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출신 의열단원 연구

        김혜진 ( Kim Hye-ji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부산은 일본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여 어느 지역보다 일본과의 관계가 깊었다. 개항 이후 이러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 부산은 수탈의 대상이자 침략의 발판이었고 이에 항거하는 수많은 독립운동 사건과 독립운동가들이 생겨났다. 부산에서도 박재혁 의거를 비롯하여 의열단과 관련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존재하고 있다. 대중매체에서 의열단과 관련한 이야기들이 다루어지면서 그 동안 조명되지 못했던 의열단과 김원봉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대중이 인식하고 있는 의열단에 대한 내용은 단장 김원봉과 몇몇 의열단원들이 만들어낸 의열투쟁 같은 단면들뿐이다. 의열단이 3.1운동을 전후 한 독립운동방략의 중간다리역할을 했던 의열투쟁의 상징적인 단체였음에도 의열단에 관한 연구는 개별적이고 소략적인 연구에만 그쳐있다. 또한 의열단의 초기 단원들이 대부분 밀양지역 출신의 사람이기에 의열단에 관한 연구가 밀양지역 연구자, 중앙의 독립운동 연구자 중심으로만 이루어져 지역적 초점이 밀양으로만 치우쳐져 있다. 의열단은 창단과 활동 전반에 걸쳐 부산이라는 지역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 즉 박재혁을 비롯한 부산지역의 의열단원의 활동, 의열단 활동 이후로 이어지는 조선혁명간부학교와 조선의용대등의 활동에 부산출신의 독립운동가들이 참여한 것으로 짐작 할 수 있다. 부산출신으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서훈을 받은 독립운동가는 현재 124명이다. 이 중 의열투쟁으로 나타나 있는 독립유공자는 오재영·최천택·김병태뿐이다. 이들은 박재혁과 함께 부산경찰서 폭탄투척사건에 실질적으로 가담했기에 운동계열이 구분되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의열단의 활동을 면밀히 살펴보면 세사람 이외에도 의열단에 가입했고 이후에 김원봉과 관련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독립운동가들을 찾을 수 있다. 의열단의 활동은 한반도의 독립운동사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단원들의 행적은 일본, 밀양과 가까웠던 부산에서의 활동이 큰 부분을 차지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부산지역의 독립운동가들이 의열단 활동에 가담했음을 연결 지을 수 있다. 박차정, 박문희와 김원봉의 관계, 최장학, 이동화의 조선혁명간부학교의 활동 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그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찾기가 힘들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앞으로 기존의 알려진 부산지역 의열단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부산과 의열단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피력하고자 한다. Busan ha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Japan due to its location. It was the main route for the colonial exploitation and invasion of Japan, which gave rise to a large number of independence movement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Busan produced a number of members, including Park Jae-Hyuk, of Gallant Fighting Brigade(Uiyol-Dan : 義烈團). After being dealt with by mass media, Kim Bong-Won and his stories has attracted lots of attentions, who didn't before. The public, nevertheless, only knows fragmentary facts of him and his struggles. Uiyol-Dan played crucial roles of mediating other Korean independence parties, but a majority of studies usually have focused on partial and brief researches. A large proportion of early members of Uiyol-Dan were from Miryang, for which most studies of the fighting group have been carried out by researchers of and in the region. A number of members of the group from Busan had independence movements actively as well. They, such as Park Jae-Hyuk born in Busan, worked in various fields of activity as members of Chosun Hyeukmyung Ganbu Hakkyo and Chosun Uiyong-Dae. Korean government, so far, has given decorations to one hundred and twenty four of independence fighters from Busan.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categorized only three of them, Oh Jae-Young, Choi Chun-Taek and Kim Byung-Tae, into Gallant Fighting(Uiyeol Tujaeng : 義烈鬪爭). They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because with Park Jae-Chun, they took part in the act of bombing Busan Police Station. Besides them, more fighters for independence were the members of Uiyol-Dan and acted with Kim Won-Bong. Uiyol-Dan, which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ad many active members born in Busan which has its location close to Japan and Miryang. It means that the fighters from Busan took a part in the movements of Uiyol-Dan. It is a laborious task to find various data about the fact that Park Jae-Jeong, Park Moon-Hee and Kim Won-Bong had close relationships and the movements Choi Jang-Hak and Yi Dong-Hwa made in Chosun Hyeukmyung Ganbu Hakkyo. This paper aims at studying about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Uiyol-Dan and revealing the additional necessities of researching the relation between Busan and the group.

