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李陸史의 독립운동 시-공간(1926~1933)과 義烈團 문제 : 通說의 분석적 재검토를 겸하여
김영범(Kim Yeong-Beom)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이 글은 총체적 육사연구의 진전에 기여코자 하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그런 뜻에서 李陸史의 독립운동에 관해 金喜坤敎授가 주도해 온 근래의 연구결과와 그로부터 인출된 통설 중에서 몇 가지 모호한 부분을 분석적으로 재검토하여 보다 합당한 이해를 도모코자 하였다. 그 작업은 陸史의 ‘독립운동 시-공간’의 사실적 재구성과 직결되는 것이기도 하다. 여러 종류의 자료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해석을 통하여 진행된 논의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陸史는 1926년 7월에 北京으로 가서 가을에 中國大學 商科에 입학하여 1927년 6월까지 2개 학기를 다니다(수학기간 7개월) 그만두고 8월경 귀국했음이 거의 확실시된다. 둘째, 陸史가 1926년 하반기부터 1년간 廣州의 中山大學을 다녔으며 독립운동단체의 간부이기도 했다는 종래의 주장과 통설화는 전면 재검토되어야 한다. 당시 廣州의 義烈團 및 留韓國革命同志會 간부였던 徐應鎬의 상세한 진술 내용에 비추어 보더라도, 中山大學 재학생 명부와 일제 관헌자료에 등장하는 ‘李活’ 관련 기록 내용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의 심해보지 않을 수 없다. 또한 1930년대의 陸史의 필명을 1920년대로 소급적용하여 무조건 同一人視하는 데도 여러 무리가 따른다. 가용한 자료의 종합적 검토 결과, 현재로서는 陸史의 ‘광주시절’은 不在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셋째, 1934년 ‘남경군관학교사건’의 한 피의자였던 陸史의 신문조서 자료는 진술의 이면과 행간의 의미까지 감안하여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한다. 被囚를 면하고 국내 활동공간을 확보키 위한 위장 · 기만 진술이 상당 부분 있었음이 간취되는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자료를 음미하고 재해석해 보면, 육사는 尹世와의 사전 연락이나 밀의에 의해 의열단의 독립운동 지원 · 가담을 목적으로 1932년 봄, 北京을 향해 떠난 것으로 추정된다. 의열단 본부가 南京으로 옮겨갔음을 뒤늦게 알게 된 그는 다시 南京으로 뒤따라가 의열단의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자진 입학하였다. 넷째,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재학 중이던 6개월여의 시간은 그대로 陸史의 ‘남경시절’이 되었다. 그 기간에 그는 혁명운동에의 본격적 투신을 위한 사상적 입지를 다지고 이론적 무장을 기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陸史는 의열단의 혁명운동노선을 수용하고 실질적 의열단원이 되었으며, 1933년에 ‘의열단 국내 공작원’으로서 밀파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making an advancement in the overall study of Yi Yuksa(李陸史; hereafter ‘Yuksa’), an all-round intelligentsia and resistance. In that respect, the author re-examines analytically some obscure points among the results of recent studies on Yuksa’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NIM). The common view derived from those results is also critically examined in prospect of more reasonable understanding, which would be linked to a factual reconstitution of the time-space of Yuksa’s NIM. Arguments proceeded through critical review and reinterpretation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nearly confirmed that Yuksa went to Peking in July, 1926 and entered the College of Commerce, the University of China in fall of the year, to stay for two semesters till June, 1927, and then returned home about August of the year. Secondly, the existing common opinion that Yuksa attended the Sun Yat-sen University in Kuangchou for one year and that he became then a member of the managing staff of some association there for Korean NIM should be thoroughly re-examined. Judging from the detailed statements of Seo Eungho(徐應鎬), an executive of Ui’yeoldan(義烈團) and of the Associated Comrades for Korean Revolution at Kuangchou(留韓國革命同志會) at the same time, we can not but doubt of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records, which appeared on the student list of the Sun Yat-sen University as well as in the documents made out by the Japanese imperialist governmental authorities, about the name of Yi Hwal(李活) used mostly in 1930s as one of the Yuksa’s pen names. It would be unreasonable to identify recklessly a man with another person solely on the basis of pen name. A comprehensive review of materials available leads us to say that ‘the times in Kuanchou’ for Yuksa never existed. Thirdly, the interrogatory on Yuksa as a suspect of the Case of Nanjing Military Academy in 1934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with a consideration of meanings between the lines. For it is observed and caught up that there were a great deal of camouflaging and deceiving statements in his interrogatory for the purpose of escape from being prisoned and of ensuring the space of domestic activities. In this context, it is presumed that Yuksa left homeland for Peking in spring of 1932 according to a previous contact or conclave with Yun Seju(尹世胄) for the sake of participation in or support of Ui’yeoldan. Knowing belatedly that the headquarters of Ui’yeoldan had moved to Nanjing, Yuksa went immediately to Nanjing and entered voluntarily the Military-Political Academy for Korean Revolution(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 founded by Ui’yeoldan. Fourthly and finally, six months spent as a student of the Academy became justly the ‘times in Nanjing’ for Yuksa. During those times, he laid down the ideological base and got the theoretical armament for his own devotion to revolutionary movement. By extension of it, he accepted the programmed National Revolutionary action line of Ui’yeoldan, and became an actual member of it. Consequently and eventually, he was appointed as a domestic agent and secretly dispatched to homeland by Ui’yeoldan.
