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외성의 미학과 진정성의 윤리 : 이창동 소설론

        박유희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6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literary fictions of Lee Chang-dong, who was a major writer in the 1980s and started to make films as a director in the middle 1990s. As an effort to complete a theory of the author that encompassed literary fictions and films, this study ultimately aimed to analyze his literary fictions that became a starting point and base in his formation of identity as a writer and shed light on their characteristics. Lee presents a rare case of making it both as a writer and film director. He has continued to state openly that his films are in the extension line of thematic consciousness that he sought after in his literary works only with a medium difference between them. It will be useful to look into the texts of the writer/director that has made noticeable achievements in both the media in the middle of media changes to reinforce the research on correlations between literature and film that the literary circles have taken pains to address. In his fifth film Poetry(2010), he asked questions encompassing both literature and film and answered them in his own way, thus concluding his journey as a film director for the time being. It is about time for a theory of the author to emerge. The present study thus analyzed his literary fictions in topics and formal characteristics, keeping in mind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value that he pursued from literary fictions to films. Chapter 2 examined that his literature began in the atmosphere of emphasizing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literature after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in Gwangju. Chapter 3 analyzed his literary fiction texts and demonstrated that his literary fictions were characterized by giving a narration in the eyes and voices of marginal persons as main characters and showing an orientation toward the sublime values through unexpected compositions and swift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ry fictions were summarized into "pursuit of unexpected verisimilitude and determination for ethical authenticit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e completely achieved the orientation of his literary fictions and its undercurrent determination in his, b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ry fictions made a transformation into strengths via the medium of film and led to considerable achievements. His literary fictions ended as incomplete works as literature in the 1980s, but they claimed significance as a writing method to expand the horizon of auteurism in the South Korean cinema during the period of media conversion since the 1990s. 본고는 1980년대 주요 소설가였고 1990년대 중반부터는 영화감독으로 활동한 이창동의 소설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소설과 영화를 아우르는 이창동의 작가론을 완성하기 위한 1차 작업으로, 이창동 작가 정체성 구성의 출발점이자 기반이 된 소설을 구조와 서술태도 차원에서 고찰하고 미학과 창작방법의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이창동은 소설가와 영화감독으로서 동시에 성공한 희귀한 작가이다. 그는 자신의 영화가 매체만 달라졌을 뿐 문학에서 추구했던 주제의식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줄곧 피력하기도 했다. 매체의 변화 속에서 문학계가 고심해온 문학과 영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해 양쪽 매체에서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룬 작가 이창동의 텍스트를 들여다보는 일은 유용하다. 또한 그는 다섯 번째 영화 <시>(2010)에서 문학과 영화를 포괄하는 질문을 하고 나름대로 그 답을 내놓음으로써 영화감독으로서의 도정에서도 일단락을 지었다. 이제 이창동 작가론이 나올 만한 시점이기도 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창동이 소설에서 영화로 옮겨가며 견지했던 문제의식과 고민을 염두에 두면서 이창동 소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이창동 문학이 1980년 광주와 그로 인한 문학의 사회적 책임을 통감하면서 출발했음을 고찰했다. 3장에서는 이창동 소설 텍스트를 분석하여, 경계적(境界的)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들의 시선과 목소리로 서술하고 의외의 구성과 비약적 결말을 통해 삶의 새로운 국면과 심연을 드러내려고 하는 것이 이창동 소설의 특이점임을 논증했다. 그리고 그러한 특이점은 일반적 개연성과 그럴듯함에 우선하는 삶의 생생한 국면을 드러내려는 핍진성에의 추구와 그것을 통해 인간의 심연을 탐구하고 윤리적 가치를 구현하려는 진정성에의 의지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특이점이 일관되게 드러나는 이창동 소설의 미학을 ‘의외성의 미학’으로, 그 본질을 이루는 태도를 ‘진정성의 윤리’로 요약했다. 이창동 소설에서 그러한 미학과 태도가 고른 성취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비약적 결말에 대한 평단의 비판은 그것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그러나 인간에 대해 예단하거나 일반적 확률에 기대어 생각하는 것을 결벽에 가깝게 회피하면서 언제나 삶이 지닌 의외의 국면에 주의를 기울여 그 심연의 비의(秘義)를 길어 올리려는 태도는 1980년대를 견딘 하나의 정신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그것은 시의에 민감하면서도 시류에만 흔들리지 않으며, 삶의 다원성에 대한 열린 의식과 더불어 인간의 존엄과 윤리에 대한 근본적 믿음이 전제되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판단된다. 이창동이 소설 쓰기를 그만두면서도 문청으로서 지녔던 애초의 문제의식과 창작방법을 견지해 나가 21세기 영화에서 구현한 것은 이러한 정신에 기인한다. 그리고 이는 역설적으로 이창동 소설의 현재적 의의를 방증하고 있다.