      • KCI등재

        영화 『밀정』의 의열단 이미지 연구

        양진오 ( Yang Jino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8 No.-

        이 글의 목적은 영화 『밀정』의 의열단 이미지 분석과 그것의 구성 방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2016년에 상영된 영화 『밀정』은 식민지 시대의 대표적인 항일무장투쟁 조직인 의열단 스토리를 토대로 제작된 영화이다. 통상적으로 의열단은 항일무장투쟁의 신화적 조직으로 평가받지만 『밀정』의 의열단은 그렇지 않다. 『밀정』의 의열단은 항일무장투쟁의 신화가 아니다. 『밀정』의 의열단은 표면적으로는 항일무장 투쟁의 표상처럼 보이지만 그 이미지는 누아르적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요컨대 『밀정』의 의열단은 밀정들에 의해 동선이 발각되어 거리에서 무참하게 사살되거나 내쫓긴다. 또한 『밀정』은 의열단을 밀정들의 집요한 감시와 공작 때문에 내적 분열을 거듭하는 조직으로 재현한다. 그들은 식민지 경성의 거리와 골목에서 쫓기거나 사살되거나 체포된다. 또 어떤 그들은 일제 경찰에 잡혀 모진 고문을 받는다. 심지어 어떤 의열단원은 동지를 밀고하는 배신을 마다하지 않는다. 『밀정』의 의열단은 실패자의 이미지를 반복하거나 강화한다. 이처럼 『밀정』의 의열단은 밀정을 동원한 일본 경찰 정보망의 덫에 걸린 허술한 조직이다. 의열단원 역시 항일무장투쟁을 성공으로 견인하기에는 실력이 부족한 경험 미숙자로 재현된다. 이들은 밀정에 의해 비정한 거리에 내던져진 누아르 장르의 희생자이다. 이 글은 영화의 이런 측면에 주목하여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nalysis and composit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movie 『Miljeong』. The 2016 film 『Miljeong』 is based on the story of Uiyeoldan, a representativ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rganization of the colonial era. Usually, the Uiyeoldan is evaluated as a mythical organization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ut the Uiyeoldan of _Miljeong_ is not. Uiyeoldan is oft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anti-Japanese armed organization of the colonial era. But that's not the case with the movie 『Miljeong』. On the surface, the Uiyeoldan of 『Miljeong』 seems to be a representation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ut the image is characterized by a noir style. In short, the Uiyeoldan of 『Miljeong』 is brutally killed or their movements are discovered by secret agents on the streets. 『Miljeong』 also reproduces Uiyeoldan as an organization that repeats internal division due to the persistent surveillance and manipulation of secretaries. They are chased, killed, or arrested on the streets and alleys of the colonial city of Gyeongseong. Others are caught in the eye and subjected to harsh torture. Even some members of the medical corps do not mind betraying their comrades. The means of precision repeat or strengthen the image of the failure. As such, the secret organization is a loose organization caught in the trap of the Japanese police intelligence network that mobilized the secret organization The members of the Uiyeoldan are also reproduced as inexperienced people who lack skills to lead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to success. They are victims of the noir genre, which was thrown into the cold streets by spy. This article focuses on this aspect of the film and is being discussed.

      • KCI등재

        李陸史의 독립운동 시-공간(1926~1933)과 義烈團 문제 : 通說의 분석적 재검토를 겸하여

        김영범(Kim Yeong-Beom)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이 글은 총체적 육사연구의 진전에 기여코자 하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그런 뜻에서 李陸史의 독립운동에 관해 金喜坤敎授가 주도해 온 근래의 연구결과와 그로부터 인출된 통설 중에서 몇 가지 모호한 부분을 분석적으로 재검토하여 보다 합당한 이해를 도모코자 하였다. 그 작업은 陸史의 ‘독립운동 시-공간’의 사실적 재구성과 직결되는 것이기도 하다. 여러 종류의 자료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해석을 통하여 진행된 논의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陸史는 1926년 7월에 北京으로 가서 가을에 中國大學 商科에 입학하여 1927년 6월까지 2개 학기를 다니다(수학기간 7개월) 그만두고 8월경 귀국했음이 거의 확실시된다. 둘째, 陸史가 1926년 하반기부터 1년간 廣州의 中山大學을 다녔으며 독립운동단체의 간부이기도 했다는 종래의 주장과 통설화는 전면 재검토되어야 한다. 당시 廣州의 義烈團 및 留韓國革命同志會 간부였던 徐應鎬의 상세한 진술 내용에 비추어 보더라도, 中山大學 재학생 명부와 일제 관헌자료에 등장하는 ‘李活’ 관련 기록 내용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의 심해보지 않을 수 없다. 또한 1930년대의 陸史의 필명을 1920년대로 소급적용하여 무조건 同一人視하는 데도 여러 무리가 따른다. 가용한 자료의 종합적 검토 결과, 현재로서는 陸史의 ‘광주시절’은 不在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셋째, 1934년 ‘남경군관학교사건’의 한 피의자였던 陸史의 신문조서 자료는 진술의 이면과 행간의 의미까지 감안하여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한다. 被囚를 면하고 국내 활동공간을 확보키 위한 위장 · 기만 진술이 상당 부분 있었음이 간취되는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자료를 음미하고 재해석해 보면, 육사는 尹世와의 사전 연락이나 밀의에 의해 의열단의 독립운동 지원 · 가담을 목적으로 1932년 봄, 北京을 향해 떠난 것으로 추정된다. 의열단 본부가 南京으로 옮겨갔음을 뒤늦게 알게 된 그는 다시 南京으로 뒤따라가 의열단의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자진 입학하였다. 넷째,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재학 중이던 6개월여의 시간은 그대로 陸史의 ‘남경시절’이 되었다. 그 기간에 그는 혁명운동에의 본격적 투신을 위한 사상적 입지를 다지고 이론적 무장을 기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陸史는 의열단의 혁명운동노선을 수용하고 실질적 의열단원이 되었으며, 1933년에 ‘의열단 국내 공작원’으로서 밀파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making an advancement in the overall study of Yi Yuksa(李陸史; hereafter ‘Yuksa’), an all-round intelligentsia and resistance. In that respect, the author re-examines analytically some obscure points among the results of recent studies on Yuksa’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NIM). The common view derived from those results is also critically examined in prospect of more reasonable understanding, which would be linked to a factual reconstitution of the time-space of Yuksa’s NIM. Arguments proceeded through critical review and reinterpretation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nearly confirmed that Yuksa went to Peking in July, 1926 and entered the College of Commerce, the University of China in fall of the year, to stay for two semesters till June, 1927, and then returned home about August of the year. Secondly, the existing common opinion that Yuksa attended the Sun Yat-sen University in Kuangchou for one year and that he became then a member of the managing staff of some association there for Korean NIM should be thoroughly re-examined. Judging from the detailed statements of Seo Eungho(徐應鎬), an executive of Ui’yeoldan(義烈團) and of the Associated Comrades for Korean Revolution at Kuangchou(留韓國革命同志會) at the same time, we can not but doubt of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records, which appeared on the student list of the Sun Yat-sen University as well as in the documents made out by the Japanese imperialist governmental authorities, about the name of Yi Hwal(李活) used mostly in 1930s as one of the Yuksa’s pen names. It would be unreasonable to identify recklessly a man with another person solely on the basis of pen name. A comprehensive review of materials available leads us to say that ‘the times in Kuanchou’ for Yuksa never existed. Thirdly, the interrogatory on Yuksa as a suspect of the Case of Nanjing Military Academy in 1934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with a consideration of meanings between the lines. For it is observed and caught up that there were a great deal of camouflaging and deceiving statements in his interrogatory for the purpose of escape from being prisoned and of ensuring the space of domestic activities. In this context, it is presumed that Yuksa left homeland for Peking in spring of 1932 according to a previous contact or conclave with Yun Seju(尹世胄) for the sake of participation in or support of Ui’yeoldan. Knowing belatedly that the headquarters of Ui’yeoldan had moved to Nanjing, Yuksa went immediately to Nanjing and entered voluntarily the Military-Political Academy for Korean Revolution(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 founded by Ui’yeoldan. Fourthly and finally, six months spent as a student of the Academy became justly the ‘times in Nanjing’ for Yuksa. During those times, he laid down the ideological base and got the theoretical armament for his own devotion to revolutionary movement. By extension of it, he accepted the programmed National Revolutionary action line of Ui’yeoldan, and became an actual member of it. Consequently and eventually, he was appointed as a domestic agent and secretly dispatched to homeland by Ui’yeoldan.