김명섭(Kim, Myung-seob)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2
류자명은 1922년부터 의열단에서 연락사무와 교육 ․ 홍보의 책임을 맡고, 직접 의열투쟁의 현장을 지도한 독립운동가이다. 나아가 그는 1930년대에도 국제적 규모의 의열단체를 창립해 꾸준히 암살 ․ 파괴운동을 지도한 투쟁가로서 널리 알려졌다. 의열단에서 ‘참모장’ 역할을 맡은 류자명의 생애와 의열투쟁사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류자명은 재중 한인 아나키스트들 중 가장 먼저 아나키즘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신념으로 정착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그는 1919년 중국 망명 이후 사상적 스승으로부터 공산주의 사상을 사사받았지만, 마르크스의 학설에 동의하지 않고 대신 크로포트킨의 저작을 통독하면서 아나키즘을 받아들였다. 둘째, 류자명은 1922년 김원봉 단장을 통해 뒤늦게 의열단에 가입했지만, 1930년대 중반까지 민중폭력혁명 노선을 끝까지 견지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류자명은 1924년 이후 김원봉 단장을 비롯한 대다수 단원들이 폭력노선을 포기하고 체계적인 군사교육을 받기위해 중국 군대에 입교한 이후에도 홀로 상해의 의열단에 남아 의열투쟁 노선을 고수했다. 셋째, 류자명은 의열단의 연락업무와 교육 ․ 홍보업무를 담당하면서 의열단의 투쟁이념을 정립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1922년 겨울 존경하던 신채호 선생을 찾아가 의열단 선언문을 작성하도록 요청해 ‘파괴와 건설론’, ‘민중의 폭력혁명노선’ 등 단의 이념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그는 1926년 12월 광주에서 열린 의열단 간부회의에 참석해 민족독립과 반봉건 민주정책에 의한 ‘진정한 민주국’ 건설을 추구한다는 20개조에 걸린 강령을 제정하도록 했다. Ryu, Ja-myeong is responsible for the apparent Contact affairs and education romotion in Uiyeoldan since 1922,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led the field of direct uiyeol struggle. Furthermore, he is widely known as Fighter also led the movement to continue assassinations in the 1930s. In fact, can be seen through are view of the life and struggle ‘Chief of Staff’ role in charge of the kind apparent in uiyeold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He is the first systematic study of Korean an anarchists as a person settled in their convictions. He received the judges from the communist ideology and ideological mentor exile since 1919 in China, and read through the writings of Kropotkin rather than Marx’s theory does not agree with the accepted anarchism. Second, He into the uiyeoldan the late than leader Kim Won-bong in 1922, until the mid-1930s, to asses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tgetda one aspect violent revolution to end the people’s line. Ryu is apparent even after the majority section are including Kim, Won-bong refurbished since 1924 joined the Chinese army to renounce violence and to receive systematic military training routes were alone adhere to uiyeol struggle line remain in uiyeoldan. Third, the error is obvious and can be responsible for liaison officer with education to promote the work of uiyeoldan assess the ideological struggle of the uiyeoldan to establish a person. He visited the Shin, Chae-ho respected teacher who asked to create a winter 1922 uiyeoldan Declaration‘Destruction and Construction’ Theory, ‘violent revolution line of the people’,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ideology. Furthermore, he took on 20 renovation to establish a Code of pursuing a ‘true Democracy state’ construction due to nation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policy uiyeoldan attending the caucus held in Guangzhou in December 1926.
해방기 정국 평전 연구 (1) - 박태원과 약산과 의열단
정은경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studied on Park Tae-won’s critical biography Yaksan & Eyeol-Dan. The writings of biography in the liberation government are important. In the emancipation and chaos, writers had to straighten out their passive attitudes and reborn as a nation-state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stat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Park Tae-won, who translated into Chinese novels, wrote popular novels and pro-Japanese works, sough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through writing biography of Kim Won-bong and patriotic martyrs. After liberation, Park participated in a leftist literature group, and he visited North Korea as a military service author in 1950 and stayed there. Park Tae-won's works concentrates mainly on biography and historical novels. These works mainly focus on heroine (Yi Sun-sin), revolutionary (Hong Gil-dong), independence fighter (Kim Won-bong), the people(Chun-bo). Park Tae-won’s choice for Kim Won-bong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Kim Won-bong consistently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leading the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and Eyeol-Dan. Second, Kim Won-bong 's revolutionary nationalism is not a follow - up of certain ideals but a result of popularism that tried to be with people. Third, Kim Won-bong was a middle-left in the liberation that prioritized cooperation and national reunification, as was the attempt to integrate the divided armed forces. Yaksan & Eyeol-Dan are in the form of episodic composition and the biographies. In addition, many references to 'newspaper articles' are used to reconstruct their activities and terror. Park Tae-Won has often highlighted their activities by novelizing each terrorist incident into a mystery novel. Yaksan & Eyeol-Dan has the following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book is not a biography or success story of Kim Won-bong's hero. He has been honoring the noble deeds of the members by recording the unsuccessful acts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book also emphasizes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violence fighting’ by Kim Won-bong, which distinguishes Lee Sung-man’s foreign policy and Ahn Chang-ho’s the theory of ability development. Third, this book emphasized the spirit of revolution. The revolution of Kim Won-bong is also linked to the Declaration of the Revolution of the Joseon Dynasty, written by Shin Chae-ho. The revolution is not a proletarian revolution against modern class distinction but a popular uprising and a political struggle against 'regime and repressive imperial power'. 