      • KCI등재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비교 연구: 5・18의 가해자/피해자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전두영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감성연구 Vol.- No.25

        Lee Chong-jun’s “The Story of a Worm” in 1985 does not include the contents of “The May 18.” The readers and the critics at the time, however, read the novel a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May 18. The novel later received the public attention as it became known as the origin of Lee Chang-dong’s movie The Secret Sunshine (2007). However, much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works has been done without the relevance of the May 18. Studies discuss forgiveness and salvation, loss and mourning as the subject that two works have in common, but they pay no attention to the May 18. In particular, researches in the case of The Secret Sunshine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es of the content of the movie, which means that the director’s consciousness as a writer is not dealt properly. This study argues that Lee Chang-dong has a guilty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ists in the 80s, and this consciousness was finally turned into a work as the movie The Secret Sunshine. This paper argues that Lee Chang-dong writes an allegorical text about the perpetrator/victim of the May 18 with The Secret Sunshine. As for how Lee Chang-dong expresses his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I use two methodologies. First, I follow details outside the text. Tracking down Lee Chang-dong’s career as a novelist and film director, I show that Lee Chang-dong tried to give a hint to the audience that his movie was about the May 18, especially with the title of the movie and the release date. Second, I try to reconstruct the stories by analyzing the main event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in order to show that they express a similar consciousness. In particular, I analyze these two texts through the narrative style of allegory. My analysis of the two texts are based on two allegory theories. One is Walter Benjamin’s theory. According to the theory, the last step that the reader understands the author’s intention completes the allegory. On the other hand, Paul de Man stresses that although it is the author who creates the allegory, how the meaning is conveyed to the reader is outside of the author’s hands. Regardless of which allegory theory we buy, I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the allegorie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shows that both texts expres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there can be no real reconciliation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without the victim’s side of forgivenes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Secret Sunshine shows a deeper perspective on the community. Just as the May 18 community resisted the false state’s authority, the community formed by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e movie represents a community resisting God who forces the false kind of forgiveness. My analysis of these allegories shares a certain point with Stanley Fish’s ‘interpretive communities.’ According to Fish, the communities have a consistent perspective, forming the worldview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 in a sense keeps writing a text together. Lee Chang-dong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pretive community which maintains a certain position on the May 18, interpreting “The Story of a Worm” in a certain way and writing his own text with the creation of The Secret Sunshine. The interpretive communities theory further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accept the May 18 as an open text and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text for the May 18. Considering that there could be many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ies, what I am arguing in this paper may be a position of a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y from the one who shows the viewpoint of The Secret Sunshine and its extended text such as “The Story of a Worm.” However, I believe that this paper’s discussion can be an interpretation of the same interpretive community, revealing the hidden viewpoint of the text that Lee Ch... 1985년에 발표된 이청준의 단편소설 「벌레 이야기」는 ‘오월 광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의 독자들과 평자들은 그 소설을 오월 광주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었다. 이후 이창동의 영화 <밀양>(2007)의 원작으로 알려지면서 이 소설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두 작품의 비교 연구는 오월 광주에 대한 재현이 탈색된 채 이루어져 왔다. 용서와 구원, 상실과 애도가 두 작품의 주제 의식임을 지적한 연구는 있지만 그 주제 의식의 바탕으로 5·18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특히 이창동의 <밀양>의 경우 영화의 내용에 관한 분석에 연구가 국한됨으로써 감독의 작가 의식에 접근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창동이 8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서 오월 광주에 대해 죄의식을 가졌으며 이러한 죄의식이 영화 <밀양>에서 비로소 표현되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창동이 <밀양>을 통해 5·18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알레고리적 텍스트를 쓰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창동이 5·18이라는 주제 의식을 어떤 식으로 표현하는지에 대해 필자는 두 가지 방법론을 사용한다. 첫째, 필자는 창작자의 주제 의식 표현을 짐작할 수 있는 텍스트 외적 사항들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창동이 지닌 소설가로서의 이력과 영화감독 필모그래피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창동이 영화 제목과 개봉일 선정 등을 통해 5·18에 대한 문제의식을 관객에게 전달코자 했다고 주장한다. 둘째, 필자는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핵심적 사건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점에서 두 텍스트가 유사한 주제 의식을 표현하는지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두 텍스트를 알레고리라는 서사 양식을 통해 분석한다. 필자는 두 가지 알레고리론에 주목해 두 텍스트를 분석한다. 한 가지는 발터 벤야민이 주장한 알레고리론으로서, 그것에 따르면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전달되어 독자가 작가의 의중을 파악함으로써 알레고리의 완성이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폴 드 만은 알레고리를 창조하는 것은 작가의 몫이지만 그것이 독자에게 이르렀을 때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즉, 독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는지는 창작자의 권한 밖의 일이다. 이 두 알레고리론의 어느 입장을 받아들이든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알레고리 분석에 따르면, 두 텍스트 모두 피해자의 용서가 없이는 진정한 화해가 있을 수 없다는 주제 의식을 그 이면에 깔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러한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밀양>은 두 주인공이 새로운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공동체에 대한 진일보한 시각을 보여준다. 5·18공동체가 거짓 국가에 저항했듯이 영화의 두 주인공이 형성한 공동체는 거짓 용서를 강요하는 신에 저항하는 공동체이다. 필자의 이러한 알레고리 분석은 스탠리 피쉬의 ‘해석의 공동체’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 피쉬에 따르면 이 공동체는 일관성의 관점을 갖고 그들만의 공통된 세계관을 형성해가며 텍스트를 쓰는 특징을 갖는데, 이창동은 「벌레 이야기」 해석과 <밀양>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5·18에 관한 일정한 입장을 견지하는 해석의 공동체의 특성을 보여준다. 해석의 공동체 개념은 더 나아가 우리에게 5·18을 열린 텍스트로서 받아들일 기회와 5·18에 대한 새로운 텍스트 창작의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밀양>이 「벌레 이야기」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 의식, 곧5·18에 ...

