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고논문 : 문답식 산문의 특징에 대한 연구 -이규보(李奎報)의 문답식 산문을 중심으로-

        우지영 ( Jee Young Woo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문답식 산문이란 작가가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문학적 장치로서 가설적인 질문과 대답을 설정하여 서술하는 방식의 산문을 말한다. 문답 형식은 일반적으로 논설류의 하위 체식으로 구분되어 왔으며, 의론성을 개진해내기 위한 효과적인 서술기법으로 자리잡아왔다. 그리고 논설류가 아니더라도 의론성이 강한 작품에서 주장을 설득력있게 전달하기 위한 서술 기법으로 원용되었다. 문답식 산문의 특징으로 議論性·敍事性·寓意性의 세 가지를 거론하였다. ``의론성``은 문답식 산문이 가지는 說理性, 즉 논변적인 특성을 의미한다. 작가의 主旨를 효과적으로 주장하고 독자를 설득해 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주객 대화의 서술 기법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서사성``은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형상화를 통한 이야기로서의 특성을 의미한다. 질문과 답변의 단순한 구조 이외에 상황적 배경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진다면 등장인물간의 문답은 현장성과 개연성을 지니게 되어 발언이 더욱 설득력 있게 다가올 수 있다. ``우의성``은 주지를 직설적으로 표출해 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야기를 빌려와서 기탁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문답식 산문에서 이상의 세 가지 특징은 각각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서사적인 특성과 우의적인 특성이 의론적인 특성에 종속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서사성과 우의성은 문답식 산문의 의론성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하여 복무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을 한국한문학의 문답식 산문 전체에 대한 일반론으로 확대시키는 문제는 차후의 논의를 통하여 보완해나가야 할 과제로 남겼다. Catechetical prose is a narrative prose by setting a hypothetical question and answer as a literary device to reveal writer`s thoughts effectively. Catechetical form generally is divided as the article mode`s sub-sections. And it has become a effectively narrative technique to state disputatious charac- teristics. It was used as a narrative technique to convey writer`s persistence persuasively in a literary work which has strong disputatious characteristics. I said that features of catechetical prose is disputatious characteristics,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Disputatious characteristics is explanatory characteristics, that is, it means argumentative characteristics. Namely, it use host and guest`s conversation description method to insist writer`s intention effectively and persuade readers. Narrative characteristics means a story which is imagery about a specific incident. Comments can be persuasive if there is description about a situational background besides a simple structure of question and answer. Figurative characteristics means it alludes a core using an indirect way, not a direct way. But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are subordinate to disputatious characteristics, not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on equal terms in catechetical prose. In other words,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are necessary to redound to disputatious characteristics of catechetical prose.

      • KCI등재

        가전체고소설 「해의국사」에 나타난 寓意性과 주제의식 연구

        유권석 ( Yu Kwon S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2 동양문화연구 Vol.36 No.-

        「해의국사」는 가전체고소설로 17세기에 활동했던 금곡 박상연의 작품이다. 2007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된 후 언론 보도와 후속 연구들이 있어왔는데, 이 논문에서는 우의성과 주제의식이라는 측면에서 「해의국사」를 창작한 의도가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했다. 박상연은 숙종 당시 국정을 쇄신하고자 만언소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인물이다. 관직을 떠난 후 한때 서해를 주유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 김을 비롯한 해초를 접하며 「해의국사」를 창작하게 된 계기가 마련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김을 천자로 의인화하여 「해의국사」를 지은 배경에는 숙종의 정치 행위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문제 삼은 것은 바로 군왕의 자질이다. 해의국을 다스리는 짐 천자는 사해에 명성이 자자했지만 자만심이 강하며 예절이 침중하지 못했다. 또한 관대하고 후한 역량이 부족했으며 불법을 믿고 승려를 가까이 했다. 이러한 짐 천자의 자질은 반란의 원인이 되었으며 결국 나라가 망하는 단초를 제공했다. 여기에서 짐 천자의 자질 문제는 어린 나이에 등극했던 숙종의 정치 행태를 빗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신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바라는 마음이 나타나 있다. 변방 신하인 강동왕 하순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진압 작전을 구상하고 맞서 싸운 것은 승상 감태와 장수 곽동 같은 짐 천자의 신하들이었다. 그리고 전쟁의 과정에서 미나리로 대변되는 문신들을 나약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 신하들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 등 독선적인 관점도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의국사」는 경신환국을 배경으로 군왕인 숙종이 자신의 문제점을 깨닫고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기를 바라는 충심을 우언으로 표출시킨 작품이라고 하겠다. 「Haeuiguksa」 as an anthropomorphism novel is written by Keomkok Park, Sangyeon in 17th century. The study i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me and allegoricalness so as to figure out the reason why 「Haeuiguksa」 is made since it has been a lot articles and researches from the very first in 2007. 「Haeuiguksa」 consists of the country 「Haeuiguk」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which the king is personified as a laver produced in Southwest Sea. it may be considered the writer’s condition as he is living in West Sea after he retired. 「Haeuiguksa」 points out the king’s character causing governments’ unstable management based on political issue 「Kyeongshinhwanguk」 in Sukjong’s Reign in Chosun Dynasty. it firstly comments the king’s ability. His lacking abilities and inappropriate behaviors caused riot which connected to the end of country. Second is his awareness towards lieges. it contains the necessity of change on his trust of certain lieges, underestimate to civil officials and arbitrary decision-making. In conclusion, the novel reflects the writer’s loyalty that the king awaken himself and fulflls the right things to do by using allegoricalness.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의『비둘기(鳩)』론- 소년 집단의 우의성을 중심으로 -