본고는 해방기에 간행된 박태원의 『약산과 의열단』을 고찰하였다. 해방 정국에서 작가들의 평전 집필은 중요한 의미를 띤다. 해방과 혼돈의 현실에서 작가들은 과거 일제말이 소극적 태도들 청산하고,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국민주체로 거듭나야 했기 때문이다. 일제 말 중국고전소설 번역과 통속소설, 친일작품으로 흐르던 박태원도 약산 김원봉과 독립순국열사전 집필을 통해 과거를 청산하고 민족국가 건립에 이바지하고자 했다. 해방 직후 박태원은 좌익계열의 문학단체에 참여하고 1948년 남한단독정부 수립 후에는 전향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의 정치적 혼란을 겪다가 1950년 종군작가로 북한을 방문, 그곳에 남게 된다. 해방기 박태원의 창작은 주로 전기, 역사소설에 집중되는데 이들 작품은 주로 구국 영웅(이순신), 혁명가(홍길동), 독립투사(김약산), 민중(춘보) 등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며 민족주의, 민중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박태원이 해방기에 이승만, 김구, 여운형, 박헌영 등의 독립운동가, 정치지도자들이 아닌 약산 김원봉과 의열단을 전기 대상으로 삼은 것은 다음과 같은 특징 때문이라 판단된다. 첫째 김원봉은 의열단과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 한국 광복군 등을 이끌면서 식민지 시기 내내 일관되게 일제에 맞서 싸운 투사이다. 둘째, 김원봉의 혁명적 민족주의는 특정한 이념의 추종이 아니라 ‘민중’과 함께 하려했던 민중주의의 소산이다. 셋째, 식민지 분열된 무장세력을 통합하려고 했던 것처럼 해방 정국에서도 김원봉은 좌우합작과민족통일을 우선한 중도좌파였다. 『약산과 의열단』은 형식적 측면에서 에피소드식 구성과 열전의 형식을 띠고 있다. 또한 의열단의 활약상을 재구하는 데 있어 ‘신문기사’를 많이 참고하고 있는데, 이는 기사에 내재된 ‘의열단의 영웅화’를 함께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태원은 때로 각각의 테러사건을 한편의 박진감있는 추리소설로 픽션화함으로써 이들의 활약상을 부각시켜놓고 있다. 『약산과 의열단』의 사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책은 김원봉의 영웅 일대기나 성공 스토리가 아니다. 일제에 항거하다 순국, 투옥되어 비극적인 생애를 살다간 단원들의 실패한 행적을 기록함으로써 이들의 숭고한 행위를 기리고 있으며 민중지향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는 김원봉의 ‘자주독립’과 ‘무력항쟁’의 정신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외교정치론의 이승만과 실력양성론의 안창호와 변별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혁명정신’의 강조이다. 의열단의 폭력, 김원봉의 무력항쟁은 신채호가 써준 의열단 투쟁선언서인 <조선혁명선언>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이때의 ‘혁명’은 근대적 계급차별에 맞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아니라 ‘구체제와 억압적 제국 권력’에 맞선 민중적 봉기와 정치투쟁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김용진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본 연구는 윤공흠이 해방 이전에 대표적인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로서 활동한 점을 강조하면 서 일제강점기에 전개한 일련의 민족해방운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그의 식민지 시기의 활동 전반을 정리하면서 몇 가지 그만의 독특한 이력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윤공흠은 일제강점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이다. 그동안 사회주의자 비행사들을 발굴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는 자료의 제한도 있겠지만, 윤공흠의 사례처럼 해방 이 후의 행적이 부각되어 해방 이전의 일제강점기 당시에 활동한 이력들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즉, 그는 연안파로서 활동한 점이 부각되어 해방 이전의 비행사 이력이 베일에 가려진 것이다. 앞으로 일제강점기에 활약한 여러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를 발굴하여, 균형적인 항공독립운동사 연구에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둘째, 윤공흠은 의열단 출신의 2등비행사였다. 그가 습득한 비행술은 반전 선전 활동 및 전단 지 살포에 유리하였다. 그러나 그의 비행술은 직접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지만, 윤공흠의 사례를 통해서 미루어짐작컨대 김원봉 등 의열단 지도부에서는 비행술을 활용한 국내 공작 활동의 중요 성을 일찍이 깨닫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는 ‘1920년 독립전쟁의 해’ 선포를 계기로 항공 력의 중요성이 민족주의 진영 내에서 뿐만 아니라 좌익계열 진영에서도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주 는 것이다. 셋째, 윤공흠은 초기 민족주의자에서, 이후에는 사회주의자로 변모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1929년 광주학생운동을 경험하면서 체득한 민족주의와 초보적 수준의 사회주의 사상은 1933년 의열단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서 공산주의 이론을 학습하면서 심화되어 자연스레 사회주의자로 경도되었다. 특히 그는 1934년 ‘간부학교사건’으로 대변되는 잠재적 대중을 토대로 한 국내 공작 활동을 통해서 이후의 좌파적 민족협동전선의 활동 에 영향을 주어 민족혁명당·조선의용대(군)·화북조선청년연합회·조선독립동맹 등에서 주요한 적구 공작 책임자로 활약하게 하였다. 넷째, 윤공흠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2등비행사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북한에서 항 공 관련 직책을 전혀 맡지 않았다는 점이 독특하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일제강점기에 조선의용군 출신인 왕련과 일본비행학교 출신의 이활이 주요 항공 직책을 역임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런 점 에서 일제강점기에 보기 드문 항공인으로서 전문적인 비행술을 연마한 윤공흠의 북한에서의 행보 는 다른 이들과 비교할 때 독특하다고 할 수 있겠다. 다섯째, 윤공흠의 비행술을 활용한 의열단의 특무 공작 활동은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과정 중에 전개된 새로운 형태의 특무 공작이다. 의열단과 조선공산당의 연합전선은 두 조직의 지도자인 김원봉과 안광천의 만남으로 성사되었다. 의열단의 국내 특무 공작은 공산당과의 연합전선을 기반 으로, 국내에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펼쳐 조선공산주의혁명당의 건설에 그 목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공작은 한중연합전선 나아가 코민테른 원동국과 일정한 연계를 맺었다는 점에서, 윤공흠의 비행술을 이용한 공작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이처럼 윤공흠에 대한 본 연구는 한 인물을 통해서 해방 전후사를 연속성과 단절성이라는 구도 에서 다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충분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한 인 물을 평가함에 있어 해방 전과 후를 구분하여, 별개의 인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동일 인 물로서 해방 전후의 활동상에서 어떤 점이 연속성을 지니고 또 어떤 점에서는 단절성을 지니는지, 객관적으로 봐야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규명됐을 때, 윤공흠이라는 한 인물이 해방 이전 에는 2등 비행사 출신으로 좌파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변모한 배경은 무엇이었으며, 또 해 방 이후에는 대표적인 연안파로서 자리매김한 이유를 밝히는 데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거라 고 본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lif e of Yun