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한복음의 ‘고 기독론’과 사마리아의 영지주의 상황

        우진성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5 신학연구 Vol.62 No.1

        이 글은 ‘고 기독론’을 비롯한 요한복음만의 독특한 사상이 사마리아의 영지주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불트만이 제일 먼저 그런 모색을 하며 요한복음을 만디아파 영지주의와 연결한 바 있다. 비록 만디아파와의 연결은 시대착오로 밝혀졌지만, 요한복음이 영지주의적이라는 불트만의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여기서 말하는 영지주의는 교부들이 말하는 ‘이단 종파’로서의 영지주의가 아니다. 근래의 영지주의 연구 동향은 영지주의를 종교적 종파로 보기보다는 세계관 혹은 사상으로 보는데, 사마리아에 존재한 이런 의미의 영지주의가 요한복음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살피는 것이다. 요한복음 연구자들이 대체로 요한복음과 사마리아가 연관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특히 ‘고 기독론’이 사마리아에 연원을 두고 있을 가능성을 인정한다. 사마리아의 사회, 정치, 종교의 역사는 영지주의와 같은 급진적으로 새로운 사상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은 토양을 제공하고, 그 결과 사마리아에는 헬레니즘 문화와 그 한 갈래로서의 영지주의가 번성하였다는 것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복음에 대한 사마리아의 영향을 인정하는 학자들조차도, 요한복음에 끼친 ‘사마리아 영향’의 실체가 영지주의였을 가능성에 대하여 탐구하지 않는다. 이 글은 사마리아 영지주의가 요한복음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탐색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otential influence of Samaritan Gnosticism on the Gospel of John, particularly regarding its distinctive theological concepts, for example its high-Christology. While acknowledging R. Bultmann’s initial hypothesis linking the Gospel to Mandaean Gnosticism, a connection subsequently deemed anachronistic, this article revisits Bultmann’s broader assertion of a Gnostic influence on the Gosple of John. This analysis adopts a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Gnosticism as a comprehensive worldview or system of ideas, distinct from its categorization as a heretical sect by Church Fathers. Johannine scholars generally acknowled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Gospel of John and Samaria, and in particular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high-Christology may have had its origin in Samaria. Despite the fact that the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history of Samaria provides a fertile ground for the birth of new ideas such as Gnosticism, and that Samaria was home to a thriving Hellenistic culture and Gnosticism as a branch of that culture, even scholars who accept a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of John have not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was Gnosticism. This article addresses the hitherto unexplored hypothesis that the acknowledged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of John may have been Gnostic in nature.

