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승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8명의 정상 성인 남성들과 8명의 마비말장애 성인 남성들이 청각적인 단서 환경에 따라 10가지 음향학적인 변수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명료도에 영향을 받는 음향학적인 변수들의 분석을 위해 한국어 9가지 파열음이 무의미 이음절 단어 수준에서 산출되었다. 무단서 환경의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편안한 속도와 크기로 말하세요.”가, 구체단서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크고 느리게 말하세요.”가, 추상단서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명료하고 정확하게 말하세요.”가 사용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그룹 간 차이는 단서 없는 환경보다 단서 환경, 특히 추상단서 환경에서 줄어들었다. 단서 환경에 따라, 정상군은 음도나 길이를 조절하는 반면, 마비말장애군은 모음 및 음절 길이나 폐쇄구간 비율을 조절하고, 기식구간 길이는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마비말장애군이 단서 없는 환경에서 이미 음도 증가를 명료화 전략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고 추측되었다. 마비말장애군은 단서 환경에 따라 음향학적인 측정치의 길이 변화 외에는 다른 변화를 유의미하게 가지지 못하지만, 추상단서 환경에서 정상군과 차이가사라지는 결과는 무단서 환경에서 마비말장애군이 이미 명료화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과 분절적인 정보, 특히 음향 정보의 상대적인 관계성을 마비말장애군도 유지하려 노력함을 시사하였다. 구체단서와 비교하여 추상단서가 더 자연스러운 발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Acoustic Cues to the Perception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in English Stops

        Ahn, Mee-Jin 배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人文論叢 Vol.22 No.-

        이 논문은 영어 파열음의 위치자질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음향 단서에 관한 연구이다. 실험의 결과는 페쇄단계, 파열, 기식음, 포만트 추이 각각 모두가 파열음의 위치자질에 대한 음향 단서임을 보여주고, 특히 이 인지 실험은 위치동화 등의 음운현상에 나타난 CV와 VC의 비대칭 현상도 설명해 준다. 그러나 무성파열음의 경우, 폐쇄나 파열, 기식 등의 단서를 제외하고 모음 부분만을 들려주었을 때에는 위치자질을 인식하는데 CV와 VC의 비대칭은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또한 경구개 파열음의 위치자질의 인식에 있어서는 순음이나 치경음보다 파열 단서에 더 많이 의존한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 KCI등재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장애음의 지각적 대응 양상 분석

        심현주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동서인문학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krainian perceive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obstruents and that of Ukrainian. In addition, we tried to discuss how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obstruents of the two languag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relate to these perceptual correspondences. To this end, a perceptual match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listen to Korean syllables and mark it with Ukrainian phonemes. The results, like learners in other languages, it is expected that Ukrainian cannot distinguish Korean obstruents properly because the phonation types of Korean obstruents are marked as one Ukrainian phoneme. In particular,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plain-untensed and plain-tensed. Ukrainian learners also did not seem to perceive VOT and F0,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obstruents, as acoustic cue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was expected to affect the discrimination of phonemes. It could be seen that Ukrainian learners cannot properly use the acoustic cues of Korean obstruents that do not exist in their native language in phoneme discrimina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not possible to specifically identify how learners discriminate Korean obstruents, what are the strategies of using acoustic cues of the learn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인이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장애음을 어떻게 지각적으로 대응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아울러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두 언어의 장애음의 음향적 특징이 이러한 지각적 대응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 장애음을 듣고 우크라이나어 음소로 표기하는 지각 대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장애음의 삼지적 대립을 모두 하나의 음소로 표기하여 제대로 변별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평음과 경음을 변별하는 데에 어려움이 컸다. 그리고 우크라이나인 학습자는 한국어 장애음의 주요 변별자질인 기식성과 긴장성, 즉 VOT와 F0를 음향 단서로 민감하게 지각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조음위치는 음소를 변별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우크라이나인 학습자는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 장애음의 음향자질을 음소 변별에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학습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어 장애음을 변별하는지, 발음 지각에서의 음향자질 사용 전략은 어떠한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것은 연구의 한계점이다.