      • KCI등재

        류자명의 항일 의열활동 연구

        김명섭(Kim, Myung-seob)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2

        류자명은 1922년부터 의열단에서 연락사무와 교육 ․ 홍보의 책임을 맡고, 직접 의열투쟁의 현장을 지도한 독립운동가이다. 나아가 그는 1930년대에도 국제적 규모의 의열단체를 창립해 꾸준히 암살 ․ 파괴운동을 지도한 투쟁가로서 널리 알려졌다. 의열단에서 ‘참모장’ 역할을 맡은 류자명의 생애와 의열투쟁사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류자명은 재중 한인 아나키스트들 중 가장 먼저 아나키즘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신념으로 정착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그는 1919년 중국 망명 이후 사상적 스승으로부터 공산주의 사상을 사사받았지만, 마르크스의 학설에 동의하지 않고 대신 크로포트킨의 저작을 통독하면서 아나키즘을 받아들였다. 둘째, 류자명은 1922년 김원봉 단장을 통해 뒤늦게 의열단에 가입했지만, 1930년대 중반까지 민중폭력혁명 노선을 끝까지 견지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류자명은 1924년 이후 김원봉 단장을 비롯한 대다수 단원들이 폭력노선을 포기하고 체계적인 군사교육을 받기위해 중국 군대에 입교한 이후에도 홀로 상해의 의열단에 남아 의열투쟁 노선을 고수했다. 셋째, 류자명은 의열단의 연락업무와 교육 ․ 홍보업무를 담당하면서 의열단의 투쟁이념을 정립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1922년 겨울 존경하던 신채호 선생을 찾아가 의열단 선언문을 작성하도록 요청해 ‘파괴와 건설론’, ‘민중의 폭력혁명노선’ 등 단의 이념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그는 1926년 12월 광주에서 열린 의열단 간부회의에 참석해 민족독립과 반봉건 민주정책에 의한 ‘진정한 민주국’ 건설을 추구한다는 20개조에 걸린 강령을 제정하도록 했다. Ryu, Ja-myeong is responsible for the apparent Contact affairs and education romotion in Uiyeoldan since 1922,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led the field of direct uiyeol struggle. Furthermore, he is widely known as Fighter also led the movement to continue assassinations in the 1930s. In fact, can be seen through are view of the life and struggle ‘Chief of Staff’ role in charge of the kind apparent in uiyeold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He is the first systematic study of Korean an anarchists as a person settled in their convictions. He received the judges from the communist ideology and ideological mentor exile since 1919 in China, and read through the writings of Kropotkin rather than Marx’s theory does not agree with the accepted anarchism. Second, He into the uiyeoldan the late than leader Kim Won-bong in 1922, until the mid-1930s, to asses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tgetda one aspect violent revolution to end the people’s line. Ryu is apparent even after the majority section are including Kim, Won-bong refurbished since 1924 joined the Chinese army to renounce violence and to receive systematic military training routes were alone adhere to uiyeol struggle line remain in uiyeoldan. Third, the error is obvious and can be responsible for liaison officer with education to promote the work of uiyeoldan assess the ideological struggle of the uiyeoldan to establish a person. He visited the Shin, Chae-ho respected teacher who asked to create a winter 1922 uiyeoldan Declaration‘Destruction and Construction’ Theory, ‘violent revolution line of the people’,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ideology. Furthermore, he took on 20 renovation to establish a Code of pursuing a ‘true Democracy state’ construction due to nation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policy uiyeoldan attending the caucus held in Guangzhou in December 1926.

