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Effects of Substrate Type, Soil Depth, and Drainage Type on the Growth of Sedum kamtschaticum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s

        Huh, Keun-Young,Kim, In-Hye,Ryu, Nam-Hyong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韓國造景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는 기존 건축물 옥상녹화에 이용 가능한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 을 연구하고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시스템의 개념적 모델이 선행 연구로부터 유추되었고 개념적 모델로부터 실험을 위한 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건축물 옥상 위에 설치된 이 시스템들에서 기린초의 생육에 대하여 인공배지 종류, 토심, 그리고 배수 형태의 효과들이 2002년 4월 3일부터 10월 18일까지 연구되었다. 인공배지 종류는 단용과 혼용이고, 토심은 5cm, l0cm,그리고 15cm이며, 배수 형태는 저수$.$배수형과 배수형으로 하였다. 여기서, 인공배지 단용은 폐유리 미분 100에 발포제를 1∼2정도 첨가하고, 착색제를 1정도 첨가한 후, 6∼8$^{\circ}C$/min로 승온하여 750∼85$0^{\circ}C$의 온도에서 발포시킨 다공질 유리를 수냉식으로 급랭하고, 분쇄기로 이송하여 l0mm이하로 분쇄하고 입도를 조절하여 얻어진 다공질 유리 파쇄물과 수피를 부피 비 6:4로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며 인공배지 혼용은 인공배 지 단용에 양토(모래 46%, 미사 40%, 점토 14%)를 부피비 5:5로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다. 피복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시각적 질을 조사하였다. 각 변수들은 던칸의 다중범위 검정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처리들간의 유의수준은 5%였다. 그리고 기존 건축물 옥상에 대한 과부하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각 시스템의 중량이 평가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 중에 피복면적에 대한 배수 형태의 효과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공배지 혼용의 피복면적은 인공배지 단용의 것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토심 5cm처리의 피복면적은 나머지 처리들의 피복면적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았다. 토심 l0cm처리와 토심 15cm처리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와 뿌리의 생체중 및 건물중과 시각적 질에 대한 처리들의 효과는 피복면적에 대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였다. 결과적으로, 기린초의 생육은 인공배지 단용보다 인공배지 혼용에서 더 높았고, 토심 10∼15cm에서 더 높았으며, 배수 형태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기존 건축물 옥상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의 허용하중과 기린초의 생육을 동시에 고려해볼 때,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 은 인공배지 종류에서는 혼용이, 토심은 10cm, 그리고 배수형태는 배수형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제안된 조건으로 조성된 시스템은 인공배지가 포장용수량상태일 때 그 중량이 약 115kg/$m^2$정도로 나타났다.

      • KCI등재

        EU 인공지능명령안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김중권 헌법재판연구원 2021 헌법재판연구 Vol.8 No.2

