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단고기』 위서론 논박 論駁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2

        한국 고대사를 담은 사서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환단고기』라는 책이 출판되고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논의가 발생했다. 대다수 국민들은 우리 상고사의 위대함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환단고기』의 내용이 기존의 역사학계의 주장과 매우 차이가 나기 때문이었다. 강단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고, 이를 입증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그러나 그들의 위서론은 역사적 사실과 상식에 어긋나고 논리적 모순을 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환단고기』 위서론의 논리를 비판하고 그 논리적 부당성을 밝히고 있다. 나아가 위서론이란 실제로 존재하는 학술적 입장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부정하기 위해 만들어낸 조작설이며 허구임을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논문은 위서론자들의 논리를 그들의 주장 내에서 비판하고, 그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해서 위서론이 어떤 가능한 학문적 주장이 아니라 허구적 내용을 담은 허구 의 논리임을 입증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Hwandangogi was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1980s, stirring much debate among historians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a field which until this time featured almost no historical records. Many Koreans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greatness of their early ancient history as a result. However, mainstream history academia hasn’t accepted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This is because the Hwandangogi presents information far different from prevailing academic theories about Korean history. Some mainstream historians contend the Hwandangogi is a forgery, and have attempted to offer evidence for their assertions. However, their arguments defy both historical facts and common senses. They are also logically inconsistent. This essay presents a critique against the logic of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ies and sheds light on the inconsistencies in their argumentation. Furthermore, the essay shows that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y isn’t a true academic position based on research; rather it is a means of argumentation concocted to repudiate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Above all, this essay is a critique on the logic of the assertions made by those who claim the Hwandangogi is an inauthentic work of history. In doing so it proves that the claims of such theorists are not based on any form of possible conclusion from the study of history, but rather on fabricated evidence for the sake of false arguments.

      • 『환단고기』 위서론의 발생과 최근 동향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979년 『환단고기』가 출간된 이후 『환단고기』는 많은 대중의 관심을 받았고 사학계에서도 이를 주시했다. 그러나 『환단고기』가 담은 고대사 내용은 역사학 계의 정통 학설과 양립할 수 없었다. 고대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다. 몇 편의 위서론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 논조와 내용은 대동 소이하며, 『환단고기』의 가치를 인정하는 다수의 학자들에 의해서 충분히 반박되었 다. 한동안 잠잠하던 위서론이 최근 젊은 역사전공자들을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었 는데, 이들은 『환단고기』의 내용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중심으로 하는 재야사학계의 정통성과 학문적 권위를 문제 삼고 있다. 정통 역사학이 아닌 유사역사학이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위서론의 성립 배경과 과정을 년대별로 살펴보고, 논박하는 한편, 최근 젊은 역사학자 모임에서 제기한 위서론을 검토 비판하면서, 위서론의 전반적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Since its publication in 1979, the Hwandangogi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general public, which interested many scholars in the historical circle. But its contents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were so unique that they could not be harmonized with orthodox theories supported by mainstream scholars. In this context, some of the scholars studying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claimed that the Hwandangogi was a forgery by presenting several papers related to the theory of forgery. However, while points and contents they suggested were very similar with one another, their claims were sufficiently refuted by the majority of scholars who had accepted the significant value of the Hwandangogi. Recently, the forgery theory forgotten for a time has been proposed once again by a group of young scholars, who this time around did not target the texts themselves of this ancient scripture but instead raised doubts on the legitimacy of non-mainstream historians and their scholastic authority. The mainstream historians derogatorily claimed that the non-mainstream historians do not deal with orthodox history but pseudo history. This paper reviews in refutation the rise and development of the forgery theory about the Hwandangogi year by year. Also, this study shows an analytical criticism on the forgery theory that was recently suggested by a group of young historians. In this way, this paper discloses the overall problematic matters involving the forgery theory and probes into the hidden motivation behind it.