      • KCI등재

        영지사상에서 살펴본 고린도후서에 나오는 바울의 적대자

        조재형(Cho, Jae Hyung) 한국신약학회 2013 신약논단 Vol.20 No.2

        이 논문은 고린도후서에 나오는 바울의 적대자들을 바울과 바울서신에 나타나는 영지사상의 관점에서 조망한다. 학자들은 바울의 적대자들이 유대주의자들, 영지주의자들, 헬라의 신적인 사람들, 또는 영적인 열광주의자들 중에 속한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제리 섬니가 지적했듯이 그들은 적대자들을 연구할 때 주로 후대의 자료들을 사용하여 시대착오의 문제를 범하였다. 그러므로 필자는 바울의 적대자들을 연구할 때, 주로 어떤 종류의 반대가 바울에 대해서 실제로 일어났는가와 어떤 바울의 사상이 그들로 하여금 바울을 반대하게 만들었는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그래서 바울의 적대자들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고린도후서 10-13장을 주로 다루면서 고린도후서의 영지사상에 대해서 먼저 조사할 것이다. 먼저 기존학계에서 사용하는 ‘영지주의’가 ‘영지사상’과는 공통점도 있지만 다름을 밝힌다. 영지주의는 2세기경에 정통기독교에서 이단으로 정죄된 것이라면, 영지사상은 그 기원을 기독교 이전의 사상으로 영지주의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간주한다. 필자는 바울의 영지사상과 적대자들이 사상이 어떻게 다른 가를 논의함으로써, 바울의 적대자들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2세기의 영지주의자들이 바울을 그들의 영적인 스승으로 간주한 주된 이유는 바로 바울의 영지사상 때문이다. 만약 영지주의의 기원이 기독교 이전이라는 몇몇 학자들의 견해가 맞는다면, 바울은 급진적인 좌파 영지주의자들과 싸우는 것이 아니라 예루살렘의 크다는 사도들의 지원을 받고 있는 보수적인 우파 사도들과 싸우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린도후서의 바울의 영지사상을 고려하게 되면 바울의 적대자는 유대주의자들이 되는데, 이러한 결론은 바울의 적대자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해 줄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to investigate Paul’s opponents in 2 Corinthians in light of Gnostic ideas of Paul and his writings. In 2 Corinthians,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Paul’s opponents as Judaizers, Gnostics, Hellenistic divine men, and pneumatics. However, as Jerry Sumney indicated, they used later sources when they investigate Paul’s opponents, which is anachronism. Thus, when I investigate Paul’s opponents I mainly focus what kind of objections against Paul in 2 Corinthians really happened and what kind Paul’s thought caused them to object Paul. For this, I will first study Paul’s gnostic ideas in 2 Corinthians by focusing 2 Corinthians 10-13 where Paul mentioned his opponents. I argue that Paul’s gnostic ideas can be compared to that of his opponents, which indicates another direction to see Paul’s opponents in 2 Corinthians. The reason that gnostics in the second century regarded Paul as their gnostic master is based on Paul’s gnostic ideas. If I accept some scholars arguments that the existence of Gnosticism was in the pre-Christian period, Paul is fighting not against an attack from left-wing radical gnostics, but against right wing conservative apostles who were supported by super-apostles in Jerusalem. Therefore, by considering Paul’s gnostic ideas in 2 Corinthians, I propose Paul’s opponents as Judaizer, which will be a new methodology to study Paul’s opponents.

      • KCI등재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이은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4 기독교교육논총 Vol.- No.80

        연구 목적 : 24년 한국 사회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보다 다양한 불안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불안은 역사 속에서도 있었고 불안 속에서의 절망을 회피하기 위한 흐름 속에서 영지주의를 낳기도 했다. 영지주의는 2-3세기 교회에도 영향을 미쳐 기독교의 복음을 왜곡하였다. 그 영향력이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기독교 안에서 복음의 가면을 쓰고 복음의 의미를 변질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 교육에서도 나타난다. 기독교 교육은 복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가면을 쓴 영지주의를 가르치기도 하는 것이다. 영지주의에 기초한 기독교 교육은 하나님 나라의 실현에 봉사해야 하는 기독교 교육의 과제에 반하기에 이 논문은 영지주의를 극복하고 샬롬공동체인 하나님의 나라의 실현에 봉사할 수 있는 기독교 교육의 방향을 히브리적 신앙전승에 기초하여 모색할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지주의의 출현 배경과 영지주의 사상의 신관, 인간관, 구원관, 윤리사상에 대해 살펴봄으로 영지주의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둘째, 영지주의 사상의 흔적들을 살펴보고 그 흔적들이 기독교 교육의 분야 중 설교, 찬양, 교재공과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지주의가 기독교 교육에 미치는 문제점들을 확인하였다. 셋째,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 방향을 히브리 신앙 전승을 토대로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상 속에서 구원활동을 하시는 하나님과의 만남을 돕는 교육이다. 둘째, 세상 속에서 인간의 사명을 감당하도록 돕는 교육이다. 셋째, 세상 속에서 구원활동을 하시는 하나님의 도구가 되도록 돕는 교육이다. 넷째, 세상에 샬롬공동체인 하나님 나라를 이루도록 돕는 교육이다. Purpose of the Study: Christian education teaches the Gnosticism which fakes as a gospel. Since Christian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Gnosticism is not part of the assignment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requires to dedicate to creating the kingdom of God, this thesis will search for direction of the Christian education which enables to overcome Gnosticism and be able to dedicate to creating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e ways of the Hebrew faith.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e content of the study in order to search for direction of the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Gnosticism is stated as below. First, it helps the understanding toward Gnosticism by observing the background of the Gnosticism. Second, it states issues related to the Gnosticism toward Christian Education by observing philosophies of Gnosticism and how these have applied to sermon, praise, and education materials. Third, the way to overcome the Gnosticism is stated based on the succession of the Hebrew faith.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direction of the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Gnosticism is stated as below. First, it is an education which helps to meet God who saves people in the world. Second, it is an education which assists to fulfill the duties as humans in the world. Third, it is an education to assist in order to be ways for God to save people in the world. Fourth, it is an education which assists to create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영지주의와 성서 해석

