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예의 읍락과 사회상

        문창로(Moon, Chang-Rh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동예지역에서 형성된 정치세력의 동향은 고조선 이래로 중국 군현 및 고구려로 이어지는 주변 세력의 부침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전개되었다. 기원전 2세기 무렵에 확인되는 ‘臨屯’은 이 지역의 크고 작은 정치집단의 집합체로서, 앞서 고조선의 멸망과 함께 臨屯郡으로 편제되었던 존재이다. 이후 漢의 임둔군 폐지, 낙랑군 동부도위의 설치는 이 지역에 대한 중국의 군현적 지배가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후한 대에 동부도위가 철폐되면서 동예지역은 侯國으로 봉해졌으며, 요동방면에서 성장한 고구려 세력이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전까지 독립된 세력으로 존재했다. 동예의 읍락 거수들이 소지한 후 · 읍군 · 삼로 등의 관직명은 그들의 현실적인 세력크기에 따라 차등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東部都尉가 관할했던 ‘영동7현’은 동예와 옥저지역에 삼한의 ‘國’ 단위에 상정되는 정치체가 적어도 7개 정도 있었던 사실을 전하며, 그 治所였던 不耐縣은 중심 세력으로 추정된다. 不耐濊國은 漢代의 官制에서 확인되는 功曹 · 主簿 등 諸曹의 屬吏를 두어, 동예사회의 정치적 성장을 알려준다. 읍락의 거수에서 성장한 불내예후는 다시 不耐濊王으로 봉해져, 불내예국은 동예지역의 유력한 정치세력으로 삼한의 大國에 비견될 소지를 갖는다. 부여와 고구려는 ‘國中大會’의 제천의례로 통합된 제의형태를 보이지만, 동예의 舞天에서는 ‘祭天’과 함께 虎神을 숭배대상으로 삼았다. 그것은 삼한 國邑의 天神과 함께 신앙된 別邑의 鬼神 제사와 맥을 같이한다. 동예의 호신 제사가 읍락에서 이루어졌더라도, 크게 보아 그것은 무천 의례의 범주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동예의 읍락사회는 삼한의 그것에 비견될 정도로 분화되었지만, 본래 읍락이 지녔던 공동체적인 모습을 강하게 고수했다. 責禍로 상징되는 읍락단위의 경제적 배타성과 폐쇄성은 독자적 생활권역 확보라는 동예 읍락사회의 공동체적인 성격과 관계가 깊다. 다만 소국 단계를 넘어선 동예 불내예후의 정치적 위상을 고려한다면, ‘동성불혼’의 족외혼습속은 중심 소국인 불내예국의 통혼을 통한 ‘동성’ 간의 결속을 다지는 정치적 외연의 확장 차원에서 접근해 볼 수도 있다. 읍락의 구성원인 生口나 下戶는 당시 동예 읍락의 사회적 소산이다. 동예사회가 소국 단계를 넘어서면서 계층분화의 양상은 읍락의 지배자인 거수층, 피지배층 일반민인 下戶, 그리고 노비와 같은 처지의 生口 등으로 전개되었다. 다만 동예사회는 아직 부여와 같은 사회발전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읍락 내에 豪民과 같은 존재가 뚜렷하게 대두하지 못했다. Political forces of trends, which was formed in DongYae(東濊) region, unfolded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ups and downs of power around. DongYae region became a Whoguk(侯國) after abolition of Eastern Section Defender(東部都尉) in the Eastern Han Dynasty(後漢), and it was existence as an independent force until that Goguryeo(高句麗), which was growed in Liao-dong(遼東) area, started to make inroad. The names of DongYae’s official title, such as Eupgun(邑君) and Samro(三老), can be understood that was reflected differentially depends on the real power size. Especially, the existence of ‘Seven prefectures(嶺東7縣)’ means that there was political organizations at least seven or more in the area of DongYae and Okcho(沃沮). Also, Bulnehu(不耐縣), which was a base for governing(治所) of in these area, is emerged as a central force. Practically only Bulneyehu(不耐濊侯) can explain the political growth of DongYae society through the Sokri(屬吏) of Jaejo(諸曹),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public office system(官制) in Han(漢) era. Bulneyehu, which was grown from Geosu(渠帥) of Euprak, became Bulneyewang(不耐濊王). Bulneyeguk can be compared to Daeguk(大國) of Samhan(三韓) as an influential political force of DongYae region. Even though the sacrificial rites for heaven of Buyeo(夫餘) and Goguryeo was integrated with ‘Gukjungdaehwae(國中大會)’, ‘Hoshin(虎神)’ was worship with the sacrificial rites for heaven in the Mycheon(舞天) of DongYae. These share pulse with the spiritual worship ceremonies of a Byeoleup(別邑) with the God of heaven(天神) of Samhan’s Gukeup(國邑). The economic exclusion and closure of Euprak unit, which are represented as a ‘Chekhwa(責禍)’, have deeply relation with a communal characteristic of Euprak society. However, if you consider political status of DongYae’s Bulneyehu, you can apprehend folkway of exogamy of ‘Prohibition of marriages to members with the same family name(同姓不婚)’ as a political level expansion of extension trough the marriage of Bulneyeguk. ‘Sanggu(生口)’ and ‘Haho(下戶)’, which were member of Euprak, are social products of DongYae Euprak at the time. When DongYae society passed ‘Small State(小國)’ stage, the shape of the class differentiation developed an emergence of the classes, such as ‘Geosu(渠帥)’, which was ruler of Euprak, ‘Haho’, which was ordinary person, and ‘Sanggu(生口)’, which was slavery position. However, the presence, such as ‘Homin(豪民)’, were not appeared in the DongYae society, because their society could not develop like a Buyeo society.

