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학사서의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교육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이혜영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medical librarian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domestic medical library user services. To this end,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s was investigated, and the education areas were itemized, and then the MLA in the US and the KMLA in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improvement points for medical librarian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re: First, expansion of certification programs that select various types of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areas, education contents, and specialized fields, collaboration programs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advocate the value of KMLA are requir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current educational areas, such as ‘research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education design/consult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and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for which there is no education at al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on the domestic medical librarian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in the field related to medicin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librarians who hav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face-to-face education. 본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의학사서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의학사서 역할을 조사하여 교육영역을 항목화한 후 미국의 MLA와 한국의 KMLA 교육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의학사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점으로 첫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유형, 교육영역, 교육내용, 전문 분야를 선정한 인증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기관과의 협업 프로그램, KMLA 가치를 표방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현행 교육영역 중 ‘연구지원서비스’, ‘교육․교육설계․상담’ 등에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전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 ‘재난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의학 관련 분야 정보서비스’ 교육을 위해서는 국내 의학사서 교육 커리큘럼에 관한 규정 제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면 교육 참여가 어려운 사서를 위하여 온라인 교육내용 제공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교육내용만 제공하고 의학사서점수 부여에는 차등을 두거나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의학사서자격제의 현황과 문제점 및 의학사서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오의경,Oh, Eui-Kyu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edical librarian qualification system and measured medical librarian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49.4% of the respondents acquired medical librarian qualification and 82.9% of them are willing to re-acquire the qualification. To obtain publishing activity point was the most difficult of all evaluation items. Average self-efficacy score was 3.42, and self-esteem score was 3.89, and women'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scores are higher than those of men. Medical librarian qualification system has been managed in a stable manner, yet the system has to be consolidated and developed into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s in proficiency of medical librarians. 본 연구는 의학사서자격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의학사서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의학사서 자격증을 취득한 응답자는 49.4%였고, 이들의 82.9%가 향후 재취득 의사가 있었다. 의학사서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은 응답자는 대부분 자격점수를 충족하지 못한 상태였으며, 평가 항목 중에서, 출판활동 점수를 획득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자기효능감은 3.42점, 자아존중감은 3.89점이며, 여성이 남성보다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모두 높고, 의학사서자격증을 취득한 응답자가 미취득 응답자보다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사서자격제도는 현재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앞으로 더욱 발전적으로 정비하고 국가자격제도로 발전시켜 의학사서의 전문성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윤영대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1

        This paper examines few approaches to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 those of North Americ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and Korea and the various opinions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education fe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it suggests the educational system for medical librarianship practicable in Korea, including formal degree programs, continuing education and medical librarian certificate program. 북미,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의학사서 교육제도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선행 연구의 내용을 문헌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가능한 의학사서를 위한 교육 모델을 고안하였다. 교육모델은 의학사서의 정규양성과정, 의학사서의 계속 교육과 의학사서 자격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연구 -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오의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1

