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일제 말 조선인을 위한 차선의 모색과 그 한계 -해방 전 이찬의 시와 희곡-

        윤진현 ( Jin Heon Yo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시인으로 알려진 이찬(李燦)은 일제 말, 1943년에서 1945년까지 4편의 희곡을 남긴 희곡작가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으로 < 세월 >(『조광』, 1943.5~6), < 보내는 사람들 >(『신시대』, 1944.8), < 이기는 마을 >(『춘추』, 1944.10)의 3편은 이미 알려져 있었고 1945년 6월 발간된 『조광』 5-6월 합병호에 실린 일본어와 한국어 혼용의 < 사랑의 전선을 넘어서[愛線を越 へて] >가 있다. 이 작품은 창씨명 아오바 가오리[靑葉薰]로 발표된 이찬의 희곡이다. 시인 이찬이 연이어 희곡을 집필했다는 것은 다소 의외이지만 일찍이 『우리동무』 사건으로 신고송등과 투옥되기 전 < 추수 >라는 슈프레히콜 희곡의 발표를 예정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선전수단으로서의 희곡은 서정시로 포착되지 않는 일제 말의 현실적 문제 해결을 위한 장르적 고심의 결과라고 할 것이다. 첫 작품 < 세월 >은 전쟁의 와중에 조선인의 선택지에 대한 판단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이동연예대의 대본으로 집필된 < 보내는 사람들 >과 < 이기는 사람들 >은 당대 전조선을 순회하던 이동연극에 대한 비판적 대안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 작품은 징용과 징병에 찬성하면서 전쟁 참여를 독려한다는 점에서 그 친일성을 부정할 수 없다. 다만 본고에서는 이 시기의 이찬의 시와 희곡이 지닌 친일성을 따지기보다는 그 작품의 이면에서 당대를 살아남기 위한 차선책으로서의 생존방법에 주목하였으며 작품의 이면에 균열을 초래하는 작가적 회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우선 이 시기 친일시로 구분되는 시가 당시 같은 제목으로 씌어진 여타 시인의 시들과 달리 시적 화자가 대상과 동일화되지 못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균열은 희곡에서는 선명히 드러나기보다는 이면적 주제로 잠복한다. 희곡 < 세월 >은 전쟁 2기인 1943년에 발표되었으나 1기적 기반 위에서 구상된 것으로서 일본의 패권을 전제로 조선인의 이익과 선택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황민화 정책의 골자를 이루는 ``국어(일본어)학습``에서 실제 전황을 왜곡하는 정보가 조선인의 현실과 내적으로 대립하여 일관된 작품 주제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 보내는 사람들 >과 < 이기는 마을 >에서 적대세력은 원경화되어 있는 대신에 기층민 인물을 중심으로 이들의 능동성과자발성, 연대와 우애가 전면화되어 있으며 이로써 이찬은 멀리 있는 전쟁의 적대세력에 대한 적개심보다 위기를 극복하는 기층민의 지혜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적 주체를 향한 낭만적 대안은 < 사랑선을 넘어서 >에서 완전히 파탄에 이른다. 전쟁동원의 선동적 논리와 가족 상실의 비극이 전면적으로 충돌하는 가운데 주인공의 이중적 표현을 통해 전자를 비판하고 주관적 낭만성에서 이탈해가는 것이다. 요컨대 이찬은 일제말 희곡을 통해 일제에 저항하는 대신, 생존의 차선책을 선택하고 여기에서 조선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우회 전략을 구사하였으나 결국 실패하였으니 일제 말 총동원 체제 하에서는 그조차도 달성 불가능했던 것이다. Lee Chan(李燦), known as a poet, was also a playwright who left 4 plays from 1943 to 1945,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is 3 works ``Sewol`` (``Jogwang``, from May to June in 1943), ``The People Sending`` (``Shinsidae``, Aug. in 1944), ``The Victorious Village`` (``Chunchu``, Oct. in 1944) are already known, and ``Beyond the Front Line of Love`` (愛線 を越へて) written in both Korean and Japanese was included in the combined issue (the May 1945 issue and the June 1945 issue) of the magazine ``Jogwang``. The work ``Beyond the Front Line of Love`` is his play published in his Japanese name Aoba Kaori(靑葉薰). The fact that the poet wrote a series of plays is rather unexpected; but he had been planning to publish the Sprechchor play ``Chusu(秋收)`` before he was imprisoned with Shin Go Song, etc. for the Wooridongmu case. The play as a means of propaganda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deliberation on genre, deliberation aiming to solve the undetectable real problems of the period through lyric representation. That is because his first work ``Sewol`` was focused on judgement on the choices the People of Choseon had during the war and ``The People Sending`` and ``The Victorious People`` written as scripts for mobile musical troupes connoted critical alternatives to the Mobile Theatre that was on a tour of the whole Chose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were pro-Japanese works in that they approved of the draft and conscription and encouraged participation in the war. But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works`` hidden side where survival methods as the second best survival plans in the period were presented, rather than discussing his pro-Japanese poems and plays published then. In addition, it intended to look at the doubts he had as a writer, the doubts causing a crack on the hidden side of the work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his poems classified into pro-Japanese poems written in the period and the poems with the same title written then by other poets : the poetic narrators and objects could not be unified. Such a crack stakes out in the hidden theme of a play, rather than being exposed clearly. The play ``Sewol`` was published in 1943, during the 2nd period of the war. But it was contemplated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2nd period, and deals with the advantages of the people of Choseon and with the choices they made on the assumption that Japan would gain supremacy. But as for ``learning the official language (Japanese language)``, the gist of the Japanization policy, information distorting the actual military situation was in internal confrontation with the reality of the people of Choseon, which creates a crack in the consistent theme of the work. In ``The People Sending`` and ``The Victorious Village``, the antagonists look far away; instead, activeness, spontaneity, solidarity, friendship are placed on the front side, people from lower classes playing a main role in showing those, through which it can be seen that he is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s`` wisdom in terms of overcoming crisis, rather than the feelings of hostility towards the warfare antagonists looking far away. But the romantic alternative for such active main agents ends up being destroyed completely in ``Beyond the Front Line of Lo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inflammatory logic of war mobilization is in an all-out confrontation with the tragedy of family loss, the former (the inflammatory logic) is criticized and a deviation from subjective romanticism is done through the protagonist`s dual expression. To sum up, he chose the second best survival plan and then used the turnaround strategy, that is the maximization of the advantages of the people of Choseon, instead of resisting the Japanese Empire through his plays writte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he finally failed, which means that it was impossible to achieve even such a strategy in the full-scale mobilization system then.

