리는 인문학과 관련된 두 가지 현상을 만나고 있다. 주로 인문학의 성과를 생산하는 대학에서는 ‘인문학 위기론’을 펼치고, 인문학의 성과를 향유하는 일반 사회에서는 ‘인문학 호황론’을 말하고 있다. 같은 대상에 대한 상반된 반응은 분명 모순으로 보이지만 사실이다. 이에 대해 인문학 종사자들은 인문학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인문학이 고사되지 않는 재정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인문학이 살아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 글에서는 인문학이 외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방식보다 자생력을 가질 수 있는 길을 검토해보자 한다. 이를 위해 인문학은 예술이 외부의 지원에서 독자적 생존의 길을 모색했던 과정에서 시사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se days we have met two phenomena involved in humanities. Crisis theory of humanities have been gaining influence in the university of theoretical capacity, whereas Boom theory of humanities have been gaining influence in the society of theoretical enjoyment. There are opposite reactions to one same objection. It seem to be a contradiction but an obvious fact. The academic world asks the government of a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authorities to protect the weak ground of humanities and to support the miserable situation of researcher. Now we have to spend days agonizing over how to survive or revive the life of humanities? This paper aims to search for acquirement of autonomy rather than support dependency of the outside world. I think that humanities will receive helpful suggestions from art.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인문학 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과 우수 인문학 강의 사례 분석

        김태완,이규민,최명숙,엄우용,최성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6 교육과학연구 Vol.37 No.1

        '인문학의 위기'는 이제 주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인식될 정도로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 연구는 인문학 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우수 인문학 강좌를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인문학 강좌의 교수-학습 측면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인문학 위기를 초래한 원인들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처치 방안은 되지 못할지라도, 현재 학생들의 인문학 기피 현상에 대한 인문학 내부의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인문학 담당 교수들과 수강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질문지 조사 방법이 동원되었고, 우수한 인문학 강의 사례를 발굴하여 그들 강좌의 운영 방식과 사용된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사례 연구가 병행되었다. 인문학 강좌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과 인문학 전공 교수들의 인식, 인문학 강좌의 사용되는 교수법, 교수-학습 매체, 홈페이지 활용 실태 등이 분석되었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개발을 위한 교수자 역할, 의사소통, 동기 유발, 교수 매체 활용, 학습 평가 방법 등에 관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The "crisis"of the humanities is getting worse, that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e "crisis" exists not merely in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majoring in the fields, but in the widespread avoidance of humanities courses among college students.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would increase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 in the fields by reflecting recent social changes. Although it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we expect it to be a specific and active answer to the problem within the humanities. For the study, both survey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survey collected information from professors in the humanities department and students taking the humanities courses. The cases known for good course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in depth. The survey results described respons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humanities and the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edia and homepages, etc. Also, the case study analyzed teaching strategies, communication styles, motivation, instructional media, and testing and course evaluation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