        This study, based on the need for department of LIS education program that targets training of subject-special librarian, focuses on proving that such education can improve perception of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strengthen career decision-making.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case studies about subject-special librarian cultivation. Second, this study includes a survey about subject-special librarian, improving understanding about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which was carried out targeting students who take ‘Medical Terms and MeSH’, and ‘Health & Medical Information Sources’ cours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the need for medical librarian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88.7%), understood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 (92.5%), got to know more about the types and functions of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100%), and came to be more aware of the self-esteem a medical librarian feels as a professional. Second, relatively,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demonstrated the willingness to work at a medical library (45.3%) or work in the field of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26.4%) was noticeably low. Thir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whether the students took related courses or not, number of courses they took and difference in their school year, and in regard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medical librarian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those who took courses demonstrated higher understanding than did those who did not take those courses. Also, those who took the courses showed stronger willingness to work as a medical librarian. Fourthly, the curriculum carried out by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medical librarian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but makes students more cautious about deciding whether or not to start their career at a medical library. Lastly, it was recommended that there is a need to have the curriculum updated in order to help students overcome the difficulty and unfamiliarity they feel about medical subject.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교육이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진로결정 의사능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을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대표적인 주제전문사서양성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상명대학교의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 진로 결정능력 향상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대부분이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지하고(88.7%), 의학사서의 역할을 이해하며(92.5%), 의학정보서비스의 유형과 기능에 대하여 더욱 잘 알게 되었으며(100%), 전문직으로써 의학사서에 대한 자부심을 더욱 더 자각하게 되었다(83%). 둘째, 의학도서관으로의 취업의사를 갖거나(45.3%) 의학정보서비스 업무 담당 의사를 보인(26.4%) 응답자는 앞의 다른 질문의 응답자 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목 수강 여부, 수강 과목의 수, 학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에 대한 이해도 면에서는 수강자가 비수강자보다 높았고, 의학사서 취업 의사에 있어서는 비수강자가 수강자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넷째,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안에서의 교육은 지식습득에는 효과적이지만 취업 의사나 진로결정의 부분에서는 오히려 조심스러운 입장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학주제에 대한 어려움과 낯설음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전근대의료사의 연구동향과 전망(2010-2019): 분야의 확장과 연구 방법의 다양화

        김성수 대한의사학회 2020 醫史學 Vol.29 No.2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history research conducted from 2010 to 2019, following Shin Dong- won's research covering 2000-2010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re-modern medical history. The list of references is organized according to several principles. The representative subject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and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history are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and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and Yonsei Journal of Medical History of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History Institute. Subsequently, “Reviews and Prospects” of the History Journal and “Korean History Research Report” of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re also summarized, and “Medical History Company Research,” which was recently published by the Medical History Research Society, is also included. Unlike previous period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op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largely classified. Most notably, the medical data related to carriers that were concentrated in the early 2010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research on the agenda, including Lee Soo-gi's newly discovered agenda, i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studies that combine the history of medicine with women's history and intellectual history as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been increasing. As such, this is an opportunity for future medical history research to expand the horizon. 한국 전근대 의학사의 현황과 관련하여 2000-2010까지를 다룬 신동원의 연구를 이어, 2010-2019년까지 의학사 연구현황이 어떠한지를 정리하는 것이 이글의 목표이다. 참고문헌 목록의 구성은 몇 가지 원칙에 따라 진행한다. 대표적 학회인 대한의사학회와 한국의사학회의 간행물인 의사학과 한국의사학회지, 그리고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의 연세의사학이 일차적 대상이며, 그리고 한국과학사학회의 과학사학회지가 포함된다. 이어서 역사학보의 ‘회고와 전망’, 나아가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연구휘보를 근간으로 정리하였으며, 그리고 의료역사연구회에서 최근 간행하기 시작한 의료사회사연구도 포함되었다. 이전과 다르게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그것을 크게 대별하여 기존의 제도사나 의서의 연구 이외에 특징들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2010년대 초반에 집중되었던 통신사 관련 의학자료를 먼저 언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발굴된 의안인 이수기의 역시만필을 비롯하여, 의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또한 융합학문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의학사에서 더 나아가 여성사나 사상사와도 결합한 연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의 의학사 연구가 보다 지평을 넓혀 갈 수 있는 계기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의학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지원 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이혜영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국내 의학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문직협회의 역할 조사 후, 공통된 역할 추출 및 이를 5개 영역으로 범주화한 후 MLA와 KMLA의 지원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여섯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의학사서를 공식적․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계속)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영역에서 의학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적인 영역의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며 IRB 위원회 역할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 셋째, 연구 및 출판 지원에 있어서 연구비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네트워크 및 협력 지원에 있어서 멘토링, 리더십․펠로우십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며 국내․외 파트너십에 대한 개선과 다양한 수상 지원도 계획도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자격증 및 각종 인증서 제도에 있어서 관련 분야의 학위 취득 지원, 다양한 강좌 지원을 통한 인증서 발급 등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부금 유치를 위한 KMLA의 적극적인 대내외적 홍보 및 활동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ways to improve KMLA’s support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domestic medical librarians. To this end, after investigating the roles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common role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into five areas, and then the support programs of MLA and KML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six suggestions can be made as ways to improve KMLA’s support program. First, policy development is needed to officially and continuously support medical librarians. Second, in the area of (continu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educational support in professional areas required in the medical field is needed, as well as education for the role of the IRB committee. Third, in terms of research and publication support, various support for research funds and training programs is required. Fourth, in terms of network and cooperation support, mentoring, leadership, and fellowship programs are needed, and improvements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tnerships and support for various awards should also be planned. Fifth, in terms of professional certification and various certificate syst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obtaining degrees in related fields and to issue certificates through support for various courses. Sixth, KMLA’s active internal and external promotion and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to attract donations.