        소명선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3

        This paper takes Kenzaburō Ōe’s early short story “Dove(HaTo)” as the object of consideration. Breaking free from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ve framework of depicting the existentialist inner world of human beings, the paper analyzes the allegorical nature implied by the boy group focusing on the daily lives of the boys confined in a reformatory. The interior of the juvenile reformatory is structured in a constant rot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which makes the boys the subject of their own observation rather than the object of surveillance and supervision. The boy group has no sense of guilt despite being classified as violent offenders. The boy group share their sins and form a tight solidarity to make their shared sins into material for pleasure. The sharing of sin is the forgetting of sin. The collectivist characteristics of the boys, who have a collective identity but no sense of guilt, overlap with postwar Japan, which has forgotten its war crime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a hierarchical system has been established within the group, and boys naturally accept male homosexuality. The lack of sexual subjectivity of boys who do not refuse to become same-sex sexual objects means the lack of political subjectivity in postwar Japan. What is projected through the daily lives of the boys trapped in the wall is the national collective of Japan. The narrator, who becomes conscious of his own guilt in the ‘Dove Incident’, acts out of anger and despair toward the outside world, and his self-punishment is also a result of his anger and despair toward the outside world. What is conveyed through the boy gorup in “Dove(Hato)” is the negative aspects of Japan's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the forgetting of guilt through shared guilt, and the lack of political subjectivity that has not overcome the emperor's fascism during the war. Rather than being a work that focuses on the existential awareness of the individual within a boy group confined by concrete walls, “Dove(Hato)” is a work that depicts the reality of Japanese society in the late 1950s.