Gong-heum(尹公欽) an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before liberation. Until now, Yun Gong-heum has been well known only as a representative Yeonanpa(延安派)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Prior to that, he was a leading socialist pilot who played for Japanese colonial era. Interestingly, however, he did not hold any aviation-related positions or status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eries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developed in Japanese colonial era, emphasizing that Yun Gong-heum worked as a representative socialist-turned-flight before liberation. While organizing his overall colonial activities, he was able to deriv e some unique his tories. First, Yoon Gong-heum is a representative socialist-turned-airman who play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biggest reason why socialist aviators have not been discovered so far may be limited in data, but as in Yoon Gong-heum's case, an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eriod before liberation may not be known at all.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he worked as a Yeonanpa was highlighted, and the history of the pilot before liberation was veiled.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discovering several socialist former aviators who have been activ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making progress in the study of balanced aviatio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Second, Yun Gong-heum was a second-class pilot from Heroic Group(義烈團). The flying technique he acquired was advantageous for anti-war propaganda activities and flyer spraying. However, although his performance as an aviator was not directly utilized, it can be in ferred from the case of Yun Gong-heum that the leadership of the Heroic Group, including Kim Won-bong, realized the importance of domestic maneuver activities using flight techniques. This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aviation power was considered important not only within the nationalist camp but also by the leftwing camp as an opportunity o f the declaration of the 1920 Year of Independence War. Third, it can be said that Yun Gong-heum shows a good example in that he is a person who has transformed from an early nationalist to a socialist afterwards. For example, the nationalism and socialist ideas acquired while experiencing the Gwangju Student Movement(光州學生運動) in 1929 were naturally led to socialism while learning communist theory at the Joseon Revolution Military Political Executive School(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 in 1933. In particular, he influenced the activities of the left-wing national cooperative front through domestic maneuvering activities represented by the executive school incident(幹部學校事件) in 1934, making him a major redemption officer in the National Revolution Party(民族革命黨), Korean Volunteer Corps(朝鮮義勇隊), Hwabuk Korean Youth Association(華北朝鮮靑年聯合會),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lliance(朝鮮獨立同盟). Fourth, it is unique that Yoon Gong-heum has not held any aviation-related positions in North Korea since liberation, even though he was a former second-class flight agent working in Japanese colonial era. As mentioned above, this is in contrast to Wang Ryeon(王連), a former Joseon Volunteer Army(朝鮮義勇軍), and Lee-Hwall(李 闊), a former Japanese flight school, serving as major aviation positions in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regard, Yoon Gong-heum, who practiced professional flight skills as a rare airline in Japanese colonial era, can be said to be unique compared to others. Fifth, the special maneuver operation of the Heroic Group using Yun Gong-heum's flying technique is a new form of special maneuver operation developed during the reconstruction movement of the Joseon Communist Party(朝鮮共産黨 再建運動). The united front of the Heroic Group and the Joseon Communist Party was concluded by the meeting of Kim Won-bong(金元鳳) and An Gwang-cheon(安光泉), the leaders of the two organizations. Based on the united front with the Communist Party, it can be seen that the Heroic Group's special affairs in Korea aims to rebuild the Joseon Communist Party in Korea. In addition, given that this maneuver had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 Korea-China united front and the Comintern For East Department, Yun Gong-heum's maneuver using flight techniques is viewed anew in this series of processes. As such, this study on Yun Gong-heum believes th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history is sufficient in that it allows one person to look back at the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rom the composition of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In other words, in evaluating a person, it was not viewed as a separate pers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but as a same person, it was emphasized that what had continuity i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in what ways had disconnection. When this was identified, I think it could provide a clue to why a person named Yoon Gong-heum was a former second-class pilot before liberation and changed from a left-wing nationalist to a socialist, and after liberation, he established himself as a representative Yeonanpa.
