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의 위기와 극복 역량에 관한 연구: 부모ㆍ교사 FGI를 중심으로

        강지현,하혜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risis phenomena and crisis risk factors and crisis overcoming capacity regarding the overall experiences of early adolescents and crisis experiences and how to overcome them with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of early adolescents and teachers who guide early adolescents. For the present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ed interviews with 6 parents of early adolescents and 10 tea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study found that early adolescents’ interests incl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opular culture, smartphone and online culture, studies and careers, and other areas. Crisis phenomena linked to these interests were divided into studies, career path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anges in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othe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risk factors for the crisi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adolescent transition period, parental factors, teacher factors, social factors, and the school system. Lastly, the competency for overcoming crisis was divided into the areas of psychological competency, relational capacity, and personal tast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se results is, first, the interest of early adolescents and the contextual connection of early adolescents’ crisis phenomena, second,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concerns about ‘child-adolescent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hird, the role and weight of parents and teachers involved in both crisis risk factors and crisis overcoming capacity in early adolescence. 이 연구는 초기 청소년을 자녀로 둔 부모들과 초기 청소년을 지도하는 교사들이 참여하여, 초기 청소년의 경험 전반 및 위기 경험과 극복에 대하여 크게 위기 현상 자체와 이러한 위기를 촉진하는 위험요인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대상별 위기극복 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기 청소년을 자녀로 둔 부모 6인과 교사 9인을 초점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청소년의 관심사는 대인관계, 대중문화, 스마트폰 및 온라인 문화, 학업 및 진로, 기타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관심사와 연결되는 위기현상은 학업, 진로, 대인관계, 아동-청소년 전환기적 변화, 기타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위기의 위험요인으로는 아동-청소년 전환기적 특성, 부모 요인, 교사 요인, 사회적 요인, 학교 체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위기 극복을 위한 역량은 심리적 역량, 관계적 역량, 개인적 취미의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의의는 첫째, 초기 청소년의 관심사와 초기 청소년의 위기 현상의 맥락적 연결성, 둘째, ‘아동-청소년 전환기적 변화’와 특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우려, 셋째, 초기 청소년기의 위기의 위험요인과 극복 역량에 모두 관여하는 부모와 교사의 역할과 비중에 대한 인식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소방구급대원의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김요완,김현아,채정민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7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소방구급대원의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팬데믹 전, 소방구급대원들이 위기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지,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위기 인식은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한 개인적인 위기는 무엇이었는지, 가족, 직장, 부처 등그들이 속한 체계(system)에서 경험한 위기는 무엇이었는지, 어떻게 위기에 대응하였는지,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소방 조직, 방역 당국에 요구하고 싶은 개선점은 무엇인지 등 6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자들은 9명의 소방구급대원을 심층 면접한 후 질적연구방법 중에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연구의 객관성, 신뢰성 확보를 위해 삼각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로, 89개 의미, 42개 주제, 12개주제 모음, 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주제 모음은 ‘팬데믹 전 위기 인식’, ‘신체적 위기’, ‘정신적 위기’, ‘관계적 위기’, ‘소방 조직 내 위기’, ‘제도적 위기’, ‘신체적 위기 대응’, ‘정신적 위기 대응’, ‘관계적위기 대응’, ‘소방 조직 내 위기 대응’, ‘소방 조직 내 개선사항’, ‘제도적 개선사항’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연구의 한계,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crisis experiences of fir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 personne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6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foucing on pre-pandemic crisis perceptions; changes of perceptions; personal crises; systemic crisis including family, workplace, and ministry; responses to these crises; and desired organizational and authority improvem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9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riangulation was conducted ensuring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d 89 meanings, 42 themes, 12 theme clusters, and 2 categories, including theme clusters such as pre-pandemic crisis awareness, physical crisis, mental crisis, relational crisis, crisis within the organization, institutional crisis, physical crisis response, mental crisis response, relational crisis response, crisis response within the organization, improvement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Based on this, discuss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양대 경제위기와 달러화 현상: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사례 연구