      • KCI등재

        이창동 현실주의 영화의 작가주의 특징 연구

        장한,양종훈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한국의 영화감독 이창동은 예술 영화의 창작 이념을 오랫동안 고수하여 소수의 영화 제작을 통한 뛰 어난 작품을 창작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는 모두 인문주의적 배려와 현실주의 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녹색 3부작’으로 불리는 영화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에서 중기의 <밀양>, <시> 그리고 최 근의 <버닝>에 이르기까지 이창동의 영화는 예리한 시각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서 일반인들이 겪는 생존 의 곤경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는 자신이 경험한 한국의 역사적 상처와 인간의 잔혹함 그리고 침해당 하는 개인의 운명 등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는 작가주의 영화의 미학적 특 징이 드러내며, 한국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과 반성, 그리고 소외 집단의 생존 상태에 대한 관심이 이창 동 영화의 일관된 주제이다. 작가로서의 오랜 경험은 그의 영화가 서사 방식에서 다른 특징을 나타나게 하였다. 상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초현실주의 에피소드가 자주 등장하고, 숏은 항상 차분하고 엄숙하며, 관조적 태도로 현실을 반영하고 롱 테이크의 기록적인 미학 표현 기법을 유지한다. 그는 영화를 통해 개 인의 존재 의미에 대한 변증적 사고로 글로벌화의 트렌드에 따른 한국과 인류 문화 정신의 변천을 확대 하여 인류의 생존 본질에 대해 질문한다. 즉, 슬픈 분위기의 영화를 통해 현실을 반영하며 사람, 생명, 한 국 사회의 스토리로 현실을 초월한 깊은 반성을 보여주고, 인류의 공통의 감정을 도출한다. 다양한 영화 소재와 장르의 예술적 특징으로 볼 때, 장르를 초월한 개성적인 창작 스타일을 갖춘 현실주의 영화만이 비로소 사람들이 깊은 여운을 음미할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 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영화 장르의 단 조로운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항상 현실주의적 소재를 선호하는 한국 영화를 새로운 수 준으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창동의 현실주의 영화 속 작가주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실주의 한국 영화의 예술 창작 기법에 대한 새로운 구상 방향의 개척을 그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1990s, South Korean films have risen to prominence, winning numerous awards 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mong them, Director Lee Chang-dong insists on the creation concept of art film and insists on low-yield and high-quality creation for decades, which deeply contains humanistic care and realistic spirit. From the original “Green Trilogy,” The Green Fish “Mints”, “Oasis” to the middle of the “Mi Yang”, “poem” and then to the recent “Burning”, lee's movies like a sharp knife precision cut open South Korea the plight of ordinary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t has the history of trauma, the cruelty of human nature, individual fate by uprooted, and obtained great success in the history of film art, in South Korea and even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Asian film. His films show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film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social reality of South Korea and the concern about the living conditions of marginal characters are the consistent themes of his films; Due to the profound accumulation of literary accomplishment and years of experience as a writer, his films als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non-rigid style in the way of narration: Surrealist fragments interwoven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appear frequently in his