      • KCI등재

        이찬의 개작시(改作詩) 양상과 의의(2)

        송숙이(Song, Suk-yi)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6 No.-

        이찬은 해방전에 썼던 시들 중, 해방후 북한체제에서 20편의 시를 개작한다. 한 작품을 두고 전개된 개작 변이 양상이 다른 시대적 상황 아래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충분히 주목을 요하는 현상이다. 본고는 어떤 양태로 개작되었으며, 개작을 통해서 주장하고자 한 의도는 무엇인가에 내용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이찬의 개작시는 무엇보다 1950년대 북한문단의 외부적 상황이 깊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후 북한문단의 기조가 된 문화어 정책, 부르주아 미학사상의 척결, 문예의 대중화, 도식주의 배제,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 전개된 숙청작업 등이 그 배경이다. 비록 1930년대 쓴 작품이지만 순수 서정시로서는 비판의 소지를 갖고 있었기에 이에 대비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아울러 북한 문예정책에 앞장선 시인으로 일관된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서도 개작이 필요했을 것이다. 하지만 전반적인 내용수정은 불가능했을 것임으로, 어휘선택과 행의 분화로 의미를 강화하거나, 감정과잉을 드러내는 어휘를 삭제해서 시적 긴장을 도모하고 있다. 세부적인 항목에서 개작행위가 일어나고 있다. 물론 표면적으로는 문예정책에 순응하기 위한 개작이었지만 개작과정에서 한 시인으로서의 장인의식이 드러나기도 한다. 즉 시인으로서 시작에 임하는 장인의식이 내비치고 있는 것이다. 그가 비록 카프계열의 사회주의 시인이었지만 상당량의 서정시를 창작한 사실은 이러한 장인의식의 표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찬의 개작시는 원작의 서정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문학의 한계로 지적되는 문학의 도식주의와 교조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소지를 남긴다. 이찬의 개작시는 북한 인민의 삶을 서정적인 분위기로 읽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인상적이다. 이 점이 이찬의 개작시가 갖는 의미인지도 모른다. 이찬의 개작시에서 분명 북한문학의 교조성과 목적성의 의도를 읽을 수 있지만, 서정성에 바탕을 둔 이찬의 시세계의 원형을 찾을 수 있음도 분명한 사실이다. Lee Chan revised 20 poems under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he wrote befor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t aspects on revision over one poem attracts sufficient atten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revision and its intention. The revised poem of Lee Chan looked heavily influenced by external condition of the literary circle in North Korea in 1950s. The backgrounds include cultural language policy as a basis of literary circle in the postwar North Korea, removal of bourgeois aesthetics idea, popularization of liberal arts, exclusion of formalism and purification process. Though works were written in 1930s, they were pure lyrical poems which were under criticism. Thus, his revision looked as a preemptive measurement. Together with this, he needed a revision to show his coherent attitude at the front of literary policy in North Korea. But, as overall revision of contents was impossible, he did revise in vocabulary, disposition of stanza. Of course, it was a revision to conform with the literary policy but he showed a craftsmanship as a poet in the process of revision. He showed his sense of craftsman in his revision. Although he was a socialist poet in the KAPF circle, he created considerable amounts of lyrics, which looks closely related with his expression of craftsmanship. As his revised poems kept lyrical aspects to some degree, he seemed to be possible to overcome formalism and dogmatism in the literary circle in North Korea. His revision is impressive in that he reads the life of North Korean people in a lyrical sense. This is the significant point of revised poems. Though his works are based on dogmatism and objectiveness, it is also clear that his poetic prototype with a lyrical sense can be found.

