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관육종을 닮은 미분화 육종을 동반한 점액성 경계성 난소암 1예

        김진 ( Jin Kim ),박종배 ( Jong Bae Park ),강행지 ( Haeng Ji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전형적인 육종 (true sarcoma)과 동반된 점액성 난소암은 매우 드물다. 점액성 난소암과 동반된 전형적인 육종 4예: 섬유육종, 미분화 육종, 횡문근육종, 혈관육종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80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혈관육종을 닮은 미분화 육종을 동반한 점액성 경계성 난소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전형적인 육종(true sarcoma)과 동반된 점액성 난소암은 매우 드물다. 점액성 난소암과 동반된 전형적인 육종 4예: 섬유육종, 미분화 육종, 횡문근육종, 혈관육종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80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혈관육종을 닮은 미분화 육종을 동반한 점액성 경계성 난소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ovarian mucinous tumor associated with true sarcoma is very rare. Four cases of true sarcoma: fibrosarcoma, undifferentiated sarcoma, rhabdomyosarcoma, angiosarcoma in ovarian mucinous tumor have been reported. We present a case of mucinous borderline tumor associated with undifferentiated sarcoma with angiosarcoma-like appearance in 80-year-old woman.

      • KCI등재후보

        식물 신품종 육성자권리 보호제도 도입의 영향

        최근진,김창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0 지식재산연구 Vol.5 No.3

        Breeding of new plant variety is initiative and contribute to develop seed industry and agriculture, therefore an effective plant variety protection (PVP) is necessary to encourage development new varieties of plants where there is commercial viability and induce continuous investment for breeding. PVP system provides breeder to develop high quality, reasonable price, extension scope of varieties selection for growers and 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export of variety and seed. It is also recalled that, as a consequence of the breeder’s exemption in the UPOV Convention, domestic breeders also gain access to valuable varieties for use in their breeding programs. The impact of introduction of PVP system encourage to extent plant genera and species by the request of breeder which increase the number of varieties for PVP and it makes wide scope of varieties for the grower's selection. The activity of plant breeding in private sector was activated and it caused increment in number of varieties particular in commercial crops and number of individual breeders. PVP system also affected on the public sector breeding to increase number of varieties for application for PVP. Variety was diversified and improved in yield, quality, resistance to stress, functional characteristics by the request of grower, farmer and consumer by the accession of commercial variety for their breeding program. With access to such valuable varieties, domestic growers and producers have more scope to improve their production and export their products. The PVP system once caused royalty problem of the species where the base of plant breeding is weak, however it gav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basis of plant breeding using those of introduced varieties and that was a chance for user to recognize the necessary of royalty payment. 새로운 식물품종 육성은 종자산업 발전의 시발점으로서 농업 및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식물신품종에 대한 법적 보호를 통해 육종가의 육종의욕을 촉진시킴으로서 우수 품종육성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품종보호제도는 육종가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육종가에 대한 예외로서 또 다른 품종육성을 위한 육종재료로의 이용을 촉진시켜 빠른 기간에 더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도록 하며, 육종가 간에 더 우수한 품종과 합리적인 가격에 대한 경쟁을 유도하고, 기존의 품종과 다른 특성을 가진 품종육성으로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국외출원으로 국제경쟁력을 높이게 된다. 제도도입으로 인해 나타난 영향을 보면 그동안 주요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육종에 그쳤으나 육종의 대상작물이 크게 확대되어 Minor 작물에 대한 육종도 이루어졌다. 국내외로부터 품종보호출원 및 등록이 크게 증가함으로서 재배자 및 농민에게는 자신의 경영에 맞는 품종선택 범위가 확대되었다. 채소, 화훼 및 과수 등의 상업적 작물에 대한 민간육종이 크게 활발해졌는데 특히 개인 육종가들이 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들이 주로 육종하는 작물인 화훼 및 과수에 있어서 품종의 출원이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육종가들은 다양한 재배농민 및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품종을 육성하여 보급함에 있어서 재배 및 이용상의 경제적인 가치를 고려하여 내재해성, 고품질 및 기능성 등이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여 상업화하게 되었다. 화훼 재배자 및 농민은 국내 또는 국외로부터 우수한 품종의 재배를 통해 수확물인 절화를 해외로 수출함에 있어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품종보호제도 도입이후 그동안 육종을 하지 않던 상업적 작물에 대해 국외로의 품종사용료 문제가 있기는 하였으나 이는 국외로부터의 품종도입을 통해 국내 육종기반을 마련하고 품종사용료에 대한 재배자 및 농민의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백혈병 환자의 과립구 육종(녹색종양)

