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관광산업 도시를 위한 유럽 도시 브랜딩

        나애리 유럽문화예술학회 2018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1

        Place branding practices start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round 1850 in the United States to attract population in rural areas, and later on for tourism purpose, especially in Europe, with famous posters of places). Only from 2010 there is a general trend to consider place branding as an emerging scientific field of study. One of the tenets of place branding posits that the struggle for attention and preference is not limited to commercial goods and services; it applies equally to geo-political entities. Countries and cities compete for tourist income, business, and often tax bases. Proponents of place branding argue that this heightened competitive environment makes it important for places, no matter their size or composition, to clearly differentiate themselves and to convey why they are relevant and valued options. Successful destination-brand management can be seen as an exercise of coordination where relevant variables; such as tourism infrastructures, quality of local services, and other destination-brand users need to be managed in order to achieve a coherent and desired destination-brand identity. Therefore, The destination branding is, in reality, a d coordination of all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estination image. City branding refers to all the activities that are undergone with the purpose of turning a City from a location into a destination. "Successful branding" can turn a city into a place where people want to live, work and visit. City branding is invariably related to the notion that places compete with other places for people, resources, and business. It is the process of image communication to a target market. City branding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employed by public administrations to intend to create city brands. It can even be considered as a governance strategy for projecting images and managing perceptions about places. City branding thus suggests that cities could be considered as brands, as long as perceived so. In this regard, many public administrations are implementing city branding strategies. 세계적으로 도시 브랜딩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도시 브랜딩 사업의 결과로 새로운 이미지의 도시들이 재탄생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오래전 부타, 국가 브랜드 및 지역 브랜드에 대한연구가 진행되었고, 유럽 국가들은 브랜드 사업에 대규모로 정책적 노력을 전개하여 왔다. 이러한유럽 도시 브랜딩 추세는 지금도 계속되고 더욱더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수백년 또는 수천 년 전부터 가지고 있는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관광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해왔으며,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행사 들을 개최함으로써 문화예술 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관광산업과 맞물려, 문화예술도시로서 거듭나려는 노력, 도시의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노력 등, 유럽 국가들은도시 브랜딩 사업에 많은 노력을 전개하여 왔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이룩한 도시들도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도시브랜딩이란 무엇이며, 도시브랜드사업이 사업이 왜 필요한가? - 유럽 도시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도시 브랜드화를 이룩했는가? - 유럽도시브랜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한 곳은 어디인가? - 관광 도시 및 문화예술도시로 브랜딩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 전개해왔는지? 브랜드란 일반적으로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자들로부터 차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독특한 이름이나 상징물(로고, 등록 상표, 포장 디자인 등)을 의미한다. 도시 브랜딩이란, 도시의 특성을 살려 그 도시를 상징화시킴으로써 도시의 독특한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도시 브랜딩의 방법으로는, 도시를 상징하는 그림이나 도안을 만들어 깃발에 달거나 도시 곳곳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었다. 마치 제품들이 고유 마크를 제품에 붙이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제품 생산자를 알려줌으로써 유사 제품을 공급하려는 경쟁자들로부터 소비자와 생산자를 보호한다. 도시브랜드 사업이 왜 필요한 지? 그 이유를 요약해보면, Globalization 글로벌리제이션에 따른 도시 간 자원 유치가 치열하였기 때문이다. 관광산업 수입이 국가 총수입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유럽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브랜딩이 이러한 관광산업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필수적인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이 제품 브랜딩을 하듯이, 도시도 브랜딩을 통해 효율적인 지역 마케팅과 지역 개발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글로벌리제이션 현상이 곳곳에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는, 관광유치, 제품 판매,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도시 브랜드화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그러면 도시를 어떠한 방식으로 브랜딩 할 수 있는가? 기업과 달리 국가나 도시의 경우에는 정체성이나 가치를 확립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국가나 도시의 경우, 브랜드 정체성이나 가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법이나 정치 제도의 구조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단위의 대대적인 노력이 필요하기도 하다. 동시에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들과의 협의와 동의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해의 조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가능하다. 도시 브랜드 정체성 확립이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기업과 달리 국가에는 여러 가지 연상이나 가치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 ...