      • KCI등재

        해방기 정국 평전 연구 (1) - 박태원과 약산과 의열단

        정은경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studied on Park Tae-won’s critical biography Yaksan & Eyeol-Dan. The writings of biography in the liberation government are important. In the emancipation and chaos, writers had to straighten out their passive attitudes and reborn as a nation-state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stat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Park Tae-won, who translated into Chinese novels, wrote popular novels and pro-Japanese works, sough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through writing biography of Kim Won-bong and patriotic martyrs. After liberation, Park participated in a leftist literature group, and he visited North Korea as a military service author in 1950 and stayed there. Park Tae-won's works concentrates mainly on biography and historical novels. These works mainly focus on heroine (Yi Sun-sin), revolutionary (Hong Gil-dong), independence fighter (Kim Won-bong), the people(Chun-bo). Park Tae-won’s choice for Kim Won-bong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Kim Won-bong consistently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leading the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and Eyeol-Dan. Second, Kim Won-bong 's revolutionary nationalism is not a follow - up of certain ideals but a result of popularism that tried to be with people. Third, Kim Won-bong was a middle-left in the liberation that prioritized cooperation and national reunification, as was the attempt to integrate the divided armed forces. Yaksan & Eyeol-Dan are in the form of episodic composition and the biographies. In addition, many references to 'newspaper articles' are used to reconstruct their activities and terror. Park Tae-Won has often highlighted their activities by novelizing each terrorist incident into a mystery novel. Yaksan & Eyeol-Dan has the following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book is not a biography or success story of Kim Won-bong's hero. He has been honoring the noble deeds of the members by recording the unsuccessful acts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book also emphasizes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violence fighting’ by Kim Won-bong, which distinguishes Lee Sung-man’s foreign policy and Ahn Chang-ho’s the theory of ability development. Third, this book emphasized the spirit of revolution. The revolution of Kim Won-bong is also linked to the Declaration of the Revolution of the Joseon Dynasty, written by Shin Chae-ho. The revolution is not a proletarian revolution against modern class distinction but a popular uprising and a political struggle against 'regime and repressive imperial power'. 본고는 해방기에 간행된 박태원의 『약산과 의열단』을 고찰하였다. 해방 정국에서 작가들의 평전 집필은 중요한 의미를 띤다. 해방과 혼돈의 현실에서 작가들은 과거 일제말이 소극적 태도들 청산하고,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국민주체로 거듭나야 했기 때문이다. 일제 말 중국고전소설 번역과 통속소설, 친일작품으로 흐르던 박태원도 약산 김원봉과 독립순국열사전 집필을 통해 과거를 청산하고 민족국가 건립에 이바지하고자 했다. 해방 직후 박태원은 좌익계열의 문학단체에 참여하고 1948년 남한단독정부 수립 후에는 전향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의 정치적 혼란을 겪다가 1950년 종군작가로 북한을 방문, 그곳에 남게 된다. 해방기 박태원의 창작은 주로 전기, 역사소설에 집중되는데 이들 작품은 주로 구국 영웅(이순신), 혁명가(홍길동), 독립투사(김약산), 민중(춘보) 등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며 민족주의, 민중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박태원이 해방기에 이승만, 김구, 여운형, 박헌영 등의 독립운동가, 정치지도자들이 아닌 약산 김원봉과 의열단을 전기 대상으로 삼은 것은 다음과 같은 특징 때문이라 판단된다. 첫째 김원봉은 의열단과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 한국 광복군 등을 이끌면서 식민지 시기 내내 일관되게 일제에 맞서 싸운 투사이다. 둘째, 김원봉의 혁명적 민족주의는 특정한 이념의 추종이 아니라 ‘민중’과 함께 하려했던 민중주의의 소산이다. 셋째, 식민지 분열된 무장세력을 통합하려고 했던 것처럼 해방 정국에서도 김원봉은 좌우합작과민족통일을 우선한 중도좌파였다. 『약산과 의열단』은 형식적 측면에서 에피소드식 구성과 열전의 형식을 띠고 있다. 또한 의열단의 활약상을 재구하는 데 있어 ‘신문기사’를 많이 참고하고 있는데, 이는 기사에 내재된 ‘의열단의 영웅화’를 함께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태원은 때로 각각의 테러사건을 한편의 박진감있는 추리소설로 픽션화함으로써 이들의 활약상을 부각시켜놓고 있다. 『약산과 의열단』의 사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책은 김원봉의 영웅 일대기나 성공 스토리가 아니다. 일제에 항거하다 순국, 투옥되어 비극적인 생애를 살다간 단원들의 실패한 행적을 기록함으로써 이들의 숭고한 행위를 기리고 있으며 민중지향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는 김원봉의 ‘자주독립’과 ‘무력항쟁’의 정신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외교정치론의 이승만과 실력양성론의 안창호와 변별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혁명정신’의 강조이다. 의열단의 폭력, 김원봉의 무력항쟁은 신채호가 써준 의열단 투쟁선언서인 <조선혁명선언>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이때의 ‘혁명’은 근대적 계급차별에 맞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아니라 ‘구체제와 억압적 제국 권력’에 맞선 민중적 봉기와 정치투쟁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 KCI등재