      • KCI등재후보

        東濊 邑落社會의 虎神信仰

        문창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본고는 東濊 邑落社會의 虎神信仰에 대한 구체적 실상을 부각하고, 그것이 初期國家의 발전과정에서 차지했던 역사적 성격에 대해 음미하였다. 우리나라 初期國家의 기본적인 社會構成單位로 상정되는 邑落은 읍락민의 生業과 관련된 활동공간으로서 주거지와 농경지 등을 포함하는 취락단위이다. 斯盧6村과 駕洛9村 등은 사로국본고는 東濊 邑落社會의 虎神信仰에 대한 구체적 실상을 부각하고, 그것이 初期國家의 발전과정에서 차지했던 역사적 성격에 대해 음미하였다. 우리나라 初期國家·가락국 등 小國의 구성단위로서 邑落과 서로 통할 수 있으며, 古地名에 산견되는 只본고는 東濊 邑落社會의 虎神信仰에 대한 구체적 실상을 부각하고, 그것이 初期國家의 발전과정에서 차지했던 역사적 성격에 대해 음미하였다. 우리나라 初期國家·伐본고는 東濊 邑落社會의 虎神信仰에 대한 구체적 실상을 부각하고, 그것이 初期國家의 발전과정에서 차지했던 역사적 성격에 대해 음미하였다. 우리나라 初期國家·夫里 등도 그 실체가 小國의 하위 지역단위로서 邑落과 맥을 같이한다. 東濊는 중국 郡縣과 고구려 등 주변 강대국의 간섭과 견제로 정치적 통합과 발전이 더디었으며, 이는 동예의 읍락 사이에 배타적인 생활영역과 공동체적인 성격이 강하게 고수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읍락의 信仰 및 祭儀 행위는 혈연적 유대감이 내재하여 소속 읍락원의 공동참여라는 운영원리가 작용하였다. 東部都尉가 관할한 領東7縣의 존재는 동예 지역에 三韓의 小國에 비견되는 政治體가 7개 이상 있었으며, 그 가운데 治所였던 不耐縣은 유력한 세력으로 부각된다. 실제로 不耐濊國은 漢代의 官制에서 확인되는 功曹본고는 東濊 邑落社會의 虎神信仰에 대한 구체적 실상을 부각하고, 그것이 初期國家의 발전과정에서 차지했던 역사적 성격에 대해 음미하였다. 우리나라 初期國家·主簿 등을 거느리면서 侯國의 면모를 유지하였다. 不耐侯는 다시 不耐濊王으로 임명되어 불내예국은 동예 지역의 유력한 정치세력으로 삼한의 대국인 小聯盟國에 견줄 수 있다. 동예 읍락의 虎神信仰은 집단의 결속과 연대를 상징하는 혈연 집단의 존재와 연관되는 토템신앙의 전통과 맥이 닿는다. 虎神은 읍락을 지켜주는 정신적 보호자 역할을 하였으며, 읍락민들은 호신에 대한 祭儀를 통하여 재앙방지와 공동체의 안녕 등을 기원하였다. 또한 제의에 참여한 읍락민의 일체감을 형성하면서 읍락 내에 散在한 공동체 구성원의 결속력을 강화하데 기여하였다. 읍락의 발전과정에 따른 神觀의 형성과 변천, 그리고 거기에 수반한 제의행위는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한 역사적 산물이다. 실제로 夫餘와 高句麗의 제의형태는 ‘國中大會’의 祭天儀禮로 통합된 모습을 보이지만, 동예의 舞天은 天神과 함께 虎神을 숭배대상으로 삼았으며, 그것은 각각 삼한 國邑의 天神과 別邑의 鬼神에 견줄 수 있다. 삼한사회에서 신앙된 천신과 귀신은 각각 국읍과 별읍이라는 다른 장소에서 제의가 이루어졌으며, 그 神格도 서로 구별된다. 동예에서 신앙된 天神과 虎神 역시 제의장소와 신격을 서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不耐濊侯와 같은 소연맹국의 지배자는 天神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였고, 읍락 단위에서는 전통적으로 고수되어온 虎神숭배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비록 동예의 호신숭배가 읍락에서 이루어졌더라도, 넓게 보아 그것은 읍락 ...