        Am 21. April 2021 hat die Europäische Kommission den Verordnungsentwurf zu harmonisierten Regelungen für die künstliche Intelligenz(EU KI-VO-E) erlassen. Enterritorialisierung des Öffentlichen Rechts ist nicht neu. Das EU-Verwaltungsrecht ist eine Art globalen Standard des Verwaltungsrechts und fungiert als Vorbild in der Entwicklung des Verwaltungsrechts in jedem Land. Wie das EU DS-GVO, wird auch das später zu bestätigende EU KI-VO-E als globaler Standard fungieren. EU KI-VO-E wird der weltweit einzige rechtsverbindliche Standard für künstliche Intelligenz. Darauf aufbauend ist zu erwarten, dass sich in Zukunft eine verlässliche rechtliche Rahmenordnung zur Künstlichen Intelligenz bildet. EU KI-VO-E dient ebenso wie EU DS-GVO zweier Zwecken. EU KI-VO-E begleitet und reguliert neue Technologien und versucht gleichzeitig, die Nebenwirkungen der Einführung solcher Technologien zu verhindern. Sofern eine Anwendung von EU KI-VO-E außerhalb der EU gemäß Artikel 2 Absatz 1 des EU KI-VO-Es nicht unumgänglich ist, ist es wünschenswert, sich EU KI-VO-E als Vorbild zu nehmen und möglichst bald Gesetze zur künstlichen Intelligenz zu erlassen. 지난 2021.4.21.에 EU집행이사회(Europäische Kommission)는 인공지능을 위한 일치된(조화된) 규율에 대한 명령안(Verordnungsentwurf zu harmonisierten Regelungen für die künstliche Intelligenz) 을 공포하였다. 공법의 탈영토화(Entterritorialisierung des Öffentlichen Rechts)는 결코 새삼스럽지 않다. EU행정법은 각국의 행정법의 전개에서 전범으로서 일종의 행정법의 글로벌 스탠다드에 해당한다. EU데이터기본명령(DS-GVO)처럼 차후에 확정될 EU인공지능명령 역시 글로벌 스탠다드로 기능할 것이다. EU인공지능명령안은 인공지능에 관한 세계적으로 유일한 법적 구속력을 지닌 규준이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인공지능에 관한 신뢰할 만한 법적 대강질서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명령안은EU데이터보호기본명령처럼, 2가지의 임무를 수행한다. 즉, 그것은 신종의 테크놀로지에 동반하여 그것을규율하고, 아울러 그런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저지하려 한다. 인공지능시스템을 EU에 유통시키거나 운영하는 모든 자는 비록 역외에 주소나 거소를 둔다 하더라도 명령안의 수범자가 되도록 규정한 제2조 제1항에 의해 EU인공지능명령의 역외적용을 피할 수 없는 이상, EU인공지능명령안을 본보기로 삼아 인공지능에 관해 조속하게 입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리가이드라인의 제정이 입법을 늦추기위한 구실이 되어선 아니된다. EU인공지능명령안에서 EU차원의 특별고려대상이 아닌 한, 많은 내용이그대로 수용될 수 있다. 가령 금지된 인공지능 실행과 같은 수용불가한 리스크를 지닌 인공지능의 금지는 그 자체로 정당하고, 高리스크의 인공지능을 위한 규제 역시 큰 어려움 없이 수용할 수 있다. 비록 구체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지만 규제샌드박스에 관한 내용 역시 참고할만하다. EU인공지능명령을 계기로 행정법의 지평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국제적 행정법’에 관한 인식이 고양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보강 경량토의 압축강도 예측

        박현일(Park Hyun-Il),김윤태(Kim Yun-Tae),김홍주(Kim Hong-Jo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27 No.2

        보강 경량토는 부산 신항만 건설현장에서 채취한 준설토와 시멘트, 기포 및 폐어망으로 구성되었다. 폐어망을 이용한 보강 경량토의 강도특성을 구하기 위해 다양한 배합조건에 대한 다수의 일축압축시험이 수행되었다. 경량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와 응력-변형 거동은 시멘트 함유율, 수분 함유율, 기포 함유율 및 폐어망 함유율과 같은 배합조건에 크게 의존한다. 시멘트 함유율이 증가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 또한 증가하나, 함수비나 기포 함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주어진 배합조건에서 경량혼합토의 압축강도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합조건에서 수행된 실내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신경망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보강 경량토의 일축압축강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신경망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설계 배합조건으로 구성된 보강경량토의 일축압축강도 값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배합조건이 일축압축강도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Reinforced lightweight soil (RLS) consists of dredged soil taken from construction site of Susan New Port, cement, air foam and waste fishing net. Several series of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RLS on various mixing conditions.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s well as stress-strain behavior of lightweight soils strongly depends on mixing conditions including cement content, initial water content, air content and content of waste fishing net. The more the cement content that is added to the mixture, the greater the its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However, the more the initial water content or the more air foam content, the less the its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to estimate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soil at a given mixing condition. In this study,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hich was based on experimental test results performed on various mixing conditions, was applied to predict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RLS at a given mixing condition could be reasonably estimated using proposed neural network model. In addi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ixing condition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 KCI등재