        연안파 尹公欽의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

        김용진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본 연구는 윤공흠이 해방 이전에 대표적인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로서 활동한 점을 강조하면 서 일제강점기에 전개한 일련의 민족해방운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그의 식민지 시기의 활동 전반을 정리하면서 몇 가지 그만의 독특한 이력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윤공흠은 일제강점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이다. 그동안 사회주의자 비행사들을 발굴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는 자료의 제한도 있겠지만, 윤공흠의 사례처럼 해방 이 후의 행적이 부각되어 해방 이전의 일제강점기 당시에 활동한 이력들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즉, 그는 연안파로서 활동한 점이 부각되어 해방 이전의 비행사 이력이 베일에 가려진 것이다. 앞으로 일제강점기에 활약한 여러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를 발굴하여, 균형적인 항공독립운동사 연구에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둘째, 윤공흠은 의열단 출신의 2등비행사였다. 그가 습득한 비행술은 반전 선전 활동 및 전단 지 살포에 유리하였다. 그러나 그의 비행술은 직접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지만, 윤공흠의 사례를 통해서 미루어짐작컨대 김원봉 등 의열단 지도부에서는 비행술을 활용한 국내 공작 활동의 중요 성을 일찍이 깨닫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는 ‘1920년 독립전쟁의 해’ 선포를 계기로 항공 력의 중요성이 민족주의 진영 내에서 뿐만 아니라 좌익계열 진영에서도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주 는 것이다. 셋째, 윤공흠은 초기 민족주의자에서, 이후에는 사회주의자로 변모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1929년 광주학생운동을 경험하면서 체득한 민족주의와 초보적 수준의 사회주의 사상은 1933년 의열단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서 공산주의 이론을 학습하면서 심화되어 자연스레 사회주의자로 경도되었다. 특히 그는 1934년 ‘간부학교사건’으로 대변되는 잠재적 대중을 토대로 한 국내 공작 활동을 통해서 이후의 좌파적 민족협동전선의 활동 에 영향을 주어 민족혁명당·조선의용대(군)·화북조선청년연합회·조선독립동맹 등에서 주요한 적구 공작 책임자로 활약하게 하였다. 넷째, 윤공흠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2등비행사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북한에서 항 공 관련 직책을 전혀 맡지 않았다는 점이 독특하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일제강점기에 조선의용군 출신인 왕련과 일본비행학교 출신의 이활이 주요 항공 직책을 역임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런 점 에서 일제강점기에 보기 드문 항공인으로서 전문적인 비행술을 연마한 윤공흠의 북한에서의 행보 는 다른 이들과 비교할 때 독특하다고 할 수 있겠다. 다섯째, 윤공흠의 비행술을 활용한 의열단의 특무 공작 활동은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과정 중에 전개된 새로운 형태의 특무 공작이다. 의열단과 조선공산당의 연합전선은 두 조직의 지도자인 김원봉과 안광천의 만남으로 성사되었다. 의열단의 국내 특무 공작은 공산당과의 연합전선을 기반 으로, 국내에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펼쳐 조선공산주의혁명당의 건설에 그 목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공작은 한중연합전선 나아가 코민테른 원동국과 일정한 연계를 맺었다는 점에서, 윤공흠의 비행술을 이용한 공작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이처럼 윤공흠에 대한 본 연구는 한 인물을 통해서 해방 전후사를 연속성과 단절성이라는 구도 에서 다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충분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한 인 물을 평가함에 있어 해방 전과 후를 구분하여, 별개의 인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동일 인 물로서 해방 전후의 활동상에서 어떤 점이 연속성을 지니고 또 어떤 점에서는 단절성을 지니는지, 객관적으로 봐야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규명됐을 때, 윤공흠이라는 한 인물이 해방 이전 에는 2등 비행사 출신으로 좌파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변모한 배경은 무엇이었으며, 또 해 방 이후에는 대표적인 연안파로서 자리매김한 이유를 밝히는 데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거라 고 본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lif e of Yun Gong-heum(尹公欽) an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before liberation. Until now, Yun Gong-heum has been well known only as a representative Yeonanpa(延安派)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Prior to that, he was a leading socialist pilot who played for Japanese colonial era. Interestingly, however, he did not hold any aviation-related positions or status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eries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developed in Japanese colonial era, emphasizing that Yun Gong-heum worked as a representative socialist-turned-flight before liberation. While organizing his overall colonial activities, he was able to deriv e some unique his tories. First, Yoon Gong-heum is a representative socialist-turned-airman who play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biggest reason why socialist aviators have not been discovered so far may be limited in data, but as in Yoon Gong-heum's case, an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eriod before liberation may not be known at all.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he worked as a Yeonanpa was highlighted, and the history of the pilot before liberation was veiled.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discovering several socialist former aviators who have been activ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making progress in the study of balanced aviatio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Second, Yun Gong-heum was a second-class pilot from Heroic Group(義烈團). The flying technique he acquired was advantageous for anti-war propaganda activities and flyer spraying. However, although his performance as an aviator was not directly utilized, it can be in ferred from the case of Yun Gong-heum that the leadership of the Heroic Group, including Kim Won-bong, realized the importance of domestic maneuver activities using flight techniques. This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aviation power was considered important not only within the nationalist camp but also by the leftwing camp as an opportunity o f the declaration of the 1920 Year of Independence War. Third, it can be said that Yun Gong-heum shows a good example in that he is a person who has transformed from an early nationalist to a socialist afterwards. For example, the nationalism and socialist ideas acquired while experiencing the Gwangju Student Movement(光州學生運動) in 1929 were naturally led to socialism while learning communist theory at the Joseon Revolution Military Political Executive School(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 in 1933. In particular, he influenced the activities of the left-wing national cooperative front through domestic maneuvering activities represented by the executive school incident(幹部學校事件) in 1934, making him a major redemption officer in the National Revolution Party(民族革命黨), Korean Volunteer Corps(朝鮮義勇隊), Hwabuk Korean Youth Association(華北朝鮮靑年聯合會),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lliance(朝鮮獨立同盟). Fourth, it is unique that Yoon Gong-heum has not held any aviation-related positions in North Korea since liberation, even though he was a former second-class flight agent working in Japanese colonial era. As mentioned above, this is in contrast to Wang Ryeon(王連), a former Joseon Volunteer Army(朝鮮義勇軍), and Lee-Hwall(李 闊), a former Japanese flight school, serving as major aviation positions in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regard, Yoon Gong-heum, who practiced professional flight skills as a rare airline in Japanese colonial era, can be said to be unique compared to others. Fifth, the special maneuver operation of the Heroic Group using Yun Gong-heum's flying technique is a new form of special maneuver operation developed during the reconstruction movement of the Joseon Communist Party(朝鮮共産黨 再建運動). The united front of the Heroic Group and the Joseon Communist Party was concluded by the meeting of Kim Won-bong(金元鳳) and An Gwang-cheon(安光泉), the leaders of the two organizations. Based on the united front with the Communist Party, it can be seen that the Heroic Group's special affairs in Korea aims to rebuild the Joseon Communist Party in Korea. In addition, given that this maneuver had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 Korea-China united front and the Comintern For East Department, Yun Gong-heum's maneuver using flight techniques is viewed anew in this series of processes. As such, this study on Yun Gong-heum believes th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history is sufficient in that it allows one person to look back at the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rom the composition of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In other words, in evaluating a person, it was not viewed as a separate pers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but as a same person, it was emphasized that what had continuity i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in what ways had disconnection. When this was identified, I think it could provide a clue to why a person named Yoon Gong-heum was a former second-class pilot before liberation and changed from a left-wing nationalist to a socialist, and after liberation, he established himself as a representative Yeonanpa.