works; The camera is always calm and serious, reflecting reality with a silent observation of life, and sticking to the shooting technique of long lens documentary aesthetics. Lee Chang-dong, the director, is very firm in describing the unique fragmentation through one sad story after another. With the help of the film, he makes dialectical thinking on the meaning of individual existence and explores the changes of human culture and spiri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world to question the wood of human existence.

      • KCI등재

        이창동 분단소설에 나타난 ‘아버지’의 의미

        이내관(Lee, Nae?kwan)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6

        본 논문은 이창동의 분단소설 「소지」, 「끈」, 「친기」, 「용천뱅이」, 「운명에 관하여」 등을 중심으로 ‘아버지’의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리먼 케넌의 성격 지표를 표상하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인 간접 제시와 직접 한정이론을 토대로 이창동 분단소설에 나타난 ‘아버지’의 의미를 고찰함과 동시에, 나아가 ‘아버지’가 분단 2세대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밝혀냈다. 그 결과 이창동의 소설에서 ‘아버지’는 하나같이 부정적인 의미를 띠고 있다는 점과 대부분 좌익 활동의 경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창동의 분단소설에 나타난 ‘아버지’는 2세대들의 인생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존재로 다음과 같이 형상화되어 있었다. 첫째,「소지」와「끈」에 나타난 ‘아버지’는 작중인물이자 서술자인 ‘나’에게 인생의 걸림돌이자 방해자의 의미로 등장한다. 둘째, 「친기」에서의 ‘아버지’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자식들에게 무능력한 모습을 보이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끝으로 「용천뱅이」와 「운명에 관하여」에 나타난 ‘아버지’는 버림받은 존재의 의미를 지닌 인물로 표현되어 있었다. 이처럼 이창동의 분단소설에는 분단 1세대인 아버지 세대와 2세대들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논문을 통해 이창동 분단소설에서 아버지 세대와 자식 세대는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증명해 낼 수 있었다. 이는 좌익이었던 ‘아버지’로 인해 분단 2세대들이 사회로부터 불합리한 대우를 받게 되면서 더욱 심하게 표출됨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This study is a review about the meaning of ‘Father’ in Lee Chang-dong’s division novel. This paper was used as the theoretical limit of two basic types of direct and indirect indicators suggest that represent the personality of S. Rimmon-Kenan. In addition, this paper has considered the meaning of ‘Father’. And the father said what it means to the second generation division. As a result, Lee Chang-dong’s division novel was confirmed that a career as one of the ‘father’ is tinged with negative connotations that most left-wing activities. So, the ‘father’ in the Lee Chang-dong’s division novel is shaped by the presence does not help the lives of two generations. First, the ‘father’ will emerge as an obstacle interferer and the meaning of life to his son in ?Soji?, ?String?. Second, the ‘father’ is shaped as an incompetent person looks from the past to now look to the children in ?Chin?gi?. Finally, the ‘father’ is portrayed as a person with a sense of the presence of abandoned in 「Yongcheonbaeng-i」, 「About Destiny」. Lee Chang-dong"s novel is characterized by the division to the division of the first generation and second generation have emerged father. And most of the appearance of the ‘Father’ was able to prove that it is shaped as a negative in these novels.