        이수민(Su-Min Ri)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9 Canon&Culture Vol.4 No.2

        영지주의가 구약 성서를 배격하였다는 종전의 주장은 1945년 대량의 영지주의 필사본이 이집트 나그 함마디에서 발견된 이후로, 더 고수할 수 없게 되었다. 필자는 여기에서 “영지주의와 성서 해석”이라는 제목을 다루기 위해 1980년에 출판된 학술 논문집『구약 성서와 고대 후기 유대교, 그리고 영지주의』 Altes Testament-Fruhjudentum-Gnosis에 실린 나겔(Peter Nagel)의 논문 “낙원의 이야기와 영지주의적 해석”에서 여섯 가지 카테고리의 해석을 소개하며, 이 논문을 바탕으로 하는 세 논문(G. Filoramo-C. Gianotto, 1982년 B.A. Pearson, 1988년 K. Rudolph, 1996년)의 특성들을 밝힌다. 이 논문들을 통해서 영지주의 문헌이 구약 성서를 인용하는 통계학적 빈도와 세 가지 해석학적 전제들을 알게 된다. 마지막으로 루돌프가 종합한 ‘영지주의와 지혜 문학, 그리고 묵시 문학과의 관계’를 소개한다. 영지주의 핵심 교리는 우주와 인간의 시작, 타락과 구원은 창세기(특별히 1-7장)를 바탕으로 하며, 예언서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기성 교회의 ‘정체적 성서 해석’을 반대하여 역동적 ‘영적 해석’의 우월성을 주장하려는 동기일 뿐이다. 세상에 대한 환멸과 회의주의적 지혜 전승을 이은 전도서(코헬레트)는 안티오 코스 Ⅲ세(242-157년)때에 세상의 지혜에 대한 첨예화된 회의론으로 발전한 듯하다. 같은 환경 속에서 자라난 묵시록과 영지주의는 지혜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환멸·비관적 현실을 비판하면서, 묵시록은 이 세상과 역사의 종말과 낙관적 새 세계를 창안하고, 영지주의는 완전히 새로운 우주와 인간 생성론을 창안하여 ‘현실 타파’를 위해 영지인에게만 한정된 낙관적 구원론을 제안한다. An assertion that Gnostics have rejected the Old Testament is no more tenable, since 13 Codices of Gnostic manuscripts were discovered in the Upper Egypte, near Nag Hammadi, 1945. To deal with our theme on “nosticism and the Bible exegesis” we begin first of all with an article of Peter Nagel “he Gnostic exegesis on the Paradise narrative”with his six categories of the Gnostic use of Old Testament, presented in the Altes Testament-Fruhjudentum-Gnosis, published 1980, which is the base of three subsequent articles(G. Filoramo-C. Gianotto, 1982; B.A. Pearson, 1988; K. Rudolph, 1996), in which we learn the statistical frequency of Old Testament citations in the Gnostic literatures and three hermeneutical presuppositions. Finally we describe the relation between Gnostic, Sapiential and Apocalyptic literatures based on the article of K. Rudolph on “he Sophia and Gnosis” published 1980. The central Gnostic doctrine concerns the cosmogony, anthropogony and their fall based on the Gen 1-7. The negative position against the prophets is rather due to oppose the ‘tatic interpretation’ of the Church than Bible itself, in order to assert their superiority of dynamic ‘neumatic interpretation’ The Ecclesiastes(Qohelet), sharing the scepticisme of early sapiential traditions on this world, seem to be radicalized with the pessimistic view of world during the atrocious reines of Antiochos III(242-157). In the same circumstance the Apocalyptics and the Gnostics who were grown up with the sapiential(schools), now have found the different solutions for the optimistic view of redemption; the former has seen in the eschatological vision the end of this world with his history and the beginning of the new eternal world, the latter has proposed a new doctrine of cosmogony, anthropogony and soteriology to secure the redemption reserved only to the Gnostics.

