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묘석전 일무의 위치 연구

        임학선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2

        Ilmu, a Confucius ritual dance, is the dance performed in the Seokjeondaeje of Munmyo. It i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China, and closely related to myths. The myth as an important part in the history of mankind had been transmitted by words, and thanks to the record of myths in scriptures, today we can have some knowledge of the dance style of the ancient times. The dances originated from the age of myths include <Unmum(雲門)> of the Emperor, <Hamji(咸池)>, of the king Yo, <Daeso(大韶)>of the king Sun, <Daeha(大夏)> of the king Woo, <Daeho(大濩)>of the king Tang, and <Daemu(大武)> of the king Mu; these six types of dances are called Yookdaedaemu (六代大舞),and these dances are those performed at the rituals dedicated to Chunjiin (the heaven, earth, and human) in the ancient China.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location of Ilmu originated from Yookdaedaemu (六代大舞). Determined by the ideology of Chunjiin samje and that of yin yang, the location of Ilmu is the garden of Myojeong between dansang (堂上) and dangha (堂下), representing the idea that human business is in between the heaven and earth(天地). When placing munmu and mumu, the former was placed in the east, while the latter the west, as mun was regarded as superior to mu, as the east was regarded as superior to the west. Being the space where dance is played, the location of Ilmu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movements of dance. As the movements of dance and its meaning can vary according to the space where dance is played, the location of dancer had been highly regarded since long time ago. It had been recognized that the location of Ilmu and all movements of dancer are contingent on the principle of the movement of cosmos so that special meanings were attached to them. Therefore, a basic study into the prototype of the location of Ilmu from which the history of dance stems is substantially significant and meaningful. 일무는 유교제례무로 문묘 석전대제에서 추는 춤이다. 그 유래는 고대 중국으로부터 비롯되며 신화와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인류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신화는 구전으로 전해지고 그 구전이 경전의 기록으로 남겨지는 `신화의 경전화`로 인해 오늘날 우리는 그 옛날 신화시대의 춤을 살필 수 있다. 신화시대로부터 비롯되는 춤은 황제의 <운문>, 요임금의 <함지>, 순임금의 <대소>, 우왕의 <대하>, 탕왕의 <대호>, 무왕의 <대무>로 이 여섯 종류의 춤을 육대대무라 부른다. 이 육대대무는 고대 중국에서 천지인에게 제사할 때 각각 추어졌던 춤이다. 본 연구는 육대대무로부터 유래되는 일무의 위치에 관한 연구이다. 일무의 위치는 천지인삼재 사상과 음양 사상에 의해 정해지게 되는데, 그 자리는 당상과 당하 사이 묘정의 뜰로 천지 사이에 인사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곳이다. 이 위치에 문무와 무무를 배치하게 된다. 문무와 무무를 배치할 때는 문을 무보다 위로 여기고 동을 서보다 위로 여겨 문무를 동쪽에 배치하고 무무를 서쪽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예로부터 전해지는 전통이다. 일무의 위치는 춤을 추는 공간으로 춤사위와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춤을 추는 공간에 따라 춤사위와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춤추는 위치를 매우 중요시 하였다. 이와 같은 일무의 위치와 춤사위는 모두 우주의 움직임 원리와 이치에 따라 그 자리가 정해지고 몸동작이 만들어진 것으로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어 있어 일무 위치의 원형을 찾아서, 그 위치를 바로 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 KCI등재