      • KCI등재

        이창동 분단소설에 나타난 ‘아버지’의 의미

        이내관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6

        This study is a review about the meaning of ‘Father’ in Lee Chang–dong’s division novel. This paper was used as the theoretical limit of two basic types of direct and indirect indicators suggest that represent the personality of S. Rimmon–Kenan. In addition, this paper has considered the meaning of ‘Father’. And the father said what it means to the second generation division. As a result, Lee Chang–dong’s division novel was confirmed that a career as one of the ‘father’ is tinged with negative connotations that most left–wing activities. So, the ‘father’ in the Lee Chang–dong’s division novel is shaped by the presence does not help the lives of two generations. First, the ‘father’ will emerge as an obstacle interferer and the meaning of life to his son in 「Soji」, 「String」. Second, the ‘father’ is shaped as an incompetent person looks from the past to now look to the children in 「Chin–gi」. Finally, the ‘father’ is portrayed as a person with a sense of the presence of abandoned in 「Yongcheonbaeng–i」, 「About Destiny」. Lee Chang–dong's novel is characterized by the division to the division of the first generation and second generation have emerged father. And most of the appearance of the ‘Father’ was able to prove that it is shaped as a negative in these novels. 본 논문은 이창동의 분단소설 「소지」, 「끈」, 「친기」, 「용천뱅이」, 「운명에 관하여」 등을 중심으로 ‘아버지’의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리먼 케넌의 성격 지표를 표상하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인 간접 제시와 직접 한정 이론을 토대로 이창동 분단소설에 나타난 ‘아버지’의 의미를 고찰함과 동시에, 나아가 ‘아버지’가 분단 2세대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밝혀냈다. 그 결과 이창동의 소설에서 ‘아버지’는 하나같이 부정적인 의미를 띠고 있다는 점과 대부분 좌익 활동의 경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창동의 분단소설에 나타난 ‘아버지’는 2세대들의 인생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존재로 다음과 같이 형상화되어 있었다. 첫째, 「소지」와 「끈」에 나타난 ‘아버지’는 작중인물이자 서술자인 ‘나’에게 인생의 걸림돌이자 방해자의 의미로 등장한다. 둘째, 「친기」에서의 ‘아버지’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자식들에게 무능력한 모습을 보이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끝으로 「용천뱅이」와 「운명에 관하여」에 나타난 ‘아버지’는 버림받은 존재의 의미를 지닌 인물로 표현되어 있었다. 이처럼 이창동의 분단소설에는 분단 1세대인 아버지 세대와 2세대들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논문을 통해 이창동 분단소설에서 아버지 세대와 자식 세대는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증명해 낼 수 있었다. 이는 좌익이었던 ‘아버지’로 인해 분단 2세대들이 사회로부터 불합리한 대우를 받게 되면서 더욱 심하게 표출됨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 KCI등재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황경 ( Hwang Kyeo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이창동의 영화 <버닝>을 메타서사로서 분석한다. <버닝>은 종수라는 소설가 지망생의 비극적인 추적의 서사를 통해 우리 시대에 소설쓰기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환기한다. 