      • KCI등재

        은폐된 은유 - 장 스타로뱅스키와 멜랑콜리 연구

        김영욱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論叢 Vol.80 No.3

        『멜랑콜리 치료의 역사』(1960)에서 『멜랑콜리의 잉크』(2012)까지 반세기 이상수행한 연구를 통해 장 스타로뱅스키는 멜랑콜리의 대표적 관념사가가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같은 대상을 의학사와 문학사 양쪽에서 길게 조사한 제네바대학 교수에게서멜랑콜리의 규정, 역사, 함축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것이다. 논문은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멜랑콜리 치료의 역사』에서 멜랑콜리 현상과 은유의 본질적 관계를 추출하여그것을 ‘은폐된 은유’라는 관념으로 규정한다. 그런 다음 『비평의 관계』(1970)를 중심으로 멜랑콜리의 역사에서 과학적 언어와 시적 언어의 분화라는 근대성의 조건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검토한다. 이 역사적 조건 위에서 멜랑콜리는 두 언어의 교착을 통해근대적 주체성이 고안되는 양태가 된다. 이 명제를 지지하는 사례가 문학사와 의학사 연구 양쪽에서 첨부된다. 『운동하는 몽테뉴』(1960)와 『거울에 비친 멜랑콜리』(1989)가 문학비평의 사례고, 『비평의 관계』에 수록된 의학사 논문 두 편이 과학 담론 연구의 사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현대사회에서 우울증 수기를 하나의 장르로 진지하게 다룰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스타로뱅스키의 멜랑콜리 연구가 가진 함축을 밝히고 동시에 그의사유에 한 가지 증거를 추가한다. 개인과 사회, 정신과 신체, 자연과 문명 등의 본질적 관계를 은유라는 형식으로 문제시하는 멜랑콜리의 사유는 고대에서 현대까지 유럽 의식의주요 토대다. 특히 스타로뱅스키는 개별 사례들을 유심히 살피며 이 문화적 패러다임의근대적 양상을 추적한다. Through more than half a century of research, from Histoire du traitement de la mélancolie (1960) to Encre de la mélancolie (2012), Jean Starobinski became a leading historian of ideas on melancho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k what the definition, history, and implications of melancholy are from Starobinski’s long conducted investigation in both medical history and literary history. The paper proceeds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from Histoire du traitement de la mélancolie,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of melancholy and metaphor is extracted and defined as concealed metaphor. Then, focusing on Relation critique (1970), it examines, in the history of melancholy, the consequences of a condition of modernity: the differentiation of scientific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On this historical condition, melancholy serves as a mode in which modern subjectivity is devised through the various intersections of two languages. This proposition is supported by cases from both literary history and medical history. Montaigne en movement (1960) and Mélancolie au miroir (1989) are examples of literary criticism, and two medical history treatises included in Relation critique are examples of the study of scientific discourses. Finally,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eriously treating depression memoirs as an important genre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reveals one implication of Starobinski’s melancholy research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s a piece of evidence to his thought. The “pensée mélancolique”, which questions, by considering the problem of metaphor,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mind and body, nature and civilization, is a major foundation of European consciousnes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In particular, Starobinski traces the modern aspects of this cultural paradigm by carefully examining individual cases.

