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웹사이트 지작특성의 이용자 중요도 비교연구

        형성우,이국용,김흥국 국제e-비즈니스학회 2006 e-비즈니스 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and compare the importance relations among the attributes of the websit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re were much literature reviews, and minute examinations was executed, using the past studies that be related with website users' behavior. From the literature reviews, the constructs was made out, and the survey to analyze was executed in two months. Totally, the collected data(1,307) from the group composed of 155, was tested by SPSS v. 12 such as ANOVA, paired-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e ANOVA, reveals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s of websi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from the paired-samples t-test we found the conclusion the attribu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ype of websites. Specially, online users thought as contents, design, cost(price), risk, value, reputation, relative advantage, quality attribute of the shopping sites' more important than others websites. 본 연구는 웹사이트 이용자들이 특정한 웹사이트를 선택할 때, 각각의 중요기준이 다를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웹사이트가 존재하듯이 각각의 웹사이트 이용자들이 중요시 여기는 기준 역시 다를 것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 이용에 있어서의 선택기준이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선택기준과 같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외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특성들 간의 차이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웹사이트에 대한 분류 기준 역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인터넷 이용자들이 특정한 웹사이트를 선택할 때, 각각의 중요기준이 다를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웹사이트 유형 분류를 수행한 여러 연구와 국내 검색엔진 디렉토리 서비스 분류기준을 중심으로 온라인 포털, 온라인 게임(웹보드 게임), 뉴스 및 미디어, e-메일, 인터넷 쇼핑, 교육 및 참고자료, 커뮤니티, 엔터테인먼트, 구인 및 구직, p2p의 10종류로 웹사이트를 분류하였다.

      • KCI등재

        웹 사이트의 구조와 항해가능성

        민경실 ( Kyung Sil Min ),천성규 ( Sung Kyu Chun ),장기호 ( Gi Ho Jang ),정효숙 ( Hyo Sook Jung ),박성빈 ( Seong Bin Park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3

        항해가능성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찾기 쉬운지를 말하며 웹 사이트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세 종류의 웹 사이트, 즉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 준 매트로이드 구조의 웹 사이트, 그리고 온톨로지를 이용한 웹 사이트를 제작하고 각 웹 사이트의 항해 가능성을 두 가지 기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클릭한 하이퍼링크의 수 및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걸린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세가지 구조를 선택한 이유는 각 구조마다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한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까지 거쳐 간 링크의 평균 개수는 준 매트로이드 구조의 웹 사이트 (100.37개) < 온톨로지 구조의 웹 사이트 (117.63개) <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 (236.17개) 순으로 나왔다. 그리고 한 사용자가 정보를 찾는데 소요된 평균 시간은 온톨로지 구조의 웹 사이트 (20분 26초) < 준 매트로이드 구조의 웹 사이트 (23분 6초) <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30분 47초) 였다. 따라서 준 매트로이드 구조나 온톨로지 기반 구조의 웹 사이트가 상대적으로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 보다 항해가능 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 결과를 어떻게 교육용 웹 사이트 설계에 적용할 수 있을 지도 제안하였다. Navigability refers to how easy a user can find desired information in a web site and is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a web site. In this paper, we created three types of Web sites, that is a Web site whose structure forms a small world, a Web site whose structure forms a semi-matroid, and a Web site based on an ontology and measured the navigability of each Web site based on two criteria (the number of hyperlinks clicked by users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and the elapsed time for finding the desired information). The reason that we selected three structures is because hyperlinks can be created in a way that helps a user find desired information in each site. From the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average number of hyperlinks which a user clicked to find out the desired information was as follows: a Web site that had semi-matroid property (100.37 hyperlinks) < a Web site that was created based on an ontology (117.63 hyperlinks) < a Web site that had small-world property (236.17 hyperlink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average elapsed time during which a user found out the desired information was as follows: a Web site that was created based on an ontology (20 min 26 sec) < a Web site that had semi-matroid property (23 min 6 sec) < a Web site that had small-world property (30 min 47 sec). Therefore, we can consider a Web site that is created based on a semi-matroid or an ontology is relatively more navigable than a Web site that has small-world property. In this paper, we also propose a way by which our experimental results can be reflected in designing an educational Web site.

