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혜구 선율론

        최헌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이혜구․임미선 공저 한국음악이론은 2005년에 출판된 한국음악의 이론서로 박자와 리듬(장단), 선법 과 선율, 음악형식의 이론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데 책의 서술이 세밀한 논증과정을 생략하고 있어 그 이론을 이해하기 어렵다. 더욱이 국악학계에서 그다지 다루지 않았던 선율론은 저자의 이론이 완성되어 있지 않은 탓으로 그 설명이 더욱 미흡하다. 그래서 본고는 이혜구․임미선 공저 한국음악이론에 서술된 선율론을 해석하고 검토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혜구 선율론은 선율의 구성이 시김새-꾸밈음-음형-선율의 층위로 이루어지고, 시김새 와 꾸밈음은 확대(음 길이의 확대)되어 음형이 되고, 음형이 결합하거나 확대되어 선율이 된다는 구조체계 가 핵심이라 하겠다. 이혜구는 시김새와 꾸밈음의 관계가 확대의 관계라고 하지는 않았고, 시김새와 꾸밈음 이 각각 확대되면 음형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필자 생각으로는 시김새가 본음의 변화이고, 꾸밈음이 본음에 다른 음이 부가적으로 더 붙여진 것이라면 시김새와 꾸밈음의 관계도 상하 층위의 관계로 볼 수 있고, 즉 시김새가 확대되면 꾸밈음이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렇게 시김새-꾸밈음-음형-선율의 발전적 관계의 선율 구조 체계는 마치 진화론적 선율 발전 체계로 선율이 이루어진다고 설명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본음이 요성 퇴성 추성 전성의 시김새로 본음의 변화 를 일으키고, 이것이 더 확대 발전되면 다양한 꾸밈음이 된다. 여기서 더 연구가 필요한 것은 시김새의 유형과 꾸밈음의 유형이 확대 발전 관계라는 것의 증명이다. 이어서 꾸밈음이 확대 되면 음형이 되고, 음형이 더 확대 발전되면 선율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시김새-꾸밈음-음형-선율의 관계를 그 형태론적인 구성음의 측면에서 설명한다면 각각 시김새-꾸 밈음-간점-원점으로 볼 수 있겠다. 시김새와 꾸밈음은 구성음의 측면에서도 같은 이름이니 더 이상 설명 이 필요 없겠지만, 음형이 간점에, 선율이 원점에 대응된다는 것은 그 명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설명이 필요하다. 즉 다른 말로 설명하면, 선율의 진행은 원점으로 표현되고 음형은 원점과 원점을 연결해주는 간점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는 또 간점은 음형의 단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음악적 선율 활동을 하고, 원점은 선율 단위에서의 음악적 선율 활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혜구는 시김새-꾸밈음-음형-선 율의 관계와 시김새-꾸밈음-간점-원점의 관계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덧붙여 설명하자면 그 둘의 관계 를 연결해 본다면 좀더 이혜구 선율론을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어떻든 양자의 관계를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선율이 시김새-꾸밈음-간점-원점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저자도 설명에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전 통음악 선율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적은 음수의 선율에 간음이 삽입되어 많은 음수의 선율이 되고, 이 선율의 구성음이 시가가 확대되어 짧은 선율이 긴 선율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전통음악의 선율 구조가 시김새-장식음-음형-선율형의 단계로 확대되는 것이라기 보다는 원점-간점 -장식음-시김새의 단계로 전개되면서 선율이 구성되어 나간다고 설명하는 것이 타당하다. 전자의 설명은 형태론적인 측면이고 후자의 것은 생성론적 설명의 특징을 갖는다고 이해할 수 있다. 선율의 구성체계는 시작, 중간, 종지로 구분되고, 시작선율은 숙여내는 것, 평으로내는 것, 질러내는 것, 그리고 중간선율은 선율의 형태에 따라 수평형, 하행형, 상행형, 오목형, 볼록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고, 종지선율의 종류는 한국전통음악에서 그동안 설명되었던 종지의 종류를 정리하였다. 이렇게 보면 이혜구의 선율 종류 분류는 선율의 현상을 정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것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즉 역사적인 변천에서 이러한 선율형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저자가 설명하는 하층위 에서, 즉 시김새와 꾸밈음의 어떤 형태가 어떤 음형이 되고, 어떤 음형에서 어떻게 확대되어 어떤 선율형이 되는 것인지에 대한 양자의 관계에 좀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이혜구 선율론의 구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혜구의 음악이론이 종합적으로 정리된 저술 韓國音樂理論(민속원 20051130)의 서술 방식은 악보의 예시를 들어 선율이론의 원리를 설명하는 방식인데, 이 과정에서 이 분석 악보를 설명하는 논증은 자세하게 서술하지 않았다. 여기서 악보를 통해 설명한 각 특징이 한국음악 전체를 대표하나 하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원리를 설명한 악곡 악보의 대표성 논증은 없고, 특정 음악의 예(악보)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과연 이 설명이 한국음악 전체, 혹은 특정 장르 전체의 규칙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게 된다. 이혜구의 논문에서 설명했던 그동안의 방식을 감안하면 이것이 저자가 충분히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러한 서술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즉 춘면곡의 한 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그러한 음형 선율형이 한국전통음악 전체를 대변한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표성 논증을 제시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시악보의 현상과 그에 따른 이론이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증명 과정은 앞으로 연구해서 보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앞에서 다루지는 않았지만, 이혜구 선율론에서 일관되게 중요하게 적용되는 음악 개념은 반복과 변화, 그리고 속도의 느리고 빠름의 대비다. 이는 음악의 보편적인 원리라 생각되는데, 그동안 이를 언급한 논문 은 없었기 때문에 이혜구의 이에 관한 언급은 매우 중요하다. 또 앞에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저술에서 이혜구는 유동음을 인정하고 있어 이전의 그의 태도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돋보인다. 확대라는 개념과 음형이라는 선율 개념을 적용하여 선율 구조를 설명한 이 저서는 그 이론을 예시 악보 제시와 분석으로 설명을 대신하고 있는데, 악보의 선율 분석에 그치지 말고, 말로 그 이론을 설명할 필요가 있겠다. 그래야 정리된 이론의 범위와 원리가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라 생각된다. 또 이혜구의 한국음악이론 중 선율론은 한국전통음악의 특징을 상당히 고려한 면도 있으나 선율형의 분류 등에서 부분적으로는 형식적 인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여 음악적 특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고, 아울러 선율 유형의 특징이 충분히 설명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선율론으로 처음 체계 적인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혜구의 선율론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혜구의 韓國音樂理論에 설명된 선율론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은 첫째로 시김새와 꾸밈음이 확대되어 음형이 된다는 것보다는 시김새가 확대되어 꾸밈음이 된다고 그 층위를 구분하는 것이다. 여기에 서 擴大의 개념은 이혜구가 설명한 時價의 擴大뿐 아니라 音數․音幅의 확장의 개념을 擴大의 개념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본다. 둘째는 이혜구의 설명이 音形을 音群과 동일 층위의 단위로 본 것을 구분하여 이동훈의 음군론처럼 2-3음의 音群과 2-3개의 음군으로 구성되는 音形으로 나누어 복잡한 한국전통음악 의 선율구조를 좀 더 체계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 선율에서 음군과 음형의 분석 및 그 음악적 의미에 대한 것은 좀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혜구 韓國音樂理論의 선율론은 그 설명이나 체계에 있어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는 아쉬움은 있으나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를 처음으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정리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학 술적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The Theory of Korean Music, published in 2005 by Lee Hye-ku and Im Mi-seon, is a theory of Korean music, explaining the theory of rhythm, melody, and musical form.