      • KCI등재

        헝가리인 마쟈르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그 의의

        양지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7

        There is a Hungarian member in the Korean Heroic Corps, called Magyar, Majar, Murjar. Hungarians have used the name Magyar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races. After the First World War, Magyar met Lee Tae-Joon, a member of the Korean Heroic Corps, in Mongolia and participated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 served as a liaison and transportation service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ho had traveled through Mongolia. Meanwhile, Kim Won-Bong, who had planned a fierce independence battle in China, thought that getting the weapons such as bombs and pistols was the most important for future activities. Unexpectedly, he met with Lee Tae-Joon in Beijing to hear about the Hungarian bomb engineer Magyar. However, he is killed by Lee Tae-Joon’s Ungern troops who tried to pick him up. But Magyar came to Beijing alone to find Kim Won-Bong. The situation of colonial Chosun was similar to that of Hungary. He sympathized deeply with Korea and decided to help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wards, the two went to Shanghai to set up a bomb mill in French concession and produce weapons such as bombs. The squad members and some Chinese helped him, and the bomb making went smoothly. Kim Won-Bong used this bomb to carry out the second assassination and destruction plan. The problem was bringing bombs in to the country. The transportation route for bombs was Shanghai-Tianjin-Andong-Kyungsung. Magyar decided to carry out weapons such as bombs from Shanghai to Tianjin. Westerners are subject to extraterritorial rights. The weapons that arrived in Tianjin safely crossed the Ap-Rok river border, but the plan was delivered to Japan and revealed due to the report from a spy in the Korean Heroic Corps. The Japanese were astonished at the sight of Magyar’s bombs and thought that the Korean Heroic Corps could not make such high-performance bombs themselves. Although not a big success, his bomb-making skills were inherited by the members of the Korean Heroic Corps and helped the Korean Heroic Corps later pursue the armed struggle. 마쟈르, 마쟐, 머저르라고 불리는 헝가리인 의열단원이 있다. 헝가리인들은 다른 종족들로부터 자신들을 구별하기 위해 마쟈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왔다. 마쟈르는 제1차 세계대전 후 몽골에서 의열단원 이태준을 만나면서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는 이태준을 도와 몽골을 경유하던 한국독립운동가들에게 연락과교통편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한편, 중국 관내 지역에서 의열투쟁을 계획하던 김원봉은 앞으로의 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위력이 큰 폭탄과 권총 등의 무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때 뜻밖에도 베이징에서 이태준을 만나 헝가리 폭탄기술자 마쟈르에 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하지만 몽골에 있는 그를 데리고 오겠다는이태준이 운게르 부대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 마쟈르는 이태준이 사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신으로 베이징에 와 김원봉을 찾았다. 식민지조선의 처지가조국 헝가리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한국을 극히 동정하던 그가 독립운동을 돕기로 결심했던 것이다. 이후 두 사람은 상하이로 가 프랑스조계 내에 폭탄제조소를 차렸다. 의열단원 및 몇몇 중국인들이 그를 도와 폭탄을 제조하였으며, 모든 과정은 순조로웠다. 김원봉은 마쟈르의 폭탄을 이용해 제2차 암살·파괴계획을 추진하였다. 문제는 폭탄을 국내까지 반입하는일이었다. 폭탄 이동 노선은 상하이 ‒ 톈진 ‒ 안동 ‒ 경성이었다. 이때 마쟈르가 상하이에서부터 톈진까지 폭탄등 무기 운반을 맡았다. 서양인들은 치외법권의 적용을 받아 비교적 안전하였기 때문이다. 톈진에 도착한 무기는 무사히 압록강 국경을 넘었지만, 의열단 내 밀정의 신고로 일본에게 발각되면서 계획은 무산되고 말았다. 마쟈르의 폭탄을 본 일본은 경악하였지만, 의열단이 이 같은 고성능의 폭탄을 직접 만들지는 못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기대했던 만큼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지만, 그의 폭탄제조 기술은 의열단원들에게 계승되어 이후 의열단이 무장투쟁을 추진하는 큰 힘이 되었다.