      • KCI등재

        도시 정체성을 통한 유럽정체성 - 스위스 도시 제네바를 중심으로 -

        김유정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This paper is attempting to describe the European identity focusing on the symbolism of the city of Geneva as a European cross-border area. Historically, Geneva is a representative European city that had created a european space transcending boundaries and differences. Geneva was a European space where had been carried out the mobilize and communicate across borders from the time of the Reformation of Calvin to the 20th century of european politicians, federalists and scientists. The reason why Geneva serves as a symbolic area for the free communication transcending ideology and borders, and as a result that there are man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20th century. These derive from this historical tradition. Geneva city is deeply connected to Europe by the spirit of tolerance and freedom crossing border and transcending ideological differences. If we can see the Brussels that is to integrate Europe through European politics and European institutions. But we can consider to the Geneva such as the representative european city and space integrating through the culture and knowledge. Today, the border does not mean a ‘boundary build’ in European integration. With this point, we can emphasize that the Geneva is a representative european space showing the european identity crossing border. 본 논문은 국경을 초월한 유럽적 공간으로서 제네바 도시의 상징성에 주목하고 유럽 정체성을 설명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제네바 도시는 경계와 서로 다름을 초월하여 유럽적 공간을 창출해왔던 대표적인 도시이다. 16-17세기 칼뱅의 종교개혁 시기부터 19-20세기 유럽 정치가 및 과학자들 그리고 전후 유럽연방주의자들에 이르기 까지 제네바는 국경을 초월한 유럽 지식인들의 결집과 소통이 이루어진 유럽적 공간이었다. 20세기 유럽사에서 제네바 도시가 국경과 이데올로기를 초월한 자유로운 소통을 위한 상징적인 지역으로서 역할을 하고, 또 그 결과로 국제적인 기구가 밀집해 있는 데에는 바로 이러한 역사적 전통에서 연유한다. 유럽적 공간으로서의 제네바 도시는 지역적 경계나 문화 및 이데올로기적 차이를 장벽이 아닌 그것들을 초월한 관용과 자유의 정신으로 유럽을 연결하고 있다. 브뤼셀이 유럽정치나 유럽기구를 통해 유럽을 통합하고 있다면 유럽의 문화와 지식의 소통을 통해 유럽을 연결하고 있는 곳은 스위스 제네바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유럽통합에서 국경선이 더 이상 ‘경계 짓기’를 의미하지 않고, 경계는 서로 다른 것들과의 만남과 소통이라는 새로운 유럽적 기억을 위한 가능성의 상징이라는 점을 강조해볼 때, 제네바 도시는 분명 국경을 초월한 유럽정체성을 확실히 보여주는 곳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네스코 창조도시 연구 -유럽문화수도와 고베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권 ( Seung Kwon Lee ),노진자 ( Jin Za Noh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2