      • KCI등재

        居西干期 사로국의 지배세력과 박씨집단

        이부오(Lee, Bu-O)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사로 6촌의 干層은 대부분 조선유민에서 유래했지만 朝鮮相역계경 계통과 秦유이민 계통도 포함했다.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조선유민’은 이들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각 읍락의 대표인 干들은 공동사안을 해결하기 위해 경주분지 일대에서 斯盧읍락연맹을 결성했다. 읍락연맹은 경주분지 외곽의 소하천 유역에서도 다양한 수준으로 공존했다. 읍락 간은 대체로 상호 평등한 관계를 이루었다. 다만 고허촌의 干인 소벌공은 여타 읍락 간에 대해 상대적 우위를 확보했다. 干세력은 여타 가계집단에 대해 우위를 확보했으나, 위계의 분화는 미흡한 편이었다. 박씨집단은 소벌공세력과 연합하여 사로지역에서 주도권을 확보했다. 그 뒤 알영집단과 연합하고 읍락 간들의 협조를 받아 居西干位를 확보했고, 소벌공집단과의 연합은 약화되었다. 박씨집단과 알영세력은 고허촌의 지배세력 내에서 별도의 위계를 이루었다. 이들은 국읍 간층을 형성했고, 거서간과 읍락 간은 수직적 위계를 형성했다. 거서간세력은 국읍인 고허촌에서 별도의 거주공간을 확보했다. 거서간의 지배력이 행사되는 범위는 사로 6촌이 위치했던 경주분지 일대였다. 이 범위의 읍락 간은 자치권을 인정받고 거서간의 통치에 협조했다. 경주분지의 외곽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읍락연맹체가 유지되었다. 조양동 38호의 주인공은 이러한 읍락연맹체를 주도한 대읍락 干의 사례로 볼 수 있다. 건국기사에서 혁거세대는 복수의 居西干代를 응축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거서간세력은 양산촌의 간층인 호공세력을 끌어들여 국읍 간층으로 편입시켰고, 동해안에서 월성지역으로 진출한 탈해세력과도 연합을 이루었다. 사로국의 勢力圈은 경주분지 외곽으로 확장되었다. 사라리 130호 목관묘 집단과 조양동 목관묘 집단을 비롯한 대읍락 간층은 사로국의 통치에 협조함으로써 읍락연맹의 주도권을 바탕으로 자치권을 유지했다. 이 과정에서 거서간은 경주 외곽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진한연맹을 주도하게 되었다. 거서간은 국읍 간층 내에서 최고의 위계를 유지했고, 박씨세력과 석씨세력은 사로국 통치의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호공세력과 여타 유력세력은 국읍 간층의 하위를 형성했다. 국읍 간층 내에서 위계의 분화가 촉진되었고, 거서간세력의 우월성은 강화되었다. 차차웅은 이러한 위상을 제의권으로 정당화했음을 보여준다. Most of the Gan(干) class were originated from refugee from Old Choseon(朝鮮), but the power of Yokkegyong(歷谿卿) and refugee from Chin(秦) were also included here in Saro 6Chon(村)s. Gan, the representatives of Eupnak(邑落), formed a league in the Gyeongju basin. The various levels of Eupnak leagues coexisted outside of the Gyeongju Basin. Sobeolgong(蘇伐公), the Gan of Goheochon(古墟村), gained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the other Eupnak Gans. Gan gained an advantage over the other families in the Eupnak, but the division of hierarchy did not progress. Park"s family secured an initiative in conjunction with Sobeolgong"s family in the Saro area. Then, They were allied with Aryoung(閼英)"s family and secured the position of Geoseogan with the cooperation of the Eupnak Gans. Park"s family and Aryoung"s formed the Gan class of Gugeup. Geoseogan and Eupnak Gans formed a vertical hierarchy. The spatial range dominated by Geoseogan was around the Gyeongju basin. The Gans were granted autonomy for Eeupnak by Geoseogan and cooperated with his ruling. Various levels of Eeupnak league were maintained outside of the Gyeongju basin. Hyokkeose(赫居世) period was the condensation of the multiful periods of Geoseogans in the story of founding the country. During this period, Geoseogan"s family brought Hogong(瓠公)"s and Talhae(脫解)"s of Yangsanchon into the Gan class of Gugeup. Saroguk gained the control over outside of the Gyeongju basin, leading the Jinhan(辰韓) league. Geoseogan maintained the highest rank in the Gan class of Gugeup. Park"s family and Seok(昔)"s became the main ruling power of Saroguk. Hogong family, etc., formed a lower part of the Gan class of Gugeup. The division of hierarchy made progress in the Gan class of Gukeup, and the superiority of Geoseogan strengthened. Chachaung(次次雄) was the title that showed that Geoseogan justified this position with the right of memorial ceremony.