        불포화 인공 식재 지반의 배수 성능과 식생 가능 조건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김성민(Sung-Min Kim),김충언(Choong-Eon Kim),정영훈(Young-Hoon Ju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6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인공 식재 지반의 공학적 배수 성능과 생물학적 식생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불포화토 해석을 통해 인공 식재 지반의 공학적 성능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식생 조경의 관점에서 조경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인공 식재 지반이 최소한의 수분을 제공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화강 풍화토로 이루어진 인공 식재 지반을 1m 높이의 사각형토체 기둥으로 모사하여 해석하였다. 해석 결과 토체의 배수 성능이 포화 투수계수와 불포화토 함수특성의 조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체적 함수비의 변화가 최소 한계 수분 범위(LLWR) 이내에서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식물이 갈수기 동안 생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분을 인공 식재 지반이 제공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drain capacity and vegetation potential of made-planting soil via finite element simulations. Engineering drain capacity of made-planting soil can be evaluated by an analysis of unsaturated soils. In a perspective for vegetation landscap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minimum amount of water in the made-planting soil can be supplied for the survival of plants. Herein, 1-m high soil column covered by made-planting soil were numerically simulated.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how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saturated soil and soil-water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soil are considered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drain capacity of soils. Variation in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within the Least Limiting Water Range (LLWR) provides us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he soil can contain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for the plants to survive the drought.

      • KCI등재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표층퇴적토의 오염물질 함량 분포와 제거효율 평가

        최돈혁(Don Hyeok Choi),최광순(Kwang Soon Choi),김동섭(Dong Sup Kim),김세원(Sea Won Kim),황인서(In Seo Hwang),이미경(Mi Kyung Lee),강호(Ho Kang),김은수(Eun Soo Kim) 大韓環境工學會 200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1 No.9

        시화호 인공습지내 표층퇴적토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내 물질함량과 퇴적토에 의한 오염물질의 용출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COD, TOC, IL, TN, TP 함량은 각각 4.1~47.7 mg/g, 0.29~2.81%, 1.88~8.15%, 0.03~0.35%, 362~1,150 μg/g의 범위로 조사지점과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유기물과 TN 함량은 봄에 높고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TP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3월≥5월≥7월≥9월, p=0.003 for COD, p=0.001 for TOC, p=0.017 for IL, p=0.015 for TN). 표층퇴적토의 중금속 함량은 As 3.5~13.9 μg/g, Cd 0.08~0.38 μg/g, Cr 51.8~107.0 μg/g, Cu 16.4~81.8 μg/g, Pb 26.8~81.8 μg/g, Zn 85~559 μg/g의 범위로 항목에 따라 상이한 시공간적인 분포를 보였다. 퇴적물환경기준으로 볼 때 유기물 함량은 대부분 기준 이하의 수준을 보인 반면 TN과 TP는 "중간오염" 또는 "심한 오염"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중금속 함량은 Cd과 Pb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퇴적물 환경기준으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용출실험 결과로부터 TN, Pb, Zn은 퇴적토에 의해 제거되는 반면 TP, Cd, Cu는 퇴적토로부터 용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표층퇴적토의 수질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수립이 필요하다. To estim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by surface sediment, matter content within surface sediment and its release from the sediment were investigated at 12 sites in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The content of COD, TOC, IL, TN, and TP within sediment varied temporally and spacially, showing ranges of 4.1~7.7 mg/g, 0.29~2.81%, 1.88~8.15%, 0.03~0.35%, 362~1,150 μg/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N were significantly highest in March and decreased towards fall (March≥May≥July≥September, p=0.003 for COD, p=0.001 for TOC, p=0.017 for IL, p=0.015 for TN), whereas TP conten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difference between sampling time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also varied largely with sampling sites and times (As:3.5~3.9 μg/g, Cd:0.08~0.38 μg/g, Cr:51.8~107.0 μg/g, Cu:16.4~81.8 μg/g, Pb:26.~81.8 μg/g, Zn:85~559 μg/g). As compared with sediment quality guideline,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within surface sediment of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was classified as unpolluted level. In contrast, the contents of TN, TP and heavy metals were classified as medium or severe pollution state, except some heavy metals (Cu and Pb). From the results of release experiment, TN, Pb, and Zn tend to be removed by surface sediment, but TP, Cd, and Cu have a tendency to released from sediment. Therefore, a relevant plan to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 (especially phosphorus) by surface sediment in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is needed.