      • KCI등재

        고전적 영지 및 영지주의의 개념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 이만희의 사상을 중심으로

        김옥진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이 논문은 영지, 영지주의로 정의되는 이만희의 사상을 중심으로 그 정의의 타당성 을 기존의 영지, 영지주의 일반에 대한 정의와 잇대어 검토하고, 그 개념의 외연을 넓 히고 분별할 수 있게 되는 발전적 요소를 제공하는 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이 논문에서는, ‘영지 및 영지주의 일반은 무엇인가?’ ‘이만희의 사상은 어떤 영지, 영지주의인가?’ ‘영지 및 영지주의를 어떻게 재정의할 수 있는가?’라는 세 가지 의문 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영지주의 일반의 시각에서 지식은 구원에 이르는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지주의에서 구원의 기준은 지식과 믿음인데, 그 가운데서도 지식이 중요 하기 때문에 영지주의적 구원론을 지식 중심적 구원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이만희 사상은 고전적인 영지 개념에 신영지(neo-gnosis)로서의 신 탁적 영지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영지(new gnosis)로서의 증언적-타율적- 불연속적 영지 개념도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전적 영지주의 개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신영지주의(neo-gnosticism)의 요소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제한적 일원론과는 다른 순환적 일원론, 선택적 기독론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만희의 사상 에서 보이는 차별적-중재적ㆍ매개적-추종적-폐쇄적-집단적 구원론 등은 원형적 구원 론의 특성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신영지주의(new gnosticism)라고 정의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이만희의 사상 분석을 통해 신영지(neo-gnosis)와 이에 기반한 신영 지주의(neo-gnosticism), 신영지(new gnosis)에 근거한 신영지주의(new gnosticism)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전적 영지 및 고전적 영지주의 일반 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는 실마리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만희 사상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통해 크리스천 의 영적 분별력이 생기고, 갈등을 경험하는 지식인을 대상으로 진리이신 예수님을 보 다 적극적으로 전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intend to ask and answer three questions in this thesis. ‘What is gnosis and gnosticism?’ ‘What kind of gnosis and gnosticism is Manhee Lee’s ideology?’ ‘How can we redefine gnosis and gnosticism? Through this, although it is a theory, we got our own answer. In gnosticism, knowledge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salvation. In other words, the standard of salvation in gnosticism is knowledge and faith, and knowledge is important among them. Therefore, the gnostic soteriology can be called a knowledge-centered soteriology. Under this premise, Manhui Lee's thought includes the oracle gnostic as neo-gnosis in the classical concept of gnosticism.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concept of testimony-heteronomic-discontinuous gnosticism as a new gnosis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elements of neo-gnosticism were found to complement the concept of classical gnosticism. In other words, circular monism and selective Christology are different from limited monism. And the discriminatory-medialㆍmediating-following-closed-collective soteriology seen in Manhee Lee's thought could be defined as new gnosticism, which was not confirm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oteriology. In conclusion, we discovered neo-gnosis, neo-gnosticism based on this, and new gnosticism based on new gnosis through the analysis of Manhee Lee's thought.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secure a clue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classical gnosis and classical gnosticism.

      • KCI등재

        고린도전서의 적대자로서 원시영지주의의 가능성 탐구 - 파당의 사회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바울의 신학적 전략을 중심으로