현실 비판적인 사실주의 작가로서 오랜 시간 나름의 미학관을 구축해 온 이창동 감독이 새삼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것은 그가 마주한 우리 시대의 현실에 선뜻 동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버닝>의 미스터리는 곧 감독 이창동이 인식한 현실의 모습이며, 확정할 수 있는 어떠한 진리도 진실도 가치도 부재하는, 모든 것이 유동하는 불확실성의 시대와 조응한다. 이창동은 하루키와 포크너의 동명의 소설, 「헛간을 태우다」와 「헛간 타오르다」를 매우 흥미로운 방식으로 차용하면서, 우리 시대의 문학/예술의 존재 방식을 탐문한다. 하루키의 ‘헛간 방화’가 탈중심적이고 탈주체적인 해체적 사유와 관련된다면, 포크너의 ‘헛간 방화’는 경제적 착취와 계급적 차별에 대한 분노와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 <버닝>의 비극적인 결말은 하루키적 현실에 대한 부정이며, 포크너적 저항과 싸움의 논리에 대한 수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어쩌면 이창동 감독은 <버닝>을 통해 이미 지나버린 시대의 미학적 논리와 문학적 욕망을 호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역사의 발전과 진보에 대한 믿음으로 어떤 가치와 진리의 실현을 향해 나아가던 모더니티의 미의식이며 사회 현실과 길항하는 리얼리즘적 방법론의 요청이다.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Lee Chang-dong's films < Poetry > and < Burning >. < Poetry > and < Burning > can be interpreted as meta-narratives. The < Poetry > emphasizes the poet's sense of ethics. < Burning > was made like a mystery movie. What is mysterious is the reality of our society. There are many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n society today. But our society is rich and affluent. No one seeks the truth or thinks of social justice. People pursue pleasure. < Burning > asks what is novel writing in this age. < Burning > explores the literary and artistic styles of our time with novels by Haruki and Faulkner. Haruki's novel shows off decentered ideas and deconstructive logic. Faulkner's novel depicts resistance to class discrimination. The tragic ending of < Burning > denies the postmodern logic of Haruki novel and accepts the resistance of the Faulkner's novel. Lee Chang - dong's film show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odernity that believes in the progress of history and pursues value and truth. And his film is aimed at reality-critical realism.

      • KCI등재

        이창동 영화의 아포리아와 문학적 표면 연구 —영화 「시」와 「버닝」을 중심으로

        김준구,이승하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2

        본고는 영화 「시」와 「버닝」의 아포리아를 통해 이창동의 영화가 생성하는 문학적 표면을 연구했다. 이창동의 영화는 줄곧 문학적이라 평가받았으나 그 실체에 대한 규명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장선 상에서 이창동의 방법론으로 일반화된 리얼리즘 역시 「시」와 「버닝」이 드러내는 환상과는 모순을 보인다. 두 영화는 각각 시와 소설이라는 문학을 소재로 하는 점, 문학의 불가능성을 감각적 언어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밀접하다. 「시」는 시 쓰는 주체가 겪는 표상 불가능의 아포리아를, 「버닝」은 소설가 지망생 주체가 겪는 서술 불가능의 아포리아를 반복한다. 두 영화의 아포리아는 문학의 아포리아, 타자를 향한 쓰기의 아포리아로 귀결된다. 소재의 차원을 넘어, 무한한 쓰기를 지속하게 하는 두 영화의 아포리아는 관객을 필연적으로 수동적 작가의 자리에 위치시킨다. 본고는 레비나스 · 블랑쇼 · 들뢰즈 등 바깥의 사유를 경유해 관객의 서술과 관계하는 두 영화의 문학적 표면을 논증할 것이다. 이창동의 영화언어를 재조명하고, 문학의 책무를 전이하는 아포리아를 펼쳐 보이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현대사회에 대한 성찰적 기획으로서 이창동의 영화들