      • KCI등재후보

        야담의 우언적 소통 고찰

        강영순 한민족어문학회 2003 韓民族語文學 Vol.43 No.-

        A Study on the Allegorical communication of the Ya-DamKang Young-Soon

      • KCI등재

        2000년대 현대시조 담론 고찰 –장경렬의 논의를 중심으로–

        류찬열 한국시조학회 2019 시조학논총 Vol.51 No.-

        This paper focuses on “Modern Sijo and Modernity,” and examines the argument of Jang Gyungryul, who is actively making discourses about contemporary Korean Sijos. For this purpose, I intensively reexamine Choi Namsun, who proposed the revival theory of Sijo in 1926, and Kim Donghwan, who suggested the rejection theory of Sijo in 1927. It is my claim, however, that the modernity of modern Sijos is still in need of serious thematic discussion and practice in the 2000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hoi Namsun and Kim Donghwan failed in making their opinions logically consistent, as well as not elucidating the problematic items to be clarified, such as the content, form, and genres coherence of the modern Sijos. Rather, they overly stated their extreme views with vague affirmation and dis-affirmations. These two extreme views extended to the “theory of negation,” the “theory of uselessness,” the “theory of ignorance,” and the “theory of in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modern Sijos. The year 2006 was declar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odern Sijo,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find ways of stimulating and practicing them. However, 10 years after the declaration, it seems that the modern Sijos are not yet enhanced in their status and situations, and are still in trouble. Jang Gyungryul is now conducting meaningful studies to solve the above-identified problems. He finds the identity of Sijo and modern Sijo through the use of temporality and allegory. For instance, he consistently applies the "poetry of tension" between the changed and the unchanged to judge modern Sijos as good or bad. It can be supposed that Jang Gyungryul might tap new possibilities, enabling modern Sijos to gain a deeper appreciation and more fruitful inquiry as modern poetry. 본고는 현대시조 담론을 의욕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장경렬의 논의를 ‘현대시조와 현대성’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1926년 시조부흥론을 촉발한 최남선의「朝鮮國民文學으로의 時調」와 1927년 시조배격론을 제출한 김동환의「時調排擊小議」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최남선과 김동환 양측 모두가 자신들의 견해를 충분히 논리화하지 못함으로써, ‘현대시조와 현대성 문제’가 2000년대 현대시조 담론과 실천에 여전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1920년대 중반에 제출된 최남선의 시조부흥론과 김동환의 시조배격론은 현대시조의 내용과 형식 그리고 장르적 정합성 등과 같은 반드시 해명해야 할 문제를 해명하지 않아 현대시조에 대한 막연한 긍정과 막연한 부정이라는 극단적인 견해를 형성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양극단의 견해는 현대시조에 대한 ‘부정론’, ‘무용론’, ‘무지론’, ‘무관심’ 등으로 확대되었음을 확인했다. 2006년 현대시조 100년이 선언되고, 현대시조의 활성화 방안과 실천이 다양하게 모색되었지만, 10여년이 흐른 현재 시점에서 바라본 현대시조의 상황과 처지는 좀처럼 나아지지 않았다. 여전히 현대시조는 곤경과 난관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경렬은 현대시조의 곤경과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의미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시조와 현대시조의 정체성을 ‘시간성’과 ‘우의성’에서 찾고, 이를 토대로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사이의 ‘긴장의 시학’을 좋은 현대시조와 그렇지 않은 현대시조를 판단하는 구체적 방법으로 일관되게 적용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장경렬의 현대시조에 대한 연구는 현대시조가 현대시로서의 현대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을 여러 차원에서 인식하고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 KCI등재

        윤치호 『우순소리(笑話)』의 성격과 의의

        허경진(Hur Kyung-jin),임미정(Lim Mi-jung)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5

        The details of the book『Usunsori(笑話)』has not been confirmed yet, after it was listed on banned books list by Japanese imperialism. Fortunately, there is a reprint of『Usunsori』, which was published by Daehan Seorim(大韓書林), produced by Kim Ulhan in 1908 when he wrote『Juaong Yun Chiho Jeon(Yun Chiho's biography)』, 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can be examined on the basis of this reprint. 『Usunsori』was the book that was adapted from Aesop’s Fables, which covers the precaution against the foreign invasion and the incompetency and corruption of the ruling force in 1900s indirectly. There are 71 stories for the whole book, and each chapter is organized in order of〈title―story―Yun’s comment〉. These sto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dification : ⑴let an original story untouched ; just contract and translate, ⑵change unfamiliar names and concepts of places, animals, and gods like Zeus for Korean leader, modify an original story to a great extent ; nearly remake.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Usunsori』is the product of ‘rewriting’ Aesop’s Fables, which was modified by the editor’s intent and got an enriched feature of allegory and satire, rather than it is a mere literal translation. Yun Chiho delivered his ideas by selecting proper stories that could be applied to criticize the problems caused by foreign aggression and the helpless government and unawakened people. About the time when『Usunsori』was issued, various versions of Aesop’s Fables were produced and gained popularity as teaching material in Japan and China. In Japan, new versions which was combined with traditional Japanese stories or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culture were made. Combination of Aesop’s Fables and Chinese Woo-un(寓言, an allegory) brought out a new version, also in China.『Haekuk Myo-you(海國妙喩, An exquisite allegory outside of the country)』, out of many published versions, changed the original text so much that it was labeled as ‘Chinese Aesop’s Fables’. It seems that Yun Chiho recognized this tendency of Japan and China. At that time, educators and students studying abroad who led an enlightenment campaign paid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value of Aesop’s Fables and made the various versions of the book. Yun Chiho’s『Usunsori』 is the book that was published under these circumstances.