        김덕기(Kim, Duk Ki) 한국신약학회 2021 신약논단 Vol.28 No.1

        이 연구는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이 논박하였던 적대자의 정체성을 헬라적 유대 지혜전통이나 수사학자가 아니라 원시영지주의라는 것을 논증하고, 고린도전서 전체의 바울의 신학적 주제와 논박전략의 일관성이 무엇인지 탐구함으로써 원시영지주의 적대자 가설을 확증하고자 한다. 더군다나 논자는 원시영지주의의 사회적 발생 조건을 탐구함으로써 이방 이주노동자나 해방노예들에게 원시영지주의의 영지체험이 우월한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 적대자’가 수사학자가 아니라 원시영지주의 가설이 더 적합하다고 논증하고자 한다. 또한 1:10-17에서 세례가 아니라 십자가 복음 선포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네 파당의 문제를 해결하는 바울의 신학적 논박은 적대자가 세례의 입회식의 영지 체험을 중요시하는 원시영지주의로서 그리스도파라는 것을 암시한다고 여겨진다. 결국 서신 전체에 나타나는 바울의 신학적 논박 전략은 고린도 교회의 우월한 영적 지위의 특권 향유에서 오는 불평등의 사회적 갈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울의 신학적 전략의 목표는 그레코-로만 세계에서 명예 경쟁 문화의 불평등한 가치체계를 정당화하였던 원시영지주의에 내재하는 영적 인간과 육적 인간의 차등성을 근원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전복적인 십자가와 부활의 몸에 기초한 기독교의 사회적 정체성을 마련하고 로마제국의 후원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평등주의적 에클레시아 공동체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 of opponent Paul makes polemics against in 1 Corinthians. By critically evaluating recent scholars’ view of the opponents in 1 Corinthians, it explores which theological opposition might mainly cause the party division and social conflict in 1 Corinthians, and what rhetorical and theological strategy Paul consistently facilitates in confronting theological challenge of the antagonis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hypothesis of rhetorics or Hellenistic Jewish wisdom tradition as the opponent of I Corinthians does not fully explain Paul’s comprehensive theological strategy which is designed to solve social conflict by suggesting egalitarian social vision of ekklesia through subversive vindication theology. Especially, in examining comparison between Hellenistic Jewish wisdom tradition and Proto-Gnosticism as a plausible candidate of Paul’s opponent, it implicitly demonstrates how Proto- Gnostics can best persuade low class immigrant workers or manumitted slave in Corinthian church to adopt through gnosis spiritual experience the spiritual higher status which guarantees them to possess better social position. By surveying the recent study of the social condition of the uprising of Proto-Gnosticism and identifying Paul’s rhetorics against the party division in 1 Corinthians 1:10-17, it implicitly affirms that Paul’s polemic is designed to oppose antiegalitarian libertine privileges of Proto-Gnostics. As a result it claims that Paul’s theological consistent project against Proto-Gnosticism elucidates how Paul’s theological strategy aims at formulating egalitarian Christian social identity for overcoming party division in Corinthian ekklesia, and how 1 Corinthians as a whole consistently preserves the primary theological thrust of engendering egalitarian mode of political community against Roman Empire.

      • KCI등재

        나그함마디 문서가 영지주의 사상과 신약성서 연구에 주는 의미와 도전

        조재형(Jae Hyung Cho)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8 No.-

        이 논문은 나그함마디 문서가 영지주의 사상과 신약성서 연구에 주는 의미와 도전을 영지주의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신약성서와 나그함마디 문서에 있는 고대 영지사상을 사상사비평법을 이용해서 추적한다. 나그함마디 문서는 영지주의적 관점에서 기록되었기 때문에 영지주의 연구의 중요한 원천 자료가 된다. 또한 이것은 역사적 예수와 초기 기독교 운동에 대한 귀중한 자료가 된다. 나그함마디 문서에 대한 연구는 고대 지중해 지역의 다른 종교 자료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분야이지만 『도마복음』 등을 포함한 몇몇 문서들은 역사적 예수의 연구와 맞물리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나그함마디 문서는 영지주의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 루돌프 쿠르트, 카렌 킹, 크리스토프 마크시스, 송혜경 등은 영지주의의 다양한 특성들을 나열했지만, 필자는 그레고리 라일리가 주장한 ‘모나드의 신학’과 ‘영혼의 여행’을 영지주의의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제시한다. 이 두 개념을 가지고 신약성서와 나그함마디 문서를 살펴보면 이들이 고대 영지사상과 많은 교류를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나그함마디 문서는 신약성서 신학뿐만 아니라 2–4세기의 영지주의 운동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준다. 또한 신약성서 연구 방법론과 콥트어 연구와 신약외경과 큐(Q) 문서 연구에 도전을 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challenge of the Nag Hammadi library on the study of New Testament and gnostic ideas through the history of ideas. The Nag Hammadi Library is an important source of Gnosticism because it was written in a gnostic viewpoint. In addition, it i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study of historical Jesus and the early Christian movement. New Testament scholars have conducted a great deal of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g Hammadi library and the New Testament. Although the study of the library is a relatively new field compared to that of other ancient Mediterranean religions, some document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The Nag Hammadi library raised a discussion on how to define Gnosticism. Kurt Rudolf, Karen King, Christoph Markschies, and Hye Kyoung Song list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Gnosticism, but I present ‘the theology of Monad’ and ‘the journey of soul’ as the nucleus of gnostic features(unit-idea) that Gregory Riley argued. If one looks at the New Testament and the Nag Hammadi Library with these two concepts, one will find that they have made many contacts with ancient gnostic ideas. Therefore, the Nag Hammadi Library not only gives valuable information on New Testament theology but also on the gnostic movement of the 2nd-4th centuries. Furthermore, it presents a new challenge to methodology of the New Testament,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Apocrypha and Q document as well as Coptic.