      • KCI등재

        영남지역 읍락의 형성과 변화

        김권구(Kim Gwon-gu)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2

        이 논문은 경주, 경산,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영남지역 읍락의 형성과 변화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읍락의 범위는 제1기(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에는 5㎞ 반경이었고 제2기 ‘國’의 범위는 경주지역은 반경 20㎞를 넘는 반면 경산 임당지역과 김해지역의 제2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國’의 범위는 중심유적에서 반경 10㎞이내였던 것으로 유적분포양상은 암시한다. 제3기(기원후 2세기-기원후 3세기)에도 제2기의 범위가 세 지역 모두에서 유지되었다. 경주와 경산지역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 ‘國’이 출현하는데 김해지역에서의 ‘國’출현은 경주와 경산지역보다 50여 년 정도 늦었을 가능성이 있다. 김해지역에서는 경주와 경산지역보다 ‘國’의 출현과 성장에서 왜(倭)와의 교역이 더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제3기에 늑도보다는 김해지역이 교역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늑도 중심의 교역망은 쇠퇴한다. ‘國’의 출현과 성장과정에서 읍락의 해체가 발생하는데 경산 F지구 취락이 토성축조와 더불어 폐기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formation of the settlement clusters called the euprak (邑落)in the Youngnam region and their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the related archaeological sites the spatial ranges of the settlement clusters called the euprak during the sub-period 1(300BC-100BC) might be roughly 5km radius from their main cente. But that of the Guk polities(「國」) widened into 10km radius during the sub-period 2(100BC-100AD) and the sub-period 3(100AD-300AD) in Gyeongsan and Gimhae regions unlike the more 20 km’s radius in Gyeongju. The sub-period 3 witnessed little change in the spatial ranges of the three areas. The ‘Guk’ polity in Gyeongju and Gyeongsan area had emerged around the 1st Century BC but the ‘Guk’ polity in Gimhae might appear fifty years later than that in Gyeongju and Gyeongsan. The trade with the Wae(倭) seemed to have more importance in Gimhae area than Gyeongju and Gyeongsan area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Guk polities(「國」). Gimhae area must have emerged as a trading center in the sub-period 3 while replacing the Geukdo(勒島)-centered trading network flourishing during the sub-period 2.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es the collapse of the euprak and population relocation might be followed as shown in the collapse of the settlement near the F Zone in Imdang area of Gyeongsan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 fortress.