        나희량 ( Hee Ryang Ra ) 한국동남아학회 2011 동남아시아연구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 경제위기(1997-2000)와 글로벌 경제위기(2007-2010)의 양대 경제위기 이후 진행된 동남아시아 지역의 달러화 현상에 대해 후발국이면서 체제전환국 성격이 강한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로하스-수아레즈(Rojas-Suarez 1992) 모형을 활용하여 양대 경제위기의 위 3개국의 달러화 현상에 대한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 모델에 의하면 경제위기는 자국화폐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려 자국 화폐가치에 대한 예상평가절하율(예상환율상승률)이 크면 클수록 자국화폐 대비 달러화에 대한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 결과 아시아 경제위기의 경우 모델의 예상대로 자국 화폐의 예상평가절하 시 달러화의 수요를 나타내는 탄력성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국가별로는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의 순서로 탄력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각 국의 달러화 수준과 비례하는 결과이다. 이에 비해 글로벌 경제위기의 경우에는 캄보디아를 제외하면 탄력성 계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캄보디아의 경우에도 탄력성 계수가 아시아 경제위기의 경우에 비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달러화 현상에 있어서 아시아 경제위기에 비해 글로벌 경제위기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글로벌 경제위기의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기존의 연구들의 주장과 일치한다.

      • 대안가정공동체 위기 청소년의 변화경험 연구

        강호인,여한구 한국상담전공대학원협의회 2019 융합상담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대안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살 펴보는 것으로, 대안가정공동체 청소년의 변화요인과 과정을 이해하려는 목적이 있다. 대안 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들의 변화경험을 이해하고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기 위 해 지오르지(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경기도 B시 소재 e공동체에서 2년 이 상 생활한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분석결과 대안가정공동체에 입소 청소년의 변화경험은 167개의 의미단위, 22개의 하위 구성요소, 7개의 핵심 구성요소로 범주 화하였다. 핵심구성요소는 <열악한 가정환경>, <위기경험>, <기회선택>, <적응갈등>, <변 화의지>, <변화경험>, <새로운 목표가 생김>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대안가정공동체 에 입소한 청소년의 위기경험은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상황 에서 e공동체 입소와 적응갈등을 통해 변화의지가 생기고 변화경험을 하였다. 참여자들의 구체적 성장과 변화를 촉진시킨 힘과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은 생활습관, 학업습관, 관계, 신앙생활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열악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돌봄의 부재 속에서 위 기경험을 한 청소년이 대안가정공동체를 통해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개입, 돌봄, 교육을 통 해 긍정적 변화경험이 나타났다. 이에 대안가정공동체가 안전한 울타리가 되면서 위기청소 년들의 삶의 전환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환경변화에 따른 가정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목 회적 가정공동체 운영에 대한 긍정적 적용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사회를 위해 기독교 교 회가 청소년들을 위한 가정공동체 적용의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amine the evolving experiences of several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m while living in this alternative home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ir evolving process. To understan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and to elucidat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10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been living in the E community based in B city, Gyeonggi Province for 2 years or longer were surveyed according to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at the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167 meaning units, 22 subcomponents, and 7 core components. The core components are comprised of poor family circumstances, experiencing a crisis, choosing an opportunity, adaptation and conflict, the will to change, experiencing a change, and achieving a new goal.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crisis in adolescents who entered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started from poor family circumstances. In moments of crisis, they gained a will to change through adaptation and conflict after entering the E community and experienced a change. The strength that stimulated the concrete growth and change in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evolving experiences in these adolescents in crisis were demonstrated in their daily habits, study habits, relationships, and religious lives. This study found that the adolescents, who underwent a crisis in the absence of care due to their poor family circumstances, demonstrated positive evolving experiences through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 care, an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in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is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became a safe refuge for adolescents in crisis and a turning point in their life.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include this type of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ies for families and adolescents going through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is valuable for the Korean society in that it is the foundational study that examines the Christian church’s application of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for adolescents.