      •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님을 입증하는 사료의 고찰

        이명우(Lee, Myung Woo) 세계환단학회 2019 세계환단학회지 Vol.6 No.2

        현재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재야사학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특별한 역사서歷史書로 관심을 갖고 있다. 『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에 의하여 안함로 安含老의 『삼성기 전 상편』, 원동중元董仲의 『삼성기 전 하편』, 이암李嵒의 『단군세기』, 범장范樟의 『북부여기』, 이맥李陌이 저술한 『태백일사』를 합본하여 출간한 역사서이다. 계연수의 제자 이유립이 보관하여 갖고 있던 원본 『환단고기』를 1949년 제자 오형기에게 정서精書시킨 것을 조병윤이 1979년에 ‘광오이해사’ 를 통하여 필사본 『환단고기』를 출판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환단고기』의 편찬과 전래 과정을 검토하고, 『환단고기』가 위서僞書라고 주장하는 강단사학계 일부 역사학자의 논문과 출판된 저서들의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청나라 이후 사용된 근대 용어라고 지목하는 『환단고기』에 기재된 특정 지명(예: 영고탑, 문화, 문명 등)과 역사 기술 사항 등이 위서론자들이 주장하는 사용 시기보다 더 오래전에 사용된 증거들을 찾았다. 또한, 『환단고기』에 있는 역사적 내용과 지명 등이 현재까지 잘 알려 지지 않았던 일제강점기 이전에 출판되어 현존하는 역사서와 해방 후 발굴된 유물 등과 대조하여 진위를 확인한 결과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님을 증명하였다. 특히, 조인성 등 위서론자들이 1911년 계연수에 의하여 편찬된 『환단고기』의 원본이 없다는 것을 근거로 해방 후에 만들어진 위서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주장이 허위임을 증명해주는 ‘등사본’ 『환단고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 등사본 『환단고기』는 「삼성열기三聖列記」, 「단군세기」, 「북부여기」 상, 하만 수록되어 있다. 1979년 광오이해사 출판 『환단고기』「삼성기 전 상」과 『등사본 환단고기』「삼성열기」의 원문을 비교해볼 때 문장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이 있다. 『환단고기』「삼성기전 상」은 「삼성열기」의 원문 내용과 비교해볼 때 90% 정도는 같지만 나머지 약 10% 정도 차이가 있다. 「단군세기」, 「북부여기」 상, 하에도 일부분이 수정, 추가 또는 삭제되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등사본 『환단고기』는 한문 문장에 한글 현토가 달려 있고, 「삼성열기」를 보면 문장 끝에 “李沂註曰. --”이란 주해註解가 기재되어 있어 광오이해사본 『환단고기』와 다르다. 이는 이유립이 아닌 제삼자가 소장했던『환단고기』혹은 그 저본을 보고 만든 것으로 짐작된다. 어쩌면 등사본『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가 편찬한 『환단고기』의 저본일 수도 있다고 추론하였다. 따라서 등사본『환단고기』의 존재는 기존의 광오이해사본 혹은 배달의숙본『환단고기』가 1911년 계연수에 의하여 편찬된 원본이 실재하였음을 입증하는 증거라 할 수 있다. 『환단고기』는 과거에 망실된 우리 고대사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역사서라고 판단되며, 위서론-진서론의 논쟁을 종식하고 다함께 『환단고기』를 있는 그대로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고대사에 왜곡되거나 부정확한 역사를 바로 잡아 역사 발전에 기여할 것을 제안한다. At present, 『Hwandan Gogi』 is considered as a special document by the shadow academia of historical studies, and/or general persons. 『Hwandan Gogi』 edited by Kye Yeon-soo under the supervision of Lee Ki is a combined history book composed of the first volume of 「Samseonggi」written by Ahnhamro, the second volume of 「Samseonggi」 by Won Dong-jung, 「Dangun Segi」 by Yi Am, 「North Buyeo History」 by Beom Jang, and 「Taebaek Ilsa」 by Yi Maek. This research reviewed the publication and introduction process of 『Hwandan Gog i』, and described evidences regarding the truth of 『Hwandan Gogi』. And the usage of specific terms in 『Hwandan Gogi』 (e.g. Younggotap, culture, civilization, and so on),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modern words were reviewed from documents before Qing dynasty. In addition, there are some historical contents and place names in 『Hwandan Gogi』 that are matched with those used in obscure historic books and artifacts. This finding proves that 『Hwandan Gogi』 is a rare book. Especially, the scholars, who regard it as a forged book have argued that there is no original copy of 『Hwandan Gogi』 published by Kye Yeon-soo in 1911. In this article, mimeograph edition of 『Hwandan Gogi』was introduced. This edtion is a critical evidence that demonstrate the presence of 『Hwandan Gogi』published in 1911 by Kye Yeon-soo. This copied book only includes 「Samseong Yeolgi」, 「Dangun Segi」, 「North Buyeo History」, which are a part of original 『Hwandan Gogi』, although there is no record on the authors and publicated time of this copy. The postscript in the 1979 year version of 『Hwandan Gogi』 mentions that “『Hwandan Gogi』 was supervised by Lee Ki, and some wrong contents were reviseded and re-written effortfully.” 「Samseong Yeolgi」 in the mimeographed 『Hwandan Gog i』 shows annotations by Lee Ki. It is assumed that Kye Yeon-soo’s original copy of 『Hwandan Gogi』 is based on this version which was published with annot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Hwandan Gogi』 is proved that it was published by Kye Yeon-soo in 1911, and it is not a forged book written by Lee Yoo-rip in 1970’s. The controversies over the authenticity of 『Hwandan Gogi』 between scholars in shadow academia and current professors of history in universities of Korea should be ended to elucidate the correct history of Korea. That will stimulate continuous studies on 『Hwandan Gogi』 together by correcting any false or inaccurate contents of ancient history in order to contribut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