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heory because the book’s description does not explain the detailed reasoning process. Furthermore, the theory of melody, which was not much discussed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academic community, is even more insufficient because the author’s theory is not complete. Therefore, I have interpreted and examined the melody theory described in “The Theory of Korean Music” written by Lee Hye-ku and Im Mi-seon. In conclusion, Lee Hye-ku’s melodic theory consists of layers of Sigimsae-Ornamental tone-Tone figure-Melodic form, and the structure system in which Sigimsae and Ornamental tone are magnified (extended in length) to tone figure, and the combination or enlarged of tone figure is to a Melody form is the core of the theory. Lee Hye-ku did not sa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igimsae and ornamental tone was a relationship of magnification, but that when sigimsae and ornamentation were expanded respectively, they became tone figure. In my opinion, however, if the sigimsae is a change in the main tone and the ornametal tone is added to the original tone, the relationship of the sigimsae and the ornmental tone can be to the upper and lower levels, and when the sigimsae is expanded, it becomes a ornamental tone. If w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gimsae-ornamental tone-tone figure-melodic form in terms of its morphology, we can see each of them as sigimsae-ornamental tone-tone figuremelodic form. Sigimsae and ornametal tone are the same names in terms of compositional sounds, so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explain, but the fact that the pitch is at the intersection tone[間點] and the skeleton melody[原點] is requires explanation because the names are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progression of the melody is represented by the skeleton tone, and the tone figure consists of a point that connects the skeleton tone and the next skeleton tone. This also means that the intersection tone is a musical melodic activity that does not exceed the level of the figure tone melody, and the skeleton tone is a musical melodic activity in its melody unit. Although Lee Hye-ku did no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t would be easier to understand Lee Hye-ku’s melodic theory if they were to conn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lthough it did not somehow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author also includes that the melody consists of the sigimsae-ornamental tonetone figure-melodic form. However, if you look at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elody, you can see that the interstitial consonants are inserted into the melody of a small number, and the composition of this melody is expanded to a long melod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explain that the lyrical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s composed as it develops into the stage of skeleton melody-intersection tone-ornamental tone-sigimsae rather than expanding to the stage of sigimsae-ornamental tone-tone figuremelodic form.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rmer description is a morphological aspect and the latt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explanations. The structure system of the melody is divided into start, middle, and end, and the beginning melody is described as high start, medium heigt start, and low start. The middle figure is decribed as being horizontal, downward, upward, concave, and convex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elody. The end figure id finalis. In this sense, Lee Hye-ku’s classification of melody types(Figure) is stopping at the point of organizing the phenomenon of melody. More research is needed into its relationship. In other words, a more specific explanation is need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ides about how this type of melody was formed in historical selection and which type of melody expanded in the lower layer explained by the author. Wha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e theory of melody described in Lee Hye-ku’s “Korean Music Theory” is to distinguish the level of the Sigimsae and the Ornamental tone and that the Sigimsae is enlarged and embellished to the Ornamental tone rather than expanded to tone figure. Here, the concept of magnification is believed to include the concept of not only the expansion of the time value as described by Lee Hye-ku,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tone and pitch in the concept of enlarg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xplain the complex melody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dividing the tone group(or tone figure) by Lee into tone groups and tone figure like Lee Dong-hoon’s theory. However, the analysis of sound and sound types in real melodies and their musical meanings require more detailed research. This book, which explains the melody structure by applying the concept of magnification and the concept of melody figure, replaces the theory by presenting and analyzing example scores, and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theory in words, not just by analyzing the melody of sheet music. Only then will the scope and principles of the organized theory be clearly revealed. In addition, Lee Hye-ku’s theory of Korean music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it is regrettable th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fully explained by applying formal criteria in the classification of melodies. Nevertheless, I think that Lee Hye-ku’s melodic theory is very important in that he first suggests a systematic theory as a theory of melody for traditional Korean music. Although it is regrettable that Lee Hye-ku’s melodic theory of the Theory of Korean Music is not yet complete in its explanation or system, it is highly regarded academically for its attempts to systematically explain and organize the melody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 KCI등재