        이승구,강용구,박원종,정양국,이상욱,정지호,Rhee, Seung-Koo,Kang, Yong-Ku,Bahk, Won-Jong,Jung, Yang-Kuk,Lee, Sang-Wook,Jeong, Ji-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백혈병 환자의 사지와 척추 등에 발생하는 과립구 육종(녹색종)은 매우 드물고 그 치료나 예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과립구 육종 20 예를 대상으로 그 발병기전, 임상적 경과와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 및 정형외과학교실에서 치료한 총 2,197명의 백혈병 환자 중 척추 및 사지에 이환되었던 과립구 육종 20명(0.91%)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1-78개월(평균18개월)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과립구 육종의 발생 빈도는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 까지 6년 5개월 간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에서 가료한 급성 골수성 환자 1,331명중 15례, 만성 골수성 환자 744명중 4례, 혼합형 급성 백혈병 환자 122명중 1례가 발생하여 전체 백혈병에서의 발생율은 2,197명 중 20명이 발생하여 0.91%의 빈도를 보였다. 평균 연령은 28.3세(4~52)였고, 남자 13명, 여자 7명이었다. 단발성 병변은 11례, 다발성 병변은 9례였으며, 병변은 척추 12례, 뇌실질 5례, 사지 6례, 흉부 2례, 골반부 2례, 두개골 및 안구에 각각 1례씩 발생되었다. 과립구 육종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환자 15명,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환자 4례에서 그리고 혼합형 급성 백혈병(acute biphenotype leukemia) 환자 1례 등 총 20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백혈병의 치료 과정중 과립구 육종의 발병 시기별로는 완전 관해 되었을 때 발병한 것이 8례, 특히 이중에서 4례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이 급성 백혈병으로 재발 악화 되면서 육종이 발병하였고, 나머지 12례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 과정 중 과립구성 육종이 병발하였다. 6례에서의 조직 검사상 미성숙한 골수모세포와 림파구 등이 혼재된 전형적인 과립구 육종을 확진하였고, 과립구 육종의 치료는 전예를 백혈병의 재발 또는 진행과정에 따라 글리벡 및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백혈병 자체에 대한 항암치료만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는 항암치료와 함께 과립구 육종에 대한 국소 또는 전신 방사선 치료를 병합하였다. 평균 18개월의 추시 기간 중 만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4명 모두 사망하였고, 전체 환자는 모두12명(12/20: 60%)이 과립구성 육종의 발병이후 6.5 개월 만에 사망하였으며, 연령과 예후는 고령 발생시 더욱 불량하였다. 결론: 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 및 사지의 과립구 육종의 예후는 불량하였고, 특히 만성 골수성 환자에서 발생시 예후가 더욱 불량하였으나, 급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반드시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은 아니여서, 백혈병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항암 치료와, 사지 과립구 육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병합 요법이 필요하였다. Purpose: The granulocytic sarcoma which developed in leukemic patients are quite rare and it will have bad prognosis, but it's tumor pathogenesis and also their treatment are not yet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we have tried to know their clinical course, prognosis and their end result of recent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s: Total 20 patients of granulocytic sarcoma which were developed in total 2,197 leukemic patients from April, 1998 to September, 2004 were treated at the leukemic center and the orthopaedic department of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followed them for 1~78 months(average 18 months). Results: Total 20 cases of granulocytic sarcoma was found in 14 cases of total 1,331 acute myelocytic leukemic patients(AML), 4 cases of total 744 of chronic myelocytic leukemic patients(CML), and only one case in total 122 of acute biphenotype of leukemia. And so their occurrence rate in leukmic patients are actually 0.91%, total 20 cases of granulocytic sarcoma in total 2,197 leukemic patients at same period. Their ages are average 28.3 years(4~52 years), and male are predominant(13 cases) than female(7 cases). Single involvement was found in 11 cases but multiple lesions are in 9 cases, and spine, brain, extremities, chest, and pelvic bone are involved in frequency. The granulocytic sarcoma was developed in various stages of the leukemia, ie, 8 cases in complete remission of leukemia, and 12 cases in the treatment process of AML. The pathohistologic evaluation of granulocytic sarcoma was done in 6 cases which was developed in their extremities, and confirmed numerous immature myeloblasts and lymphocytes mixed. The treatment of these granulocytic sarcoma was mainly limited for the treatment of leukemia by Glivac and massive steroid therapy(19cases) and also combined with the bone marrow transplantation(13 cases), but radiation therapy with average 3,500 rads in 15 cases out of total 20 sarcomas was also done, and followed them for average 17.5 months after development of granulocytic sarcomas. Finally their prognosis was so bad that 12 patients(60%) out of total 20 granulocytic sarcoma were dead in 6.5 months after sarcoma developed and we found the granulocytic sarcoma was more fatal if they are developed during the process of CML(mortality: 100%(4/4cases). Conclusion: The prognosis of granulocytic sarcomas in leukemic patients are quite fatal, and much more studies for their pathogenesis and ways of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continuously.