      •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 「삼성기」 저자를 중심으로

        노종상(Roh, Jongsang) 세계환단학회 2019 세계환단학회지 Vol.6 No.2

        1911년 운초 계연수에 간행된 『환단고기』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논의가 축적되었다. 역사서로서 『환단고기』에 대한 논의도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환단고기』 자체에 대한 서지학적 측면의 논의도 진행되었다. 문제는 『환단고기』의 위서논쟁이다. 이 논쟁은 아직도 정리되지 않았다. 『삼성기』는 『환단고기』의 앞부분에 실려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안함로, 원동중이다. 위서론자들은 『삼성기』도 위서라고 주장한다. 위서라고 주장하는 근거로 위서의 첫번째 조건인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즉『삼성기』는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란 혐의를 받고 있다. 있지도 않은 저자를 조작해서 지어내었다는 것이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되는 문헌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세조 3년(1457) 5월 26일자 기사이다. 이 기사에는 “안함로·원동중 「삼성기」”라는 그의 이름과 저술명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안함로·원동중을 안함·노원·동중 3인이라고 주장한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의 근거로 제시된 다른 문헌사료는 『신증동국여지승람』 해주목 고적조 ‘수양산성’조이다. 여기에 “세상에서 전하기를 ‘옛날에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이 있어, 터를 보아 쌓았다.’ 한다.”는 문장이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3인의 이름은 『세조실록』에 나오는 이름과 한자가 조금 다르고(안함), 글자도 다르다(노원). 그러나 위서론자들은 한글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3인이 동인인물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을 근거로 『삼성기』의 안함로·원동중은 처음부터 없었으며, 조작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3인이 등장하는 기사는 역사적 사실과 무관한 내용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단지 ‘세상에서 전하는 이야기’를 옮겨 적었다고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떠도는 이야기가 안함로·원동중 조작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또한 같은 기사에는 “산성 안에 고죽군 옛터가 있다.”고 했다. 이 고죽군은 이 지역에 대한 별명으로 사용되었으나 그 배경에는 수양산, 백이·숙제, 고죽국과 관련이 있다. 고죽국은 지리적으로 중국 영평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죽국이 이 지역에 있었다는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시대의 조선유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대주의적 의식과 관계된 것으로 허상에 다름 아니다.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수양산성’ 기사에서 전체 내용을 무시하고 자기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안함·원로·동중 3인의 이름만을 갖고와서 『세조실록』의 관련기사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하고, 나아가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였다. 한마디로 전혀 역사적, 지리적 사실이 아닌 기사 가운데 이름 몇 개만 갖고 와서 자기에게 유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이 주장하는 『삼성기』 저자 조작설은 『환단고기』 위서론의 근거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를 논박치 않을 수 없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discussions about Hwandan Gogi published by Gye Yeon-su in 1911. It was discussed by the history, and also it was continued to discuss Hwandan Gogi itself by the site of bibliography. The problem is the argument about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This argument is not ordered yet. Samseong Gi (“The Annals of the Three Sacred Dynasties”) is on the front part of Hwandan Gogi. The writers of this book are Anhamro and Won dong-jung. However, the people who believe that was pseudograph have said the reason of the false writing was ‘making fake writers’. Samseong Gi has been suspected of making fake writers. The first basis of fake writers is the article on May 26th in 1457(King Sejo 3year),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article, Anhamro and Won dong-jung are appeared as authors. But the people who believe that a view of pseudograph said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Anham, Rowon, and Dongjung. The another basis is the article, Suyangsanseong in Dondkug-Yeojiseungram. There is one sentence, ‘Once upon a time, Anham, Rowon, and Dongjung prepared the ground.’ But those are different from Chines characters(Anham) and letters(Rowon). However, for the only reason that those names are similar pronunciation, they have asserted that the three men were right. They asserted that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nothing from the beginning and made counterfeitly. The article that three men were appeared in Dondkug-Yeojiseungram is unrelated to history. In this book, there is a saying ‘it was copied and written about the stories circulating around the world. So, the stories circulating can’t become a basis of those insistence. And in the same article, it says ‘there was the old site of Gojukgun in Sanseong’. But it is not true. Because Gojukgun, Gojukguk, was Yeongpeongbu in China. The people who believe that is pseudograph ignored that whole article. And they just referred to only three men’s name, Anham, Wonro, and Dongjung, only for theirs advantages. It has to be rejected that special pleading not to consider historical, geographical facts. Furthermore, their opinion, making fake writers of Samseon Gi and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ha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衛夫人 『筆陣圖』의 書法論 연구