      • KCI등재

        한·중 쇼핑몰 웹 사이트의 디자인 요인에 대한 비교분석

        권영직(Young-Jik Kwon) 한국산업정보학회 2014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쇼핑몰 웹 사이트 디자인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15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의 쇼핑몰 웹 사이트로는 “G마켓”과, 중국의 쇼핑몰 웹 사이트로는 “taobao마켓”을 선정하였다. 쇼핑몰 웹 사이트 디자인 요인으로는 ①색상과 디자인, ②사진, 그래픽, 글자의 크기, ③정보전달의 명확성(이해성) ④웹 사이트 구조, ⑤화면의 조화, ⑥상품의 진열, ⑦상품의 조화, ⑧글자나 아이콘의 형태, ⑨시각적인 분위기, ⑩차별화되는 색상, ⑪흥미를 유발하는 단어, ⑫기술력, ⑬전체적인 시각적 디자인 및 분위기, ⑭항해구조, ⑮상품이나 정보검색 기능 등 15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쇼핑몰 웹 사이트가 이들 요인들 간에는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SAS9.2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차이점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쇼핑몰 웹 사이트 디자인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design factors of a website targeted at shopping mall websites in China and Korea. We formulated 15 different hypotheses regarding how those design factors are different. The targeted websites are "Gmarket" in Korea and "Taobao" in China. The selected design factors of a shopping mall website are ① color and design, ② photo, graphic, and font size, ③ the clarity of information delivery, ④ website structure, ⑤ screen balance, ⑥ product display, ⑦ product harmony, ⑧ a form of font and icon, ⑨ visual atmosphere, ⑩ differentiated color, ⑪ interesting words, ⑫ technical skills, ⑬ entire visual design and atmosphere, ⑭ navigation, ⑮ search function for products or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 using the SAS 9.2 package tool, we figured o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design factors. Additionally, we analyzed this difference and suggested a strategy to design the effective shopping mall web sites.

      • KCI등재

        웹사이트 평가요인을 활용한 브랜드 웹사이트 구축 사례연구 - 현대비앤지스틸 웹사이트 구축 결과를 중심으로 -

        홍영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웹사이트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축으로서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소비자와의 호의적 관계형성을 위한 도구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브랜드 이미지 확립과 강화를 위한 브랜드 웹사이트 구축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대비앤지스틸의 웹사이트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되고 보완된 컨텐츠, 정보구조, 네비게이션, 인터랙션, 시스템, 디자인 등 6개 웹사이트 평가요인을 기반으로 자사 및 계열사, 경쟁사의 6개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사례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내고 세부적인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웹사이트 구축 방안으로 첫째, 전략적인 사이트 구조 설계를 통해 컨셉을 제시하고 제품정보와 고객센터를 통합하여 사용자 경험 기반의 정보 인프라를 구축하며 둘째, 적극적인 기업홍보 활동 및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 뉴스센터를 재구성하고 트위터, 페이스북, 링크드인 등 외부 SNS 연계를 강화하며 셋째, PC 웹사이트와 모바일 웹사이트에 각각 부여된 브랜딩의 통합과 컨텐츠 관리의 일원화를 통한 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웹사이트 이론의 외연을 확장하는 동시에 기업의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중요한 실무적 지침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Web site is gradually expanding its influence as the central axis of brand communication and being embossed as an important tool for favorabl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but deep research into the case of brand web site construction is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selected 6 web sites such as company, affiliate, and competitor based on examined and complemented 6 web site evaluation factors of contents, structure of information, navigation, interaction, system, and design through advanced research and found out improvement by case analysis utilizing Delphi technique, suggesting detail action plan in order to newly construct Hyundai BNG Steel web site. For successful measurement on web site construc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ly suggested the concept through strategic design of site structure and constructed information infrastructure based on experience of users, integrating product information and customer center. Secondly, the research reconstructed news center to invigorate aggressive public relation of company and communication, enforcing the connection of external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LinkedIn. Thirdly, the research derived the need of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gration of respectively given branding on PC web site and mobile web site, unifying the management of contents. The research is expected to suggest the operational guideline which is significant to onlin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e web site construction of corporation and it is also expected to expand the theoretical extension of brand web site.