        주진숙 영상예술학회 2007 영상예술연구 Vol.11 No.-

        이창동은 코리언 뉴웨이브라는 한국영화의 중요한 국면이 마무리되는 시기에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지만 그 시기 작가들이 추구했던 경향을 지속적으로 탐구한 네 편의 영화를 발표해왔다. 단순한 이야기 구조에 자극적 스펙타클을 담은 블록버스터 급의 영화들이 지배하는 한국영화의 경향에서 이창동의 영화들은 지속적으로 시대 와 시대정신, 사회와 제도, 그리고 그 안의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해왔 다. <밀양>을 계기로 이창동의 영화를 다시 되돌아보면, 그의 영화들은 현재를 비판 적으로 해부하고 진단하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대해 다시 한번 인식하고, 그것이 현재 한국사회와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일 종의 성찰적 기획으로 읽혀진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그 영화들이 한편으로는 사실 주의적 기법으로 영화를 창조하되 서사기법의 변형과 자의식적인 스타일의 구사로 관객에게는 시대와 사회 그리고 그 안의 인간에 대해 깊은 성찰을 요구하는 모더니 즘의 내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영화가 들어내는 지정학적 공간과 자 의식적인 영화적 장치의 이용, 그리고 장르를 넘어선 사회와 역사에 대한 강조는 관 객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영화라는 매체가 가능하게 하는 현실의 환영을 인식시키면 동시에 그 현실의 역사를 환기시킨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관객을 향한 계몽주의적 전략으로 읽히면서 동시에 성찰적 기획으로 다가온다. 그러면서도 대중과의 소통에 실패하지 않으며 비평적으로도 주목받아온 점은 코리언 뉴웨이브가 지나간 지 10년 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그 물결 속의 영화들이 지닌 가치의 현재의 유효성이 무엇인 지 흥미롭게 한다. Though Lee Chang Dong started his career as a film director when the KoreanNew Wave called its end, he has consistently pursued its trend through his four films. When Korean films were dominated by the trend of blockbuster spectacle with simple commercial narrative and genre films, Lee’ s films constantly requiresfor the part of audience the reflexivity on Korean modern society, its process of development, and political history. When we look back on his films, at the time Secret Sunshinewas released, his films could be understood as a reflexive projectthat demands us to critically watch over the present days, to recognize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again, an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past. As a project of reflexivity, his films overtly accentuate the geopolitical space of Korea, self-consciously exploit filmic apparatus, and emphasize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beyond the storytelling of the genre he effectively utilizes; so that audience could not avoid from recognizing the illusion of the films and revoking the recent history of Korea at the same time. His films serve as history lessons for enlightening audience but received acclaim from both critics and audience. This still needs to scrutinize the political effectivity Lee’ s films as well as Korean New Wave films.