      • KCI등재

        대구 방언 어두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에서 나타나는 세대 간 차이

        장혜진(Hye Jin Jang) 언어과학회 2013 언어과학연구 Vol.0 No.6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oustic properties and perceptual cues of stops in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50`s and to discuss generation differences by the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y dealing with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20`s. The results show VOT in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50`s is in order of ``fortis<lenis<aspirated``, and difference of VOT between fortis and lenis is smaller than that between lenis and aspirated. F0 is in order of ``lenis< fortis<aspirated``, the difference of F0 between lenis and aspirated is closer than between fortis and lenis. In perception,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50`s perceive the short VOT as fortis regardless F0. Then, they perceive as lenis and aspirated with relatively long VOT according to F0. Compared with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20`s,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re realization patterns of VOT and weight of F0 cue. In VO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according to whether VOT of lenis stop is closer to that of fortis or aspirated. In addition, weight of F0 in stop production and perception is greater for 20`s than 50`s.

      • KCI등재

        한국인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파열음의 발성유형별 음향 단서의 발음 교육적 역할 재고

        심현주,김선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Korean natives make use of VOT and F0 cues differently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phonation types of Korean stops. It has an significant meaning in pronunciation education to know on which acoustic cues Korean natives placed greater weight when distinguishing among Korean /ㄱ, ㄲ, ㅋ/.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on production of /ㄱ, ㄲ, ㅋ/ by Korean and Chinese nativ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VOT and F0 realization. In addition, the experiment on perception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Korean natives use the same acoustic cues as that of the production when judging foreign learners pronunciation. The results from the production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indicated that all groups of subjects placed greater weight on VOT when distinguishing /ㄲ/ from the others. while F0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ㄱ, ㄲ, ㅋ/ only by the group of text-reading. In case of the perception, acoustic cues of Korean natives took on a different features from that of the production on distinguishing phonation 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way to judge appropriateness of a learner's pronunciation by VOT and F0 features on production should be reconsiderd.

      • KCI등재후보

        어간말 위치의 후두음화 현상에 대하여

        박종희,권병로 국어문학회 2012 국어문학 Vol.53 No.-

        현대국어의 몇몇 하위 지역방언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음운현상의 하나로서 어미의 두자음이 유기음화하는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서 ‘짓-고’(作), ‘싣-고’(載) 등에서 어미의 ‘ㄱ’이 유기음화하여 ‘ㅋ’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전자는 ㅅ변칙의 예로서, 그리고 후자는 ㄷ변칙의 예로 알려진 것들인데, 이들 어간은 각각 ‘지-’, ‘실-’ 등으로 재구조화하였다. 새로운 어간형 경계에서도 ‘ㅎ’이 첨가되어 [지코], [실코] 등으로 실현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첨가된 ‘ㅎ’이 어디에서 유래된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전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구-말과 같은 상위 운율단위의 경계를 구분 지으려는 현상을 근거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이 위치에서는 비정상적인 성대의 조음 동작에 의해 발성이 이루어져 짜내기 소리가 나타난다. 이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규칙적으로 나타나게 되면 이 소리는 성문폐쇄음으로 음운화하게 된다. 수의적이며 점진적으로 발생했던 경계 표지의 짜내기 소리가 이제는 음운화하여 범주적으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청자에 의해 범주화된 성문폐쇄음은 그 음향적 단서를 증대시키려는 경향에 따라 유기음화한다. 이들의 효과는 모든 경계를 무성화시킴으로써 운율단위의 경계를 드러낸다. 이러한 현상이 유추적으로 확장된 결과 어미의 두음이 유기음화될 수 있었던 것이다. In this paper We hypothesized an addition of [constricted glottis] feature into the prosodic domain boundaries. These boundaries were generally recognized as weakening positions and so a kind of phonetic pressure was operated at this position naturally. As we know devoicing or glottalization was acted to make a non-modal voicing which was irregurally vibrated and constricted glottis incompletely. Because the gradient glottalization was being frequently produce, the articulation of a creaky voice would categorically become to phonologize by a hearer. After this level of phonologization to glottal stop, the hearer would like to reinforce a acoustic cue in order to increase the identity of devoicing at the prosodic boundaries. By widening a vocal cords and increasing the rate of air stream under the subglottis, the aspiration would be happened. This articulatory gestures and phonologization were analogically expanded into the boundaries of grammatical units that is stem final elements.