      • KCI등재

        웹사이트평가 모델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문형남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 정보관리학회지 Vol.18 No.2

        국내 웹사이트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 12월말을 기준으로 ‘.kr’ 도메인 수만도 51만개를 넘어섰다. 이처럼 웹정보 홍수 속에서 합리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손쉽게 얻기 위해서는 우선 각 분야별로 웹사이트를 평가를 받은 사이트를 이용하면 정보 이용과 관리에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웹사이트에는 다양한 산업정보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관련업계에서 활용할 만한 유익한 정보를 선별하여 분류하여 주는 것은 정보관리자에게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이라고 사료된다. 웹 상의 산업정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웹사이트 평가이론 뿐만 아니라 해당 산업에 대한 전문성도 겸비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웹사이트 평가에 대한 여러 가지 사례와 건설산업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평가모델을 개발하여 건설산업 관련 웹사이트들에 대한 순위와 등급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건설산업관련 10개 분야에 대해 모두 100개 사이트를 우수 사이트로 선정했다. 여기에 적용한 평가 모델을 조금씩 수정하면 다른 산업 분야도 웹사이트 평가에 의한 합리적인 웹정보의 활용과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The number of websites in Korea is increasing rapidly as demonstrated by more than 510,000websites registered under the ".kr" domain as of the end of December 2000. In order to effectively copewith the deluge of web information and maintain ready access to useful information on the web,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web information through websites that have been evaluated and ratedfavorabl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websites now increasingly provide industry-specific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rs are now finding it essential to meet their specific information needsthrough separation and ranking of useful information from the rest.However, evaluation of industry-specific information requires industry-specific expertise as well asgeneral website evaluation tools. This paper develops a website evaluation model and attempts to rankindustry-specific websites through case studies of previous website evaluation and consultation withexperts in specific industries. Based on the model developed, this paper selects 100 outstanding websitesin 10 areas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earch also hypothesizes that, with appropriate modifications,the rating models used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industries for more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e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 KCI등재

        웹페이지의 의학용어 출현 빈도와 하이퍼링크에 기반한 웹사이트 분류

        이인근(In Keun Lee),김화선(Hwa Sun Kim),조훈(Hune Ch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논문은 웹페이지에 포함된 의학용어의 출현 빈도와 웹페이지 간의 하이퍼링크로 이루어진 웹사이트의 구조에 기반하여 인터넷 웹사이트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1)웹페이지에 포함된 전체 용어에서의 의학용어 출현 빈도와 (2)웹페이지에 포함된 중복을 제거한 용어에서의 의학용어 출현 빈도를 인자로 하여 웹페이지의 의학분야 적합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3)홈페이지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접근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하이퍼링크의 개수를 이용한 전체 웹페이지의 적합도 연산을 통해 웹사이트의 의학분야 적합도를 측정한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디렉토리 검색 서비스에 등록된 80 개의 의학분야 웹사이트와 127 개의 비 의학분야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제안한 방법에 기반하여 웹사이트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고, 82.5 %의 분류 정확률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classify internet websites based on occurrence frequency of medical terms in the webpages and website structure composed with webpages and hyperlinks. The classification was done by using the suitability measure defined by three factors: (1)occurrence frequency of medical terms in the whole terms involved in a webpage, (2)occurrence frequency of medical terms in de-duplicated terms involved in the webpage, and (3)the number of hyperlinks to reach to a specific webpage from homepage.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80 websites registered in directories related to medical field and 127 websites in nonmedical field directories, and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82.5 % of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 KCI등재