        이혜구 국악비평의 의의에 관한 검토

        전지영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is not only the most famous Korean traditional musicologist but also a pioneer of criticis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riticism of Lee Hye-ku should be checked on the viewpoint of criticism as justice, which is different from criticism as evaluation that has been regarded as criticism itself in the normal sense. The criticism of justice is an introspection and self-examination of criticism as evaluation, in which it can be exposed that the ‘evaluating’ is but an action for ‘power’ including vested rights and governing ideology, in that the rules for evaluation can be made only by ruling power. It can be argued that the viewpoints of art and tradition of Lee Hye-ku should be reviewed in the sense of ‘criticism as justice’, thereby, the core of his criticism can be understood as an ‘art as justice’ and ‘tradition as justice’. He continuously cried against political repression and for freedom of art. The tradition for him could be a groping for self-identity of Korean people. His arguments about arts, such as exclusion of political repression and commercialism, creation on the based of tradition, were the actions of criticism in the era of westernization, modernization, and authoritarian regime. In conclusion, the criticism of Lee Hye-ku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regard not as a germinal stage of ‘criticism as evaluation’, but as a pioneering role practicing ‘criticism as justice’. 이혜구(李惠求, 1909-2010)는 대표적인 국악학자이지만 동시에 국악비평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이때 국악비평은 국악을 비평하고 국악과 관련된 활동들을 품평하는 행위라고 인식하기 쉽다. 하지만 예술비평에는 두 층위가 존재한다. 그것은 ‘평가로서의 비평’과 ‘정의(正義, justice)로서의 비평’이다. 즉 품평하는 행위로서 비평을 넘어서서 보다 심층적인 단계의 비평이 존재하는 것이다. 비평에서 중요한 것은 품평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예술의 등위설정과 편가르기와 ‘배제’의 논리가 아니라, 과연 누가 등위를 설정하려고 하며, 등위를 왜 설정하려고 하는지, 그 등위를 위한 기준ㆍ규칙은 누가 설정하는 것이며, 과연 타당한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정의로서의 비평’이다. 기득권과 지배논리에 대한 성찰이 없는 평가와 등위설정은 예술을 비예술화하는 행위이자 권력적 행위이다. 품평이 아닌 정의(正義)의 관점에서 이혜구의 국악비평은 새롭게 조명될 수 있다. 우선 그의 예술론은 상품화와 대중추수주의에 대한 배격을 중심으로 하는데, 이는 권위주의 정부 시절 정치적 억압에 대한 배격의 자세와 맞물린 것이었다. 이혜구가 외쳤던 정치적 억압으로부터 자유, 상품ㆍ대중 논리로부터의 자유는 결국 정치와 자본으로부터 예술의 해방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그의 활동 당시에 가장 긴요하고 절실했던 비평적 정의(正義)에 대한 신념이 예술론으로 표출된 것이라고 하겠다. 한편, 이혜구의 전통론은 예술의 토대이자 창작의 토대이며 잃어버린 자아의 상징으로서 전통에 대한 접근이었다. 이는 오늘날 문제시 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전통, 권력화된 개념으로서의 전통이 아닌 일종의 ‘정의(正義)로서의 전통’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혜구 활동 당시 서구화와 근대화가 절대시되던 시대에 이런 전통론은 결국 왜곡될 수 있는 자아상과 시대상을 바로잡기 위한 진정성의 모색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정치적 억압의 배제, 상업주의 굴레의 탈피, 전통에 즉(卽)한 예술창작 등으로 구체화된 이혜구의 예술론과 전통론은 당대 인간의 사회적 삶에 영향을 끼치는 억압, 왜곡, 차별 등에 대한 일종의 비평적 정의론(正義論) 차원의 대응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조국근대화, 맹목적 현대화, 무비판적 서구동경의 시대에 끊임없이, 그것도 아주 강력하게 전통에 즉(卽)할 것을 주장하고 정치적 강제와 구속을 경계하는 태도야 말로 ‘평가로서의 비평’이 아닌 ‘정의로서의 비평’ 행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아울러 근대화의 이름으로 서구화되는 상황을 본능적으로 경계하는 태도는 기능주의적 연주자들이 갖지 못한 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이며, 그의 이런 지적과 태도는 오늘날도 여전히 의미 있게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혜구 비평활동은 단순한 ‘평가로서의 비평’의 맹아단계로서가 아니라 ‘정의로서의 비평’을 실천했던 선구적 역할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이혜구 국악비평의 의의에 관한 검토