        김지수,장지훈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The Picture of Ink Brush』 from the Eastern Jin period has become a fundamental for people practicing calligraphy today. Wei Shuo, a renowned female calligrapher often called as madame Wei, is the one to write this. 『The Picture of Ink Brush』 contains theories for studying calligraphy, strokes, and style that established consequential rules about the regular script. Therefore, this thesis investigates calligraphy theory on Wei Shuo's 『The Picture of Ink Brush』, and review the criticisms and philosophies of historically famous calligraphers as it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s of practicing calligraphy. Eastern Jin period was the most chaotic time in Chinese history. Frequent wars among subordinating countries and inner confrontations among dividend parties resulted people to move inland, and it became the central place for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In this period, people started to review the art of writing characters which formed the calligraphy theory. Meaning, people started to look upon the written characters as an artistic field to be admired, thus creating and forming calligraphy theories. However, education was not a desirable virtue for females at this time. Wei too was not allowed to learn and develop her techniques although her family had rich background for calligraphy. In fact, Wei's family had many famous calligraphers such as Wei Ji, Wei Heng, Wei Guan, and much more. When Wei Heng, the uncle of Wei Shuo, saw her secret writings, he changed his mind to allow her to study. At the tim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lessons were taught within the family which allowed Wei to absorb the flourishing amount of references and teachings considering Zhong yao, who's still a greatly respected calligrapher, is from her grandfather's generation. Although there is a debate on whether 『The Picture of Ink Brush』 is Wei's work or not, it does not lessen the importance to study about 『The Picture of Ink Brush』. First, despite the debate, it is widely accepted as hers to most scholars. Second, the work itself has tremendously affected today's calligraphy in that it describes strokes and ways to study calligraphy. Third, Wei's theory in 『The Picture of Ink Brush』 has been recognized by reviews from critics which helped underst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nd tradition. All these aspects about 『The Picture of Ink Brush』 provides reasons to investigate the work thoroughly. This study had limits on analyzing the original work since some letters were edited as it was descended down to generations.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study much since the main contents in the original work remained well. 『The Picture of Ink Brush』 clearly affected the latter generations until today, and i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본고는 衛夫人으로 알려진 東晉時代의 여류서예가 衛鑠(272-349)의 『筆陣圖』를 연구한 글이다. 『필진도』는 위부인의 서예이론서로, 예로부터 글씨를 배우는 자들이 기초이론으로 삼았다. 『필진도』는 楷書의 필수 요소들을 포함하는 學書論 ․ 筆劃論 ․ 筆法論을 담고 있다. 세간에서는 『필진도』의 眞僞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역대 『필진도』가 수록된 문헌을 살펴보면, 일부 相異한 부분에서는 상통하는 字로 변경되거나 한 두 글자 정도가 빠지고 추가되며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위부인이 『필진도』를 작성한 후 전해지는 과정에 후대 사람들이 글자를 첨삭한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진위여부를 떠나 글자의 상이함에 따른 내용은 별반 차이가 없다. 『필진도』의 구성은 내용상 學書論, 筆劃論, 筆法論 등으로 구분된다. 學書論에서는 글씨를 쓸 때 사용하는 도구와 집필의 중요성과 집필하는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筆劃論에서는 주로 ‘근 ․ 골 ․ 육’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특히 “뼈가 많고 살이 적은 것을 ‘筋書’라 하고, 살이 많고 뼈가 적은 것을 일러 ‘墨猪’라고 한다.”는 말은 후대에도 많이 회자되었다. 또한 글씨를 쓸 때 기본이 되는 일곱 가지 필획을 자연형상에 비유하여 설명함으로써 후대 ‘永字八法’의 모태가 되었다. 아울러 ‘영자팔법’은 서예이론상 매우 창조적인 학설로 남게 되어 『필진도』는 후대 서예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왕희지를 비롯한 많은 서가들이 이 이론을 인용하는 등 서예이론 곳곳에서 『필진도』의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위부인의 『필진도』는 서예 본질에 대한 이해와 서예 전통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이해하는 기반을 제공해준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도 많은 서론에 인용되어 서가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때문에 『필진도』는 서예의 전통적인 書法論을 이해하는 규범서로서 의의가 있으며, 전통 書論에 대한 인식을 提高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이 작성한 국어학 전공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적 연구