        집단지성에 대한 신뢰가 실용적 특성

        홍태호,김진완,김광모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웹 2.0 환경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실용적 특성 UCC 웹사이트의 지속사용 의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용적 특성 UCC 웹사이트의 사용은 지식획득 및 제품 구매 등과 같은 외적인 동기가 강하기 때문에 재미와 흥미 위주의 헤도닉 특성 UCC 웹사이트 보다 다수의 지적능력을 활용하는 집단지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집단지성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집단지성에 대한 신뢰가 실용적 UCC 웹사이트의 지속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주제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용적 특성 UCC 웹사이트에서 집단지성에 대한 신뢰가 만족과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인지된 유용성은 실용적 특성 UCC 웹사이트에 대한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실용적 특성 UCC 웹사이트에 대한 만족은 지속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실용적 UCC 웹사이트의 지속사용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의 유용성과 만족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러한 만족과 유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실용적 UCC 웹사이트에서 구축된 집단지성에 대해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밝혀내었다.

      • KCI등재

        아시아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차별화 전략:

        주경희(Chu Kyoung hee),원일월(Yuan Yi yue),김소연(Kim So yeon) 韓國商品學會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5

        본 연구는 제조업 중심의 다국적 기업들의 한국, 중국, 일본의 로컬 웹사이트 컨텐츠에 해당 국가의 문화가치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현지 웹사이트에 해당 국가의 문화적 가치가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프레임워크로 Singh and Matsuo (2004)의 웹사이트 문화가치 비교평가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였다. 이들의 방법론은 홉스테드(Hofstede)의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 가치 차원과 홀 (Hall)의 고맥락/저맥락 커뮤니케이션 맥락이론을 이용한 평가 방법으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내용 분석을 위한 조사 대상으로 포춘지에서 선정한 대표적인 다국적 기업들 중에서 한국, 중국, 일본에 로컬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제조업 중심의 기업들을 선정하였다. 로컬 웹사이트 컨텐츠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다국적 기업의 로컬 웹사이트 컨텐츠에 해당 국가의 문화적 가치를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국가별로 로컬 웹사이트 컨텐츠에 있어서 문화적 가치 표현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 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비교연구 분야에서 집단주의 문화이면서 고맥락 문화권의 대표적인 국가들로 뽑히는, 한국, 중국, 일본을 대상으로, 현지 웹사이트 내 컨텐츠에 내재된 문화적 차원들에 대한 비교를 통해, 홉스테드와 홀의 문화 가치 이론을 재검증하고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존재하며, 실무적으로는 향후 국제 마케팅을 실행할 때, 본 연구결과가 웹사이트의 현지화 전략 수립 시 유용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 localized online communication strategy is importantly considered to sustainmarket leadership of global compan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incorporating cultural values in effectively communicating with global customers. Targeting 20 multinational companies(MNCs) on Fortune 500 list, we analyze their local web sites in Korea, China, and Japan. Using Singh and Matsuo(2004)’s web site evaluation framework, this study accesses the level of cultural adaptation reflected in local web sites through content analysis. Singh and Matsuo (2004)’s web site evaluation framework is based on the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and Hall’s context theory. The findings indicate the differences in terms of cultural value s reflection among the local web sites of global companies in the three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cal web sites of global companies in Japan is reflecting more individualistic culture and low-contextual communication style than the local web sites of global companies i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highlights the significant effect of individualism cultural dimension and low context cultures on designing the effectively localized online communication strategy of global companies.