        21세기는 도시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을 견인하는 시대이다. 초기의 도시문명이 도시의 본질을 고려한 개발이었다면 산업화 이후에는 자본주의 논리에 매몰된 도시개발이었다. 이렇게 개발된도시는 자본의 논리에 의해 작동될 수밖에 없다. 산업혁명 이후 급격한 인구의 증가와 과학기술의 발달은 도시의 중요성을 배가시켰고, 자본이 요구하는 도시를 탄생시켰다. 이러한 도시에서는 도시의 역사적 공간을 보존하기 보다는 자본이 요구하는 공간을 확보하는데 정책의 우위를 두게 된다. 그 결과 도시의 형태가 변화되었고 많은 역사문화유산이 사라졌다. 오늘날까지 다양한 형태의 도시가 등장했다가 사라졌지만 인류 문명의 보고인 도시의 파괴적 개발은 지양되어야 한다. 유네스코는 도시의 문화적 자산을 공유하고자 창조도시 네트워크(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사업을 시작하였다. 유네스코는 이사업을 통해서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우리나라에도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한 도시가 있다. 2010년에는 서울시와 이천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에 각각 디자인(Design), 민속공예(Craft and Folk Arts) 분야에 가입하였다. 2012년에는 전주가 음식(Gastronomy)으로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하였다. 이들 도시는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계기로 한국의 디자인, 민속공예, 음식 등의 기술을 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세계의 다양한 도시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서 세계의 문화를 공유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이 사업은 2004년 10월 문화다양성을 위한 국제연대사업(Global Alliance for Cultural Diversity)의 일환으로 시작된 사업이다. 유네스코는 문화발전의 핵심적 요소인 창조성에 주목하고, 각 도시의 문화적 자산과 창의력에 기초한 문화산업 육성과 도시들 간의 비경쟁적인 협력을 통해서 회원국 도시들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장려하고 유네스코가 추구하는 문화다양성 증진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등을 목표로 세웠다. 현재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의 도시들이 많다. 부산은 영화(Cinema)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진행하는 광주는 미디어 아트(Media Art)를 주제로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준비하고 있다. 유네스코 창조도시 프로그램은 문화를 통해서 유럽의 통합을 이끌고자 하였던 유럽 문화도시 정책을 모델로 한 것이다. 유럽 문화도시 모델이 아랍과 아메리카를 거쳐 대한민국에 당도하였다. 광주는 미디어 아트 분야의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신청을 하여 1차 심사를 통과한 상태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4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지정을 받기도 하였다. 광주는 호남의 중심으로 광주와 전남북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광주와 전남을 지칭하기도 한다. 최근에 행정구역이 구분되기는 했지만 광주와 전남은 다른 듯 같은 지역적 특성을 가진 곳이다. 무등산과 광활한 평야, 유유히 흐르는 영산강을 공유하고, 문화적 공감대가 있는 지역이다. 타 지역에 비해 수준 높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문화예술프로젝트(국립아시아문화전당)가 진행되는 곳이다. 현재 이곳에서는 2014 동아시아문화도시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개관을 한다. 연구자는 광주에서 벌어지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동아시아문화도시, 유네스코 창조도시 등의 사업이 광주만의 사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들은 광주와 전남이 유리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에센을 중심으로 광역권 문화도시를 건설하는데 성공한 루르지역은 전남을 배후로 가진 광주가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루르지역은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유럽문화도시 사업을 진행하였지만 각각의 도시 특성을 배척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례는 광역권 문화도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종속을 우려하는 소도시 시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좋은 사례이다. 또한, 내륙에 위치한 광주가 동아시아문화도시의 한국적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바다를 배경으로 한 고베의 창조도시 사례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고베는 천재지변을 겪고 도시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시민들의 연대가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2008년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에 크게 기여하였다. 고베시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결정하고 전문가와 시민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였다. 디자인 창조도시 건설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교육기관을 설치하고 이들의 성과물을 도시디자인에 활용함으로써 시민의 자긍심을 키워주었다. 시민들로 구성된 마치즈쿠리를 통해서 창조도시 건설에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냈고, 시민들의 창의성을 자극하였다. 고베시가 가장 역점을 둔 정책은 문화도시의 시민이 가져야 할 시민의 문화적 역량, 즉 문화적 리터러시(literacy)를 향상시키는 일이었다. 고베시는 시민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고베시가 시도한 가장 대표적인 사업은 시민들이 좋은 디자인을 자주 접하게 하는 것이었다. 전문가가 아닌 일반시민의 문화예술 향유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이 사업은 디자인 창조도시의 성공을 이끌어낸 가장 중요한 사업이었다.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하기를 희망하는 대한민국의 도시들, 특히 광주전남 지역의 도시들은 성공한 도시들의 특성을 잘 살펴서 지역의 상황에 맞는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연구자는 유네스코 창조도시와 유럽 문화수도가 21세기의 아시아문화도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판단하고 루르지역과 고베시의 사례를 통해서 광주전남의 문화도시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A country’s competitiveness hinges upon its cities’ competitiveness. Up until the emergenc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cities have managed to preserve their quintessential characteristics ; however, with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the cities’ development has been drawn by a capitalistic logic. Through the combined pressure of demographic growt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cities have required capital to pave the way for their development. Due to the fact that the weight of history and traditions has been outshined by the urge for capital, public policies have come to the fore as a means of harnessing and managing the cities’ latest evolutions. While the rise and fall of cities is inevitable, we must avoid the destruc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herent to our cities. A city revitalization means selecting its most valued, representative cultural items and adapting them to a modern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creative city designation, the UNESCO has contributed to foster the renovatio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UNESCO launched the Creative Cities Network programme in order to protect their cultural ressources. In South Korea, there are also cities affiliated to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or applying to obtain such a label. For instance, Busan for its film festival and Gwangju, which is currently building an Asian cultural hub based on arts and media to boost the creative industries’ potential not only in Gwangju but also in the Jeollado province. Both cities will soon become affiliated to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But what are the actual reasons why so many countries strive to receive the honorific UNESCO creative city label? And what kinds of cities are seeking this recognition by the UNESCO? The UNESCO’s creative cities programme originated in the European cultural capitals, which have strengthened the links among themselves thanks to cultural exchanges and activities. This model has spread to Arab and American cities before reaching the shores of Asia. The present author has been searching for successful illustrations of cities preparing for the UNESCO affiliation as creative city in the Far East as well as cultural capital in Europe.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e RUHR-GEBIET region is examined as a cultural capital in Europe while Kobe .which was named UNESCO city of design in 2008- is analyzed as a creative city. I will consider how Japanese cities, which have similar urbanization processes with ours, have been selected as creative cities and how they manage them. As regards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program, it is very much similar to the policies of cultural capitals in the European Union, which aims at bringing together politics and economics through culture. The desig-nation of the Ruhr-Gebiet region as a European cultural capital in 2010 epitomizes this theory. The line of thoughts pursued by the author is that the success of the RUHR region can be followed as a model for Gwangju and Jeollado since they have similar roots. Although recently Gwangju and its surrounding regions have undergone an administrative separation ; culturally speaking, they still share a common heritage and idiosyncrasy whose symbolic backbone is the Yeongsan river. Gwangju being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Jeollado, it can work as the driving force of the creative industries’ field for the surrounding regions. Indeed, Gwangju is currently managing the East Asia Cultural City programme while preparing for the cultural hub for Asia and applying at the UNESCO for joining the Creative Cities Network. The present author do not share the view that the three above mentioned projects will only benefit Gwangju, but on the contrary, they will als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surrounding regions. Finally, as for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we will try to identify the optimal conditions for becoming a creative city as envisioned by the UNESCO and a European cultural capital, which has turned a model for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Drawing on this analysis, we will then elaborate a new model partly inspired by the littoral creative city of Kobe and the regional cultural hub of the Ruhr-Gebiet. However, Gwangju being an inland city with a distinct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we will provide a model representative of these characteristics while compatible with a broader Asian Cultural City framework.