      • 이창동 소설 「춤」에 나타난 1980년대 한국 사회의 소비 의식 연구

        양진호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2

        본고는 이창동 소설집 『소지(燒紙)』에 수록된 단편인「춤」을 ‘소비’라는 키워드로 살펴봄으로써 그의 소설적 발화 방식인 ‘이야기’의 의미를 규정하려고 한다. 역사에 대한 당대 문학의 보편적 관점에서 ‘이야기(나카자와 신이치의 신화에 대한 개념과 관련지어)’로 이행하는 그의 소설들은 역사를 관통하는 소외된 자들, 시간으로부터 추방된 자들의 시선으로 사회를바라본다. 한국 사회의 역사와 그 바깥이라는 영역 사이에 놓인 개인들의삶을 발견하고 재현하는 그의 소설에서, ‘이야기’라는 관점은 역사라는 체계안에서 역사 바깥을 사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역사 안에 포함될 수없는 것들이 역사 안에 섞여 있고, 그것을 역사 속 개인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인식하려는 과정 자체를 이창동이 ‘이야기’라는 형식을 통해 담아내려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창동의 이러한 ‘이야기’적 서술 방식이 담긴 소설들 중 「춤」을 80년대 한국 사회의 욕망 구조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핵심이 되는 ‘소비’의 키워드로 분석하고, 그가 이 기표를 통해 한국 사회의 모순을 발견하는 방식, 그리고 ‘화해의 가능성을 찾아가는 방식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을 한국 사회의 ’경계‘에 대해 이창동이 사유해나간 과정으로서 바라보려고 한다.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meaning of 'story', his novel utterance method, by examining the short story 'Dance' contained in Lee Chang-dong's novel collection 『Soji』 as the keyword ‘consumption’. His novels, which move from the universal perspective of contemporary literature on history to 'story' (in relation to Shinichi Nakazawa's concept of myth), look at society through the eyes of the marginalized and those expelled from time through history. In his novels that discover and reproduce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are placed betwee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and the realms outside it, the perspective of ‘story’ works in a way of thinking outside of history within the system of history. In other words, the things that cannot be included in history are mixed in history, and the process of individuals in history trying to recognize it in their own way is what Chang-Dong Lee tried to capture through the form of ‘story’. In this thesis, among the novels that contain Lee Chang-dong's 'story' narrative style, 'dance' is analyzed as a keyword of 'consumption', which is the key word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desire in Korean society in the 80s, and he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method of discovering the contradic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method of 'finding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view this process as a process by which Chang-dong Lee thought about the 'boundary'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이창동 작가론

        이현승(Hyun-Seung Lee),송정아(Jeang-Ah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영화작가로서 이창동은 장르적 자장 안에서 영화를 만들고 있는 한국영화계의 대다수 감독들과 구별된다. 그동안 그의 영화는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느와르, 멜로 등의 장르를 차용해왔지만 최근작 〈시〉에 이르러서는 장르적 외피를 벗어던진 것처럼 보인다. 〈초록물고기〉부터 〈시〉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남은 것은 관객의 참여를 요하는 깊은 심도와 시간의 연속을 암시하는 길게 찍은 숏들의 몽타주, 현실성을 강조한 연기 등 리얼리즘적 표현방식이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들은 환영적 동일시를 깨는 방식으로 관객들에게 성찰의 자리를 돌려준다는 측면에서 장르영화의 카운터 시네마로 파악할 수 있다. 이창동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낯설게 하기’는 핸드헬드, 판타지, 미장아빔, 응시 되돌려 보내기 등의 영화적 장치로 구현된다. 이 장치들은 텍스트의 재현양식을 폭로함으로써 관객들이 역사적, 정치적 컨텍스트를 성찰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오아시스〉,〈밀양〉 등의 분석을 통해 이창동의 영화 만들기 행위는 결국 보이지 않는 ‘실재’를 상징화함으로써 ‘윤리를 창조하는 반복충동’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As a film maker, Lee Chang Dong stands out from most Korean film makers who work within the trappings of genre films. To be sure, Lee has also used the trappings of genre films, such as noire and melodrama, but primarily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film audience. In his most recent film “Poetry”, Lee seems to have even stripped even the minimal trappings of genre film. Lee commands the audience to self-reflect and work towards their own conclusions by denying them the illusory identification on screen. In this way, Lee’s works are counter cinema. Lee achieves a distancing effect using such filmic apparatuses as hand-held camera, fantasy, mise en abyme, and returned gaze. Through these filmic apparatuses, Lee exposes the re-presentation of text and compels his audience to see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of the text. In this study, I make the case that Lee Chang Dong’s film making is an act of repetition compulsion that cultivates ethical reflection, through symbolization of the invisible re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