      • KCI등재

        이찬과 한국 현대문화ㆍ역사지리학의 정립

        홍금수(Kew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현대 문화ㆍ역사지리학의 개척자인 이찬은 1923년에 황해도 연백에서 출생하여 평양사범학교와 서울대학교를 거치며 근대지리학의 내적 토대를 다진다.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로 유학의 장도에 올라 버클리 학파의 일원인 니펜에게서 문화ㆍ역사지리학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전수받는 한편, 도작문화에 관한 연구로 196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귀국하여 현대지리학 1.5세대에 기대되는 교육, 연구, 국제 활동을 활발히 펼친다. 이찬의 문화지리학은 문화요소의 기원, 전파, 분포에 맞추어져 있으며 시간적인 변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동시에 역사지리흑에기도 했다. 지도교수를 통해 시우어 지리학과 크뢰버 인류학을 섭렵한 까닭에 문헌보다는 야외 조사에 비중을 둔 경험적인 연구를 지향하였다. 중부지방의 민가를 조사하는 단계에서 니펜의 물질문화분석법을 원용하고, 한국지리학시를 개관하는 중에 국학으로서의 지리학에 관심을 환기하고 고지도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도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역사지리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구현하였다 한국문화역사지라학회, 『문화역사지리』, 다방면에서 활동 중인 후학은 이찬의 유산이자 한국문화ㆍ역사지리학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다. Born in a pastoral countryside in 1923 Chan Lee had learned and practiced geogra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flying over to Louisiana State University for his post-graduate work. He was awarded Ph.D. for the thesis A Culture history of rκe with special reference to Louisiana in 1960 under the guidance of the Berkeley school's cultural geographer Fred B. Kniffen. Lee's cultural geography which laid emphasis on the origin, diffus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traits took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the addition of time dimension.Exposed to Sauerian culture history of landscape morphology and Kroeberian ethnography Chan Lee emphasized fieldwork in practicing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is exemplified by the researches on folk housing, rice cultivation, and various other topics. Chan Lee left behind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nd disciples as his enduring legacy.

      • KCI등재후보

        이찬의 북한 시와 남북한 문학의 단절

        박승희 배달말학회 2002 배달말 Vol.30 No.-

        이 글은 남북한 문학의 단절 문제를 실제 작품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특히 해방을 북한에서 맞이한 구카프 작가들이 그 당시 시대적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았으며 어떤 문학적 선택을 하였는지를 구체적 작품 속에서 알아보았다. 이에 북한문학의 초기과정에 큰 역할을 담당한 이찬의 북한 시집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중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해방 직후 많은 민족작가들처럼 이찬 등을 비롯한 재북 작가들 또한 나름대로 남북한의 통일된 민족문학적 전망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찬의 경우처럼 그 전망을 남북한을 오가는 삶의 현장 속에서 끈질기게 살폈다는 점 등은 우리가 북한문학사를 살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나 결국 민족이 배제된 계급과 혁명의 문학은 뼈다귀 시의 형태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찬의 이후 작품에서 보여진 구호성 표현이나 과장된 '수령형상화' 언어들은 민족적 상상력과 민족어에 대한 배제가 낳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우리가 확인한 것은 서울과의 단절과 동시에 진행된 소련과의 연대과정이다. 이는 북한문학의 시작에 민족문학에 대한 폐기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소련의 전형화 된 도식적 계급문학이 그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북한문학은 해방 직후의 민족적 통일의 기치와는 달리, 그들의 문예 정치적 노선을 정립하는 과정에 민족을 배제하고 소련과의 연대의식을 통해 자기 노선의 정당성을 확보해 나가면서 구축된 것으로 보여진다.