        舞位四表圖의 易學的 分析

        김용복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고대 중국예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바로 宗敎的 성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교적 성격을 띤 대표적 창조물로 佾舞를 들 수 있는데, 일무는 춤의 명칭이라기보다는 유가적 사유에 의해 형식체계를 엄격히 지킨 고대 樂舞의 구성 형식이다. 佾舞는 원래 廟廷의 뜰에 자리하여 춤추었다. 뜰은 일무를 출 때 앞으로 나아가고 뒤로 물러나는 변화의 공간이 된다. 따라서 뜰이라 함은 堂上의 남쪽과 堂下의 북쪽 사이의 공간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공간적으로 天ㆍ人ㆍ地의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당상의 登歌(당상악)는 陽, 당하의 軒架(당하악)는 陰을 상징하는데 음과 양의 조화와 합일을 이루는 악장과 함께 舞位가 변화하는 것은 일무를 행함으로써 天人合一의 경지에 이르는 舞律에 의한 것이다. 주나라의 六代大舞는 舞律에 입각한 음악의 악장이 이루어질 때마다 그 상징하는 바를 달리하여 춤을 행하였다. 음악이 한 악장을 이룰 때마다(一成) 춤도 동선의 방향이 변하는(一變) 舞位에 舞表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舞位四表圖이다. 『頖宮禮樂全書』의 무위사표도는 일무를 행하는 장소 즉 뜰이나 섬돌에 무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表를 말한다. 이 무표는 본래 사방으로 세우고 그 표를 따라 움직이는 일무원의 동선과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무위사표도는 樂과 舞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천인합일을 추구하는 철학적 의미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여기에는 예의 형식을 갖춘 천지간의 질서를 내포하고 있다. 즉 一變에서 九變에 이르기까지 한 번 변하는 것이라도 갖추어지지 않으면 맞이하는 神이 틀려져 칭송한 덕이 맞지 않게 되는 예의 질서와 육대대무의 규모를 상징하고 있다. 육대대무의 기능은 祭를 올리는 대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六變하여 天神에 이르고, 팔변하여 地祇에 이르며, 九變하여 人神에 이르도록 한 것이다. 무위사표도에서 아홉 번 변하는 九變의 의미는 가장 큰 규모의 악장과 춤을 의미하는 것으로 九變하여 人神에게 이르는 것은 天ㆍ地ㆍ人의 시간 구조를 의미한다. 일무를 행함으로써 時空을 초월하여 祭儀의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은 先天八卦와 後天八卦의 시공간적 구조로써 그 변화가 분석되는데, 交易하는 가운데 變易이 이루어지는 天地人의 삼재사상을 의미하고 天人合一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된다. 先天과 後天은 서로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시간적 흐름에 존재하는 것이다. 古代 儒家 악무이론은 이렇듯 역학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무위사표도의 무표는 舞律의 易學的 構造에 의해 그 변화를 표시한 것으로 분석 된다. 무위사표도의 분석은 古代 일무의 사상적 분석을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노자사상, <그림 천지지도>에 의한 새로운 해석

        김영주(Kim, Young-J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

        필자는 노자사상을 이해함에 무엇보다도 도道 현玄 일一 무無의 개념이 같은지 다른지, 혹시 같다면 무슨 이유로 다른 낱말을 사용하고 있는지, 혹시 다르다면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다른지를 분명하게 정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노자사상에서 ‘가치개입의 문제’를 선명하게 내세워서, 천지지도 성인지도 치세지도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여 해석하고 풀이한다 이 논의를 선명하고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그림 천지지도>와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를 고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그림 천지지도>에 기대어 ‘현玄 일一 무無 유有’를 비롯한 다양한 용어들이 서로 어떻게 다르며 서로 어떤 관계인가를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보려고 한다 I think that it is a most important issue to search the distinct meaning of 'Tao(道) Hyun(玄) and Mu(無) Yu(有)‘ At first, we must take and interest in the distinct meanings of Tao(道)·Hyun(玄) and Mu(無) If the meanings are equal, why do they use different words? of if the meanings are different, what are the each different meaning of the words? I will insist that they are different The existing studied articles had not discussed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distinctly in Laozi's thought as yet, so Laozi's thought had been unclear and ambiguous At my proceeding article, to overcome this problem, I disclosed a latent disease at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in Laozi's thought, and laid the groundwork for apporaching new interpretation of Laozi's thought with the three new viewponits naming 'Tao of Nature(天地之道) Tao of Saint(聖人之道)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And I devised an idea which drew 'two figures' showing Tao of Nature(天地之道) and Tao of Saint(聖人之道) &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I will study distinctly the various concepts in Laozi's thought(Hyen玄 Il一 Mu無 Yu有 etc) relying upon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But proceeding to these studies, We need the criterion to make clear distinction the complicated concepts in Laozi's thought It is selected Meo(妙 Sourcing) and Keo(徼 Accomplishing) & Saeng(生 Life) and Sa(死 Death) I studied concretely and minutely 'four basic concepts' at just proceeding article At this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Nature>,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Hyun(玄) GokSin(谷神) HyunBin(玄牝) Il(一) Mi(微) Sang(象) Mu(無) Yu(有) Si(始) Zong(終) At following next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will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 KCI등재