        전지영 ( Ji Young Jeon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이혜구(李惠求, 1909-2010)는 대표적인 국악학자이지만 동시에 국악비평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이때 국악비평은 국악을 비평하고 국악과 관련된 활동들을 품평하는 행위라고 인식하기 쉽다. 하지만 예술비평에는 두 층위가 존재한다. 그것은 ‘평가로서의 비평’과 ‘정의(正義, justice)로서의 비평’이다. 즉 품평하는 행위로서 비평을 넘어서서 보다 심층적인 단계의 비평이 존재하는 것이다. 비평에서 중요한 것은 품평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예술의 등위설정과 편가르기와 ‘배제’의 논리가 아니라, 과연 누가 등위를 설정하려고 하며, 등위를 왜 설정하려고 하는지, 그 등위를 위한 기준·규칙은 누가 설정하는 것이며, 과연 타당한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것이 바로 ‘정의로서의 비평’이다. 기득권과 지배논리에 대한 성찰이 없는 평가와 등위설정은 예술을 비예술화하는 행위이자 권력적 행위이다. 품평이 아닌 정의(正義)의 관점에서 이혜구의 국악비평은 새롭게 조명될수 있다. 우선 그의 예술론은 상품화와 대중추수주의에 대한 배격을 중심으로 하는데, 이는 권위주의 정부 시절 정치적 억압에 대한 배격의 자세와 맞물린 것이었다. 이혜구가 외쳤던 정치적 억압으로부터 자유, 상품·대중 논리로부터의 자유는 결국 정치와 자본으로부터 예술의 해방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그의 활동 당시에 가장 긴요하고 절실했던 비평적정의(正義)에 대한 신념이 예술론으로 표출된 것이라고 하겠다. 한편, 이혜구의 전통론은 예술의 토대이자 창작의 토대이며 잃어버린 자아의 상징으로서 전통에 대한 접근이었다. 이는 오늘날 문제시 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전통, 권력화된 개념으로서의 전통이 아닌 일종의 ‘정의(正義)로서의 전통’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혜구 활동 당시 서구화와 근대화가 절대시되던 시대에 이런 전통론은 결국 왜곡될 수 있는 자아상과 시대상을 바로잡기 위한 진정성의 모색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정치적 억압의 배제, 상업주의 굴레의 탈피, 전통에 즉(卽)한 예술창작등으로 구체화된 이혜구의 예술론과 전통론은 당대 인간의 사회적 삶에 영향을 끼치는 억압, 왜곡, 차별 등에 대한 일종의 비평적 정의론(正義論) 차원의 대응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조국근대화, 맹목적 현대화, 무비판적 서구동경의 시대에 끊임없이, 그것도 아주 강력하게 전통에 즉(卽)할 것을 주장하고 정치적 강제와 구속을 경계하는 태도야 말로 ‘평가로서의 비평’이 아닌 ‘정의로서의 비평’ 행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아울러 근대화의 이름으로 서구화되는 상황을 본능적으로 경계하는 태도는 기능주의적 연주자들이 갖지 못한 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이며, 그의 이런 지적과 태도는 오늘날도 여전히 의미 있게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혜구 비평활동은 단순한 ‘평가로서의 비평’의 맹아단계로서가 아니라 ‘정의로서의 비평’을 실천했던 선구적 역할로 볼 수 있다.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is not only the most famous Korean traditional musicologist but also a pioneer of criticis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riticism of Lee Hye-ku should be checked on the viewpoint of criticism as justice, which is different from criticism as evaluation that has been regarded as criticism itself in the normal sense. The criticism of justice is an introspection and self-examination of criticism as evaluation, in which it can be exposed that the ‘evaluating’ is but an action for ‘power’ including vested rights and governing ideology, in that the rules for evaluation can be made only by ruling power. It can be argued that the viewpoints of art and tradition of Lee Hye-ku should be reviewed in the sense of ‘criticism as justice’, thereby, the core of his criticism can be understood as an ‘art as justice’ and ‘tradition as justice’. He continuously cried against political repression and for freedom of art. The tradition for him could be a groping for self-identity of Korean people. His arguments about arts, such as exclusion of political repression and commercialism, creation on the based of tradition, were the actions of criticism in the era of westernization, modernization, and authoritarian regime. In conclusion, the criticism of Lee Hye-ku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regard not as a germinal stage of ‘criticism as evaluation’, but as a pioneering role practicing ‘criticism as justice’.