      • 영화 <이끼>에 나타난 이영지의 권력 획득 과정과 그 의미

        권도영(Kwon, Do-Young)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4 No.-

        영화 <이끼>는 웹사이트에 연재되었던 만화를 영화화한 것이다. 영화에서는 이영지라는 인물에 좀 더 주목하여 원작 만화에는 없던 장면을 추가함으로써 반전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원작에 비해 달라진 결말에 대해서 여러 견해들이 있는데, 감독의 의도가 어찌되었든 달라진 이야 기에서 읽어낼 수 있는 의미를 밝혀서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인지를 차분히 생각해 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원작과 영화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때 ‘권력’을 핵심어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논의의 초점이 된 이영지가 원작과 영화에서 결정적으로 달라지는 지점이 권력 획득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여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영지라는 인물이 권력을 갖추게 되는 과정을 원작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영화 <이끼>에서 드러나는 권력이 갖는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에 영화와 원작의 줄거리를 모두 정리하고 이를 비교하면서 이영지의 행위나 태도가 달라진 부분과 그 양상을 살펴본 결과 원작의 이영지는 조력자의 역할에 불과한 반면 영화의 이영지는 스스로 주도하여 계획을 실행한 결과 권력을 얻은 주체가 되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이것은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통해서 드러난다. 마을에서 절대 권력을 행사하던 이장이 자신의 비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이후에 마을에는 새로운 세상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때 새로 들어선 마을의 지도자가 이영지가 된다는 설정에서 결국 이영지가 새로운 권력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영화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영화에서 이영지가 획득한 권력이라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이영지라는 인물이 갖는 특수성에서 문제를 갖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이영지에 의해 마련된 권력을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제기된다. 이영지는 마을 남자들의 성적 대상이 되어 살아가고 있었는데 이는 이영지가 믿고 따르던 구원의 대상인 류목형의 허망한 삶과, 자신을 농락하고 폭력적으로 지배해온 천용덕에 대해 복수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선택한 삶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복수를 넘어선 구원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다. 또한 끈질긴 복수를 통해 결국 모든 권력 관계를 뒤엎고 새로운 권력을 생성하는 모습으로 나타남으로써 권력의 부정적인 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영화 <이끼>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건강성을 회복하는 이야기와는 거리가 먼 이야기라고 할 것이다. 굳이 마을에서 유일한 여성이었던 영지를 새로운 주체로 내세우고자 했다면 그녀가 이루는 긍정적인 구원을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도 충분히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야기를 분석하여, 우선 그것이 갖는 문제점과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문제적 서사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은 그 반대편에 있는 건강한 이야기를 찾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movie <Moss> is the film organized from a cartoon work serialized on wet site. The movie focuses the character of Lee, Young-Ji more than her in original cartoon work. So the movie added some new scenes to increase the movie"s reverse effect. Concerning the movie"s different ending from the original cartoon work, there are many assumptions. Whatever the movie director"s intention was, we need to identify the different ending"s meaning and to think over what influences it may affect on our lives. For this purpose, I first tried to analyze the movie"s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work. At analyzing the both works, I set the "power" as the key word. Lee Young-Ji was the target of this study"s discussion, and she decisively changes at the point when she acquire the power.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original work with the movie about the character of Lee Young-Ji"s power possessing way. And based on i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power"s meaning in the movie <Moss>. Summarizing and comparing the movie"s synopsis with the original"s, I intensively focused on Lee Young-Ji"s usual behaviors, attitudes and changing parts in them.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her changes, I could find that Lee Young-Ji in the original cartoon work was an assistant, but in the movie, she became the leader getting the power resulting from having led to execute her plan. It is revealed in the final scene of the movie. The village chief had exercised absolute power in the village but he killed himself when his illegal acts were revealed. After his suicide, a new world was created in the village. The movie ends with informing the fact that Lee, Yoing-Ji eventually emerged as a new power"s leader by being the village"s leader. But the power which Lee, Young-Ji acquired was primarily problematic from the terms of her unique condition. Secondarily the power was problematic concerning her attitude accepting the power by set herself. In the village, she had suffered as a sexual partner for the village men. But her miserable life was planned and selected by herself for revenging against Chun, Yong-Duck, the village chief having making her such miserable life and Ryu, Mok-Hyung"s unreal life and death. But the fact that her power"s acquisition didn"t go into the salvation beyond a revenge became a problem. Also the new power"s creation after upsetting all power relationships via a persistent revenge reveals the power"s negative aspect. Based on this analyzing result, the movie <Moss> may not be a story solving problems or recovering moral health. If the movie"s director tried to make Young-Ji, only women in the village as the new leader, he should have had enough possibility to develop the story"s direction for positive salvation which she wanted to achieve. But the movie is meaningful in that we understand its story"s problems and meanings, get aware of the movie as a problematic epic through its analysis, so the movie can be a cornerstone for searching healthy stories from its opposite side.

