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돌봄의 교수법”을 찾아서: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발과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의 도전

        김유곤(Yug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필자가 2020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운영한 학부 온라인 영문학 수업의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에 국내 온라인 교육이 어떠한 어려움과 과제를 지녔는지 함께 점검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부 신입생의 전공기초 교과목인 <영미시 입문>과 학부 고학년 학생들의 전공심화 교과목이자 국제어(영어)로 수업을 진행한 <영미 생태문학 읽기>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 글의 목적은 단순히 팬데믹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온라인 강의의 설계과정에서 학습자를 배려하는 민주적 소통이나 동료를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과 같은 교육의 보편적 가치와 원칙을 실천하는 일이 훨씬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한계를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화이트보드’, 교수와 학습자의 실시간 질의응답 활동을 돕는 ‘슬라이도’, 그리고 협업을 통해 완성하는 온라인 마인드맵 프로그램인 ‘마인드마이스터’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극복해보려는 일련의 고민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필자가 수업사례를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상호작용’과 ‘협력학습’이라는 대학 교수법의 보편적 원칙이며, 본문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팬데믹 시대의 온라인 교육이라는 문맥 속에서 각각 ‘멀리서 소통하기’와 ‘자기주도적 협력학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이 현재 응급의 단계를 넘어 팬데믹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특성과 수요에 맞춘 유연한 수업 진행방식과 함께 디지털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돌봄의 교수법”을 수업 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한다. Due to the threat of COVID-19,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begun to offer online classes to help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Onlin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pandemic can be best described what Charles Hodges calls “Emergency Remote Teaching” (ERT), a term that suggests the paradigm shift of instructional delivery during a crisis.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that shows the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line in South Korea. The move to ERT requires that instructors take more control of the cours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varying levels of digital fluency, especially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for distant learning. By sharing my experience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course with emerging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Zoom Whiteboard, Slido, and Mindmeister,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nline teaching pedagogi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 interac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manage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Ultimately, I suggest a “pedagogy of care” for online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at instructors should be more attentive to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challenges in this uncertain time.

      • KCI등재

        “응급 원격수업”: 19세기 영문학 전공 교과목의 ‘온라인수업’ 변환 사례

        원영선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20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24 No.2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about unprecedented changes in the landscape of education across the world. Following the first few-weeks’ mass closur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arch 2020, all the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began the spring semester online. Nationwide switching to online during such a short period of time may have proved both our strength of IT infrastructure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all those involved in educational system, but the salient features of this instant transition in all levels of educational practices ask for shared on-going discussions about ‘pandemic’ pedagogy, especially as the threat of COVID-19 is now being ever greater. This study thus aims to be a part of such discussions, first, briefly examining the notions and approaches that the current emergency education compels for a deliberation, and then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 shift-to-online teaching of the Nineteenth-century English literature course. With a critical caution against rushed ideas of post-corona education, and also to draw attention to contextual appreciation for pandemic education, the paper takes on “emergency remote teaching”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erm by online education scholars, and goes on to scrutinize the “Film Narrative and English Literature” course implemented as such. Its focus is more on the major aspects of the modific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operational strategies, and student supporting required for an asynchronous model of “emergency remote teaching,” rather than the course content, so that its context and process elements can be underl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