      • KCI등재

        삼국형성기 문헌사와 고고학의 접점

        여호규(Yeo, HoKyu)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0 No.-

        This article was written in an effort to activate the complementary research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archaeolog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the prime town of SamHan and the early Capital of the Three States.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result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settlements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the Bronze Age was divided into three layers, and the settlements had been grouped into one unit. This assembly of settlement group is compared to the aggregation of town and villages[邑落] of SamHan period, the small-country[小國] of SamHan was formed based on that of settlement group. The loop ditch settlement of Pungnap Fortress site and Wudu-dong site of Chuncheon city are presumed to be the prime-town of small-country of SamHan, while Misari site of Hanam city is believed to be the central town of the aggregation of town and villages. The similar equipment and the square loop ditch of the political hub in Wudu-dong site was also found at Misari site. This aspect suggests that the primetown of Small-country of SamHan was established through a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central town of the aggregation of town and villages, and that the views of both sides were not clearly distinguished. On this note, the author of SanGuozhi/三國志 described both the prime-town of small-country and the central town of the aggregation of town and villages as ‘Town[邑]’.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alace, a memorial equipment equivalent to the royal ancestral shrine, a warehouse, and a jail in the political centers of Goguryeo and Buyeo in the mid-third century. On this note, the author of SanGuozhi described the political centers of Goguryeo and Buyeo as ‘Capital[都]’ by analogy with the figure of the capital city of the Chinese state. It is believed that the early Capital of the Three States was established not by the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prime-town of SamHan, but by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because it had a political landscape which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ime-town of SamHan. Goguryeo and Buyeo in the mid-third century had the state system that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mall-country of SamHan, and both states are believed to have a landscape of the capital city based on that. According to current research, Baekje also expanded its territory and organized its tax collecting system in the first half of the fourth century, and it is believed that the loop ditch fortifications of Pungnap Fortress was remodeled into a gigantic earthen wall. A new ruling power, that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leader of aggregation of town and villages, had also emerged in Silla from the last period of the Proto-Three States, and it is assumed that the primetown of Saro-guk[斯盧國] was converted into the early capital of Silla by these power. As mentioned above, while the prime-town of the small-country of SamHa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central town of the aggregation of town and villages, the early Capital of the Three State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the prime-town of SamHan. If we analyze on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archaeological sites related to the prime-town of SamHan and the early Capital of the Three States from various angles with these points in mind,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country of SamHan and the state formation of the Three Kingdoms more systematically. 이 글은 문헌사와 고고학의 相補的 硏究를 활성화하자는 취지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三韓 國邑 및 三國 초기 都城과 관련한 최근 연구성과를 검토했다. 최근 연구성과에 따르면, 청동기시대 중후기 聚落의 위계구조는 3단계로 분화했고, 聚落群의 結集도 이루어졌다고 한다. 聚落群의 結集體는 三韓의 邑落에 비견되는데, 삼한 소국은 이러한 聚落群의 結集體를 바탕으로 출현했을 것으로 파악된다. 풍납토성의 환호취락과 춘천 우두동 유적은 삼한 소국의 國邑, 하남 미사리 유적은 읍락의 중심촌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미사리 유적에서도 우두동 유적의 정치적 중심지와 유사한 方形環濠와 각종시설이 확인되었다. 이는 삼한 소국의 국읍이 읍락 중심촌[邑]의 양적 집적을 통해 성립했고, 양자의 경관이 명확히 구별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三國志』 찬자는 三韓 國邑과 邑落 중심촌을 모두 ‘邑’으로 표기했다. 반면 3세기 중반경 고구려나 부여의 정치적 중심지에는 宮室, 宗廟에 준하는 祭儀施設, 창고와 감옥 등이 존재했다. 이에 『三國志』 찬자는 고구려와 부여의 정치적 중심지를 중국왕조의 都城에 비견해 ‘都’라고 표기했다. 三國 초기 도성은 三韓의 國邑과 명확히 구별되는 정치적 경관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삼한 국읍의 양적 집적이 아니라, 질적 전환을 통해 성립했을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3세기 중반경 부여나 고구려는 삼한 소국과 명확히 구별되는 국가체제를 정비했고, 이를 바탕으로 도성의 경관을 갖춘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연구성과에 따르면 백제도 4세기 전반에 영역을 확장하며 수취체계를 정비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풍납토성을 거대한 토축성벽으로 개축해 도성의 경관을 갖추었다고 파악된다. 신라도 원삼국시대 말기부터 기존의 읍락집단과 구별되는 지배세력이 출현했고, 이들에 의해 斯盧國의 國邑이 新羅 都城으로 전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삼한 소국의 국읍이 읍락 중심촌의 양적 집적을 통해 형성된 반면, 삼국 초기 도성은 질적 전환을 수반하며 성립했다고 파악된다. 이러한 점에 유의하면서 삼한 국읍이나 삼국 초기 도성과 관련한 문헌사료나 고고자료를 다각도로 분석한다면, 삼한 소국의 성격 및 삼국의 국가형성 양상을 더욱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사로국의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이청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5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