양지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동양학 Vol.- No.77
There is a Hungarian member in the Korean Heroic Corps, called Magyar, Majar, Murjar. Hungarians have used the name Magyar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races. After the First World War, Magyar met Lee Tae-Joon, a member of the Korean Heroic Corps, in Mongolia and participated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 served as a liaison and transportation service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ho had traveled through Mongolia. Meanwhile, Kim Won-Bong, who had planned a fierce independence battle in China, thought that getting the weapons such as bombs and pistols was the most important for future activities. Unexpectedly, he met with Lee Tae-Joon in Beijing to hear about the Hungarian bomb engineer Magyar. However, he is killed by Lee Tae-Joon’s Ungern troops who tried to pick him up. But Magyar came to Beijing alone to find Kim Won-Bong. The situation of colonial Chosun was similar to that of Hungary. He sympathized deeply with Korea and decided to help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wards, the two went to Shanghai to set up a bomb mill in French concession and produce weapons such as bombs. The squad members and some Chinese helped him, and the bomb making went smoothly. Kim Won-Bong used this bomb to carry out the second assassination and destruction plan. The problem was bringing bombs in to the country. The transportation route for bombs was Shanghai-Tianjin-Andong-Kyungsung. Magyar decided to carry out weapons such as bombs from Shanghai to Tianjin. Westerners are subject to extraterritorial rights. The weapons that arrived in Tianjin safely crossed the Ap-Rok river border, but the plan was delivered to Japan and revealed due to the report from a spy in the Korean Heroic Corps. The Japanese were astonished at the sight of Magyar’s bombs and thought that the Korean Heroic Corps could not make such high-performance bombs themselves. Although not a big success, his bomb-making skills were inherited by the members of the Korean Heroic Corps and helped the Korean Heroic Corps later pursue the armed struggle. 마쟈르, 마쟐, 머저르라고 불리는 헝가리인 의열단원이 있다. 헝가리인들은 다른 종족들로부터 자신들을 구별하기 위해 마쟈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왔다. 마쟈르는 제1차 세계대전 후 몽골에서 의열단원 이태준을 만나면서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는 이태준을 도와 몽골을 경유하던 한국독립운동가들에게 연락과교통편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한편, 중국 관내 지역에서 의열투쟁을 계획하던 김원봉은 앞으로의 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위력이 큰 폭탄과 권총 등의 무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때 뜻밖에도 베이징에서 이태준을 만나 헝가리 폭탄기술자 마쟈르에 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하지만 몽골에 있는 그를 데리고 오겠다는이태준이 운게르 부대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 마쟈르는 이태준이 사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신으로 베이징에 와 김원봉을 찾았다. 식민지조선의 처지가조국 헝가리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한국을 극히 동정하던 그가 독립운동을 돕기로 결심했던 것이다. 이후 두 사람은 상하이로 가 프랑스조계 내에 폭탄제조소를 차렸다. 의열단원 및 몇몇 중국인들이 그를 도와 폭탄을 제조하였으며, 모든 과정은 순조로웠다. 김원봉은 마쟈르의 폭탄을 이용해 제2차 암살·파괴계획을 추진하였다. 문제는 폭탄을 국내까지 반입하는일이었다. 폭탄 이동 노선은 상하이 ‒ 톈진 ‒ 안동 ‒ 경성이었다. 이때 마쟈르가 상하이에서부터 톈진까지 폭탄등 무기 운반을 맡았다. 서양인들은 치외법권의 적용을 받아 비교적 안전하였기 때문이다. 톈진에 도착한 무기는 무사히 압록강 국경을 넘었지만, 의열단 내 밀정의 신고로 일본에게 발각되면서 계획은 무산되고 말았다. 마쟈르의 폭탄을 본 일본은 경악하였지만, 의열단이 이 같은 고성능의 폭탄을 직접 만들지는 못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기대했던 만큼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지만, 그의 폭탄제조 기술은 의열단원들에게 계승되어 이후 의열단이 무장투쟁을 추진하는 큰 힘이 되었다.
1920년 密陽 항일폭탄의거의 배경과 전말 - 崔壽鳳의 생애 행로와 義烈團의 초기 동향을 중심으로 -
김영범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5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purposed firstl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all the circumstances in detail of the anti-Japanese bombing undertaking by Choi Subong(최수봉) at the Milyang Police Station at December 27, 1920, and to futhermore reconstruct a full picture of the accident, lastly to inquire into its historical meanings and significances. The author takes mainly a kind of microhistorilcal approach composed of carefully re-read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rimary documents such as investigation reports by police and prosecutory authorities, judgement decisions, newspaper articles, and other materials concerning Choi Subong's life course, follow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ose works and by operating a somewhat restoring reasoning. Choi, born in 1894, went successively to four schools in Milyang, Busan and Pyeong-yang, became a Christian and incessantly groped for ways of the fatherland's independence, cultivating the anti-Japanese mind and thought. About the year of 1918, he went forward to the road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by going to Manchuria. After having come back to Milyang around 1919~1920, he became a member of Euiyeoldan along with accepting the proposal from Kim Sang-yun and Yi Jong-am, both the founding members of the association, and received two bombs made by Goh Indeock's cooperation, and finally launched the undertaking. Showing a righteous and ardent mettle with a dauntless attitude in court and dying by sentence execution, he really deserved to be called as a heroic martyr. His undertaking encouraged in consequence