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정인의 ‘동・서 통섭(通涉)’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익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Professor Kang Jung In became renowned for his specialty in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t the beginning. Later, for the consilience of East and West, he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the Eastern political philosophy with an endeavor for the recovery of its due respect. Especially he focused on the Confucian political thoughts that earned him two academic achievements. First, Prof. Kang conceptualized ‘the great consensus democracy’ by unearthing related materials. While previous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narrowly to the great consensus that appears in the Book of Rites, he noticed that ‘the great consensus(大同)’ appears in the Book of Document’s Hongbeom Chapter as well, and finally theorized the concept as a democratic model. Second, Prof. Kang found that Yulgok had renovated the Book of Rites’ concept of ‘the great harmony(大同)’ in his treatise, Seonghakjibyo (Collection and Summary of Sage Learning). Prof. Kang revealed the difference in conceptions of the great harmony between the Book of Rites and Seonghakjibyo, of which previously unaware by scholars. Although he was arbitrary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to some extent, it is his contribution that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ceptions came into our view. 강정인은 본래 서양 정치사상을 공부하여 입신(立身)하였으면서도, ‘동양과 서양의 통섭(通涉)’을 기치로 내걸고 동양 정치사상에 대해서도 열심히 공부하면서, 동양 정치사상에 대해 정당한 위상을 부여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강정인은 특히 유가 정치사상을 공부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마침내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선보였다. 논자는 강정인의 유가 정치사상에 대한 연구 성과 가운데 특히 다음 두 가지를 높이 평가한다. 첫째는 서경 <홍범>의 ‘대동(大同, great consensus)’이라는 용어를 주목하고, 그와 관련된 자료들을 적극 발굴하여 ‘대동 민주주의의’라는 개념을 정립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 예기 의 대동’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는데, 강정인은 ‘ 서경 의 대동’을 주목하고 마침내 ‘위대한 합의(great consensus)로서의 대동 민주주의’라는 개념을 정립하게 된 것이다. 둘째는 율곡이 성학집요 <성현도통(聖賢道統)> 편에서 예기 의 ‘대동(大同, great harmony)’ 개념을 혁신했다는 사실을 간파해낸 것이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율곡의 대동에 대해서도 막연하게 기존의 대동 개념을 계승하는 것으로만 생각해왔을 뿐, 양자가 어떻게 다른지를 주목하지 않았었다. 그런데 강정인은 예기 의 대동 개념과 성학집요 <성현도통> 편의 대동 개념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간파하고, 그 차이를 정확하게 분석해낸 것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강정인이 이러한 논의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원전의 자료를 지나치게 작위적(作爲的)으로 해석했다고 느껴지는 경우도 없지 않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