        정현숙,전경선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6 No.-

        본 연구는 외국인이 작성한 국어학 전공 학위논문 서론을 장르 분석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인이 작성한 논문과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전경선·정현숙(2018)의 ‘KL-CaRS’ 모형을 바탕으로 외국인이 작성한 학위논문 서론 장르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한국인의 것과 비교하여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이동마디’의 구성은 같았으나, 더 단순한 이동마디-단계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정형표현과 이동마디 2의 구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박사 논문의 경우, 서론의 길이와 이동마디-단계의 개수도 다르게 나타났으며, ‘KL-CaRS’ 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동마디-단계도 나타났다. 외국인이 작성한 서론 부분에는 ‘연구의 필요성 끌어내기’와 ‘가치 단계’가 없는 연구가 있었으며,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이 없거나, 무의미한 비판만 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절의 이름과 실제 작성된 내용에 차이가 나타나거나, 서론에 작성되기 적합하지 않은 내용이 있는 경우도 찾을 수 있었으며, 문장이 지나치게 길게 서술된 경우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국어학 분야에서 논문을 쓰고자 하는 외국인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roductions in Korean Linguistic these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based on Genre analysis, and to find out how it differs from same section written by Koreans.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KL-CaRS Model’ in Jun & Chung(2018), we searched for the features appearing in Korean Linguistic thesis introdu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As a result, the composition of the ‘move’ was same, but it is more simple than korean’s. Also there is some difference in formulaic expression, composition of move 2. Length and average number of move-step are also different in doctor degree thesis, and there are few steps which can’t be explained by KL-CaRS. The features and problems of move-step are as follows. There are no ‘research necessity’ and ‘value’ step, and there are only references to ‘research’, or only meaningless criticism. also, sometimes name of the section is different from what was actually written. The content to be included in body section or conclusion section appears in the introduction, and lastly, the sentence was too long.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foreigners who want to write a paper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in the future.