      • KCI등재

        이찬 시에 나타난 낭만성의 변모양상 연구

        허갑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f Romantic Metamorphosis in Yi ChanGapsoon Heo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oetic transformation that reflects Yi Chan’s pessimistic romanticism and the powerful reality of the times. Analyzing the nature of pessimistic romanticism is to examine the essence of poetry and encounter a poet’s worldview. Through the period of Carp’s activities, the period of returning home, the perio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the period of adaptation to North Korea, he prefers the creative method of revolutionary romanticism. First, we will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pessimistic romanticism, and then examine Yi Chan’s early poetry and the transformation of his work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he pessimistic romance goes through a period of formation, expansion, deepening, and transition, and is hailed as a revolutionary poet in the North Korean system. The reason for recalling Yi Chan’s poetry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s because his gaze spanned both South and North Korea, his diversity of creative methods and his long surviving lives among North Korean poets vividly embody the tumultuous life of poetry. I will conclude the discussion with the hope that his status, which has been obscured by political reasons of the times, will be restored as a major player in the history of unification literature to be written in the future. Key Words: Yi Chan, Pessimistic Romanticism, Shape Change, Reality and Perception of the Times, History of Unification Literature. 이찬 시에 나타난 낭만성의 변모양상 연구허 갑 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이찬의 비관적 낭만성이 강력한 현실과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시적 변모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 비관적 낭만성의 성격을 분석하는 것은 곧 시의 본질을 고찰하는 것으로 한 시인의 세계관과 조우하는 것이다. 카프 활동기, 고향 귀환기, 해방전후, 북한 순응기를 거치면서 혁명적 낭만주의 창작법을 선호하게 된다. 먼저 비관적 낭만성의 형성배경을 알아본 다음 이찬의 초기시와 해방전후의 작품을 대상으로 변모양상을 살펴보겠다. 연구 내용: 비관적 낭만성은 형성기, 확대기, 심화기, 전환기를 거치면서 북한체제에서 혁명시인으로 추대 받게 된다. 한국현대시사에서 이찬의 시를 소환하는 이유는 그의 시선이 남한과 북한에 두루 걸쳐 있으면서, 그의 창작방법의 다양성과 월북 시인들 중에서 오래 살아남아 파란만장한 삶을 생생하게 시로 구현했기 때문이다. 결론 및 제언: 앞으로 쓰여질 통일문학사의 한 주자로서 시대적 정치적 이유로 가려진 그의 위상이 바로 세워지기를 염원하면서 논의를 마치겠다. 핵심어: 이찬, 비관적 낭만성, 변모양상, 현실과 시대인식, 통일문학사 □ 접수일: 2022년 9월 30일, 수정일: 2022년 10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PF-2019SIA5B5). **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PhD, Chosun Univ., Email: hks3319@hanmail.net)