        경주권에서 본격적인 〈촌〉의 모습을 고고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청동기시대 전기(무문토기시대 전기) 일이다. 여러 촌을 네트워킹하는 중심촌 혹은 〈읍락〉은 청동기시대 후기(무문토기시대 중기)에 비로소 형성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금까지 조사된 수장급의 무덤을 위치를 볼 때 사로국 최초의 〈국〉은 기원전 2~1세기경 경주 중심권이 아니고, 주변부에서 지구 〈국〉으로 시작되었다. 규모면에서는 종전의 읍락과 비슷하나 그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중심적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이 지구 〈국〉이 확대발전하여 지역 〈국〉으로 이행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 2~3세기 목곽묘단계로서, 이때에 비로소 포항, 울산 등지의 인접한 지역 〈국〉 간의 교류의 거점으로서 경주 중심권이 부상한다. 경주 중심권은 기원전 1세기대 목관묘 단계에 〈읍락〉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지구 〈국〉으로 발전한 것은 기원후 2세기 대 목곽묘단계이며 나아가 지역 〈국〉의 중심 국읍으로 성장한 것은 그 이후로 생각된다. 경주 중심권을 국읍으로 하는 지역 〈국〉은 현재까지 알려진 고고학적 자료에 근거할 때에는 기원 3세기 이후에 성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세기 목관묘 단계에 경주 중심권 내에 읍락이 들어서고 기원후 2세기경 목곽묘 단계에는 지구 〈국〉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어 다음 단계에는 이를 비롯한 경주 중심권이 지역 〈국〉의 국읍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The Formation of 'Chon'(村) village is assumed to be accomplished in Early Bronze Age and 'Euprak'(邑落) villages in Late Bronze Iron Age in Yeungnam(嶺南) region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including tombs and its grave goods. Early 'Kuk'(國) is assumed to be the policy in which the functon of economic, political and religious center has been more reinforced than 'Euprak.' The author assume that it was established in not the middle but the vicinity of present Gyeongju(慶州) region in B.C. 1st- A.D. 1st Cent. on the base of distribution of early chief's tombs. More developed 'Kuk' has located in Pohang(浦項) and Ulsan(蔚山) in the neigborhood of Gyeongju in A.D. 2~3 Cent. and then the center of Gyeongju region became the cross road of transportation. The center of Late 'Kuk', which has more developed functions and facilities than early 'Kuk', is assumed to be located in the middle of Gyeongju region after in A.D. 3rd. Cent. according to the archaeologial evidences