      • KCI등재

        의열단 창립단원 문제와 제1차 국내거사기획의 실패 전말

        김영범(Kim, Yeong-beom)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8

        이 글은 의열단의 창단 후 첫 기획인 국내 일제기관 투탄거사가 거단적으로 추진되었으나 끝내 결행되지 못하고 만 경위를 세세히 추적·천착해본 작업의 결과물이다. 우선은 그 추진과정 참여자의 범위와 각인의 역할 및 신원을 재확인하고 판별해가던 중에 창립단원의 명단과 인원이 『약산과 의열단』에서 비롯된 통설과 다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다수의 1·2차 자료를 참조하며 재검토해봄에 의해 종래의 ‘13인’ 설 명단 속의 3인(배동선·한봉인·권준)은 창립단원일 수 없었음과 나머지 10인만 해당됨을 논증하고 부수적 의문점들도 해결하였다. 또한 초대 단장(‘의백’)은 우여곡절 끝에 황상규가 아닌 김원봉이 맡는 것으로 낙착되었음을 해명하여, 저간의 일부 인식혼란을 불식하면서 통설을 확정지었다. 의열단의 제1차 국내거사 추진과정과 그 결말을 세부사실들의 순차적 배치와 새 자료의 활용에 의해 재구성하고 숙고해봄으로써 도출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밀반입 무기의 보관책임자이던 이일몽(이수택)의 이상행동―매번 이유를 바꿔가며 끝끝내 폭탄을 내주지 않은―이 거사결행에 거듭 제동을 걸어 결국 미수에 그치고 말게 하였다. 둘째, 밀입국 단원들의 연속피검이 일부 단원의 부탁을 받은 김진규·안태익의 밀고에 의한 것이었다는 수사책임자 김태석의 반민특위 진술은 일견 그럴듯해 보이지만 분석해보면 허점이 많고 진상은폐와 독립운동 모독의 의도를 내장시킨 허위진술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김태석이 폭탄 전부 압수와 거사저지 목적의 공작을 벌여가는 데 구영필이 동원되어 적극 협력했고 이일몽도 끌어들여져 보조했다. 나아가 구영필이나 그 휘하 그룹의 누군가가 거사계획 자체를 진즉 밀고했을 가능성이 부분적으로 짚어지면서 앞으로 더 추급하고 해명해야 할 문제들이 새롭게 떠오른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etails of the case that the Eui’yoldan’s undertaking of bombing the domestic colonial institutions as the first-time action project immediately after its founding completely failed at the end in spite of propelling on an entirely organizational scale. The author demonstrates in the first place that three persons(Bae Dong-seon, Han Bong-in and Kwon Jun) among the hitherto name-list of 13 founders of Eui’yoldan must not have really been the founding members, and that only the rest 10 could have been included in the list, and goes ahead to solve the collateral questions. That demonstration and solution was possible by referring to and reexamining many of the first and second source of materials, and through reaffirming and distinguishing the boundary of the participants in the propelling process along with everyone’s role and identity. Main points found and confirmed by arranging the detailed facts one by one along to the time sequence and by reconstruct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undertaking propelling and its unexpec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certainly curious acts by Lee Il-mong and Bae Joong-se of refusing stubbornly to hand over the bombs under custody and keeping to action group, with reasons changed each time, which consequently put on the brakes the final step and made it not to be accomplished. Secondly, Kim Tae-seok’s statement at the Special Committee for the Persecution of the Anti-national Actors in 1949 that the successive arrest of the founding members of Eui’yoldan in 1920 had been due to a secret information by Kim Jin-kyu and Ahn Tae-ick was, in author’s judgement, untrue one which had several loopholes although sounding plausible and involved some intention of concealing the truth of the incident, furthermore defaming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irdly and finally, Goo Yeong-Pil was mobilized by Kim Tae-seok and he collaborated actively for the latter’s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both seizing all the bombs and impeding the undertaking, and Lee Il-mong was also drawn into it and helped. There remains some additional questions which must be followed up and explicated.