      • KCI등재

        이혜구 박사의 무악 연구 성과 및 검증 -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이보형 ( Bo Hyung Lee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전통음악학의 태두이신 이혜구 박사는 수많은 한국전통음악의 논문을 썼지만 한국의 민속음악 부문의 논문은 적은 편이다. 이 가운데 한국의 무속음악 부문에 관한 논문은 오직 “무악연구”이라는 하나의 논문 밖에 없다. 그러나 이 논문은 몇 가지 점에서 주목되는 것이다. 첫째, 이 논문은 현지 조사한 하여 작성한 한국의 무속음악에 관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이 논문은 지금은 전승이 끊어진 지역의 무속음악이라 1940년대 서울 강남 지역의 무속음악 특징을 밝혔다. 즉 도살푸리, 반설음, 겹마치와 같은 무속음악 용어를 처음 학계에 소개하여 이 지역의 무속음악이 한강 이북과 다르고 경기도 남부 무의식과 같다는 정보를 후학들에게 제공한 셈이다. 셋째, 이혜구 박사는 이 때 조사한 무의식을 통하여 상고시대 나라의 축제와 관련성을 찾아내었고, 이 무의식에서 연행되는 줄타기 등 광대희를 통하여 중세 한국 궁중 축제인 나례(儺禮)의 가무희와 관련성을 밝혔고 또 판소리 발생론 규명을 시사하는 의견을 제공하였다. 넷째, 이혜구는 이 논문을 위하여 1940년대에 현지 조사하였고, 1950년대에 논문으로 작성하여 발표하였으며, 1990년대에 여기에 단긴 체계 이론을 약간 수정하여 발표하였고, 2000년대에 한국전통음악의 체계이론을 비판하는 저서를 내었다. 이 세 가지 글을 통하여 이혜구 박사 당시의 한국음악학 체계이론의 수준과 그 변화를 검증할 수 있었다. 이혜구 박사는 근래에 두 개의 서양음악식 박자가 한국음악의 장단을 이룬다는 이론을 처음 내었다. 이것은 옳은 이론이다. 그러나 강약주기박자 (서양음악박자)와 장단주기박자가 어떻게 결정되는가 하는 이론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오류를 볼 수 있다. 중중모리는 반 장단인 6/8이 서양음악 박자이고 중모리는 4분의 1/4 장단인 3/4이 서양음악 박자로 결정하는 오류, 박의 층위 이론이 없었기 때문에 엇모리와 터벌림(반설음)을 다 같이 5박자로 결정하는 오류는 당시 학문 기준으로는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이혜구 박사의 유일한 무속음악에 대한 논문 “무악연구”는 학계에서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지만 후학들의 국악학 연구에 여러 가지 시사하는 점이 많은 주목할 만한 논문이라 할 수 있다. Despite many research results produced by Dr. Lee Hye-ku 李惠求 [YiHye-gu] (1909- 2010), one of major pioneers of Korean musicological study, those on folk music remain relatively few. Among these, especially related to Korean Shaman music, we have only one particular writing, which is entitled A Study of Shaman Music. However, this paper deserves attention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is the first report on Korean shaman music based on a field research.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shaman music of Kangnam 江南 region of Seoul in the 1940s and this tradition is non-existent today. The study first introduces to specialists in this field concepts unique to Korean shaman music, such as tosalp``uri 도살푸리, pansorum 반서름, and kyommach``i 겹마치, suggesting that shaman music of this region differs from that from Kangbuk 江北 region and is rather similar to the southern ritual music of Kyongdo 京畿道 (Kyonggi Province). Third, based on this particular study of shaman rituals Dr. Lee has discovered its connections with court festival music of the periods of Koryo 高麗 and Choson 朝鮮 Dynasties. He also found similarities between acrobatic performances such as rope-walking staged in this shaman ritual and the song-dance-performances of narye 儺禮 (annual exorcism), a Korean court festival held in the middle ages. Moreover, he suggests that this is related to the origin of p``ansori 판소리 (Korean folk operatic song). Fourth, Dr. Lee conducted his field research in the 1940s, based on which he wrote up his paper in the 1950s. Later, after 1990, he added some details to produce his system theory and since 2000 Dr. Lee has published some books criticizing existing system theori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se three stages of writing demonstrate the level of development of changdan 長短 (rhythmic cycle) system theory in respective periods of Korean musicology and its changes. Recently, Dr. Lee has suggested that rhythm in Korean music largely consists of two types of Western rhythm, which is plausible. However, in lack of any theory explaining the dynamic structures of both Western and Korean rhythmic system, we were apt to decide that, for instance, half of chungjungmori 중중모리 changdan, rhythmic cycle of shamanic music, is western 6/8 and that 3/4 of one chungmori 중모리 changdan (rhythmic cycle) is in Western rhythm. Since no one knew about the level-theory of rhythmic beats, scholars often thought that both ommori 엇모리 changdan and t``obollim 터벌림 changdan were in five beat pattern. Although A Study of Shaman Music,“ Dr. Lee``s only study on Korean shaman music,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other scholars in the field, it may safely concludes that it has many good points from which scholars in the next generation may receive benefit.

      • KCI등재

        만당 이혜구(1909~2010)의 음악사학

        신대철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1943년 「양금신보 4조」로부터 출발한 만당 이혜구 선생님의 우리 음악사학 관련 연구는 일부 민속음악을 제외한다면 한국인에 의한 서양음악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갈래의 우리음악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음악사 연구를 통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고대로부터 20세기 전반에 이르는 역사적 유물이나 악보 및 기록이 있는 모든 갈래의 음악과 그 주변 상황이 보다 바람직한 우리 음악사학 정립을 위한 선생님의 연구대상이 되었다. 선생님의 4회에 걸친 우리 음악사 서술, 3회에 걸친 악학궤범의 역주, 정간보를 비롯한 여러 옛 악보집에 담긴 음악실체와 그 해독 방법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특별히 이 방면의 우리 음악사학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주면서 후학들을 위한 바른 지침이 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선생님은 1943년에서 1985년에 이르는 선생님의 모든 연구 여정을 대략 10년을 주기로 하여 모두 네 이정표로 나누었으나, 2005년에 이르는 지속된 선생님의 연구여정은 여기에 두 이정표를 더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문제 해결을 위한 학문적 산을 넘는 선생님의 연구 여정은 쉼이 없었다. 이와 같은 쉼 없는 학문적 여정에서 선생님의 강한 지행(知行)의 실증적인 긍정적 연구태도는 끊임없이 실존의 생명력을 발휘하였고, 바로 이러한 점은 선생님 음악사학의 큰 특징이 된다. 선생님에 의하면 우리의 음악사학은 주로 역사적 악보와 유물을 가진 과거의 우리음악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역사적 음악학에 해당되기 때문에 우리의 음악사학은 증명을 중시하여야 하며, 연구방법보다는 연구주제를 중시하여야 하고, 가설에서 출발하는 연역방법보다는 비교방법을 통해서 같음이 아닌 다름의 의미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른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학문이어야 한다. 선생님은 음악사학적으로 풀어야 문제의식의 확보와 문인의 음악활동사 시도를 중요한 과제로 보면서 단편적인 음악사학적인 점을 선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시급한 과제로 보았다. 바로 선생님의 이러한 모습에서 현재의 음악사학자와 과거 사실과의 중단 없는 대화를 통한 소통적 음악사학관과 어려운 상황의 도전에 불굴의 정신으로 응전하는 강한 지행(知行)의 긍정적 음악사학관이 읽혀진다. 선생님은 이와 같은 우리음악을 바라보는 음악사학관에 바탕 하여 일관되게 실증적 방법으로 우리의 음악사와 관련된 제반 사안들을 삶의 마지막 순간이 이르기까지 중단 없이 논구하여 우리 음악사학의 미래를 여는 새 길을 개척하였고, 후학들이 그 길을 편하게 갈 수 있도록 하였다. Lee Hye-Ku’s studies on Korean historico-musicology, which started in 1943, include almost all genres and peri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composed by Korean composer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except for some Korean folk music. Positively conducted his all studies were rewarded with good fruits. Historical remains from the antiquit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musical pieces in old musical anthologies, and literally recorded music of all genres and surrounded situations of it were his study theme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historico-musicology. Of all his studies, especially his four separated writings on Korean music history, three annotated translations of Akhak-gwebeom (canon of music) and all study results on musical pieces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of those music in old anthologies of music including square musical notation have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historico-musicology based on these fields and have been crowned with great success of becoming a right guide for younger scholars of next generations. He roughly marked his all study results from 1943 to 1985 as four periodical milestones based on about ten years; however, he had not stopped his study since then so that we can add another two more periodical milestones considering his study until 2005 based on about ten years as wel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he had not stop to study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crossing academic mountains since 2005. His positive and affirmative studying attitudes based on strong knowledge and conduct had continually demonstrated viable existential power, and this power is a distinguished characteristic of his historico-musicology. According to him, Korean historico-musicology should lay stress on verification, study theme than study method and study the meaning of difference through comparative way than deductive way which started from hypothesis. Finally it should be a science which explains the study results using right terminology because Korean historico-musicology is corresponded to historical musicology focused mainly on historic musical notations and remains of the past according to him, too. Considering of securing the cognitive faculty of academic problem and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i music as two of the most important tasks, he thought of the work for connecting some bits of dot like information on music history with line as more important and urgent thing for his study of music history to solve. We can read his strong affirmative philosophy of music history based on knowledge and conduct challenging the worst difficulty with an indomitable spirit in upper mentioned his thought which shows communication between a present music historian and the musical facts of the past without interrupting. He had continually studied almost all subjects concerned on Korean music history until his death without any discontinuation using positive way based on the upper mentioned his philosophy of music history. He had blazed a trail in a new way of opening the future of Korean historico-musicology, and paved a highway for younger scholars to come.