      • KCI등재

        연구논문 : 도시 정체성을 통한 유럽정체성 -스위스 도시 제네바를 중심으로-

        김유정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국경을 초월한 유럽적 공간으로서 제네바 도시의 상징성에 주목하고 유럽 정체성을 설명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제네바 도시는 경계와 서로 다름을 초월하여 유럽적 공간을 창출해왔던 대표적인 도시이다. 16-17세기 칼뱅의 종교개혁 시기부터 19-20세기 유럽 정치가 및 과학자들 그리고 전후 유럽연방주의자들에 이르기 까지 제네바는 국경을 초월한 유럽 지식인들의 결집과 소통이 이루어진 유럽적 공간이었다. 20세기 유럽사에서 제네바 도시가 국경과 이데올로기를 초월한 자유로운 소통을 위한 상징적인 지역으로서 역할을 하고, 또 그 결과로 국제적인 기구가 밀집해 있는 데에는 바로 이러한 역사적 전통에서 연유한다. 유럽적 공간으로서의 제네바 도시는 지역적 경계나 문화 및 이데올로기적 차이를 장벽이 아닌 그것들을 초월한 관용과 자유의 정신으로 유럽을 연결하고 있다. 브뤼셀이 유럽정치나 유럽기구를 통해 유럽을 통합하고 있다면 유럽의 문화와 지식의 소통을 통해 유럽을 연결하고 있는 곳은 스위스 제네바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유럽통합에서 국경선이 더 이상 ‘경계 짓기’를 의미하지 않고, 경계는 서로 다른 것들과의 만남과 소통이라는 새로운 유럽적 기억을 위한 가능성의 상징이라는 점을 강조해볼 때, 제네바 도시는 분명 국경을 초월한 유럽정체성을 확실히 보여주는 곳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산업유산을 활용한 독일의 유럽문화수도 에센ㆍ루르지역 연구