      • 투고논문 :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

        우지영 ( Jee Young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은 인조(仁祖)에서 숙종(肅宗) 연간에 활동한 문인 관료이다. 홍우원의 문집인 『남파집(南坡集)』은 시와 상소문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기(記)·설(說)·서(序) 등의 산문 작품의 편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홍우원은 그의 논설류 산문에서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단편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각종 문학적 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이면서도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소재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았다.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 중 「노마설(老馬說)」에서는 늙은 말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중심구도로 하여 필요할 때는 취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버려버리는 인정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서술하였고, 「목근침설(木根枕說)」에서는 목침이라는 일상의 소재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위정자가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문제에까지 논의를 확대해 갔다. 「각설(角說)」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황을 비판하였고, 「백흑난(白黑難)」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백(白)과 흑(黑)이 서로 벌이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태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았다. 이들 작품에서는 버려지는 늙은 말, 나무등걸로 만든 목침, 뿔이 난 말과 고양이, 흑색과 백색 등의 친근하거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를 통하여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주인과 늙은 말 사이의 대화, 백색과 흑색이 벌이는 허구적 문답을 가설하여 답변자의 발언 속에 작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주제를 논리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당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와 기탁을 통하여 주제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Nampa Woo-Won Hong(1605~1687) is a literary bureaucrat who acted in Sukjong ~Injo. 『Nampa collection』, Woo-Won Hong``s work collection, is largely comprised of poems and Sangsomun and the number of prose works such as Gi, Seol, and Seo. However, Woo-Won Hong express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reality of that time in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way through all kinds of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revealing it in a fractional and straightforward manner. Hereby this paper analyzed Won-Woo Hong``s editorial prose focusing on its material and descriptive way. 「Nomaseol」 among Woo-Won Hong``s editorial prose describ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condition that something is thrown away if it becomes useless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the old horse and master have, and 「Mokgeunchimseol」 expanded the discussion with the deep subject which could alarm the society by starting the story from the routine material of wooden pillow. 「Gakseol」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by considering the horned horse and cat as a material, and 「Baekheuknan」 contained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reality that the sense of values of right and wrong was reversed through Byeonnan that black and white fought. These works expressed the subject effectively by bringing about the readers`` sympathy through the intimate material such as thrown old horse, wooden pillow made of tree, white and black colors. Also, it revealed the subject logically by hypothesizing the fictional question and answer of white and black, question and answer of old horse and master. And it expressed the subject indirectly through the metaphor and deposition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reality of that time in a specific and direct way.

      • KCI등재

        南坡 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

        우지영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Nampa Woo-Won Hong(1605~1687) is a literary bureaucrat who acted in Sukjong ~Injo. 『Nampa collection』, Woo-Won Hong’s work collection, is largely comprised of poems and Sangsomun and the number of prose works such as Gi, Seol, and Seo. However, Woo-Won Hong express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reality of that time in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way through all kinds of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revealing it in a fractional and straightforward manner. Hereby this paper analyzed Won-Woo Hong’s editorial prose focusing on its material and descriptive way. 「Nomaseol」 among Woo-Won Hong’s editorial prose describ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condition that something is thrown away if it becomes useless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the old horse and master have, and 「Mokgeunchimseol」 expanded the discussion with the deep subject which could alarm the society by starting the story from the routine material of wooden pillow. 「Gakseol」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by considering the horned horse and cat as a material, and 「Baekheuknan」 contained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reality that the sense of values of right and wrong was reversed through Byeonnan that black and white fought. These works expressed the subject effectively by bringing about the readers’ sympathy through the intimate material such as thrown old horse, wooden pillow made of tree, white and black colors. Also, it revealed the subject logically by hypothesizing the fictional question and answer of white and black, question and answer of old horse and master. And it expressed the subject indirectly through the metaphor and deposition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reality of that time in a specific and direct way. 南坡 洪宇遠은 仁祖에서 肅宗 연간에 활동한 문인 관료이다. 홍우원의 문집인 『南坡集』은 시와 상소문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記ㆍ說ㆍ序 등의 산문 작품의 편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홍우원은 그의 논설류 산문에서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단편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각종 문학적 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이면서도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소재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았다.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 중 「老馬說」에서는 늙은 말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중심구도로 하여 필요할 때는 취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버려버리는 인정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서술하였고, 「木根枕說」에서는 목침이라는 일상의 소재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위정자가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문제에까지 논의를 확대해 갔다. 「角說」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황을 비판하였고, 「白黑難」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白과 黑이 서로 벌이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태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았다. 이들 작품에서는 버려지는 늙은 말, 나무등걸로 만든 목침, 뿔이 난 말과 고양이, 흑색과 백색 등의 친근하거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를 통하여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주인과 늙은 말 사이의 대화, 백색과 흑색이 벌이는 허구적 문답을 가설하여 답변자의 발언 속에 작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주제를 논리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당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와 기탁을 통하여 주제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