      • KCI등재

        이혜구 박사의 무악 연구 성과 및 검증 - 체계이론을 중심으로 -

        이보형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전통음악학의 태두이신 이혜구 박사는 수많은 한국전통음악의 논문을 썼지만 한국의 민속음악 부문의 논문은 적은 편이다. 이 가운데 한국의 무속음악 부문에 관한 논문은 오직 “무악연구”이라는 하나의 논문 밖에 없다. 그러나 이 논문은 몇 가지 점에서 주목되는 것이다. 첫째, 이 논문은 현지 조사한 하여 작성한 한국의 무속음악에 관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이 논문은 지금은 전승이 끊어진 지역의 무속음악이라 1940년대 서울 강남 지역의 무속음악 특징을 밝혔다. 즉 도살푸리, 반설음, 겹마치와 같은 무속음악 용어를 처음 학계에 소개하여 이 지역의 무속음악이 한강 이북과 다르고 경기도 남부 무의식과 같다는 정보를 후학들에게 제공한 셈이다. 셋째, 이혜구 박사는 이 때 조사한 무의식을 통하여 상고시대 나라의 축제와 관련성을 찾아내었고, 이 무의식에서 연행되는 줄타기 등 광대희를 통하여 중세 한국 궁중 축제인 나례(儺禮)의 가무희와 관련성을 밝혔고 또 판소리 발생론 규명을 시사하는 의견을 제공하였다. 넷째, 이혜구는 이 논문을 위하여 1940년대에 현지 조사하였고, 1950년대에 논문으로 작성하여 발표하였으며, 1990년대에 여기에 단긴 체계 이론을 약간 수정하여 발표하였고, 2000년대에 한국전통음악의 체계이론을 비판하는 저서를 내었다. 이 세 가지 글을 통하여 이혜구 박사 당시의 한국음악학 체계이론의 수준과 그 변화를 검증할 수 있었다. 이혜구 박사는 근래에 두 개의 서양음악식 박자가 한국음악의 장단을 이룬다는 이론을 처음 내었다. 이것은 옳은 이론이다. 그러나 강약주기박자(서양음악박자)와 장단주기박자가 어떻게 결정되는가 하는 이론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오류를 볼 수 있다. 중중모리는 반 장단인 6/8이 서양음악 박자이고 중모리는 4분의 1/4 장단인 3/4이 서양음악 박자로 결정하는 오류, 박의 층위 이론이 없었기 때문에 엇모리와 터벌림(반설음)을 다 같이 5박자로 결정하는 오류는 당시 학문 기준으로는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이혜구 박사의 유일한 무속음악에 대한 논문 “무악연구”는 학계에서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지만 후학들의 국악학 연구에 여러 가지 시사하는 점이 많은 주목할 만한 논문이라 할 수 있다. Despite many research results produced by Dr.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 2010), one of major pioneers of Korean musicological study, those on folk music remain relatively few. Among these, especially related to Korean Shaman music, we have only one particular writing, which is entitled "A Study of Shaman Music." However, this paper deserves attention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is the first report on Korean shaman music based on a field research.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shaman music of Kangnam 江南 region of Seoul in the 1940s and this tradition is non-existent today. The study first introduces to specialists in this field concepts unique to Korean shaman music, such as tosalp'uri 도살푸리, pansŏrŭm 반서름, and kyŏmmach'i 겹마치, suggesting that shaman music of this region differs from that from Kangbuk 江北 region and is rather similar to the southern ritual music of Kyŏngdo 京畿道 (Kyŏnggi Province). Third, based on this particular study of shaman rituals Dr. Lee has discovered its connections with court festival music of the periods of Koryŏ 高麗 and Chosŏn 朝鮮 Dynasties. He also found similarities between acrobatic performances such as rope-walking staged in this shaman ritual and the song-dance-performances of narye 儺禮 (annual exorcism), a Korean court festival held in the middle ages. Moreover, he suggests that this is related to the origin of p'ansori 판소리 (Korean folk operatic song). Fourth, Dr. Lee conducted his field research in the 1940s, based on which he wrote up his paper in the 1950s. Later, after 1990, he added some details to produce his system theory and since 2000 Dr. Lee has published some books criticizing existing system theori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se three stages of writing demonstrate the level of development of changdan 長短 (rhythmic cycle) system theory in respective periods of Korean musicology and its changes. Recently, Dr. Lee has suggested that rhythm in Korean music largely consists of two types of Western rhythm, which is plausible. However, in lack of any theory explaining the dynamic structures of both Western and Korean rhythmic system, we were apt to decide that, for instance, half of chungjungmori 중중모리 changdan, rhythmic cycle of shamanic music, is western 6/8 and that 3/4 of one chungmori 중모리 changdan (rhythmic cycle) is in Western rhythm. Since no one knew about the level-theory of rhythmic beats, scholars often thought that both ŏmmori 엇모리 changdan and t'ŏbŏllim 터벌림 changdan were in five beat pattern. Although "A Study of Shaman Music,“ Dr. Lee's only study on Korean shaman music,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other scholars in the field, it may safely concludes that it has many good points from which scholars in the next generation may receive benefit.