      • 악성 골 종양의 초기 증상

        오주한,이상훈,서성욱,이호규,김한수,Oh, Joo-Han,Lee, Sang-Hoon,Suh, Sung-Wook,Lee, Ho-Kyoo,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골 육종, 연골 육종은 흔한 질환이 아니므로, 일차 진료 현장에서 명확한 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고, 진단의 지연이나 오진으로 인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질환에 대한 초기 증상과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여 이를 확인하고, 조기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진단된 골 육종이나 연골 육종 환자로, 기록 검토와 설문지 조사가 가능한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 육종 환자가 108명, 연골 육종이 31명이었고, 남자가 86명, 여자가 5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골 육종이 20.2세, 연골 육종이 42.4세이었다. 결과: 병원을 방문하게 된 초기 증상은 두 질병 군 모두에서 동통이 가장 많았는데, 골 육종은 101명(93.5%), 연골 육종은 19명(61.3%)이었다. 이들 중 골 육종의 49명(48.5%), 연골 육종의 1명(5.3%)에서 통증이 외상과 관련되어 시작되었으며, 야간 동통이 골 육종의 77명(76.2%), 연골 육종의 11명(57.8%)에서 있었다. 처음 방문한 진료 기관에서 악성 골 종양으로 진단된 경우는 골 육종에서는 66명(61.1%), 연골 육종에서 20명(64.5%)이었고, 오진된 경우는 골 육종에서는 골절로 본 경우가 18명(1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골 육종에서는 골 감염으로 본 경우가 6명(19.4%)으로 가장 많았다. 초진 시에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 경우 골 육종과 연골 육종 모두에서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9, p=0.014), 성인 군에서의 진단율이 높았다(p=0.037). 연골 육종에서 골 육종보다 환자와 의사에 의한 지연이 모두 길었다. 진단의 의사 지연을 길게 하는 요소로는 초진 시에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지 않는 것과 골반 등 축성골에 종양이 위치하는 것이었고, 외상과 미성년 환자는 진단의 환자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요소로 파악되었다. 결론: 악성 골 종양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외상이나 야간 동통 등의 병력 청취를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초진시의 단순 방사선 촬영과 주기적인 경과 관찰 및 방사선 사진의 비교 등으로 조기 진단의 정확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Purpose: Delay in the diagnosis of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may critically influence the chance of the patients' survival and the limb sparing, but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re so rare that most doctors have little experience in these challenging diseas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itial symptoms of osteosarcoma and chondrosarcoma, and to shorten the delay of diag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nd the medical records from 139 patients whose histological diagnoses were confirmed in the authors' institution. There were 108 patients of osteosarcoma and 31 patients of chondrosarcoma. Eighty-six were male and fifty-three were fe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0.2 years in osteosarcoma, and 42.4 years in chondrosarcoma.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that the patient consult the doctor was pain (93.5% of osteosarcoma patients and 61.3% of chondrosarcoma patients). Among them, 76.2% of osteosarcoma and 57.8% of chondrosarcoma patients complained the night pain. The history of trauma was evident in 48.5% of osteosarcoma patients and one patient of chondrosarcoma. At the first medical visit, the malignant bone tumor was suspected in 61.1% of osteosarcoma and 64.5% of chondrosarcoma patients.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misdiagnosis in osteosarcoma (16.7%), and the osteomyelitis in chondrosarcoma (19.4%). Initial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the adult age were shown to increase the rate of correct diagnosis of both diseases (p<0.05). Patient's delay and doctor's delay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chondrosarcoma patients than in osteosarcoma. Initial radiography led to shorten the doctor's delay, and the axial location of the tumor lengthened the doctor's delay. Trauma and the young age were believed to shorten the patient's delay. Conclusion: Careful history taking, including the night pain and trauma, would be mandatory for the early diagnosis of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nd the initial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periodic follow-up can increase the rate of correct diagnosis.