        홍종열(Hong, Jong-youl),박치완(Park, Tchi-wa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1

        본고는 2010 유럽문화수도로 선정된 에센?루르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재생에 있어서 산업유산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라인강의 기적’을 이끌었던 독일 최대의 공업지역 루르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제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을 장기간의 프로젝트로 기획하게 되었다. 여기서 중요하게 활용된 것이 바로 산업유산이다. 본고는 엠셔파크 국제건축박람회, 졸페라인 탄광 등으로 상징되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이어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창조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는가를 살펴본다. 에센?루르는 혁신적 도시 공간에 창의적 문화콘텐츠를 보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is era of creative economy,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s a synergy effect created by cultural contents and creative city. A case for this synergy effect can be found in Essen and Ruhr region in Germany. Essen"s problem was how to recreate the industrial heritage as new cultural cont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2010 Essen and Ruhr region was an European capital of culture. Therefore, new and various views related to local culture policy can be shown through this case study. Firstly,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Essen and Ruhr region will be considered. Subsequently, it is analyzed cultural contents through industrial heritage in Essen and Ruhr region. Especially, the project determined as "Culture through Transformation- Transformation through Culture" will concretely be shown. New and various views and outlook related to local culture policy can be shown through this concrete case study. This study will give us several implications and new perspective. 본고는 2010 유럽문화수도로 선정된 에센?루르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재생에 있어서 산업유산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라인강의 기적’을 이끌었던 독일 최대의 공업지역 루르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제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을 장기간의 프로젝트로 기획하게 되었다. 여기서 중요하게 활용된 것이 바로 산업유산이다. 본고는 엠셔파크 국제건축박람회, 졸페라인 탄광 등으로 상징되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이어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창조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는가를 살펴본다. 에센?루르는 혁신적 도시 공간에 창의적 문화콘텐츠를 보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is era of creative economy,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s a synergy effect created by cultural contents and creative city. A case for this synergy effect can be found in Essen and Ruhr region in Germany. Essen"s problem was how to recreate the industrial heritage as new cultural cont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2010 Essen and Ruhr region was an European capital of culture. Therefore, new and various views related to local culture policy can be shown through this case study. Firstly,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Essen and Ruhr region will be considered. Subsequently, it is analyzed cultural contents through industrial heritage in Essen and Ruhr region. Especially, the project determined as "Culture through Transformation- Transformation through Culture" will concretely be shown. New and various views and outlook related to local culture policy can be shown through this concrete case study. This study will give us several implications and new perspective.

      • KCI등재

        유럽에서 도시와 정치

        조홍식(Hong-sik Cho) 한국유럽학회 2017 유럽연구 Vol.3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유럽이라는 문명적 단위에서 도시가 가지는 정치적 의미를 거시 역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명에서 시작하여 중세의 자율 공간으로서 도시를 거쳐, 근대 산업혁명 이후 민족국가의 도시까지 차례로 검토한다. 첫째, 고대 유럽에서 그리스 문명은 도시 국가라는 표현이 보여주듯이 도시를 중심으로 국가가 형성된 대표적인 경우였다. 달리 말해 유럽 문명의 출발점에는 도시라는 틀로 정치를 규정하는 모형이 존재했다. 도시와 정치를 연결하는 이런 기원적 성격은 향후 유럽 정치의 공간적 구조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둘째, 중세 유럽에서 도시는 지배적인 권력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는 일종의 해방공간을 의미했다. 중세의 지배적인 권력이 왕실과 성을 중심으로 형성된 영토의 세력이었다면 도시는 이들의 지배에서 벗어난 예외적인 자율공간을 형성했다. 그리고 여기서 근대 정치의 원칙을 상당 부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근대에 들어와서 민족국가가 형성되면서 도시는 다시 권력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이는 고대에 발견할 수 있었던 도시 국가의 전체적 공간도 아니었고, 중세에 있었던 영토와 대립되는 부분적 공간도 아니었다. 민족의 영토라는 거대한 공간의 중심으로서 도시가 다시 정립되는 순간이었고 농촌과의 대립이 의미하듯이 산업공간이라는 경제적 정의가 부각되는 구조였다. This article proposes a macro-historical analysis of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cities in the European civilization. I begin to examine the Ancient Greek and Roman civilizations first, then I turn to the Middle Ages and the Modern times when national states emerge progressively. I will finally analyze the contemporary cit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Ancient Europe, the Greek civilization was based upon the political form of city-state, meaning that politics was defined in the spatial framework of cities. This original relationship will have lasting influence on the future structuration of European political space. In the Middles Ages, the constellation of cities formed a kind of freedom space relatively autonomous from violent territorial states. Many of the features of modern state can be traced to this city politics of autonomous units, with basic representative institutions and independent justice. With the emergence of modern national states, the role of cities was redefined; they were neither the city-states of the Greek civilization, nor a freedom space opposed to territorial states; rather, cities have become the centers of newly created national states, centers of both political-administrative apparatus and industrial organization, thus contrasting with countryside and agriculture.