the militant camp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served as a stepping-stone by which Euiyeoldan would rise up by being recovered from the former failure of the first Great Domestic Undertaking plan. In relation to that significance, the following point must be kept in mind. That is, although his deed was taken solely, its planning and preparation had been set on the dimension of Euiyeoldan's project. Therefore, it must be seen as a collective undertaking connected directly to Euiyeoldan's early struggle, rather than as a purely individual and lonely one. 1920년 12월 27일의 경남 밀양경찰서 투탄사건, 달리 말하면 항일사건의 하나인 최수봉 의거의 실행 배경과 전말을 규명하여 사건 전모를 재구성해내고 그 역사적 의미를 고구해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수사보고서와 판결문, 신문기사 등의 1차 자료와 최수봉의 생애 행로에 관한 여타 자료들을 재독해하여 꼼꼼히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종합함과 아울러 복원적 추리로써 자료상의 빈틈을 메워보는 미시적 접근을 주로 취하였고, 역사적 의미와 의의 추출에는 거시적 시각을 배합시켜보았다. 1894년생인 최수봉은 1910년부터 1916년 사이에 밀양ㆍ부산ㆍ평양 세 곳의 4개 학교를 연달아 다니면서 동향 선배 고인덕의 영향으로 기독교에 입문하는 한편 항일의 뜻을 다지며 조국독립의 방도를 부단히 모색하였다. 1918년경에 독립운동 행로로 들어서서 만주로 갔던 그는 1919년~1920년 사이에 귀향해 있다가 의열단원 김상윤과 이종암의 제의를 받아들여 입단하고, 고인덕의 협력으로 제조된 폭탄 2개를 받아서 거사를 감행한 것이었다. 법정에서도 시종 의연한 태도를 견지하며 의열적 기개를 유감없이 내보여주던 최수봉은 선고된 사형 집행으로 순국했는데, 내면에서 끓어오르던 의기와 분노를 투탄행동으로 일거에 폭발시킨 그는 진정 의사이자 열사였다. 밀양 청년들이 경의와 예우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려하자 일제 당국이 탄압하여 저지시켰다. 최수봉 의거는 영남 일대의 항일 민심을 격동시키고 전투적 독립운동 진영을 고무해주었을 뿐 아니라, 석 달 전의 박재혁 의거와 더불어 의열단과 김원봉이 제1차 국내 대의거계획의 실패를 딛고 일어서게끔 하는 디딤돌이 되어주었다. 그러한 역사적 의의와 관련하여 세 가지 점에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의 의거는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밀양지역사 속의 1910년대 항일운동의 기맥 및 1920년 9월의 밀양읍민 경찰서습격사건과 연접되는 것이었다. 또한 실행은 혼자 했지만 기획과 준비는 의열단 차원의 것이어서, 개인단독 거사로보다는 의열단의 초기 투쟁사와 직결되는 집단적 거사로 보아야 한다. 둘째, 밀양경찰서가 최수봉 의거의 타격대상이 된 데는 당지 출신자로서 성공 확률을 최대로 높이려는 전술적 고려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아야 한다. 셋째, 최수봉의 거듭된 허위진술은 동지들을 끝까지 지켜내기 위해서였는데, 그것을 일제 관헌이 순순히 받아들인 것은 총독부 당국의 심히 난처한 입장 때문이었다.
의열단 창립단원 문제와 제1차 국내거사기획의 실패 전말
김영범(Kim, Yeong-beom)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8
이 글은 의열단의 창단 후 첫 기획인 국내 일제기관 투탄거사가 거단적으로 추진되었으나 끝내 결행되지 못하고 만 경위를 세세히 추적·천착해본 작업의 결과물이다. 우선은 그 추진과정 참여자의 범위와 각인의 역할 및 신원을 재확인하고 판별해가던 중에 창립단원의 명단과 인원이 『약산과 의열단』에서 비롯된 통설과 다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다수의 1·2차 자료를 참조하며 재검토해봄에 의해 종래의 ‘13인’ 설 명단 속의 3인(배동선·한봉인·권준)은 창립단원일 수 없었음과 나머지 10인만 해당됨을 논증하고 부수적 의문점들도 해결하였다. 또한 초대 단장(‘의백’)은 우여곡절 끝에 황상규가 아닌 김원봉이 맡는 것으로 낙착되었음을 해명하여, 저간의 일부 인식혼란을 불식하면서 통설을 확정지었다. 의열단의 제1차 국내거사 추진과정과 그 결말을 세부사실들의 순차적 배치와 새 자료의 활용에 의해 재구성하고 숙고해봄으로써 도출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밀반입 무기의 보관책임자이던 이일몽(이수택)의 이상행동―매번 이유를 바꿔가며 끝끝내 폭탄을 내주지 않은―이 거사결행에 거듭 제동을 걸어 결국 미수에 그치고 말게 하였다. 둘째, 밀입국 단원들의 연속피검이 일부 단원의 부탁을 받은 김진규·안태익의 밀고에 의한 것이었다는 수사책임자 김태석의 반민특위 진술은 일견 그럴듯해 보이지만 분석해보면 허점이 많고 진상은폐와 독립운동 모독의 의도를 내장시킨 허위진술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김태석이 폭탄 전부 압수와 거사저지 목적의 공작을 벌여가는 데 구영필이 동원되어 적극 협력했고 이일몽도 끌어들여져 보조했다. 나아가 구영필이나 그 휘하 그룹의 누군가가 거사계획 자체를 진즉 밀고했을 가능성이 부분적으로 짚어지면서 앞으로 더 추급하고 해명해야 할 문제들이 새롭게 떠오른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etails of the case that the Eui’yoldan’s undertaking of bombing the domestic colonial institutions as the first-time action project immediately after its founding completely failed at the end in spite of propelling on an entirely organizational scale. The author demonstrates in the first place that three persons(Bae Dong-seon, Han Bong-in and Kwon Jun) among the hitherto name-list of 13 founders of Eui’yoldan must not have really been the founding members, and that only the rest 10 could have been included in the list, and goes ahead to solve the collateral questions. That demonstration and solution was possible by referring to and reexamining many of the first and second source of materials, and through reaffirming and distinguishing the boundary of the participants in the propelling process along with everyone’s role and identity. Main points found and confirmed by arranging the detailed facts one by one along to the time sequence and by reconstruct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undertaking propelling and its unexpec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certainly curious acts by Lee Il-mong and Bae Joong-se of refusing stubbornly to hand over the bombs under custody and keeping to action group, with reasons changed each time, which consequently put on the brakes the final step and made it not to be accomplished. Secondly, Kim Tae-seok’s statement at the Special Committee for the Persecution of the Anti-national Actors in 1949 that the successive arrest of the founding members of Eui’yoldan in 1920 had been due to a secret information by Kim Jin-kyu and Ahn Tae-ick was, in author’s judgement, untrue one which had several loopholes although sounding plausible and involved some intention of concealing the truth of the incident, furthermore defaming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irdly and finally, Goo Yeong-Pil was mobilized by Kim Tae-seok and he collaborated actively for the latter’s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both seizing all the bombs and impeding the undertaking, and Lee Il-mong was also drawn into it and helped. There remains some additional questions which must be followed up and explicated.