      • SCIESCOPUSKCI등재

        저등급 자궁내막간질육종의 폐 전이 1예

        윤정환,백종우,전용준,권상훈,조치흠,차순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자궁 육종은 전 자궁체부암의 2-5%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내막간질육종은 자궁육종의 15-25%를 차지한다 자궁내막간질육종은 자궁내막간질 결절, 저등급 자궁내막간질 육종, 고등급 자궁내막간질 육종의 3가지로 분류한다 이중 저등급 자궁내막간질 육종이 가장 흔하고, 예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등급 자궁내막간질 육종은 때로 국소재발이 일어나며, 위치는 골반내 국한되나 보고에 의하면 7-28%에서 폐전이 같은 원격전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희귀질환인 저등급 자궁내막간질 육종을 가진 환자에서 자궁적출술 후 폐전이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ndometrial stromal sarcomas (ESS) represent approximately 15-25% of all uterine sarcomas and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endometrial stromal nodule, low-grade ESS or endolymphatic stromal myosis, and high-grade ESS. The low-grade ESS is the most common and has a favorable prognosis with 5- and 10-year survival rates of up to 100%. Recurrence is not uncommon and tends to be limited to the pelvis. However, it shows distant metastases after long tumor-free intervals and the most common affected site is the lung, with reported incidence ranging from 7% to 28%. Here we discribe a case of low-grade ESS with pulmonary metastasis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 This case, 42 year old woman, who had the past history of LAVH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with clinical diagnosis of uterine leiomyoma but proved low-grade ESS by histology was found multiple mass in lung. After pulmonary metastasectomy, she had no recurrence for 10 months after surgery.

      • KCI등재

        육종에 대한 표적치료의 현황 고찰

        김승현(Seung Hyun Kim),박민철(Min-Cheol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육종(sarcoma)은 간엽(mesenchyme)에서 기원하는 발생율이 낮은 악성 종양으로 종양 세포들의 이질성이 커서 기존 화학요법(chemotherapy)에 대한 반응성이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00년대 이후 육종 치료에 화학요법의 도입으로 인해 육종 환자들의 생존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으나, 현재의 육종 치료 결과는 20여 년 동안 생존율 향상이 정체되어 있는 한계에 봉착해 있는 상황이다.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힘입어 폐암에 대한 게피티닙(gefitinib) 및 엘로티닙(erlotinib),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및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에 대한 이마티닙(imatinib)과 같은 분자억제기전을 가진 표적치료제제(targeted agent)가 많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암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그중 일부는 좋은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표적치료제제는 육종에 대한 기존 화학요법의 2차 약제 또는 기존 화학요법의 대안으로 육종 치료에 승인 및 시도되고 있다. 이는 향후 육종 환자들의 생존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육종 치료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육종에 대한 대표적인 분자억제기전으로는 혈관신생억제(inhibition of angiogenesis), 면역치료(immunotherapy), 신경영양성 티로신 수용체 키나아제(neurotrophic tyrosine receptor kinase) 억제 등이 있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이러한 표적치료제제의 분자억제기전을 요약하고 육종 치료에서의 적용 및 임상 결과에 대해 논의하여 현재 육종 치료에서 표적치료(target therapy)의 현황을 고찰하고자 한다. Sarcomas are rare malignancies of mesenchymal origin tumors, with a large heterogeneity of tumor cells, resulting in a variable and unpredictable response to conventional chemotherapy. For this reason, the introduction of chemotherapy to treat sarcomas since the 2000s has improved the survival rate dramatically, but the improvement in the survival rate is currently stagnant. Many targeted agents with molecular inhibitory mechanisms have been used to treat various cancers with favorable outcomes. Examples include gefitinib and erlotinib for lung cancer and imatinib for chronic myeloid leukemia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Under these circumstances, some targeted agents have been approved for treating of sarcomas as second-line agents or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chemotherapy for sarcomas. Representative molecular inhibitory mechanisms applied for sarcoma treatment include the inhibition of angiogenesis, immunotherapy, and inhibition of neurotrophic tyrosine receptor kinase. This review summarizes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ction of these targeted agents and discuss their application and clinical outcomes in sarcoma treatment, which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sarcoma patients.