      • KCI등재

        국제적 도시 브랜드 정립 차원에서 바라 본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 연구 : 2009년도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김정호(Jung-Ho Kim),문철수(Chul-Soo Moon)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최근 옥외광고 분야에 있어서의 주요 관심 영역인 도시환경 개선 및 도시 이미지 제고 방안을 탐색해 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제로 현재 세계 각국들이 국가 이미지나 자국의 대표적인 도시 이미지를 국제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도시 브랜드 정립의 중요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 차원에서 오랜 기간 동안 진행해 오고 있는 유럽문화수도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은 지난 2009년 유럽문화수도로 선정된바 있는 오스트리아 린츠와 리투아니아의 빌니우스로서 이들 도시의 선정 과정 및 파급 효과 등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이들 도시는 유럽문화수도 선정 이후 국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문화적 부의 축적, 지역의 발전, 관광객 유치는 물론 지역민들의 자부심 향상이라는 효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도시를 매력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이 요구되며, 제반 프로그램이 전반적으로 도시생활의 품격 제고와 연계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는 교훈을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역시 국가나 도시 브랜드 제고 정책에 있어서 옥외환경 개선 및 총체적인 도시 이미지 활성화 전략 수립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and suggest policy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the city environment and enhance city image which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ubjects of research interest recently in the outdooradvertising field.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se days are striving to improve their country image and the visibility of their representative cities on an international scale. This leads to a need for an in-depth study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stablishing strong city brands.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EDOC) program, supported by the European Union, has been in place since the summer of 1985 (with the Athens being the first title-holding city). In 2009, Lintz (Austria) and Vilnius (Lithuania) were the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This paper conducted a case study of the selection process and benefits of the program on the respective cities. A thorough review of these cases demonstrates that the event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cultur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respective city, leading to increased visibility and profile on an international scale, accumulation of regional wealth,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and stimulation of increased cultural participation and pride of the residents. The review also provides valuable lessons that for such a program to succeed, the challenge lies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an innovative, differentiated program rather than adopting tried and tested ECOC models, linking the various specific programs to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quality and class of city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 needs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outdoor environment and city image improvement strategy in her country and city brand improvement efforts as well.