      • KCI등재

        단군조선 관련 재야문헌(在野文獻)에 대한 남·북한 연구 성과의 현 단계

        이도학 ( Lee Do-hack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58

        단군조선 관련 재야문헌들은 여러 종류가 있다. 이 가운데 명백히 僞書인 서적들이 상당히 확인된다. 다만 『규원사화』의 경우는 깡그리 위서로 단정하기 어려운 구석도 있었다. 그러기에 『규원사화』 위서론의 근거를 꼼꼼히 검토해 보았다. 특히 ‘文化’라는 용어의 사용 문제를 주목하였다. 그 결과 ‘文化’는 근대적 용어인 Culture의 번역이기 보다는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文治敎化’의 略語로 지목하는 게 온당할 듯하다. 그리고 단군의 중국 堯임금에 대한 治水지원 기록은 1901년에 英文월간지 『Korea Review』에 기고한 헐버트의 글에서 보였다. 그 내용은 재야문헌의 기술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줄거리는 대략 부합하였다. 따라서 『규원사화』와 같은 재야문헌은 卓上案出이기 보다는 底本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규원사화』가 1910년대에 나온 僞書라는 주장과 배치된다. 물론 헐버트의 『한국사』가 출간된 1905년 이후에 그 내용이 재야문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은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헐버트가 1907년에 추방된 이래 그의 英文저서가 유포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더욱이 재야문헌을 집필할 수 있는 이들이 英文해득 능력을 소지했을 가능성은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兩者間의 영향 관계는 상정하기 어려운 현실성 없는 추론으로 보겠다. 그렇다고 『규원사화』 위서론이 허구라는 결론은 아니었다. 바로 단군조선과 관련한 직접적인 사료가 전무한 상황에서 북한 학계의 『규원사화』에 대한 선별적 수용은 사료 이용의 폭을 확대시키려는 苦肉策의 산물로 해석되었다. 단군조선에 대한 인식이라는 大命題속에서 『규원사화』는 중차대한 비중을 점하고 있다. 그럴수록 『규원사화』에 대한 냉정한 접근이 전제되어야만 할 것 같다. 이와 더불어 남·북한 학자들 간의 적극적인 소통이 한층 긴요하다고 본다. There are several types of unauthorised history books related to the Dangun Joseon Dynasty. Of these, quite a few a fake books are clearly identified. However, there was a corner of the book, ‘Kyuewon Sahwa’ which was difficult to conclude with a fake book. Therefore, he carefully examined the grounds that the book is a fake book. Especially, the use of the term '文化.' As a result, it seems reasonable to point out '文化' as the traditional use of '文治敎化' rather than as the translation of the modern term 'Culture'. And Dangun's record of supporting water management for Chinese Yao(堯) wages was found in Hulbert's article in 1901 in the monthly 'Korea Review,' written in English. The content is not the same as the technology in the overnight civilization, but the plot is roughly aligned. Thus, unauthorised history books such as 'Kyuwon Sahwa' give rise to the possibility that the books were not made by imagination but by reference. This contradicts the claim that ‘Kyuewon Sahwa’ is a fake book from the 1910s. Of course,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Hulbert's 'Korean History' influenced unauthorised history books since 1905. But since Hulbert was deported in 1907, it may have been difficult for him to spread his English-written book. Moreover, it is hard to imagine that those who can write history books without authority had the ability to master English writings. Therefor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two is regarded as an unrealistic inference. However, it was not the conclusion that the ‘Kyuewon Sahwa’ hypocrisy was fictitious. There were no direct documents related to the Dangun vessel. In this context, the selective acceptance of the 'standardization' of North Korean academia was interpreted as a product of an inevitable way of expanding the use of feed. Recognition about the history of the Dangun dynasty is a major part of 'Kyuewon Sahwa'. More and more, a cool approach to 'nuclearization of normality'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is more important.

      • KCI등재후보

        『환단고기』위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대석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선도문화 Vol.9 No.-