      • KCI등재

        역분화 연골육종의 임상 결과

        공창배(Chang-Bae Kong),이승용(Seung Yong Lee),송원석(Won-Seok Song),조완형(Wan-Hyeong Cho),고재수(Jae-Soo Koh),전대근(Dae-Geun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목적: 역분화 연골육종은 저 악성도의 연골육종과 골육종, 섬유육종 등 고 등급의 육종이 같이 관찰되는 매우 드문 악성 골종양이다.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역분화 연골육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병기, 자기공명영상, 수술적 절제연,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발생 시간, 추시 기간 및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생존율 분석에는 Kaplan-Meier 생존율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자가 7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4세(33-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골이 6예, 골반골이 4예, 중족골이 1예였으며 종양의 평균 크기는 12.7 cm (6.0-26.1 cm)였다. 진단 당시 증상은 8예에서 동통, 2예에서 종괴였으며, 나머지 1예는 방사선에서 우연히 발견된 골병변이었다. 진단 시 병적 골절이 동반된 환자는 2명이었으며, 병기는 1예에서 IIA기, 9예에서 IIB기, 1예에서 III기였다. 8예가 원발성, 3예가 속발성 역분화 연골육종이었으며, 원발성 중 1예는 방사선적으로 저 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오인되어 소파술을 시행받은 후 진단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5-56개월)이었고, 국소 재발이 8예, 원격 전이가 10예에서 발생했다. 국소 재발은 평균 8개월(2-23개월), 원격 전이는 평균 7개월(1-32개월)에서 관찰되었다.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의 Kaplan-Meier 3년 생존율은 18%였으며, 10명의 환자가 질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결론: 역분화 연골육종은 조기에 폐 전이가 발생하여 매우 좋지 않은 예후를 갖는 치사율이 높은 악성 골종양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A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is a rare lethal tumor characterized by a low grade chondrosarcoma juxtaposed with a high grade dedifferentiated sarcoma, such as osteosarcoma, fibrosarcoma.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ocument the clinical manifestation and oncologic outcomes of a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dentified 1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for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6. The identified cohort was then reviewed regarding age, sex, symptom onset, tumor loca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s (MRIs), surgical margin, and pathologic diagnosis. The time to local recurrence and/or metastasis, follow-up duration, and the patients’ final status were analyzed. Results: The patients were comprised of 7 males and 4 females with a mean age of 54 years (range, 33–80 years). The location of the tumor was in the femur in 6 cases, pelvis in 4 cases, and metatarsal in 1 case. The average tumor diameter was 12.7 cm (range, 6.0–26.1 cm). At the time of diagnosis, 2 patients showed pathologic fracture; 1 patient was Enecking stage IIA, 9 patients were stage IIB, and 1 patient was stage III. Eight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 primary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and 3 patients were secondary. One of the primary lesions was misinterpreted initially as a low grade chondroid lesion by MRI and underwent curettage.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8 cases and distant metastasis occurred in 10 cases with a mean duration of 8 months (range, 2–23 months) and 7 months (range, 1–32 months), respectively. The three-year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was 18%, and 10 patients died due to disease progression. Conclusion: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developed lung metastases in the early period of the clinical courses and the prognosis was dismal.