      • KCI등재

        도시, 자연, 환경 - 유럽 환경사의 도시환경사적 진화 -

        박혜정(Hye Jeong Par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1

        본고는 최근 유럽 환경사 연구의 분화적 성장 가운데 특별히 도시환경사로 불리는 연구 분과의 성장에 주목 하여, 관련 연구가 특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독일어권과 영국을 중심으로 그 세부적 연구주제 및 방법론을 살펴 보고자 한다. 크루첸(Paul J. Crutzen)의 ‘인류세(Anthropocene)’ 테제가 얻은 커다란 반향이 증언하듯이 우리는 환경을 이해하는 데 인간의 집단적 행위에 더욱 주목해야 할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환경사의 최근 부상은 인류세 시대 진입과 더불어 일어난 환경사의 자연스런 학문적 진화에 가깝다. 집단적 주체로서의 인간의 역량은 근대에 들어와 현저히 도시를 중심으로 형성, 매개,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근대 인간의 영향력을 도시의 영향력과 등치시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유럽의 도시환경사들 사이의 성찰적 인식, 즉 도시의 공간적 계기가 아니라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도시가 연구의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건설적인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적 요청과 궤를 함께 하여 미국과 유럽의 도시환경사가들은 도시의 환경사적 연구의 틀을 기술적인 패러다임으로부터 행위자 중심의 문화적 패러다임으로 바꿈으로써, 그 어느 때보다도 도시의 환경적 전환(urban environmental transition)에서 도시적 의사결정 과정과 사회운동과 같은 광의의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Considering the differentiated development of recent European environmental hist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sub-field called urban environmental history and looks into its distinguished subject matters and various methodologies. This kind of review is especially meaningful for us living in a new age, in which we need to pay a more close attention to human collective activities than 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sis of the Anthropocene by Paul J. Cutzen, the rise of urban environmental history directly reflects the natural academic evolution of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Anthropocene. Since the capability of human being as a collective subject has significantly been formed, mediated and intensified through the modern cities, it would not be a total nonsense to equate human influential power with urban power. In this context, the reflective argument of the urban environmental historians that cities should be studied not as a spatial momentum, but as a social actor which has a highly productive meaning. Responding to this epochal request, urban environmental historians are emphasizing the cultural factors like urban decision making or social movement by transforming the research framework from a technology-oriented paradigm into an actor-centered cultural one.

      • 논문 : 문화 ; 한국과 독일의 도시문화재생 사례연구

        오하은 ( Ha Eun Oh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4 한국어와 문화 Vol.16 No.-

        도시재생은 이제 더 이상 개발과 건축의 범위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문화적 기능, 사회적 기능, 경제적 기능을 아우르고 있다. 도시재생의 개념 안에 포함된 어메니티(amenity) 개념 역시 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종합 쾌적성을 우리에게 알려줌으로써 문화가 오늘날 가지는 중요성을 시사한다. 유럽공동체는 문화적 영역에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왔다.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은 1985년부터 현재까지 주요 문화교류정책 프로그램의 하나로 시행되고 있는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은 오늘날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어메니티 개념에 근거해서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 문화적인 생활여건이 충족되는 도시를 만들고 유럽의 특수한 문화적 산물을 개방하며 상호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유럽문화수도의 다양한 사례들 중 독일의 구동독 지역에 속했던 바이마르의 사례를 통해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도시재생사업을 보다 자세히 고찰할 수 있다. 독일 통일 후 바이마르는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허물고 다시금 새롭게 짓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간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을 보수공사 하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 갔다. 그 결과 이전부터 존재해 왔던 건물의 부분은 전통적인 느낌을 유지할 수 있었고 새롭게 보완된 부분은 현대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바이마르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이벤트를 시행함으로써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였고 그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도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었다. 우리나라 부산에서도 마찬가지로 부산을 문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모인 민간단체의 크나큰 노력이 있어왔다. 그들은 ``거리간판 이제는 바꾸자!``라는 글귀가 적힌 어깨띠를 두른 채 거리에서 간판 실태조사 및 모니터링을 하였고 식수 현장을 찾아 녹화 실태에 대한 조사에 나서기도 하였다. 달맞이 고개에 계수나무와 달맞 이꽃을 심었으며 이 운동이 발전된 형태인 도시녹화운동을 직접 관리·운영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화자원봉사자를 끊임없이 양성하였고 ``찾아가는 문화공연`` 을 펼쳤으며 ``대학생 문화자원봉사자 발족식``을 거행하였다. 이렇듯 부산은 시민참여형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문화적 역량을 결집하였고 지역방송을 통해 홍보 기능을 뒷받침하였다. 부산을 포함하여 우리나라의 다양한 도시들이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의 총체적 모습을 갖추게 된다면 그 도시는 자연스럽게 하나의 관광지가 될 것이고 끊임없이 회자되는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Urban regener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the range of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new city. It now encompasses a wider range of values, and strives to improve the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functions of the society. Amenities- tangible and intangible benefits that increase the comfort and convenien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ttractiveness and desirability of the city-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maintaining cultural aspects that are specific to the city. Although cultur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less important factor, next to the economics and politics, when reviving a city, it is currently view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is an example that followed the concept of building a culture-focused society. Throughout the history, the European Union has considered the cultural area as a major aspect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s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evolved, so too did the interests of people in choosing a location for their home. The interests have shifted from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cheap labor to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e newly reborn cities that satisfy these changes have proven that the cultural cities thrive because of synergistic effect which positively influences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political world. The benefit of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can be explained in more details through the history of Weimar, a city of East Germany.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Weimar started a new project which proceeded to maintain the whole or parts of the pre-existing buildings to protect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imar. Some parts of the buildings were renovated with modern architectural structure. As a result,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al aspects co-existed and complemented each other in the buildings and the city of Weimar. In addition, a variety of cultural performances and events were held, and thus attracted many tourists and instilled positive recognition in the mind of the citizens of Weimar. Another example of a city that sought to practice the novel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is Busan, a second largest metropolis in South Korea. Many NGOs initiated various campaigns to improve the aesthetic, environmental, education elements underlying the cultural aspects of Busan. Many cities in Korea should strive to become more desirable for residents and attractive for tourists by combining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shifting our interests and changing our priorities, not only can we make the cities in Korea outstanding cultural cities, we may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 KCI등재후보