      • KCI등재

        Confusion in the Perception of English Labial Consonants by Korean Learners

        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영어 마찰음을 발음하기 어려운 점은 잘 알려졌는데, 한국 대학생들이 마찰음을 포함하는 영어 순자음을 인지하는데도 마찬가지로 어려움을 느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40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순자음이 들어간 임시어를 4가지 다른 운율적 위치(초성, 종성, 강세 앞 모음사이, 강세 뒤 모음사이)에서 인지하는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초성이나 강세 앞 모음사이처럼 강한 위치의 자음을 종성이나 강세 뒤 모음사이의 약한 위치보다 더 정확하게 판별하는 인지패턴을 보여주었다. 한국 학생들의 인지의 어려움은 모든 운율 위치에서 영어 목표자음의 조음방법 혼동 때문에 대부분 발생하였다. 그밖에, 조음장소와 유무성의 혼동도 일어났는데, 조음장소의 혼동은 모든 운율 위치에서 주로 [f]의 음향적 속성 때문에 일어났으며 유무성의 혼동은 운율 위치의 영향 때문에 발생하였다. 이러한 조음방법, 조음장소, 유무성의 혼동은 목표자음의 음성적 속성 그리고/또는 피실험자의 모국어 속성으로 설명되었다.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Korean speakers of English have difficulties in producing English fricatives, a perception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speakers also have difficulties perceiving English labial consonants including fricatives. Forty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 multiple-choice identification test. The consonant perception test consisted of nonce words which contained English labial consonants [p, b, f, v] in 4 different prosodic locations: initial onset position, intervocalic position before stress, intervocalic position after stress, and final coda position. The general perception pattern was that the mean accuracy rates were higher in strong position like CV and VCVV than in weak position like VC and VVCV. The difficulties in perceiving the English targets resulted mainly from bidirectional manner confusion between stop and fricative across all prosodic locations. The other types of misidentification were due to place confusion as well as voicing confusion. Place confusion was generated mostly by the target [f] in all prosodic position due to acoustic properties. Voicing confusion was heavily influenced by prosodic position. The mis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was accounted for by phonetic properties and/or the participants' native language properties.

      • KCI등재

        불파음화와 경음화의 실현 양상 분석

        양순임 우리말학회 2009 우리말연구 Vol.24 No.-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언어를 대상으로 불파음화와 경음화의 실현 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중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가 발화한 문장을 녹음하고, 녹음 자료에서 불파음화와 경음화가 적용될 환경인 ‘VC1?C2V’가 포함된 어절을 대상으로 오류분석, 청취 판단 분 석, 음향적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1) 경음화와 관계된 오류 유형 은 C1을 누락하고 C2를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C1을 유성음으로 대 치하고, C2를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C1을 불파음으로 발음하고 C2를 기음이나, 평음으로 발음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C1의 불파음 화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 C2의 경음화도 나타나지 않아 두 규칙 간에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3) 길이 특성은 경음화음과 평음 두 범주 간 에 뚜렷하게 구별되는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대구 방언 마찰음의 세대 간 차이

        장혜진(Hye Jin Jang)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58 No.-

        The current study is a acoustic and perceptual comparison of the word-initial fricative production and perception between generations in their 20s and 50s in Daegu dialect. The data suggested that for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20s and 50s, there ar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acoustic properties and perceptual cues of [s] and [s*]. In acoustic properties, there are little distinction of [s] and [s*] in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50s, while there are relatively clear distinction of [s] and [s*] for duration both frication and aspiration in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20s. In perceptual cues, there ar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focusing on different perceptual cue to distinguish [s] and [s*]. F0 of following vowel is a primary cue to distinguish [s] and [s*] in Daegu dialectspeakers in their 50s, while duration of aspiration in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20s. The result suggested while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20s have clearly distinctive [s] and [s*] both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terms of frication and aspiration duration, especially the latter,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ir 50s do no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re is highly distinctive of [s] and [s*] by F0 of following vowels in perception of Daegu dialects speakers in their 50s. However, it would be far more plausible to say that they distinguish [s] and [s*] phonetically rather than phonemically.

      • KCI등재

        자질상실에 의한 부분 동화작용

        최영이,이상도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7 언어와 언어학 Vol.0 No.76

        This paper is the study on partial assimilation in terms of perceptual cues. Plenty of phenomena that are known as complete assimilation are in reality partial assimilation because a feature of a target segment remains after assimilation, not resembles trigger features or not becomes fully the same as trigger features. To identify a remaining target feature, we observe F1, F2, F3 in spectrogram of Praat. If either F1, the signal for articulatory manner or F2 and F3, the signal for articulatory place of target segment is left, that will be the acoustic evidence of partial assimilation. Inferring underlying input and output from the phenomena and establishing several perceptual constraints regarding perceptual perspective, we proved that all the assimilations are involved in partial because to lose all the target features in assimilation is lack of any efforts for listener's cognitional 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