        The Hwan-Dan-Go-Gi (Hwan Dan Ancient Record) is a history book that was written by Gye Yeon Su in 1911. This book includes content which might not be understood based on existing historical knowledge. In short, the spatial background is mainly focussed on areas in China and Manchuria and the temporal background is focussed on the Bae Dal Kingdom and the Hwan Guk Age preceding the Dan Gun Jo Seon Age, while the existing academic world limits the spatial background of our history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temporal background to the Three-kingdom Era. Currently, there has been great dispute over whether the contents of Hwan-Dan-Go -Gi are true or false. Scholars who think the book is filled with falsehoods, argue that the book lacks credibility based on modern terminology and unscientific records appearing in the book. It seems however, that the authenticity of records based on solar eclipses and other astronomical events,including ruins and relics excavated in modern times, warns that it is unreasonable to determine that all the contents of Hwan-Dan-Go-Gi are false. Some parts of what is argued may be based on the fact that bookmakers had to transcribe the original due to a lack of printing or publishing technology available in the past, and during the transcription some words or content might have been altered, added to or deleted. Accordingly, it may be incorrect to reject the whole content of Hwan-Dan-Go-Gi because of some problems with small areas of the book, and this should never be the outlook of a sincere scholar. We need to separate problematic content from the truth and investigate rigorously, studying objective and authentic records with a forward-looking attitude. Moreover, in the present period where there is a lack of good history books, I think it is fortunate that we have a book such as Hwan-Dan- Go-Gi, which can bring ancient history to light. The Sam-Seong-Gi (King’s history book), which comprises Hwan-Dan- Go-Gi, is a book even seen in the Su Seo Ryeong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ajima Noboru, a Japanese historian, published the Japanese-language version of Hwan-Dan -Go-Gi in 1982, judging that it is a precious book which could help bring the roots of the japanese royal family to light. It has become common knowledge that Korea’s history and native ideology has been distorted by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We need to listen to those scholars who argue that Hwan- Dan-Go-Gi is a book that can help us identify our own philosophy and history. This is the only way in which we can recover our true history and native philosophy. 『桓檀古記』는 1911년에 계연수가 편저하였다는 史書이다. 이 책에는 기존의 역사지식으로는 이해하기 쉽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즉 기존의 학계가 우리역사의 공간적 배경을 주로 한반도에 국한시키고 시간적 배경을 삼국시대부터 다루고 있는 반면, 이 책은 공간적 배경을 중국과 만주에 주로 두고 있고 시간적 배경을 단군조선시대를 넘어 배달국과 환국시대까지 두고 있다. 현재 학계에서는 『환단고기』의 진위여부에 대해 첨예하게 논란 중에 있다. 僞書論者들은 『환단고기』에 보이는 몇몇 근대적 용어나, 일부 비과학적인 기록을 근거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책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환단고기』기록에 나타나는 일식 및 여타 천문학적 기록과 근세에 발견된 유적, 유물에 근거한 『환단고기』 기록의 眞實性은 이 책의 내용이 전부 위작이라고 보기에는 큰 무리가 따른다는 것을 경고하고 있는 듯하다. 위작론자들이 주장하는 그 일부 내용들은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즉 옛날에는 인쇄 또는 출판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에 필사할 수밖에 없는데, 그러한 필사과정에서 일부 단어나내용이 첨삭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따라서 극히 일부의 내용이 문제가 있다고 해서 『환단고기』전체 내용을 부정하는 것은 큰 오류를 범할 수 있으며, 진정한 학자의 자세가 아니라고 본다. 문제가 될 만한 내용은 내용대로 연구하고, 객관적으로 진실성이 높은 기록들은 전향적 자세로 깊이 연구해야 한다. 가뜩이나 史書의 절대 부족을 느끼는 작금의 현실에서 우리의 상고사를 밝혀줄 수 있는 『환단고기』같은 책이 존재한다는 것에 감사해야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을까?『환단고기』를 구성하는 「三聖紀」는 「조선왕조실록」 수서령에도 포함된 책이다. 일본의 사학자인 가지마 노보루는 『환단고기』가 일본의 천황가의 뿌리를 밝혀줄 수 있는 귀한 책이라고 판단해서 1982년 일찌감치 일본어 번역본을 출판했다.

      • <삼일신고> 위작설 비판

        유철(Chul You) 세계환단학회 2023 세계환단학회지 Vol.10 No.2

        <삼일신고>와 <천부경>은 그 출현시기가 일제강점기였기 때문에 그 진위여부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두 경전 모두 출현과정이 대종교와 관련되면서 대종교의 단군신앙과 관련되어 창작되었을 수 있으며, 당시 일제의 억압을 받던 시기에 민족의 역사적 자긍심을 일깨우기 위해 만들어진 경전이라는 주장들이 있었다. 일명위작설이다. 위작설이 이러한 근거를 갖는다면 이에 대해 논리적, 사실적 비판을 통해 더 이상 위서론이나 위작설이 퍼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논자는 <삼일신고>의 출원과 전수과정, 판본들을 검토한 후, 다양한 위작설을 알아보고 그 위작설의 논리와 근거를 비판하여 위작설 자체가 의도된 것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Because the Samilshingo and Cheonbugyeong appea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ere lots of controversies over their authenticities. There were claims that both scriptures may have been created in connection with Daejonggyo's Dangun faith as their emergence process was related to Daejonggyo, and that they were created to awaken the nation's historical pride during a period of oppression by Japanese colonial rule. It is a so-called forgery theory. If the forgery theory has this basi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forgery theory or forgery theory from spreading further through logical and factual criticism. After reviewing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versions of Samilshingo, I examined various forgery theories and criticized the logic and basis of the forgery theories to reveal that the forgery theory itself was intentional.