      • KCI등재

        일제의 밀양지역 탄압기구 설치와 탄압 양상 -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 직전까지를 중심으로 -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이 글은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의 한 동인으로써 밀양지역에 설치된 탄압기구와 그 탄압 양상에 주목했다. 밀양에는 청일전쟁 이후부터 일본군과 일본헌병대가 수비대와 분견대의 형태로 주둔했다. 특히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수비대와 분견대가 밀양에 주둔하며 조선의 식민지화에 저항하던 의병의 진압에 나서 많은 피해자를 양산했다. 나아가 ‘헌경통일’과 강제병합으로 헌병분견소와 출장소가 여전히 다수 설치되어 이 지역의 치안 유지는 물론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에 나섰다. 그 결정적인 사건이 3.1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폭력적 진압(밀양 사건)이었다. ‘밀양 사건’인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는 당시의 인식에서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대표할 만큼 치열한 저항운동이었고 대대적인 탄압을 받은 사건이었다. 특히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일본 군경 측의 보고가 발포를 누락하고 사상자 수도 축소했지만, 미국 선교사와 영국 외교관의 보고에서 각기 다른 네 방면의 정보 제공에 의해 그 실상을 알렸고, 이를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 등 해외독립운동가들은 가장 대표적인 탄압 사례, 학살 사건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이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의 ‘학살 사건’은 당대인의 기억 속에 3.1운동의 대표적인 탄압 사례로 알려져 있었기에, 그 탄압기구인 밀양헌병분견소(밀양경찰서)는 당연히 의열단의 첫 번째로 처단되어야할 기관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김원봉을 비롯한 의열단 다수와 투탄의거를 실행한 최수봉이 밀양 사람이기 때문에 의열투쟁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겠지만, 그 이상으로 밀양경찰서가 일제 탄압의 전국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suppression agency installed in the Miryang area, which was one of the causes of the Euiyeoldan"s bombing of the Miryang Police Station, and the aspect of its suppress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were stationed in Miryang in the form of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In particular, the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were stationed in Miryang from 1907 to 1909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who resisted Japanese colonization, producing many victims. Furthermore, due to the "unific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nd the forced annexation of Japan, a number of military police depots and branch offices were still set up to maintain public order in the area and suppres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decisive event was the massive violent sup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Miryang Massacre). The Taeryong-ri market protest where the "Miryang Massacre" took place was a fierce resistance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whole country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and it was an event that was heavily repress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which violently suppressed the protests, concealed the firing and reduced the number of casualties. On the other h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British diplomats informed the world of the massacre. At that time, independence activists abroad, inclu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stood this a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f oppression and massacre. As such, the “massacre” of the Taeryong-ri market demonstration was known to the people of the time as a representative case of re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so the Miryang Police Station, the subject of the massacre, must have been an institution that the Euiyeoldan must punish.

      • KCI등재

        의열단의 對日 거사계획과 박열의 의열투쟁

        김명섭(Kim, Myung-Seob)(金明燮) 한일민족문제학회 202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8 No.-

        Founded on Nov. 9, 1919, Chosun Euiyeoldan(義烈團) steadily waged a righteous struggle. In the wake of the failure of the first general attack plan in Korea, the Euiyeoldan reorganized its departments into classified, executive, and propaganda departments from the first half of 1922, establishing a command system, and promoting the second plan through the operation of a number of the first half of 1922. The Euiyeoldan held a secret general meeting in June 1923 and a group of members in October to publicize the Japanese attack at home and abroad. The event in Japan was planned to be carried out in October when the wedding of the Japanese crown prince is scheduled. As a result, Kim Won-bong(金元鳳) dispatched his members to Taiwan, Tokyo, Kobe, Osaka, and Yoko Hama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practice of living in Tokyo was left to a group of Park Yeol(朴烈). In the spring of 1922, Park Yeol met Choe Hyok-jin(崔爀鎭), a member of the Euiyeoldan, and signed an agreement with Kim Han(金翰) in Seoul around the fall to deliver the bombs to Tokyo. Park Yeol negotiated the purchase of the bomb through the Shanghai Euiyeol Group and is believed to have succeeded in bringing the bomb safely to somewhere in Tokyo. However, he planned to go on a grand march in October, but he was frustrated when the unexpected September 1 earthquake in Kanto occurred and was arrested during the Korean massacre. Despite the failure, the Euiyeoldan’s plan to move to Japan continued. The attack against Japan, which was carried out by Kim Ji-seob on January 5, 1924, was followed by the “Gyeongbuk Uyoldan Incident” in which 11 members of Beijing’s Euiyeoldan unit were arrested after being smuggled into Korea to collect funds for bomb purchases aimed at attacking Tokyo. In the heart of imperialism, the righteous army’s plan to stage a massive Euiyeoldan struggle against Japan Empire was steadily pursued until the winter of 1922 and 1925. 1919年11月9日に創団された朝鮮義烈団は絶えずに義烈闘争を続けた。第 1次国内総攻撃計画の失敗を切っ掛けとして義烈団は1922年上半期から機密 部や實行部·宣傳部等に部署を再編、指揮体系を打ち立てた。また多數の 爆弾工場を運営しながら、第2次投彈計画を進めた。 義烈団は1923年6月、秘密總會を、10月には団員慰労会等を開催し、日 本国内攻撃を対内外に公表した。日本總攻擊計画は皇太子の結婚式が予 定された10月の中執行に移るつもりだった。団長金元鳳は上半期から臺灣を含 め、東京と神戸·大阪·横浜等の日本各地に団員を派遣、準備に着手し た。東京での計画執行は朴烈を中心とする不逞社に委ねられた。朴烈は1922 年、春、義烈団員崔爀鎭を会ったし、秋頃にはソウルの金翰と協約して、密 かに爆弾を東京に運ぶ用意をした。 また、朴烈は上海にある義烈団体を通じて、爆弾購入を協議し、無事に東 京の或所まで爆弾を運ばれたと思われる。だだ、10月中実行に移る積もりだっ たが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のなかで、朴烈が逮捕され、計画の実行はや むをえず中止された。 失敗にも関わらず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は続けた。此れによって展開 された攻撃が1924年一月5日の金祉燮の義擧であり、また、北京の義烈団 員 11名が、東京攻撃を目標し、爆弾購入の資金を募集するため国内に密派されたが、逮捕されてしまった、‘慶北 義烈団事件’がその例である。帝国主義 の心臓部で大規模の義烈闘争を展開しようとした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 は1922年から1925年、冬まで、絶えずに推進されたの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