        슬로시티 도시마케팅 사례 연구- 유럽 슬로시티를 중심으로 -

        조영호 한국관광산업학회 2018 Tourism Research Vol.43 No.1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SLOW CITY, which departed in Italy, to Korea for the first time in Asia. Now that 10 years have passed, Slow City has made a lot of changes to the City of Slow City, while evolving into the city policy of the city revitalization, tourism policy, in the city community movement of the early village community movement. However, reality is that understanding of slow city is still lacking slow city as slow activation of the village through slow contents, slow tourism.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a way to develop Korean slow city that can be applied to Korea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slow city through slow city policies and operating cases 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Slow City authentic Italy ing. As in the case where Slow City was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the island unit, cotton unit is not the community movement of the town unit, but the city's marketing dimension of the current throw It is necessary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uc- cess is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arket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c- cession and city marketing is analyzed, focusing on theories and case studies. We will try to study the European case studies of cities, such as Germany, Poland, Poland, and Torco, based on the type of city.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slow-city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As a theoretical study, I analyzed and presented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slow city 10 years theoretically. As an empirical study, I studied the slow city city policies and tourism polici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Slow City domestic and overseas. By reference to examples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slow city city marketing by city in each European country, future Korean slow city type and development direction, attractive. Try to present a strategic suggestion. 이탈리아에서 출발한 슬로시티가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 도입 된지도 10년이 흘렀다. 10년이 지난 지금 슬로시티는 초창기 마을 공동체 운동에서 도시 공동체 운동으로 도시정책이 발전하면서 슬로시티 지정 도시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하지만 슬로시티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여 슬로시티를 느림 콘텐츠를 통한 마을활성화, 슬로투어리즘 정도로 이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슬로시티 본 고장인 이탈리아 등 유럽지역의 슬로시티의 정책과 운영 사례 등을 통해 슬로시티에 대한 이해를 높여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적 슬로시티 발전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슬로시티가 한국에 최초 도입된 사례처럼 섬 단위, 면 단위, 마을 단위의 공동체 운동이 아니라 이제는 도시마케팅 차원에서 인증지역 도시 전역의 도시정책에 영향을 주는 슬로시티 도시공동체 발전방향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로시티의 발전방향을 도시마케팅 관점에서 찾아 한국 슬로시티의 목적과 방향, 슬로시티와 도시마케팅의 관계를 이론과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고, 슬로시티의 본고장인 이탈리아를 비롯해 독일, 스페인, 헝가리, 폴란드 등 유럽 슬로시티 운영사례를 유형별로 도시마케팅 차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슬로시티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인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이론적 연구로서 한국 슬로시티 역사 10년의 변화와 발전을 이론적으로 분석해 제시하였으며, 경험적 연구로서 슬로시티 국내외 현장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슬로시티 도시정책과 관광정책 등을 연구하였다. 유럽 각국의 도시별 슬로시티 도시마케팅 적용과 발전사례를 탐색하여 향후 한국적 슬로시티 유형과 발전방안, 매력적․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