김명섭(Kim, Myung-Seob)(金明燮) 한일민족문제학회 202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8 No.-
Founded on Nov. 9, 1919, Chosun Euiyeoldan(義烈團) steadily waged a righteous struggle. In the wake of the failure of the first general attack plan in Korea, the Euiyeoldan reorganized its departments into classified, executive, and propaganda departments from the first half of 1922, establishing a command system, and promoting the second plan through the operation of a number of the first half of 1922. The Euiyeoldan held a secret general meeting in June 1923 and a group of members in October to publicize the Japanese attack at home and abroad. The event in Japan was planned to be carried out in October when the wedding of the Japanese crown prince is scheduled. As a result, Kim Won-bong(金元鳳) dispatched his members to Taiwan, Tokyo, Kobe, Osaka, and Yoko Hama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practice of living in Tokyo was left to a group of Park Yeol(朴烈). In the spring of 1922, Park Yeol met Choe Hyok-jin(崔爀鎭), a member of the Euiyeoldan, and signed an agreement with Kim Han(金翰) in Seoul around the fall to deliver the bombs to Tokyo. Park Yeol negotiated the purchase of the bomb through the Shanghai Euiyeol Group and is believed to have succeeded in bringing the bomb safely to somewhere in Tokyo. However, he planned to go on a grand march in October, but he was frustrated when the unexpected September 1 earthquake in Kanto occurred and was arrested during the Korean massacre. Despite the failure, the Euiyeoldan’s plan to move to Japan continued. The attack against Japan, which was carried out by Kim Ji-seob on January 5, 1924, was followed by the “Gyeongbuk Uyoldan Incident” in which 11 members of Beijing’s Euiyeoldan unit were arrested after being smuggled into Korea to collect funds for bomb purchases aimed at attacking Tokyo. In the heart of imperialism, the righteous army’s plan to stage a massive Euiyeoldan struggle against Japan Empire was steadily pursued until the winter of 1922 and 1925. 1919年11月9日に創団された朝鮮義烈団は絶えずに義烈闘争を続けた。第 1次国内総攻撃計画の失敗を切っ掛けとして義烈団は1922年上半期から機密 部や實行部·宣傳部等に部署を再編、指揮体系を打ち立てた。また多數の 爆弾工場を運営しながら、第2次投彈計画を進めた。 義烈団は1923年6月、秘密總會を、10月には団員慰労会等を開催し、日 本国内攻撃を対内外に公表した。日本總攻擊計画は皇太子の結婚式が予 定された10月の中執行に移るつもりだった。団長金元鳳は上半期から臺灣を含 め、東京と神戸·大阪·横浜等の日本各地に団員を派遣、準備に着手し た。東京での計画執行は朴烈を中心とする不逞社に委ねられた。朴烈は1922 年、春、義烈団員崔爀鎭を会ったし、秋頃にはソウルの金翰と協約して、密 かに爆弾を東京に運ぶ用意をした。 また、朴烈は上海にある義烈団体を通じて、爆弾購入を協議し、無事に東 京の或所まで爆弾を運ばれたと思われる。だだ、10月中実行に移る積もりだっ たが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のなかで、朴烈が逮捕され、計画の実行はや むをえず中止された。 失敗にも関わらず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は続けた。此れによって展開 された攻撃が1924年一月5日の金祉燮の義擧であり、また、北京の義烈団 員 11名が、東京攻撃を目標し、爆弾購入の資金を募集するため国内に密派されたが、逮捕されてしまった、‘慶北 義烈団事件’がその例である。帝国主義 の心臓部で大規模の義烈闘争を展開しようとした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 は1922年から1925年、冬まで、絶えずに推進されたのである。
일제의 밀양지역 탄압기구 설치와 탄압 양상 -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 직전까지를 중심으로 -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이 글은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의 한 동인으로써 밀양지역에 설치된 탄압기구와 그 탄압 양상에 주목했다. 밀양에는 청일전쟁 이후부터 일본군과 일본헌병대가 수비대와 분견대의 형태로 주둔했다. 특히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수비대와 분견대가 밀양에 주둔하며 조선의 식민지화에 저항하던 의병의 진압에 나서 많은 피해자를 양산했다. 나아가 ‘헌경통일’과 강제병합으로 헌병분견소와 출장소가 여전히 다수 설치되어 이 지역의 치안 유지는 물론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에 나섰다. 그 결정적인 사건이 3.1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폭력적 진압(밀양 사건)이었다. ‘밀양 사건’인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는 당시의 인식에서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대표할 만큼 치열한 저항운동이었고 대대적인 탄압을 받은 사건이었다. 특히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일본 군경 측의 보고가 발포를 누락하고 사상자 수도 축소했지만, 미국 선교사와 영국 외교관의 보고에서 각기 다른 네 방면의 정보 제공에 의해 그 실상을 알렸고, 이를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 등 해외독립운동가들은 가장 대표적인 탄압 사례, 학살 사건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이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의 ‘학살 사건’은 당대인의 기억 속에 3.1운동의 대표적인 탄압 사례로 알려져 있었기에, 그 탄압기구인 밀양헌병분견소(밀양경찰서)는 당연히 의열단의 첫 번째로 처단되어야할 기관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김원봉을 비롯한 의열단 다수와 투탄의거를 실행한 최수봉이 밀양 사람이기 때문에 의열투쟁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겠지만, 그 이상으로 밀양경찰서가 일제 탄압의 전국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suppression agency installed in the Miryang area, which was one of the causes of the Euiyeoldan"s bombing of the Miryang Police Station, and the aspect of its suppress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were stationed in Miryang in the form of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In