      • KCI등재

        이혜구 만당학 성립의 시대적 배경과 개인적 경험에 관한 논구

        이용식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만당 이혜구는 한국음악학의 초석을 다진 선구자이다. 그의 음악학, 즉 ‘만당학’은 현재까지도 한국음악 학계에서 가장 유용한 연구방법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글에서는 만당학이 정립되는 과정을 20세기 전반 의 당대 학계 흐름이라는 ‘역사적 지평’ 또는 ‘텍스트의 지평’과 만당의 개인적 경험을 통한 ‘현재의 지평’ 또는 ‘연구자의 지평’이 어떻게 상호융합의 과정을 거쳐 정립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만당학의 한계와 향후 국악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았다. 만당학의 과학적․실증주의적 학문성향은 성호 이익의 성호학과 궤를 같이 한다. 성호는 경학자 및 실학자로서 서구문화를 받아들여 개방성․다양성․객관성․경험성을 중시했다. 이런 성호학의 학문성향 은 만당학과 궤를 같이 하기에, 만당학 성립의 역사적 지평은 성호학이라 할 수 있다. 만당의 경성제국대학 교에 만연하던 비교방법론은 당시 식민지 조선의 근대 학문계에서 널리 유행하던 학풍이었다. 그리고 만당 은 이런 비교방법론을 받아들여 그의 첫 학술논문에서 양금신보의 4조를 중국 및 서양 악조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방송인이었던 만당이 첫 번째 학술논문을 쓸 수 있었던 기회를 제공한 다나베 히사오, 다나베의 스승이자 만당의 첫 논문이 수록된 회갑기념논문집의 주인공인 기시베 시게오, 그리고 만당은 제국대학 이라는 커넥션을 갖는다. 즉, 만당의 연구자적 지평은 제국대학 시절의 비교방법론과 제국대학 커넥션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만당학은 귀납적 추론, 실증주의, 비교방법론으로서, 20세기 전반 학문세계를 이끌던 가장 선진적인 학문성향이자 방법론이었다. 그러나 21세기에 만당학의 학문방법론은 유효하지 않다. 포스트모더니즘 세 계에서 만당학의 모더니즘적 경향은 딛고 넘어서야 할 연구방법론이다. 만당학이 추구했던 개방성과 과학 성은 받아들이고, 서양음악중심적 사고와 지나친 실증주의를 넘어서서 21세기의 한국음악학 연구방법론을 개척해야 할 것이다. Lee Hye-ku(1909~2010) was the pioneer of Korean musicology whose academic orientation and methodology, which I term ‘mandanghak’ school, are still regarded as the most effective view in Korean musicology. Lee Hye-ku had no systematic musicological train at all and established his academic methodology by himself. Mandanghak was made both by the academic orientation of the time and Lee Hye-ku’s own persoanl experience.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historical horizon or the textual horizon of the time and present horizon or scholar horizon of Lee Hye-ku’s own experience. I will discover how the two affect the establishement of Mandanghak school. Lee Hye-ku was born and raised in a prestigious family and is a born Confucianist. His scientific and positivism has transmitted by Seonghohak school established by Yi Yik (1681~ 1763). Yi, a Confucian scholar, admitted Western academism of open mind, diversity view, objectivity, and experientiality. The academic orientation of Seonghohak school has handed down to Lee. In this sense, the historical horizon for the establishement of Mandanghak school was Seonghohak school. Lee Hye-ku had not followed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but went to Japanese schools from elementary to college levels. His teacher at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of Kyojo Imperial University was Sato Kiyoshi (1885~1960) who emphasized the comparative study. The methodology was very popular among the scholars of the time. Lee Hye-ku accepted the methodology and wrote his first academic thesis compar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Chinese and Western musical theory. Lee Hye-ku was able to write his first thesis asked by Tanabe Hisao who was preparing a publication to dedicate his teacher Kishibe Shigeo.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people was the Imperial University which was core of the academism of the time to raise the “elite of (Japanese) empire.” In this sense, Lee’s personal horizon was built up on the Imperial University. The essence of Mandanghak is inductive method, positivism and comparative view. The methodology of Mandanghak was most advanced and effe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owever, it is not totally acceptable in this 21st century. We need to accept the advantage of Mandanghak, the open and scientific mind and discard the disadvantage, the tendency toward Western musicology and heavy positivism, in order to open an new era of Korean musicology.