      • KCI등재

        북한에서의 이찬 시의 정치적 대응과 변모양상

        송숙이(Song Suk-yi)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4 No.-

        북한 문학예술에서 ‘혁명시인’으로 지칭된 이찬의 시세계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 직후 북한문예는 사회주의 국가 수립을 위한 제반 조치들과 함께 정권수립을 위한 지도체제의 강화를 위해 김일성 수령창조의 문학적 형상화 작업에 매진한다. 정권창출의 기본이 된 토지개혁은 당연히 문학의 주된 소재가 된다. 해방은 북한과 소련과의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는 계기가 되면서 조소 우호의 시가 쓰여진다. 또한 새시대를 맞이하여 대중 속으로 파고들어 노동을 장려하는 현장참여시도 급격히 부각된다. 1950년 조국해방 전쟁기에 들어 북한 문학은 급격히 전시문학 체제로 개편된다. 미제국주의와 남한 이승만 정권 타도가 중심을 이룬다. 동시에 승리에 대한 확신과 희망을 주입시키는 혁명적 낙관주의 시가 쓰여진다. 또한 전쟁영웅의 형상화도 주요한 과업이었다. 전쟁후 북한은 폐허가 된 국토를 재건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천리마 운동은 복구 건설기 문학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천리마 현장에서 전투적으로 노동에 참여하는 천리마 영웅의 형상화는 이찬 시의 중심을 이룬다. 이찬은 북한정권의 수립기에서 정착기에 이르기까지 정치현실의 변모에 맞추어 창작해 간 대표적인 정치시인이자 체제시인이라 할 수 있다. 북한정권의 수립을 위해서, 또 그 정권의 강화를 위해서, 지배 이데올로기와, 지배체제에 복무한 시인이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of Lee Chan and the changes in his poems, who was called ‘Revolutionary Poet’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Right after Independence,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made great efforts to make ‘Kim Il Sung Suryeong’ an idol in literature to enforce the governing system with the various actions to establish a socialist government. The land reform became a major subject of the literature works, as it was the base of the new government. The independence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and poems praising the alliance of two countries were written. Additionally, field participating poems encouraging the labors emerged dramatically with the new era. In 1950, North Korean literature was reformed to War-time Literature rapidly with the outbreak of Korean War. It focused on criticism against Imperialism of America and the overthrow of Lee Seung Man’s Government. At the same time many revolution optimistic poems were written to infuse the confidence in and hope for victory. Besides, idolization of war heroes became a major task of the literature. After war, North Korea tried to reconstruct the land which became ruins because of war with all its might. Cheollima Movement became a major subject of the literature in Restoring Construction Period. The idolization of heroes who participate in Cheollima Movement became the central subject of the poems of Lee Chan. Lee Chan is a representative political and system advocating poet who has adapted himself to the political reality from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n Government to its stabilization period. He is a poet who serves for the establishment and the enforcement of North Korean Government, and for the ideology and the governing system.

      • KCI등재

        이찬 시의 환상성 연구

        허갑순 ( Gab Soon Heo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본고는 이찬 시에 나타나는 환상적 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이국적 취향의 환상과 현실일탈로서의 환상적 공간의 시에 주목하였다. 이 작품들은 모더니즘적 성격과 고향을 상실하고 떠도는 유랑의식을 비극적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그 이면에는 현실비판적 자아의식이 결여된 ‘도피적 태도’라는 비판도 받았다. 본고는 이 작품들의 해석 및 분석을 통해 환상성에 내재된 현실과 환상간의 은밀한 교호작용을 밝혀보고자 한다. 19세기에 환상은 리얼리즘 소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의도적으로 따돌림을 당하기도 하였으나 환상은 주요 서사의 흐름 속에 보편적인 자리를 차지했으며, 현대 문학 속에도 다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캐스린 흄에 따르면, 환상은 등치적 리얼리티로부터의 일탈로 이는 곧 문학 본래의 충동으로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환상은 괴물에서 은유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변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환상 문학은 1920년대 낭만주의 문학에서 엿볼 수 있으나 그보다도 일제 강점기나 1950년대와 1960년대의 환상적인 시들에서 그 맥락을 찾아야 할 것이다. 특히 일제 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격동적 시대적 상황은 억압되고 고통스러운 현실로부터의 일탈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환상을 어떤 특정한 시대나 작가에 국한하여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므로 해방 전후에 활동했던 여러 시인의 시편에서도 환상과의 조우를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 이찬의 시에서 환상성을 밝혀내려는 노력을 하게 된 것은 그의 시의 밑바닥에 흐르고 있는 도저한 유토피아에 대한 감상 때문이다. 이런 시인의 태도는 현실적 자아의식이 결여된 심미적인 세계로 도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중요한 것은 그의 시가 보여주는 환상의 양상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찬 시편이 환상문학의 압도적인 기이함 등을 표현하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때로 각박하고 비참한 현실의 배후에는 한 인간의 농밀한 아픔이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fantastic space shown in Lee Chan’s poetry and observed poems of exotic fantasy and the fantastic space as a departure from reality. These works were reviewed that tragically express modernistic nature and wandering consciousness of losing home and wandering about. But it was also criticized as ‘an escapist attitude’ that lacks for critical self-consciousness in the back.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secret interaction between reality immanent in fantasy and fantasy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his works.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fantasy was intentionally excluded from those supporting realist novels, it has occupied an universal position in the flow of a narrative and also taken the place in modern literature. Kathryn Hume claims that fantasy is any departure from consensus reality, an impulse native to literature. In this sense, fantasy can appear as a number of transformations from monster to metaphor. Although fantastic literature is revealed in Romantic literature in the 1920s in Korea, the context may be found in fantastic poem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 the 1950s and 1960s. In particular,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the Korean War, one would have no choice but to pursue a departure from repressed and painful reality. In this regard, it cannot be asserted that fantasy appears only in certain times or writers. In other words, fantasy is not a phenomenon limited to some times or writers and is often encountered in several poets’ poems about the time of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is study strived to reveal fantasy in Lee Chan’s poetry because of a good sentiment toward Utopia that underlies his poetry. Although his attitude has been criticized as an escape to the aesthetic world that lacks in realistic self-consciousness, the important is that it is the aspect of fantasy his poetry shows. Therefor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Lee Chan’s poetry expresses overwhelming weirdness, we can know that a deep and severe pain of a person harbors at the back of miserable reality.