      • KCI등재

        인문사회 : 프로농구구단의 웹사이트 이용동기와 웹사이트이미지, 팀동일시, 팀감정 및 관람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김경춘 ( Kyung Chun Kim ),김용만 ( Yong Man Kim ),허진 ( Jin Hur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농구구단의 웹사이트 이용동기와 웹사이트이미지, 팀동일시, 팀감정 및 관람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프로농구구단에게 웹사이트 운영에 있어 웹사이트 이용자의 행동분석, 웹사이트의 활용방안 및 마케팅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대상은 서울 삼성썬더스, 원주 동부프로미, 전주 KCC이지스 그리고 창원 LG세이커스 프로농구구단의 홈 관중 중 구단 웹사이트의 이용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이상의 관중 400명이다.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추출하였고,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였다. 총 400부를 표집한 후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12부를 제외한 388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사이트 이용동기는 웹사이트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사이트이미지는 팀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웹사이트이미지는 팀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동일시는 팀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팀동일시는 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팀감정은 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웹사이트 이용동기는 관람의도에 중요한 수단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이미지, 팀동일시 및 팀감정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려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otives of web-usage, website image, team identification, team emotion, and viewing intention for a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website. This study set up 400 spectators above senior high school age who have team web-usage experience among the home spectators for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as its subjects. As for samples, this study used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let them draw up a survey questionnaire using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collecting a total of 400 copies, this study used 388 copies as final effective samples except for 12 copies judged to be inappropriate. A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verified each hypotheses after identifying goodness of fit for a hypothesized model using SPSSWIN Ver. 15.0 and AMOS 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b-usage motives was found to partially have an effect on website image. Second, website imag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eam identification. Third, website imag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eam emotion. Fourth, team identific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a team emotion. Fifth, team identifica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viewing intention. Team emotion was found to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viewing intention.

      • KCI등재

        인터넷 접속환경을 고려한 공공기관 영문 웹사이트의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박주은 ( Jueun Park ),홍동식 ( Dongsik H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배경 외국인 관광객 이천만 시대를 대비하는 시점에서 그 도시의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기관 영문 웹사이트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지만, 웹디자이너의 영문 웹사이트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그동안 국내에서 웹사이트의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대해서 많은 연구와 실험이 있었지만, 영문 웹사이트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공공기관 영문 웹사이트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하여 웹사이트의 텍스트 구성(폰트, 색채, 정렬, 가독성)과 이를 웹사이트에서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인 방법(HTML, 텍스트의 이미지화, CSS, 폰트 임베딩, 플래시와 Ajax)을 탐구하고자 한다. 국내 대도시 공공기관인 서울시, 부산시, 대전시 영문 웹사이트의 타이포그래피 활용사례에 대해 분석하고, 다양한 인터넷 접속환경에서의 영문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국내 공공기관 영문 웹사이트를 분석한 결과 텍스트를 이미지화하여 과다하게 사용하는 점, 텍스트 이미지의 파일용량, 대체 텍스트의 부재 등 대부분 비슷한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이는 웹디자이너들이 방문자의 인터넷 접속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화려한 디자인 작업에만 치우친 결과이다. 결론 영문 웹사이트의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은 디자이너가 의도한 대로 웹사이트의 방문자가 볼 수 있느냐 이다. 영문 웹사이트의 경우 주요 방문객이 외국인 이라는 점에서 접속하는 나라의 초고속 인터넷 사용여부, 영문폰트의 소유여부, 주요 브라우저 등 그들의 인터넷 접속환경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 English websites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ity is getting bigger, however, the web designers are not aware of the website's English typography.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nd experiments on the Korean typography of websites in Korea, but the study of typography in the English websites has been insufficient. Methods Study the visual representation(font, color, alignment, text block width and readability) and be implemented the technical methods(HTML, text image, CSS, font embedding, Flash and Ajax) of the typography on English websites. Also, analyze the government's English website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use typography of English websites and utilize English typography in various internet environments. Result In the case of government English websites in south Korea, most similar problems were found, such as excessive use of textual images, image file capacity, and lack of alternative text. This is a result of the web designers not focusing on the internet environment of the visitors, but on the brilliant design technique.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English typography on websites is the websites are viewed by visitors same as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s. In the case of the English websites, the major visitors are foreigner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ir internet environment such as the use of broadband Internet, the possession of English fonts and major browsers what they use mos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