      • KCI등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사태물질 이동거리 산정

        서용석 ( Yong Seok Seo ),채병곤 ( Byung Gon Chae ),김원영 ( Won Young Kim ),송영석 ( Young Suk Song ) 대한지질공학회 2005 지질공학 Vol.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산사태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석류 산사태를 대상으로 사면하부로 이동되는 사태물질의 이동거리를 산정하기 위한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중 지질특성이 서로 다른 3개 지역에서 선정한 24개 산사태를 대상으로 사태물질 이동범위의 정밀 현장조사와 토질 실내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여 이동거리 산정기법을 제안하였다. 인공신경망 분석을 위한 입력 자료는 개개 사면의 경사변화율, 원지반 투수계수, 건조밀도, 간극율, 사태물질의 체적, 측정한 확산거리 등 6개 항목이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도출된 결과는 각 입력치에서 추론율이 우수하게 나타나 대부분 오차율 10%이내에 분포하고, 일부 경우는 오차율 5%와 2%내에 분포하기도 한다. 이는 학습율이 대단히 좋은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학습 자료가 24개로서 비교적 적은 수이기 때문에 반드시 우수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단, 본 연구에서 획득한 입력자료의 분포범위가 전국 3개 지역에 걸친 넓은 범위임을 고려하면 대체로 우수한 추론율이라고 할 수도 있다. 향후 산정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의 조사 및 해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to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 that is a major type of landslides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detailed field survey of runout distance and laboratory soil tests using 24 landslides over three pilot sites. Based on the data of the field survey and the laboratory tests, an assessment method of runout distance was suggested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input data for the analysi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are change rate of slope angl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in-situ soil, dry density, void ratio, volume of debris and the measured runout distance. The analyzed results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show low error rate of inference distributing lower than 10%. Some cases have 5% and 2% of error rates of inferences. The results can be thought as excellent learning rat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be accepted as excellent results if it is considered with the results derived using only 24 landslide data. Therefore, more landslide data should be surveyed and analyzed to increase the confidence in the assessment results.

      • KCI등재

        딥러닝을 이용한 경량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 예측 시스템

        박보현,김두기,박대욱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4 No.3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treated soils strongly depends on mixing ratio. To characterize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LTS components an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LTS, extens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proposing normalized factor using regression models based on their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these results obtained from laboratory experiments do not expect consistent prediction accuracy due to complicated relation between materials and mix proportions. In this study, deep neural network model(Deep-LTS), which was based on experimental test results performed on various mixing conditions, was applied to predict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LTS at a given mixing ratio could be resonable estimated using proposed Deep-LTS. 경량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는 배합비에 크게 의존한다. 경량혼합토와 다양한 경량혼합토의 구성성분들의 관계를 특징짓기 위한 기존연구에서는 시험을 통한 회귀모델을 사용하여 정규화계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실내시험에서 얻은 결과는 재료와 배합비사이의 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일정한 예측의 정확도를 기대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합조건에서 수행된 실내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심층신경망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경량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를 예측하였다. 제안된 심층신경망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설계 배합조건으로 구성된 경량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 값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 인공지반 대형교목 식재 개선방안