      • 아담의 묵시록과 유대 영지주의

        김동민(Dong Min Kim) 한국Q학회 2016 예수말씀연구 Vol.8 No.-

        본 소고는 나그함마디 문서와 아담의 묵시록(the Apocalypse of Adam)을 통해 영지주의를 이해함으로 영지주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본 소고를 통해 필자가 제안하는 것은 총 세 가지다. 첫째, 영지주의가 “유대 영지주의”와 “그리스도교 영지주의”로 구분되며, 둘째, 아담의 묵시록은 “유대영지주의”를 이해할 수 있는 증거이며, 셋째로 “유대영지주의”가 “유대 신비주의 전통” 안에서 발전되어 왔다는 것이다. 필자의 제안은 로빈슨의 연구를 통해 이룩한 영지주의의 이해를 근간으로 한다. 소기천은 영지주의를 “유대 영지주의”와 “그리스도교 영지주의”를 구분함으로써 기존의 영지주의의 이해를 반박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아담의 묵시록에서 발견된 그 증거들을 추적할 것이다. 아담의 묵시록은 이러한 연구를 위한 가장 좋은 영지주의 자료이다. 따라서 필자는 아담의 묵시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최대한 살펴볼 것이다. 특히 소기천이 “아담의 묵시록”을 비영지주의적 관점으로 접근한 입장을 새 탐구(New Quest)로 정의하고, 새 탐구의 영지주의의 대한 정의를 토대로 제 3의 탐구(Third Quest)를 제안할 것이다. 필자가 제안한 제 3의 탐구는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와 메르카바 신비주의에 대한 유대교 영지주의와의 관계성에 대한 제안이다. 제 3의 탐구는 유대교 영지주의의 흐름이 영지주의를 거쳐 현대 유대교 신비주의 안에 지속적으로 흐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함으로 이러한 관점 하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는 것이다. This is an essay studying of the Nag Hammadi Library and the Apocalypse of Adam through an understanding of Gnosticism and I have a purpose on suggesting a methodological type of Gnosticism. Through this essay I want to suggest three things. First, Gnosticism divides into Jewish Gnosticism and Christian Gnosticism . Second, the Apocalypse of Adam is understood as an evidence for understanding of Jewish Gnosticism . Third, Jewish Gnosticism had developed towards the Jewish Mysticism. My Suggestion is based on James Robinson s research of understanding Gnosticism. And What Gnostic divides into Jewish Gnosticism and Christian Gnosticism came from the result of Ky-Chun So research. I will examines such an evidence of discovering sources of the Apocalyse of Adam. The Apocalypse of Adam is a best material for studying Gnosticism. Therefore, I will check the Apocalypse of Adam. Especially, I suggest a new quest which is from Ky-Chun So s point of view, that is approaching the Apocalypse of Adam on the perspective of which is not non-Gnostic, and my third quest is different from it. My third quest presupposes an relationship between Jewish Gnosticism and Jewish Mysticism which mean Kabbalah and Merkabah in my essay. Hence this essay suggests a need about studying of Jewish Mysticism, for I am sure that Jewish Gnosticism is plainly concerned with Jewish Mysticism and that the contemporary Jewish mysticism is branch of Jewish Gnosticism.