particular, the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were stationed in Miryang from 1907 to 1909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who resisted Japanese colonization, producing many victims. Furthermore, due to the "unific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nd the forced annexation of Japan, a number of military police depots and branch offices were still set up to maintain public order in the area and suppres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decisive event was the massive violent sup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Miryang Massacre). The Taeryong-ri market protest where the "Miryang Massacre" took place was a fierce resistance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whole country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and it was an event that was heavily repress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which violently suppressed the protests, concealed the firing and reduced the number of casualties. On the other h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British diplomats informed the world of the massacre. At that time, independence activists abroad, inclu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stood this a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f oppression and massacre. As such, the “massacre” of the Taeryong-ri market demonstration was known to the people of the time as a representative case of re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so the Miryang Police Station, the subject of the massacre, must have been an institution that the Euiyeoldan must punish.
이명화(Lee, Myung-hwa)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2
‘조선총독부 폭탄의거’와 일본 육군대신 田中義一을 처단코자 한 ‘상해 황포탄 의거’ 두 차례에 걸친 김익상의 의열투쟁은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통쾌한 의거였다. 김익상은 의열투쟁의 화신이요,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전해져오고 있다. 그러나 의열단과 관련된 인물들의 기억과 전해오는 이야기의 기록 차이로 인해 김익상의 의열투쟁 내용은 과장된 무용담처럼 느껴져 왔고 여러 설이 전해져오고 있다. 한국에서 고단한 삶을 이어가던 식민지 청년 김익상은 중국으로 건너가 북경에서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1년 조선총독부 청사에 폭탄 3발을 터뜨려 청사 일부를 파괴시켰으나 일제는 폭탄을 던진 이가 누구인지 전혀 감지하지 못한 채 사건은 종결되었다. 이어 1922년에 상해 황포탄 부두에서 오성륜 ․ 이종암과 함께 일본 육군대장 田中義一에게 권총을 발사하고 폭탄을 던지는 의열투쟁을 감행하였다. 2번째 의거에서 그는 체포되고 말았다. 심문과정에서 김익상은 자신이 총독부 폭탄의거의 주인공임을 당당히 밝히고 재판과정에서 대한 남아의 의연한 기개와 굴복하지 않은 저항 정신을 보여주었다. 일본감옥에서 20년을 복역하고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그는 행방불명되고 말았다. 본 연구는 김익상에 대해 전해오는 사료 내용을 비판하여 분석해 보고, 그의 사망과 관련하여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의문으로 남아있는 부분을 추적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제까지 알려진 내용들을 재정리하여 김익상 의사의 전 생애를 새롭게 조망해 보았다. The bumb deed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the Japanese army Commander-in-Chief Danaka Kyichi(田中義一) one wishes to punish ‘The bumb deed of Huangputan(黃浦灘)’ of Kim, Ik-sang over twice Heroic struggle was under a thrilling and cool to chat in Japanese. Kim, Ik-sang became the incarnation of Heroic struggle, became a symbol of resistance to colonial rule. However, due to differences in recording memories and stories of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Ui’yeoldan(義烈團), Kim, Ik-sang has been handed down as various participating Heroic struggle exaggerated saga is coming to tell the story about the incident he performed. Following an exhausting life, youth colonies Kim, Ik-sang his way to China from Korea have joined the Ui’yeoldan in Beijing. Three to set off a bomb i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1921 the building was destroyed the building part. However, Japanese imperialism has not detected no idea who it is literally threw the bomb case was concluded. Following in Shanghai Huangputan(黃浦灘) shells in 1922, He fired the pistol and throw a bomb to the Japanese Army Commander-in-Chief Danaka gyichi with O Sung-ryoun and Lee Joung–am. In the second, he fell under arrested. In the interrogation process Kim, Ik-sang showed the spirit of resistance that they do not succumb to the backbone of the remaining resolute in the course of a trial for saying openly that the hero of the Government-General pursuant bomb. After serving 20 years in a Japanese prison he was returned to Korea. But he was missing. This study was analyzed by criticizing the feed content comes through for Kim, Ik-sang, and performed to track a new remaining portion still in question is not confirmed with respect to their death. Thus, by reorganizing the information known so far to investigate it overlooks the entire life of the newly Kim, Ik-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