      • KCI등재

        의과대학에서 의학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시기, 구성, 교수법

        박지영,박승만 대한의사학회 2023 醫史學 Vol.32 No.2

        Currently, the education of the history of medicine in South Korea has established a solid foundation. Since Kim Du-jong (金斗鍾, 1896–1988) began giving medical history lectures at Severance Medical College in 1946, a total of 22 universities-over half of the 40 total universities-have implemented medical histor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s of 2023. Furthermore, several textbooks and translations summarizing Western and Korean medical history have been published. However, despite this expansion,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how to implement medical history education for student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examines the period and structure of medical history education, as well as various teaching methods, while considering their respec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irstly, there are two main approaches to implementing medical history education. One approach integrates medical history throughout the entire educational process, while the other concentrates on specific stages of education. Both approaches extend beyond undergraduate education and encompass medical education after graduation. The former emphasizes integration with basic medical and clinical education, while the latter focuses on ensuring educational coherence. Secondly, the structure of medical history cours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as chronological or thematic. Within the chronological approach, there are two subcategories: general and periodic. The general method is traditionally used in history education but may be rigid in structure and fail to engage students' interest. On the other hand, the period method conveys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fferent periods but may make it challenging to grasp the overall flow of history, resulting in fragmentation of the course. Thematic structur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opic-centered and field-specific methods. Both approaches allow for adjusting the content and arrangement of courses based on student interests and teaching conditions, but they present challenges in maintaining the coherence of the entire course. Lastly, the teaching methods in medical history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raditional lectures, small-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research guidance. Most medical history courses adopt a lecture-based teaching method, which effectively provides diverse knowledge to medical students who may be unfamiliar with historical research and methodology. However, due to the one-directional nature of the instruction and the passive role of the learners, it can be challenging to stimulate learners' motivation or assess their understanding. Consequently, recent changes try to incorporate active learning through small-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research guidance.

      • KCI등재

        일본 의학사의 연구동향과 전망: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확대

        김영수 대한의사학회 2020 醫史學 Vol.29 No.2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and prospects of medical history in Japan. The study of medical history in Japan has developed in various periods and themes. In particular, many studies period have actively made full use of old documents and materials that have been well-preserved.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earch trends of medical history in Japan, while discussing the issues surrounding the concept and designation of medical history in present day Japan. This can be seen as an inevitable phenomenon that emerged as methods of medical history research have become diversified, and there are many suggestions related to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Based on this, this paper points out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history research conducted in each period since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 particular, this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the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of medical history became diversifi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tion state theory. Furthermo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major topics of medical history research are analysis of medical books, doctors and medical personnel,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medicine,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medical system, the social impact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discipline and management of the national body. In addition,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compare how the regulations and operations of medicine and medical and hygiene systems are being developed in the context of “East Asia.”

      • KCI등재

        문헌정보학 건강 관련 과목의 주제 및 내용 분석: ALA 인가를 받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상희,김수정,Sanghee Oh,Soojung Kim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미국도서관협회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과의 대학원 수준에서 제공되는 건강 관련 수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학업계획서 분석을 통해 해당 수업에서 다뤄지는 주요 주제와 내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61개 문헌정보학 프로그램 중 44개 프로그램에서 최소 한 개 이상의 건강 관련 수업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개설된 수업은 ‘건강 정보원’, ‘의료정보학’, ‘소비자건강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 분야에서 총 21개의 학업계획서를 온라인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업 개요, 주별 주제, 교재, 숙제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건강 관련 수업을 개설하거나 개선하려는 강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health-related courses at the graduate level from American Library Association-accredited LIS programs and to identify the core topics and contents that have been covered in those courses by analyzing the course syllabi. Findings reveal that 44 out of 61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programs were offering at least one health-related course and the three most offered courses were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health informatics’, and ‘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 We collected a total of 21 course syllabi available online in the three areas and further analyzed their course descriptions, weekly topics, readings, and assignm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valuable for instructors who want to design or upgrade health-related courses in LIS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