      • KCI등재

        錦江流域原三國期文化의 地域性과 ‘國’의 存在樣態

        朴重均 호서고고학회 2013 호서고고학 Vol.0 No.28

        The cultural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eum River Basin can be classified as: the midwest inland area, middle downstream area and Guem River downstream west coast area.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dwest inland area are primarily Jugu-Togwangmyo style, while the main distribution of Hapjangmyo style can be found in the center of the Miho River basin. In Bungumyo, a wide variety of styles can be found. Some examples include short neck jars with the round bottoms, pottery burial goods deep bowl pottery, horse-shaped buckles, holed pottery, and horse trappings. Square dwellings with four main posts make up the main distribution in residential-type area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discovered in the middle downstream area of the Geum River are predominantly Togwangmyo-style rather than Bungumyo. In Bungumyo, burial goods such as short neck jars with round bottoms as well as jars with two ears were discovered, whereas horse shaped buckles, holed pottery, and horse trappings were not. This area is generally closer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est coast area than those of the inland area.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downstream area of Geum River consists of Bungumyo, Togwangmyo, and Onggimyo(Jar burial) of style tombs. The main distribution of Bungumyo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est coast area. It is there where burial goods such as pottery with handles on both sides as well as pottery jars with round bottoms and short necks, pottery with two-fold mouth can be found. However, deep bowl pottery was not discovered in Bungumyo. In the Geum River are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Guk' was made up of smaller Eup-raks combined together. An Eup-rak is thought to consist of several settlements organized such that the center, main settlement is surrounded by a number of smaller subsettlements.Each spatial scale assumes that settlements measure around 4~5km, Eup-raks around 10km, and ‘Guk’ around 30km in diameter. 금강유역의 원삼국기 문화의 지역성은 크게 중서부 내륙지역권과 금강 중하류지역권, 그리고 금강하류의 서해안 지역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서부 내륙지역권은 미호천유역, 금강중유역의 연기·공주지역, 병천천 상류 및 곡교천유역의 천안지역, 갑천유역의 대전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지역의 문화양상은 묘제상 주구토광묘의 주 분포권에 해당하며, 합장묘가 미호천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분묘에 부장되는 유물상은 원저단경호와 심발형토기가 기본조합을 이루고 있으며, 마형대구와 유공토기, 마구가 부장되고 있다. 주거유형상에서는 4주식주거지의 주 분포권에 해당한다. 금강 중하류지역권은 공주의 남부지역과 부여지역에 해당한다. 이지역의 문화상은 묘제상 주구토광묘와 합장묘가 확인되지 않고 토광묘가 주로 확인되고 있으며, 분구묘가 부분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분묘에 부장되는 유물상은 심발형토기가 부장기종에서 제외되었고, 원저단경호와 함께 주로 양이부호가 부장되고 있다. 그리고 마형대구, 유공토기 등은 부장유물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이 지역은 전체적으로 내륙지역의 문화상 보다는 서해안지역의 문화상에 더 가깝다. 금강 하류인 서해안 지역의 문화상은 묘제의 경우 분구묘ㆍ토광묘ㆍ옹관묘가 나타나고 있는데, 분구묘의 주 분포권이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묘에 부장되는 토기기종상의 특징은 심발형토기가 부장되지 않고, 원저단경호와 함께 주로 양이부호, 이중구연호 등이 부장되고 있는 양상이다. 한편, 원삼국기 금강유역에 형성되었던‘國’은 중심읍락을 중심으로 다수의 읍락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읍락은 중심취락과 하위취락이 결합된 몇 개의 촌락으로 구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공간적 범위는 촌락은 직경 3~4km의 범위, 읍락은 직경 10km 내외의 범위,‘ 국’은 대략 30km 내외 정도의 범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1~3세기 포항 지역 정치체의 출현과 전개

        김대환(Daehwan Kim)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8 No.118

        1세기 목관묘 단계 사회는 포항 지역의 여러 지구별로 읍락이 형성되어 느슨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보이는데, 아마도 옥성리 집단과 성곡리 집단이 서로 경쟁하면서 성장하였다고 생각된다. 그러다가 옥성리에서 3세기 대형목곽묘를 중심으로 하는 목곽묘군이 출현하는데, 이 현상은 목곽묘군의 위계화된 분포를 볼 때, 중심읍락의 출현이라고 말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러한 중심읍락의 출현은 매장의례와 같은 의례를 통제하면서 읍락을 통합해 간 엘리트들을 배경으로 한다. 특히 3세기경에는 지역 별로 이러한 통합이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하였고, 이후 얼마간은 각 지역의 엘리트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성장해 나간 시기로 생각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포항 지역은 옥성리 집단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생각되며, 이 일대가 당시의 소국의 중심지, 즉, 중심읍락이었다. The wooden coffin tomb stage society seems to have formed a loose relationship by forming towns and villages in various districts, but it is believed that the Okseong-ri group and Seonggok-ri group grew up competing together. In Okseong-ri, a group of wooden tombs centered on large wooden tombs of the 3rd century can be said to be the emergence of central towns and villages in this area. Especially around the 3rd century, such integration occurred in various ways by region, and it is thought that the elites of each region grew up competing with each other for a while. In such a process, the Okseong-ri grou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ohang area, and it is clear that this area was the center of the small country at that time, or the town center.