      • KCI등재

        Cerinthus for Gnostic Survival According to Irenaeus and Epistula Apostolorum

        Michael J. Choi 한국교회사학회 2013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6 No.-

        헬라 철학에서 유래된 영지주의 사상들은 초대교회시 이미 여러가지 초기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으나 본격적인 사상체계를 갖춘 영지주의의 존재를 입증 할 수 있는 문서는 오늘날 까지도 없다. 다만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영지주의는 이 천년 기독교역사 가운데 강한 영향력이 있는 이교가 되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어떠한 체계화를 통해 그런 지속성을 갖게 되었는지를 추론해 보고자 한다. 물론 각자의 독창성을 발휘하는 특색이 있었던 반면, 이러한 다양한 영지주의의 사상들을 관찰해 보면 어떤 패턴처럼 공유된 연속성을 이레네우스는 가늠 할 수 있었다. 그래서 그는 나름대로 다양한 영지주의 창시자들이 주장한 교리적 연속성과 특성들을 정리 하는 카달록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에 따르면 각양 기독교적 영지주의와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부인하는 모든 이교들은 싸이몬 마구스를 비롯하여 발단 되었으며, 싸이몬의 측근에서 메낸더가 그의 후계자로 등장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두사람은 각각 초창기 시절의 원동력을 일시적이나마 카리스마적인 구세주의 역할로 구심점을 이뤘다면, 다음세대의, 그리고 지속되는 영지주의란, 그 이상, 아니면 그 외의 것들을 갖추었을 때 지구력이 있는 종교로 서 존재하게 된 것이다. 이 시점에서 케린투스가 주장하는 교리내용은 그 당시 신비적인 부분을 적당히 갖추었던 헬라 문화가 실질적인 신인관계를 표출하는 스토리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린투스가 영지주의를 다분히 지속성이 있는 종교가 되도록 했다면 결국 두 가지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도케티즘의 구세주 (Docetic Savior) 와 영지주의적 부활 (non-bodily resurrection)이다. 영지주의에 있어서 이러한 패러다임의 가치는 그 뒤에 오는 싸터나이너스 와 벨렌티너스가 ‘divine spark’나 ‘divine seed’를 통해 영지주의적 부활을 설명 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본격적인 영지주의로 전개 해 나가기 까지는 케린투스가 초석을 마련 했다는 점이다. 케린투스가 싸터나이너스에게 직접 영향을 미쳤다는 언급은 없으나, 이레네우스의 ‘이단반박’에 따르면, 두 사마리아 출신인 싸이몬과 그의 후계자 메낸더가 유사했고, 케린투스와 싸터나이너스는 소아시아의 동시대의 영지주의의 리더였으며, 그들은 유대교적인 뿌리의 특성을 갖춘 인간론, 도케티즘적인 기독론, 그리고 도덕적인 강조점 등이 있음을 볼수있다. 그외에 ‘사도서신’ 은 싸이몬 과 케린투스 두 사람만을 명시 하고 있는데, 싸이몬 이후의 케린투스의 비성서적 부활의 가르침을 경고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이 같은 입장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같이 케린투스의 독창적으로 계발한 두가지의 결과는 영지주의의 지속성을 기인 했을것 이라는 개연성을 갖는다. What contributed to the strong influence of the ancient Christian Gnostic religion? Beyond its wide diversity Irenaeus claims a catalogue that showed patterns of continuity within its evolution. For any religious movement to endure, it must be anchored to a more-than-transient Savior. A rehabilitated view of the Savior by Cerinthus was a substantial development within the basic Gnostic soteriological scheme necessary for divine-human relationship. Both Irenaeus’ account of the catalogue and details about Cerinthus gleaned from Epistula Apostolorum strengthen this view. Cerinthus’ Docetic Christology and gnostic resurrection had provided the new and decisive structural paradigm, and upon this Docetic Christological foundation, the more obvious gnostic traits of Saturninus’ and Valentinus’ ‘divine-spark’ or ‘divine seed’ anthropology was the logical inference. This is expected since both Cerinthus and Saturninus come from the same region of Asia Minor as contemporaries who share similar doctrinal emphases as dependence on Jewish roots, Docetic Christology and keen interest in mo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