        노자사상, <그림 천지지도>에 의한 새로운 해석

        김영주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

        필자는 노자사상을 이해함에 무엇보다도 도道․현玄․일一․무無의 개념이 같은지 다른지, 혹시 같다면 무슨 이유로 다른 낱말을 사용하고 있는지, 혹시 다르다면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다른지를 분명하게 정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노자사상에서 ‘가치개입의 문제’를 선명하게 내세워서,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여 해석하고 풀이한다. 이 논의를 선명하고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그림 천지지도>와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를 고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그림 천지지도>에 기대어 ‘현玄․일一․무無․유有’를 비롯한 다양한 용어들이 서로 어떻게 다르며 서로 어떤 관계인가를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보려고 한다. I think that it is a most important issue to search the distinct meaning of ‘Tao(道)․Hyun(玄) and Mu(無)․Yu(有)’. At first, we must take an interest in the distinct meanings of Tao(道)․Hyun(玄) and Mu(無). If the meanings are equal, why do they use different words? or if the meanings are different, what are the each different meaning of the words? I will insist that they are different. The existing studied articles had not discussed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distinctly in Laozi’s thought as yet, so Laozi’s thought had been unclear and ambiguous. At my proceeding article, to overcome this problem, I disclosed a latent disease at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in Laozi’s thought, and laid the groundwork for approaching new interpretation of Laozi’s thought with the three new viewpoints naming ‘Tao of Nature(天地之道)․Tao of Saint(聖人之道)․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And I devised an idea which drew ‘two figures’ showing Tao of Nature(天地之道) and Tao of Saint(聖人之道) &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I will study distinctly the various concepts in Laozi’s thought(Heyn玄․Il一․Mu無․Yu有……etc) relying upon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But proceeding to these studies, We need the criterion to make clear distinction the complicated concepts in Laozi’s thought. It is selected Meo(妙 Sourcing) and Keo(徼 Accomplishing) & Saeng(生 Life) and Sa(死 Death). I studied concretely and minutely ‘four basic concepts’ at just proceeding article. At this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Nature>,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Hyun(玄) GokSin(谷神) HyunBin(玄牝)․Il(一) Mi(微) Sang(象)․Mu(無) Yu(有) Si(始) Zong(終). At following next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will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 KCI등재

        근대이후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 비교연구

        임학선 ( Hak Sun L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문묘일무는 유교제례무로 공자를 제사하는 춤이다. 한국의 석전(釋奠)과 문묘일무(文廟佾舞), 그리고 중국의 제공(祭孔)과 제공악무(祭孔樂舞)가 바로 공자의 제사와 공자제사무를 지칭하는 양국의 용어로 그 의미는 같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과 중국은 각기 다른 문화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이후 변화 발전을 이룬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제Ⅱ장에서 한·중 문묘일무의 유래와 역대 한·중 문묘일무를 조사하였고, 제Ⅲ장에서는 양국 문묘일무의 차이, 즉 공자사당의 명칭, 공자제사의 명칭, 공자제사의 주무기관, 공자제사무의 춤이름, 춤형식, 춤동작과 춤추는 방법, 춤추는 위치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근대이후 한·중 양국의 복원 방향과 그 내용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수립 후의 문묘일무 복원과정을, 중국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의 제공악무 복원과정을 조사하여 한·중 문묘일무의 차이와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한·중 문묘일무는 근대 이후 양국의 시대적 배경과 제도적 차이, 전통계승과 복원의 관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갖춘 춤으로 변화되었으며, 공자제사의 성격에 따라 춤사위 또한 각기 다른 표현 양상을 지니게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는 문묘일무는 동양무용의 시원을 이해하고 춤의 역사와 사상, 철학, 춤의 원리와 구조 등을 두루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무용으로, 본 연구가 미래의 무용학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oth Seokjeon and Munmyoilmu of Korea and Jegong and Jegongakmu of China refered to a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a dance performed at such an occasion, respectively. However, nowadays there were different cultural patterns in them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ature and current state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that had undergone changes and developments since the modern times. Chapter Ⅱ examined the origins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and its performances throughout the history. Chapter Ⅲ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in the title of Confucius shrine, the nam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the organizing agency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the names, forms, movements, methods, and positions of memorial service dance for Confucius, then presenting the results. Chapter Ⅳ examined the restoration directions and results of Korea and China since the modern times by the periods.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had evolved into a dance with different features from each other due to various factors since the modern times and that there had been different expressive styles in the dance step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natur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 KCI등재