      • KCI등재

        고고자료로 본 4~6세기 포항지역 읍락 구조와 지배 집단의 재편

        장기명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6

        이 글의 목적은 6세기 초에 세워진 포항지역 2비(중성리비, 냉수리비)와 해당 시기 고고학 자료를 서로 비교하고 연계함으로써 마립간기 신라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자연 지형 및 자원에 기반한 유적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하여 4~6세기에 걸친 포항지역 물질자료의 통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통해 포항 일대에 존재했었던 지역 정치체의 내부 구조와 지배 집단에 대해 접근하였으며 6세기 초에 세워진 2비의 쟁점거리를 재지 세력의 입장에서 비교 검토해볼 수 있었다. 포항지역은 지형적 경계와 유적의 분포를 기준으로 볼 때 6개의 읍락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기 단위별로 존재한 자연 자원과 교통적 입지도 달랐다. 일정 영역을 터전으로 해서 모든 읍락은 농업 자원, 교통로 입지, 물류(소금, 철 등) 유통 등과 같은 사회적, 경제적 기반을 추진력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상정되며 흥해 국읍에 존재한 옥성리고분군은 이와 같은 변화상을 대변해주는 물질적 기록이라 여겨진다. 포항지역은 경주 왕경에 인접해 위치함에 따라 이른 시기에 직접 지배권으로 편입되었고 흥해 국읍은 신라 중앙에 의해 철저히 재편되었다. 마립간기에 접어들어 흥해 국읍의 인근에 남미질부성이 축조되는 현상을 제외하면 고총현상, 지역 양식 물품과 같은 물질문화가 전혀 확인되지 않아서 경주 왕경에 완전히 종속된 양상을 보인다. 5세기 후엽에 이르러 석실묘 조영으로 개시된 대련리고분군과 냉수리-흥곡리고분군이 대규모로 축조된다. 그 저변에는 고구려와의 외교 관계에서 비롯된 북쪽 동해안 일대의 정세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교통 요충지 지점에 실시한 신라 중앙의 후원이 깔려있다. 이후 건립된 냉수리비는 일정 기간 이루어진 의도적 후원이 일단락되고 관련 재지 세력이 재편되는 상황을 말해준다. 이런 변화는 마립간 및 부체제를 벗어던진 신라가 여러 개혁을 추진함으로써 국가 지배력 강화와 지방 재편을 도모한 결과이다. 그로 인해 농업 관리에 대한 국가적 조치의 일환으로 흥해 국읍의 재편이 또다시 이루어졌고 토지 수취권의 분쟁을 종식 시킨 중성리비가 남겨진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provincial sections of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Maipgan period by comparing and linking the second monument in Pohang (Jungseongri and Chansuribi) built in the early 6th century with the archaeological data of the perio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sites based on natural terrain and resources, we looked at the usual changes in material data in Pohang over the four to six centu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gave us an approach to the internal structure and ruling group of the local political community that existed in the Pohang area, and we could compare the two-dollar issu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6th century, with that of the real estate forces. The Pohang area consisted of six towns based on geographical boundaries and the distribution of historical sites, and the natural resources and transportation positions that existed in each unit were also different. Based on a certain area, it is assumed that all townships have developed social and economic bases such as agricultural resources, transportation routes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logistics (salt, iron, etc.) as momentum, and that the Okseongri tomb group that existed in the center town of Heunghae is regarded as a material record representing such changes. The Pohang area was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dominion at an early date as it was located adjacent to Gyeongju’s royal palace and the Heunghae center town was thoroughly reorganized by Silla’s central center. Excep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iZeal earthen ramparts near the township of Heunghae in the early period of the Maipgan period, no material culture, such as the Huge tomb phenomenon and local food products, has been identified, showing a completely subordinate aspect to the Gyeongju royal group. The Daeryeon Ancient Tomb and the Nangsuri-Hunggok High Divine Group, which began with the contrast of stone chamber tomb in the late 5th century, will be built on a large scale. Diplomatic relations with Goguryeo, the base from fluctuation of the situation in the East Sea Coast area north of traffic a key point to positively cope with the Silla kingdom, the central point. The post-constructed Nangsuri monument refers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tentional sponsorship of a certain period of time is terminated and the related wealth forces are reorganized. The change is the result of Silla’s push for reforms that have taken off the maremagans and corruption to strengthen national control and reshape the provinces. As a result, the reconstruction of the center town was carried out again as part of national measures against agricultural management, and the Jungseongni monument was left to end the dispute over land rights, was lef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