      • KCI등재

        집적의 경제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김승완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2 地域發展硏究 Vol.21 No.2

        본 연구는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사업의 사례를 통하여 육종기업의 지리적 집적에 따른 고용효과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육종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사업은 고용창출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 이후 입주의향이 있는 업체들이 기존 시설의 단순한 이전보다는 신규투자에 의한 입주유형을 보이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민간육종연구단지 발전 계획에 따르면, 2026년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기 때문에 건설 인력 등의 신규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육종연구단지에 신규투자의 형태로 입주할 의향이 있는 육종업체들은 상용직을 6.9명, 임시 혹은 일용직을 72.4명 고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 이후 시기별 예상 신규인력은 1차 년도에 평균적으로 4.06명이 채용이 될 예정이고, 2차 년도에는 다소 감소한 3.31명이 채용될 예정이다. 그리고 3차 년도에는 4.14명의 신규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사업이 고용친화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악성 근골격계 종양세서 CD117[c-kit]과 Her-2/neu 유전자 발현

        정진규(Jin Gyu Jeong),최익수(Ik Su Choi),노수인(Su In Roh),곽철호(Cheol Ho Kwak),김상은(Sang Eun Kim),장희경(Hee Kyung Chang),김재도(Jae D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본 연구는 악성 근골격계 종양에서 c-kit (CD117) 유전자 단백질 발현과 Her-2/neu 발현의 양상을 조사하고, 임상 예후와 치료의 측면에서 발현의 의의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파라핀 포매 조직이 보관된 32예의 악성 골종양(골 육종 23예, 연골 육종 9예)과 8예의 활막 육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은 면역조직화학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c-kit 발현은 골 육종에서 56.5% (13/23), 연골 육종에서 44.4% (4/9), 활막 육종에서 50.0% (4/8)의 발현율을 보였다. 23예의 골 육종에서 c-kit의 발현은 여자에서(p=0.044), 폐로의 전이가 있는 증례에서(p=0.044), 종양 세포의 악성도가 높을수록(p=0.023)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Her-2/neu는 악성 골종양 32예와 활막 육종 8예 모두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결론: 악성 골종양과 활막 육종의 발생에 c-kit 유전자의 발현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폐 전이된 골 육종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이로써 이 종양들의 치료에 c-kit 유전자를 겨냥한 tyrosine kinase억제제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겠다. 그러나 Her-2/neu 유전지는 악성 골종양과 활막 육종 발생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지 않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kit (CD117) and Her-2/neu expressions in malignant bone and soft tissue tumors and to identify a possible predictive role in patients with these malignancie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40 archival paraffin-embedded tissue specimens of patients with 32 malignant bone tumors (23 osteosarcomas, 9 chondrosarcomas) and 8 synovial sarcomas. The gene expressions level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C-kit expression was observed in 13 out of 23 osteosarcoma patients (56.5%), 4 out of 9 chon-drosarcoma patients (44.4%) and 4 of 8 synovial sarcoma patients (50.0%).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kit expression and gender (p=0.044), a pulmonary metastasis (p=0.044), and the tumor cell grade (p=0.023) in osteosarcoma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Her-2/neu expression was not found in any of the 40 cases under stud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kit expression appear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malignant bone tumor and synovial sarcoma. In particular, it should be noted that c-kit expression is found frequently in an osteosarcoma with a pulmonary metastasis. In this respect,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s can b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e treatment of a malignant bone tumor and a synovial sarcoma. However, Her-2/neu does not appear to play any significant role in these malignancies.

      • KCI등재

        자궁 육종 19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박상준 ( Sang Jun Park ),한경희 ( Kyoung Hee Han ),차동수 ( Dong Soo Cha ),하종원 ( Jong Won Ha ),이홍중 ( Hong J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2

        목적: 자궁육종의 임상적 양상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1982년 9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원주기독병원에서 진단되었던 자궁육종 환자 19예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했다. 통계처리 방법은 콕스 회귀분석 (Cox Regression)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95% 신뢰구간으로 하였다. 결과: 자궁 육종의 조직 유형별 분포는 자궁평활근육종 8예 (42.1%), 자궁내막기질육종 5예 (26.3%), 악성 혼합 뮐러종양 4예 ( Objective: The aim is to evaluate the clinical findings of uterine sarcoma we had experienced. Methods: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reviewed 19 patients with uterine sarcoma who were managed at Wonju Christian Hospital between September 1982 and May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