        한국 문묘일무의 시원 연구

        유혜진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inception of Munmyo-ilmu performed at the Munmyoseokjeon of Korea, which was introduced to Goryeo along with the Daeseongaak of Sung Dynasty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s reign(1116) and settled down as a dance to express the uniqu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n a symbolic fashion. Today Seonggyungwan of Korea continues the tradition of performing both Munmu and Mumu at Seokjeondaeje, keeping the introduced tradition intact. Ilmu has been regarded as a dance title, but it is actually a dance form with certain rows and columns. It takes eight-, six-, four-, and two-line dance forms. In Ilmu, "lines" represent the social ranks as a strict custom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status. Those dance forms have existed since the ancient times, developing their complete formal system during Zhou Dynasty. The eight-line dance form symbolizes the son of Heaven as an Akmu and has become an icon to represent the utmost courtesy. It originated in Yukdaedaemu to praise the good deeds of six emperors in ancient China, becoming a foundation for Palilmu, which is the inception of Munmyoseokjeon Akmu. It took thousands of years for Ilmu to be completed as Munmyoilmu performed at a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In Korea, it also took many years before the terms of Munmyoilmu were established. The reason, place, and method of Ilmu performance are as important as the performance itself.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inception of Ilmu with a focus on the dance forms, ancient Ilmu, and position of Ilmu.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문묘석전에서 행하는 문묘일무의 유래와 그 시원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으로, 본 고에서는 일무의 형식과 일무의 위치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의 문묘일무는 고려 예종 11년(1116) 송나라의 대성아악과 함께 고려로 유입되었으며, 유가의 고유한 정통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춤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현재 한국 성균관에서는 유입된 전통 그대로를 지켜 석전대제에서 문무와 무무를 함께 춤추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그동안 일무는 춤의 이름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일무는 행(行)과 열(列)을 갖추어 춤추는 춤의 형식인 것으로, 8일(八佾)·6일(六佾)·4일(四佾)·2일(二佾)의 춤 형식을 취하게 된다. 또한 일무의 ‘일(佾)’은 신분 등급의 상징으로써 신분의 지위를 규정짓는 엄격한 법도라 할 수 있다. 이는 고대 중국의 여섯 황제의 공덕(功德)을 칭송하는 육대대무(六代大舞)에서 비롯된 형식으로, 문묘석전 악무의 시원을 이루는 팔일무(八佾舞)의 기반이 된다. 고대로부터 시대마다 왕조에 따른 각각의 악무가 제정되었고, 무위 또한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춤 형식의 전통을 이어왔다. 또한 일무가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일무로 완성되기까지는 수천 년의 세월이 흘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문묘일무의 용어가 정착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일무를 춤추는 그 자체만큼이나 일무를 왜, 어디서, 어떻게 추는지도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이를 통한 일무의 시원을 고찰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무무(武舞)의 지향점 탐구를 통한 한국 문묘일무의 독자성 연구

        박지선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3

        Munmyo Ilmu, the dance of Seokjeon Daeje, is divided into two types: Munmu and Mumu. The study begins with the study of Mumu, which is the only thing that Korea has inherited, to find out that the coexistence of Munmu and Mumu is indispensable. The aim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mu and reveal the identity of Munmyo Ilmu in Korea. In response, I searched for the direction of Mumu by linking the paintings of Munmyo Ilmu with the contents of the ancient text containing the records of Mumu. As a result, Mumu described war, but ultimately it was a dance of peace. This appears in the process of consciousness of ‘以文止武,’ which aims to establish a ruling system with virtues after establishing order by war, and ‘建櫜,’ which expresses its determination not to start another war by sealing weapons used in the war. Thus, it was revealed that political punishment was only the second best measure for the peaceful era, so that Munmu and Mumu's goals were in line. Munmu and Mumu, which look different but have the same goal, coexist in harmony between yin and yang. However, China and other Eastern countries that honor Confucius hold rituals only by Munmu. Only Munmyo Ilmu in Korea preserves the original form of dance that combines yin and yang, academic virtues and military exploits.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Munmyo Ilmu. I hope to expand our awareness of preserving Munmyo Ilmu, a Korean cultural heritage that continues its old meaning without any distortion. 석전대제의 춤인 문묘일무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는 한국만이 유일하게 전승하고 있는 무무 연구를 통해 문무(文武) 공존이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규명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무무의 지향점을 탐색해 한국 문묘일무의독자성을 밝히데 목적을 둔다. 이에 문묘일무의 무보(舞譜)와 무무에 관한 기록이 담긴 고문헌의 내용들을 연결시켜 교차연구함으로써 무무의 지향점을 탐색했다. 그 결과 무무는 전쟁을 묘사했지만 궁극적으로 평화를 추구하는 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전쟁으로 질서를 세운 후 문(文)으로 통치체제를 구축한다는 ‘이문지무(以文止武)’와전쟁에서 사용한 무기들을 봉함으로써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한‘건고(建櫜)’의 의식절차에 나타났다. 이로써 정벌은 태평성대를 위한 차선책일 뿐, 반드시 문(文)으로 귀결됨으로써 문무와 무무는 지향하는 바가 일치함을 밝혔다. 모습은 다르지만 지향점이 같은 문무와 무무는 음양의 조화를 이루며 공존한다. 그런데 중국을 비롯하여 공자를 기리는 여타 동양의 국가에서는 문무만을 제사에 올린다. 한국문묘일무만이 음양과 문무(文武)를 겸비하는 춤의 원형을 보전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 문묘일무의 독자적인 특성이다. 옛 뜻을 왜곡됨 없이 이어가고 있는 우리 문화유산인 문묘일무를 더욱 소중히 보전하고자 하는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