      • 대학생의 위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춘택(Kim, Choon-Taik) 한국복지행정학회 2014 복지행정논총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 후 드러나는 현상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 위기의 현상은 어떠한가 2) 위기의 순간 그들의 변신, 중요한 타자는 무엇이며 적응양식은 무엇인가 3) 그에 따른 일상생활의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이다. 이와 같은 사실을 종합하여 볼 때 위기에 대해 대학생들이 느끼는 현상의 핵심주제는 ‘믿기지 않는 현실에 무력감과 답답함과 원망 분노를 느끼고, 점점 잊혀져가는 현실에 체념하지만 그들을 위해 무언가를 하려는 의지’로 요약된다. 중요한 타자는 사회적 약자를 도우려는 의지를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의식이다. 대학생들은 전환(turning point)을 통해 큰 변신(alternation)을 했다. 대수롭지 않을 것이라는 사고가 엄청난 사고라는 사실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적을 바라는 마음과 시간에 따른 현실에 대한 체념이다. 기적을 바라지만 해결되지 못하는 현실에 체념하는 것은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한 적응전략이다. 사회과학적 함의는 일상적인 문제를 넘어서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일반치료이론보다 위기에 대처하는 개입방법이 필요하다. 그러한 치료를 위해서는 현상에 대한 본질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explain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risis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the psychological phenomenology on Sewolho. The questions of study are as followings. 1. What is crisis’ psychological phenomenology? 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 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The core phenomenon in crisis can be summed up as ‘though they feel powerlessness, stuffiness, resentment, anger about unbelievable reality, and giving up their will, they have their will to do something for victims’. Important others is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to help the social weakness. University students have alternation through three turning points. Unbelievable accident, mind to hope miracle, and giving up the reality. Though they hope miracle, giving up their reality is the strategy to adapt and live in reality. Social welfare implication is that the fact that emergency needs emergent therapy above common therapy, and we need the essential analysis on phenomenology to treat crisis clients and survivals.

      • KCI등재

        한국의 外換危機는 필연적이었는가?

        朴東淳,金圭漢 한국금융연구원 2001 韓國經濟의 分析 Vol.7 No.3

        한국의 외환위기를 다룬 과거 대부분의 국내 논문들은 한국에서 외환위기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 것들이었다. 그리하여 이론적 모형에 의존하여 외환위기 발생원인을 사후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둠으로써 사전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외환위기가 방지할 수도 있었다는 사실을 도외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의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국의 외환위기가 기초경제여건 악화 등 구조적 취약성에 기인한 필연적 산물이었는지 아니면 피할 수 있는 경제정책 등의 과실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경상수지적자 지속 등 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하였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1997년중에 해외투자가들이 요구하였던 기업 및 금융구조조정을 어느 정도 실시하였더라면 금융 및 외환시장이 다소 불안했을 가능성은 있었으나 해외 금융기관의 무차별적인 자금회수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며 따라서 외환위기는 사전에 방지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1997년 당시에 국제 금융기구, 해외투자기관, 국제신용평가기관 등은 한국이 안고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 및 금융구조조정이 필수불가결함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여 왔으며 이는 외환위기 발생 직전까지 계속되었다. 물론 기업 및 금융구조조정의 불가피성에 대해서는 해외 금융기관 및 학자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최고 정책결정권자에서부터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권말기의 레임덕 현상에 따른 책임회피, 정책추진력 저하 등으로 인해 자발적인 기업 및 금융구조조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1997년 중반 이후에 집중된 경제안정화를 위한 정책조차도 시장원리가 아닌 정치논리 내지는 국민정서에 따라 국내의 시각에서 단기 대중적으로 수립ㆍ수행됨으로써 국제금융시장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였으며 정책실시의 시기를 계속 놓침으로써 외환위기가 발생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구조조정 부진이 정권말기의 레임덕 현상에만 기인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면밀하게 분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Krise und Perspektive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Kim, Young Zu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1 No.-