      • KCI등재

        단군 48대 왕조사 자료 발굴과 그 의의-민중의 손으로 쓰여진 한글본 민간사서로서의 의의를 중심으로-

        임채우 ( Lim Chae-w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필자는 최근 『단군 기자 신나 고구려 제 고려 리조』라는 제목을 가진 작은 필사본을 발견하였다. 이 책의 구성을 보면 전반부는 천지창조 신화에서부터 시작해서 단군 48대 왕조사와 기자조선의 왕조를 기술하고, 후반부는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역사를 왕조 중심으로 기술하였는데, 마지막에는 이완용에 의해 한일합방이 되는 사건까지 기록되어 있다. 필체나 종이의 재질로 볼 때 일제강점기 혹은 20세기 중반에 민간에서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책의 표지는 『단군기자신나고구려제고려리조』라고 적혀있는데, 단군·기자·신라·고구려·백제·고려·이조의 7왕조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서라는 뜻으로 보인다. 이 책은 다음의 두가지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독특한 천지창조의 신화를 수록하고 있다. 그래서 천지가 창조되면서 맨 처음에 인황씨가 나오고, 그 다음에 지황씨 천황씨가 나오고, 그 다음에 중국의 삼황오제가 등장한 다음에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에 단군이 나와서 왕이 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둘째는 단군 48대 왕조사를 기술하고 있는데, 기존의 『규원사화』나 『환단고기』의 왕호(王號)와 다르며, 치세의 내용 및 재위 연도가 다르다. 특히 『규원사화』의 47대 단군역사와 조대수만 비슷할 뿐, 전혀 다른 내용이 우리말로 수록되어 있다. 이번에 발굴된 이 책은 비록 『규원사화』나 『환단고기』보다는 내용과 체계가 소략하지만, 단군을 포함하면 총 49대의 왕이 등장하는 점에서는 최장의 단군왕조사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순한글로 쓰여졌다는 점에서 민중의 손으로 쓰여진 단군 상고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47대 왕조사가 일제강점기에 처음으로 조작되었다는 일부 학자들의 위서론(僞書論) 주장과는 달리, 이미 47대 혹은 48대 단군왕조사에 대한 인식이 일제강점기에 상당히 유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채택할 수 있다. I have recently come across a small manuscript entitled “Dangun Gija Sinna Goguryeo Je Goryeo Lijo”.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it describes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starting from the creation, dynastic history of Dangun with its 48 kings and history of Gija Joseon. The latter describes history from the three kingdoms of Korea, Goryeo and Joseon focusing on dynasties. The book records up to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y Lee, Wanyong. Based on the handwriting and material of the paper, it is assumed that the book was written by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r the mid-20th century. The title on the book says “Dangun Gija Sinna Goguryeo Je Goryeo Lijo”, which would imply that it is a history book focusing on history of seven dynasties: Dangun, Gija, Silla, Goguryeo, Baekje, Goryeo and Joseon. This book can be considered to have value as historical record in two points. First, it contains very unique version of creation myth. According to this book, the Human Sovereign comes out after creation of the heaven and earth. Earthly Sovereign and Heavenly Sovereign comes out afterwards, followed by three sovereigns and five emperors. After that, Dangun becomes king under the Korean birch tree at Mountain Taebaek. Second, the book describes dynastic history of 48 kings in Dangun Joseon era. However, the names of the kings as well as their time of reign are different from that of Gyuwon sahwa and Hwandan gogi. In particular, the book contains entirely different version of history of the Dangun dynasty with only similarity between them being the number of kings. The book is simple in content and system when compared with Gyuwon sahwa and Hwandan gogi.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as the longest history of Dangun Dynasty with appearance of 49 kings including Dangun. Also, it can be regarded as the ancient history of Dangun written by the people, as it was written only in Korean alphabet. Further, as a refutation of the pseudograph theory argued by some scholars that claims the dynastic history of 47 kings was fabricat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book can serve as evidence that the recognition of Dangun’s dynastic history of 47 or 48 kings was already quite popular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