      • KCI등재

        신라 박씨 이사금시기 중앙 권력구조와 지방 통치

        채미하(Chai, Mi-ha)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8 No.-

        본 글은 신라 박씨 이사금시기 중앙 정치세력의 역학관계와 지방 통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박씨 이사금시기의 중앙은 京都・京師로, 京城(금성과 월성)을 포함한 6촌(부) 지역이며 지방의 범주는 경계와 관련 있다고 하였다. 박씨 이사금시기는 대보를 칭한 단계와 이찬을 칭한 단계로 구분되는데, 대보는 행정권과 군사권을 행사하였고 이찬은 행정권만 장악하다가 일성이사금 이후 내외의 군사권과 행정권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탈해이사금 11년을 전후로 지방은 경주 일대를 벗어난 주・군으로 확대되며, 성・현도 등장한다고 하였다. 한편 박씨 이사금시기 중앙 정치는 이사금과 대보・이찬의 역학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이찬이 군사권과 행정권을 관장한 단계에서 이사금은 직접적인 군사행동보다는 군례를 행하였으며, 정사당 설치를 통해 이찬에게 책임을 물었다. 이 시기 영역화된 지방에 대한 지배는 대부분 그 지역의 기반을 인정하는 간접지배가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ing about mechanical relations of central political power and governing provinces. The central territory during the Park’s Yisagum period are 6 Chon(Bu) including Kyeongdo・Kyeongsa, Kyeongseong(Kuemsung and Weolsung) and the area of provinces is related to the boundary of the territory. The Park’s Yisagum is divided to Yi(Beol)Chan-called stage, Daebocalled stage, and Daebo exercised administrative right and military right while Yichan excercised only admistrative right until IlsungYisagum period at which in-charging of military right and administrative right. And the provinces were 6 Chon(Bu) until Daebo stage, which were Joo・Kun during Daebo stage and Sung・Hyun are also showed in Yichan stage. When YiChan stage took in charge of military right and administrative right, Yisagum performed military ceremonies rather than direct military actions and hold Yichan resposibility by establishing Jeongsadang. The ruling on the provinces in the territory had most provinces are indirectly ruled in acknowledging foundation of the areas.

      • KCI등재

        이찬의 개작시(改作詩) 양상과 의의

        송숙이(Song, Suk-yi)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6

        Lee Chan revised 19 poems under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he wrote befor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t aspects on revision over one poem attracts sufficient atten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revision and its int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vised poem of Lee Chan looked heavily influenced by external condition of the literary circle in North Korea in 1950s. The backgrounds include cultural language policy as a basis of literary circle in the postwar North Korea, removal of bourgeois aesthetics idea, popularization of liberal arts, exclusion of formalism and purification process. Though works were written in 1930s, they were pure lyrical poems which were under criticism. Thus, his revision looked as a preemptive measurement. Together with this, he needed a revision to show his coherent attitude at the front of literary policy in North Korea. But, as overall revision of contents was impossible, he did revise in vocabulary, disposition of stanza and rhetoric. Of course, it was a revision to conform with the literary policy but he showed a craftsmanship as a poet in the process of revision. He showed his sense of craftsman in his revision. Although he was a socialist poet in the KAPF circle, he created considerable amounts of lyrics, which looks closely related with his expression of craftsmanshi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