        강명수,김남정,Kang, Myung-Soo,Kim, Nam-Jung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6 No.4

        아파트 단지 내 대형교목은 공동주택 외부환경의 질적 수준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것은 단지의 랜드 마크적 활용 및 공간 상징성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대형교목의 식재는 높은 유지관리비용 및 하자의 발생으로 오히려 외부환경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인공지반에 식재되는 대형 교목을 대상으로, 식재실태를 분석하여 대형교목의 식재 개선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개 대상지의 대형교목(R20이상) 총 265주를 대상으로, 조경설계계획 및 현장설계 변경사항, 그리고 준공실태를 관련 설계도서 및 현장 조사를 기반으로 식재 현황 및 최소 생육 토심, 추가 토심조치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동주택의 대형교목 조경설계는 85% 심근성 수종으로 평균 R35의 대형교목이 인공지반에 식재되고, 평균 65cm 최소 생육 토심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현장설계변경은 주로 R30과 R40의 특정 규격에 한정된 검토가 이루어지고, 부족 토심에 대한 추가계획 등은 수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추가 토심 확보방안으로 85%가 마운딩으로 조치하였으나, 만족율은 10%내외로 매우 낮아, 조치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대형 교목의 규격과 뿌리근 특성 이외에, 식재 입지선정이 최소 생육 토심 확보에 주요한 요인임을 지적하고, 식재계획 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Large trees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decide the quality of external environment. They are planted with the object of utilizing themselves as a landmark of the complex and enhancing space symbolism. Since planting large trees would require high maintenance costs and generate defect, it would cause decline in quality of external environment. This study researches on large trees in artificial ground of the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analyzes actual condition of planting and tries to provide improvement direction of planting.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hree target areas (over R30) and 265 trees are selected. Based o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plan of landscape design, changes of field design, actual condition of completion, present condition of planting,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types of extra action for soil depth. The result shows that 85% of drawings and specifications for large trees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deep-rooted tree species. On average large trees with R 35 are planted in artificial ground and there is lack of on average 65cm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Reviewing changes of field design is conducted in such limited size as mainly R30 and R40 and there is no extra plan for lack of soil depth. The plan for securing additional soil depth is done by 85% of mounding. However, since there is only 10% of satisfaction, the inappropriateness in securing additional soil is pointed out. This research also points out that the size of large trees, root characteristics and location-allocation for planting are pivotal factors for securing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This research also provides improvement direction in case of planning planting.