        (친애하는 타이완의 독문학자 여러분 ! 우선 이 학회에 저를 초대해 주신 것에 대하여 감사합니다. 저는 여러분들에게 한국독문학을 소개하게 된 것을 특별한 명예로 생각합니다. 저는 먼저 한국의 독어 및 독문학에 대한 간단한 역사적인 고찰후에 한국독문학의 위기현황과 그 전망에 관하여 발표하겠습니다.) 한국의 독일어교육은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구한말 시대의 고종황제의 외무부참사관으로 근무하던 독일인 묄렌도르프가 조선의 근대화작업의 일환으로서, 독일어통역관을 양성하기 위해 1898년 독일어학교를 설립하면서 그 초석이 이루어 졌다.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점령시대에 독일어는 한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제 2 외국어였다. 그 이유는 독일과 돈독한 우정관계를 지닌 일본의 문화정책의 덕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제 2차대전이후의 1970년, 1980년대는 한국의 경제부흥이 이루어진 시대인데, 경제적 이해관계 때문에 여러 가지 제 2 외국어, 즉 불어, 중국어, 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외국어교육이 활성화되었다. 90년대 중반부터는 제 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의 최우위의 위상은 일본어와 중국어에 그 자리를 양보하게 되었다. 한국의 독어독문학은 해방 후 1945년으로 거슬러 시작된다. 1946년 서울대학교에 최초의 독어독문학과가 설립되었다. 이어 1950년부터 53년까지의 한국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학문적 발전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였다. 그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독어독문학과는 유능한 교수들이 독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독문학과의 확실한 기틀을 잡고 후진양성에 힘을 기울이면서, 학문발전에 박차가 가해졌다. 특히 80년대부터 정부의 부양정책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독어독문학과가 더욱 많이 성립되었고, 독어독문학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1995년부터 한국의 독어독문학은 학부제라는 이름의 교육개혁이 실시된 이래, 위기상황에 내몰리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가 도래한 원인은 세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 이미 언급한 교육부의 학부제개혁이다. 이는 교육을 시장논리에 근거하여 해석한 것으로 한국사회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문제성을 내포하고 있다. 둘째, 독어독문학과 졸업자의 미래 직업에 대한 불투명성이다. 한국내의 독일계 회사들조차도 독일어보다 영어능력을 우선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독어독문학과의 학생들을 위한 취업의 문은 더욱 좁다. 셋째 한국사회의 미국화 현상이다. 세계화시대에 돌입하면서 한국사회에는 세계화가 곧 미국화로 잘못 오인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각 나라의 문화는 단점과 장점을 갖고 있고, 미국문화 역시 예외는 아닐 것이다. 맹목적인 미국문화 신봉은 경계하여야 할 것이다. 미국문화일변도에 젖은 신세대는 독어독문학에 매료될 정서적, 정신적 여지를 갖고 있지 않다. 이러한 위기상황에 처한 독어독문학의 현황에 대해 본인은 다음과 같은 전망을 논의하고 싶다. 첫째, 독어독문학과 자체 내에서의 자구책이 필요하다. 이에 관해 이미 많은 학회에서 논의한 바대로, 독어독문학의 커리쿨럼의 재구성이 요청된다. 그 커리쿨럼의 핵심은 독일어능력을 더욱 활성화하여 직업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는데 있고, 또 문화학의 영역을 넓혀 가는 길, 그리고 학생들에게 번역의 기술을 터득시키는 길 등이 있다. 둘째, 세계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다. 세계화란 어디까지나 자국 내에서 세계문화를 다양하게 꽃피울 수 있고,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어야 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독어독문학자들은 세계화의 올바른 인식을 위한 사회분위기 조성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셋째,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번역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번역은 문화를 전달하는 전달자의 역할을 지니고 있으므로 독어독문학을 한국사회에 더욱 널리 전달함으로써 독문학자의 역할이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제 1 외국어인 영어의 실력이 전 국민에게서 현저히 상승되어 있고, 그 유용성이 실제보다 더욱 극대화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제 2외국어인 독일어교육은 그들의 영어실력을 이용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독일의 문화정책이 한국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독어독문학과 학생들에게 전원 약 6개월 내지1년 간의 독일체재의 기회 등으로 학생들을 고무시키고, 학생들의 어학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독일의 이미지갱신이다. 전 세계에 나치를 주제로 한 영화가 많고. 한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독일의 이미지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국의 독문학자들은 노력하여야할 것이다. "위기는 기회이다" 라는 한국인의 생활철학이 있다. "위기는 기회이다" 라는 한국인의 생활철학이 있다. 달이 기울면 다시 차듯이 인생의 여정에는 위기다음엔 반드시 흥성기가 오는 법이다. 우리는 독일문화와 독일언어의 전달자로서의 기쁨과 고난을 같이 나누는 친구들이다. 우리 결코 현재에 낙망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좀더 적극적이며, 낙관적인 사고를 지니고 우리의 위기를 타파하도록 힘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테면, 독문학을 연구하는 후학들의 수효가 적어지지 않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후학들이 없다는 것은 긴 눈으로 보아 가장 큰 위기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괴테, 쉴러, 헤르만 헤세, 토마스만, 하인리히 하이네... 등 독일문화와 문학에 매료되어 있는 한, 독일문학은 꽃피워질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위기대상자를 위한 공공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강화 전략에 관한 연구