      • KCI등재

        만당 이혜구의 일본음악 연구 -연구 성과와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이지선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이 글에서는 만당 이혜구의 일본음악의 연구 성과와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만당은 1953년부터 일본음악 관련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하여 90세가 되던 1998년까지 45년간 총 16편의 논문을 집필했다. 연구 주제는 기악(伎樂), 삼국악(三國樂), 고마가쿠(高麗樂), 도가쿠(唐樂), 사이바라(催馬樂)로, 한일 관계 나 한중일 관계를 통해 전개된 일본음악이다. 그의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한 ‘음악사적 연구’와 악보 분석을 통한 ‘음악의 실체 연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양자 모두 일본음악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한국․중국 음악과의 비교를 통해 상호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한국음악의 특징을 찾아내는 작업이었다. 일본음악 연구 중 30%는 일본에서 일본어로 발표되었는데, 이는 일본음악계와의 학문적 소통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만당은 자신의 연구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의 일본음악 강의는 연구와 연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한국음악과의 비교 방법을 취하여 학생들에게 한일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분명하 게 인식시켜 주었다. 만당의 학술 행보에는 “최초”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다. 그는 한국음악학은 물론 동양음악 연구라는 미지의 길을 열고 닦아주었다. 오늘날 한국의 음악학이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으로 성장하고 많은 음악학 자들과 음악인들이 활약하고 있는 것은 평생 한국음악학 발전과 후학 양성에 힘을 쏟은 만당의 열정이 만들어 낸 결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teaching methods of Mandang Lee Hye-ku’s Japanese music. Mandang began researching Japanese music from 1953 and wrote a total of 16 papers for 45 years until 1998, when he turned 90 years ol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Gigaku, Three Kingdoms Music, Komagaku, Togaku, and Saibara. His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a study of the history of music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study of the substance of music through analysis of sheet music, and ultimately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n and Chinese music rather than focusing on Japanese music itself. 30% of Mandang's Japanese music studies were published in Japanese in Japan, which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nables academic communication with the Japanese music world. Mandang actively utilized his research in education. His lectures on Japanese music were conducted in a way that was linked to research, and by taking a method of comparison with Korean music, he made the students clearly aware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Japanese music. In Mandang’s academic progress, a lot of the modifier “first” is attached. He opened and paved the way for the study of oriental music as well as Korean musicolog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fact that today’s musicology in Korea has grown academically in various fields, and that many musicologists and musicians are active, is the result of Mandang’s pass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and fostering successors throughout his life.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 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만당 이혜구와 일본음악학계-인적 교류와 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이지선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7 No.-

        이 글은 만당(晩堂) 이혜구(李惠求)의 일본음악학계에서의 행적을 인적 교류와 학회 활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만당은 1940년대 초부터 일본음악계와 학술 교류를 시작하는데 이는 그가 실천한 최초의 해외음악계와의 교류였다. 친밀하게 소통한 일본음악학자는 기시베 시게오(岸邊成雄)와 하야시 겐조(林謙三)이다. 만당은 기시베와 1941년에 처음 대면한 이후 그의 주선으로 일본음악학계에 첫 논문 「양금신보의 사조에 관하여」를 발표하고, 1970년대 중반 함께 고려악연구회를 발족하며 1980년대 중반까지 친교를 나누었다. 또한 만당과 하야시는 학문의 관심 분야와 고악보를 통한 음악분석이라는 연구방법에서 공통점이 많아 쉽게 소통할 수 있었다. 기시베와 하야시는 만당을 위해 그의 송수기념논문집(1969)에 글을 헌정하며 학술적 교류를 이어갔다. 만당은 1943년 이전에 일본 동양음악학회에 가입하여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특별강연회(1959)를 갖고 동 학회 학술지에 일본 고려악 <나소리>를 한국 “구나의 소리”로 해석한 논문(1965)을 게재했다. 또한 조선학회 학술지에 한국의 좌․우방악과 일본의 좌․우방악을 비교한 논문(1961)을 수록하고, 기악과 산대극의 비교 연구를 구두 발표(1968)와 논문(1969)으로 집필하는 등 1950년대 말부터 일본학계에 한국음악학을 적극적으로 소개했다. 일본음악계에서 만당의 명성은 1970년대 초에 이미 널리 알려져 한국 음악학자로는 최초로 일본의 표준음악사전에 등재되었다. 그가 추구했던 국제 교류는 한국국악학회와 고려악연구회의 활동을 통해서도 구현되었다. 1959년부터 해외 학자들을 한국국악학회에 소개하여 연구와 정보를 교환하는 장을 만들어나갔고, 1976년부터 한일음악의 공동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고려악연구회를 이끌어갔다. 이러한 만당의 행보는 일본에서 한국음악학이 전개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만당은 일본음악학계의 제1세대부터 제3세대에 이르기까지 학문적 소통을 이어간 살아있는 한일음악교류의 역사 그 자체였다. 그의 해외교류 활동은 한국음악학이 국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었음에 틀림없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activities of Mandang Lee Hye-gu in the Japanese music academy through personal exchanges and academic activities. Mandang began interacting with Japanese music academia in 1941 after meeting with Kishibe Shigeo. Mandang and Hayashi Kenzo had many things in common in academic interests and research methods. Kishibe and Hayashi dedicated their articles to Mandang’s 60th Anniversary book and continued academic exchange. Mandang was the first Korean to speak at the Society for Research in Asiatic Music. He published papers comparing Japanese music with Korean music in the journal and introduced Korean musicology to the Japanese academic community since the late 1950s. He introduced foreign scholars to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from 1959, and from 1976 he led the Komagaku Research Society for the purpose of joint research of Korean-Japanese music. This movement of Mandang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in Japan. Mandang was the history of the exchange of living Korean-Japanese music that continued communication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third generation of the Japanese music academy. His overseas exchange activities were the driving force for Korean musicology to grow interna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