      • KCI등재

        4차 산업 혁명 시대, 불교 어떻게 알고 어떻게 깨달을 것인가

        정은혁,장상목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The machines replace humans, and maximize efficiency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machines using IoT in industrial sites and everyday life. It is said that there will be only a few days left before driverless cars travel around the world. However it was believed and consol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not be able to surpass humans in Go game. Even that belief was broken. What should we do for self-realization by recalling the meaning of knowing and realizing at the age when machines replace humans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are never experienced befo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goes beyond human. The problems, "How will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 human values?" and "How will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 the establishment of new values for human dignity in the future? ", should be pon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nature of knowing and realizing were considered.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paper tried to define how Buddhism is known and realized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racteristics and diverse problems of Buddhism's enlightenment faced in Korean Buddhism are defined as problems of universal perception of knowing and realizing instead of special phenomena accompanied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ssence of Buddhism's knowing and enlightenment following the Sakyamuni Buddha's "Light your own and Dharma candles." and sermon to build the world of suffering as the Buddhist Elysium. 산업현장과 일상생활에서 기계가 인간을 대신할 뿐만 아니라 기계간에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무인자동차가 세계를 누빌 날도 얼마 남지 않다고 한다. 그래도 바둑에서만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능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위안하여왔다. 그마저도 여지없이 무너졌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넘어서는 시대에서 안다는 것의 의미와 깨닫는다는 것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인공지능에 지배당하지 않고 대체되지 않는 자아실현을 위하여 우리는 어떻게 하여야할 것인가? 4차 산업혁명이 인간의 가치관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며, 앞으로 인간 존엄에 대한새로운 가치정립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고민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을고찰하고, 안다는 것과 깨닫는다는 것의 본질을 고찰하였다. 이런 고찰을 토대로 4차산업 혁명 시대, 불교 어떻게 알고 어떻게 깨달을 것인가에 대하여 정의하고자 하였다. 한국불교에서 대두되고 있는 불교의 깨달음의 특성과 제반문제점들을 4차 산업혁명발전과 변화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보지 않고 안다는 것과 깨닫는다는 것에 대한 보편적인식의 문제점들로 정의하였다. 석가세존의 “자등명(自燈明) 법등명(法燈明)”의 유훈과사바세계를 불국정토로 만들라고 하신 대자 대비한 부촉에 부응하여 불교에서 안다는것과 깨닫는다는 것의 본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옥상녹화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박준석,박지혜,주진희,윤용한,Park, Jun-Suk,Park, Je-Hea,Ju, Jin-Hee,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본 연구는 옥상녹화 생태면적률 기준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500{\times}500{\times}300mm$의 실험구에 토심 15cm와 25cm로 대별하였으며, 배합비율에 따라 $S_10$, $L_10$, $S_7L_3$, $S_5L_5$,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등 총 8가지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에서 9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상녹화 식재기반에 따른 토양수분함량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강우 시 상승한 반면, $S_10$, $S_7L_3$, $S_5L_5$ 실험구의 경우 수분함량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가 포함된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관리형 옥상녹화에 보수성이 높은 토양개량제 사용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비기나무의 생육실험 결과,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실험구의 경우 생육이 양호하였다. $S_{10}$은 다른 실험구에 비해 미비한 성장을 보였으며, 이것은 낮은 토양수분함량과 유기물부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본다. $L_{10}$ 실험구는 토양수분함량 및 유기물은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낮은 성장량을 보인 것은 유기질비료의 낮은 토양산도와 과잉 양이온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심 15cm 실험구와 25cm 실험구를 비교해 보았을 때, 확연한 차이는 없었으나 토심 25cm 실험구에서 좀 더 원활한 생육을 보였다. 하지만 토심 15cm 실험구의 14일 무관수에서도 순비기나무가 고사하지 않고 생육 가능했던 점과 P6P2L2 이상의 피트모스 배합비에서 왕성한 생육이 이루어진 점을 미루어 볼 때, 저관리에 적합한 토양배합비는 인공토가 포함된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ropriate planting soil for Vitex rotundifolia by planting soil. Different soil depth levels were achieved at 15cm and 25cm in the green roof module system that was created with woody materials for a $500{\times}500{\times}300mm$ area. The soil mixture ratio was $S_{10}$, $L_{10}$, $S_7L_3$, $S_5L_5$,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This study was carried out over five months between April and September, 2006. The amount of soil moisture tends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planting soil. For the experimental items $S_{10}$, $S_7L_3$ and $S_5L_5$, the amount of soil moisture tends to decrease rapidly. However, for the experimental items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conditions containing perlite and peat moss, the amount of moisture tends to decrease more gradually. As a result, the use of soil-improving amending for the afforestation planting of roofs with a low level of management is need. After experimenting with the ratio of soil mixture for Vitex rotundifolia, the planting soil for experimental item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appeared excellent. For experimental item $S_{10}$,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seemed to be weaker than that of others, because of the low levels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For experimental item $L_{10}$, there appeared to be a low level of growth, even when the levels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ere high. This may have occurred because of the low level of soil pH and the excessive amount of exchangeable cation. At the depth of 25cm,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is vigorous overall. For experimental item at 15cm, Vitex rotundifolia was able to survive for 14 days without any rainfall and Vitex rotundifolia was better in amended soil,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than natural soil, S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