        최말옥 대한지방자치학회 2015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4

        2008년부터 공공에서 지역사회 위기대상자들에게 맞춤형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하여 통합사례관리를 실시하였으나 아직도 공공의 통합사례관리와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위기대상자를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위해서라도 통합사례관리와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공공의 통합사례관리사들이 경험하는 사례관리를 통하여, 어떻게 지역사회의 위기 대상자를 위하여 통합사례관리와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9명의 통합사례관리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수퍼비젼을 통한 녹취록과 일지를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사례관리사들은 사례관리 경험을 통하여 지역사회위기 대상자들을 ‘변화 가능한 사람’으로 인식의 전환이 있었으며, 통합사례관리는 ‘공공의 사례관리의 한계’가 있으므로 지역사회위기대상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민과 관의 협력을 통한 통합사례관리’를 하는 것을 전략으로 바라보았다.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강화를 위한 전략으로는 초기에는‘대상자와 인간관계 맺기’를 잘하여야 하며, 업무가 진행 될수록 ‘전문성의 강화’와 ‘소진에 대한 예방과 대처방안을 마련하기’, ‘지원시스템 강화’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변화하는 대상자를 통해 ‘사례관리에서 희망찾기’가 그들의 기능을 강화하는원천이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위기 대상자들을 위한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의 핵심주제는 ‘인간에 대한 깊은 신뢰를 가지고 포기하지 않고 끈기 있게 변화의 가능성을 향해 함께 나아가는 친 구되기’ 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통합사례관리사의역할을 기능강화의 측면에서 규명하여 실천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있다고 하겠다. Public integrated case management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goal of satisfyingdesires, independence and improvement of life of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However, people with risks still take their own lives in reality. The reason is not lackof proper services but lack of reach of helps to blind spots. Accordingly, the studyaims at exploring meanings of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which areexperienced by public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public case management, and howto enhance functions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its manager for people withrisks in local society. For this, by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in-depth interviews and supervision on 9 integrated case managers were conducted,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records and diaries on theinterviews and supervision. As a result, the managers changed their own perception on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from the ‘subjects under my perception’ to ‘peopleavailable for change’. And for case management, even though it has features of both‘private case management’ and ‘public case management’, there is ‘limit of public casemanagement’ and it seems to be appropriate that public ‘integrated case management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sectors’ in order to satisfy variousdesires of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For strategies to enhance functions ofintegrated case managers, in initial phase, they ‘should be good at befriending withthese people’, and as their jobs are mature, they should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prepare prevention and responses on exhaustion’ and ‘strengthen supporting system’. First of all, through changing people with risks, ‘to seek hope in case management’ isan origin to reinforce their functions. Through this, core topic of strategies to enhancefunctions of integrated case managers for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is ‘to havedeep trust for human being and to become friends who progress patiently togethertoward possibilities of changes without giving up. The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in aspect of establishment of practical strategies of enhancement of functions ofintegrated case managers.

      • KCI등재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에 대한 고찰

        왕효령(王曉玲),박희제(Bak Hee-J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4 과학기술학연구 Vol.4 No.2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큰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른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의 내용과 그 배경을 살펴본다. 지금까지 언론과 과학기술계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에 대한 논의는 그 원인과 과정에 대한 논의는 도외시 한 채 결과적인 현상에만 주목하여 중국을 부러움의 대상으로 부각시켜왔다. 그러나 이 논문은 중국의 이공계 강세현상은 사회주의 국가건설과 문화혁명이라는 중국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임을 보여준다. 사회주의 교육개혁이 중국사회에 인문사회 교육은 무용지물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면 문화 대혁명은 한걸음 더 나아가 인문 사회계열의 학문을 공부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위험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은 매우 극단적인 정치적인 결정에 의해 형성된 기형적인 현상으로 정치에 의해 강요된 학문의 위계질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 다. 또한 이공계 출신의 고위 공직자 비중이 높은 것도 이들이 대학에서 인문사회교육을 충실히 받았거나 이공계 졸업자에 대한 정책적 우대 때문이라기보다는 중국의 정치체제 특히 중국공산당의 독특한 인사제도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대한 이해 없이 결과적인 현상에만 주목하며 중국의 예와 한국의 예를 비교하는 것은 이공계 위기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진단에 큰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Korean scientific community has recently argued that, in order to attract talented young people 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more ranking positions in the governmental office should be filled in by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In this context, a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hinese case wher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have taken the highest places in Chinese political hierarchy.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salie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 modem China. A closer examination shows that the salie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was resulted by the distinct historical experiences of China-the socialist reform of higher education system and Cultural Revolution. The former shaped the social conviction tha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less useful tha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The latter even spread the idea that majoring in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run the risk of political oppressions. Thus, the salie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 China is a social phenomenon reflecting an academic hierarchy forced by the radical politics of modem China. Also, the higher propor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in the raking governmental officers has been resulted by a unique Chinese political system, in particular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at emphasizes practical experiences after college graduation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posi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in China and Korea without taking account of such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may therefore mislead our understanding of the cause of and counterplan to the decreasing popular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 조망

        김경중,최대훈,윤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view of the Korean child care crisis problems and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diagnosed and analyzed serious risk factors on disaster and safety and provided prospects for future development in this area. Problems and issues of safety-disaster management in Korean child care are 1) discrepancy between policies and fields, 2) problems in laws, 3) problems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s, 4) problems in safety educations, and 5) child abuse and SIDS. Further suggestio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re to improve treatment of nursing teachers, amendment of related laws on safety, and development of more applicable and concrete manuals for disaster management.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보육이 처한 위기적 현상들을 직시하고,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 한국의 보육이 당면하고 있는, 재난안전에 관한 심각한 위험요소들을 분석 진단하고 발전적 개선방향을 모색 하였다.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으로 첫째 보육현장을 간과한 보육정책, 둘째 법제적 측면에서의 문제, 셋째 행정적 관리체계의 문제, 넷째 재난안전교육의 문제, 다섯째 영아돌연사증후군(SIDS)과 아동학대 등을 조망할 수 있었다. 문제의 본질은 보육의 위기적 현상을 초래한 정부의 보육정책과 행정의 논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인지함정과 본말전도의 오류에서 오는 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처우개선, 안전에 관한 현행법과 제도규정들의 개선, 보육계 차원의 재난안전 교육과 실천 가능한 현장 매뉴얼과 현장에서의 구체적 적용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